KR0131583B1 -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583B1
KR0131583B1 KR1019920014840A KR920014840A KR0131583B1 KR 0131583 B1 KR0131583 B1 KR 0131583B1 KR 1019920014840 A KR1019920014840 A KR 1019920014840A KR 920014840 A KR920014840 A KR 920014840A KR 0131583 B1 KR0131583 B1 KR 013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motor
signal
sens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81A (ko
Inventor
김창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2001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583B1/ko
Priority to JP5204353A priority patent/JPH06168529A/ja
Priority to US08/109,601 priority patent/US5452149A/en
Publication of KR94000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8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the cassettes being conveyed within a cassette storage location, e.g. within a storage bin or conveying by belt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 자동교환장치의 기계적인 동작을 보다 신뢰성 있게,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고 범용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손쉽게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카세트 삽입 및 인출장치는 무한 궤도형태의 카세트 이송장치로 VCR의 데크의 형태가 이러한 무한궤도 카세트 이송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전용형태를 가져야 하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VCR의 데크와는 함께 이용될 수 없으며, 제어장치에 포함된 센서들과 제어수순으로는 신뢰성 있고 간편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는 일반적인 형태의 VCR(300)의 데크와 상호 호환성 있게 이용될 수 있으며, 센서 및 정밀한 제어수순에 의해 신뢰성 있고 간편한 카세트 자동교환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동작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제4도는 제3도의 단계(P4)를 상세하게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제5도는 제3도의 단계(P5)를 상세하게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제6도는 제3도의 단계(P7)중 대기루틴을 상세하게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제7도는 제3도의 단계(P7)중 로딩루틴을 상세하게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제8도는 제3도의 단계(P7)중 언로딩루틴을 상세하게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카세트 투입구
12 :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개구 13 : 카세트 배출구
20 : 카세트 투입장치 30 :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장치
40 : 카세트 배출장치 S0 내지 S4 : 센서
200 : 제어장치 203 :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204 : 모터구동회로
본 발명은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 자동교환장치의 기계적인 동작을 보다 신뢰성 있게,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고 범용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손쉽게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VCR(video cassette recorder)이라 함)는 일반적으로, 카세트에 기록된 소프트웨어(software) 즉, 영상 및 음성신호를 텔레비젼 세트를 통해 시각적으로 재생하거나, 비디오 신호를 카세트에 기록하는 기능을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당히 널리 이용되고 있다.
VCR의 이용이 확대되면서, VCR이 통상 재생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또는 녹화하고자 하는 영상정보량으로 인해 여러 개의 카세트가 연속적으로 재생 및 녹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개의 카세트를 연속적으로 재생 및 녹화하기 위해서는 특수하게 제작된 멀티데크 시스템(multi-deck system)을 이용하거나, 데크의 수가 하나 또는 한정된 수인 경우, 사용자가 손수 일일이 카세트를 VCR에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카세트를 순차적으로 VCR의 데크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가 제안되었다.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는 복수 개의 카세트를 탑재하여, 탑재된 카세트를 순차적이고 자동적으로 VCR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카세트를 VCR로부터 인출하거나 제공급하지 않고도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녹화 및 재생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카세트 자동교환장치 중의 하나인 현재 상업화되어 이용되고 있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 탑재된 카세트 중 순차적으로 하나씩의 카세트를 자동교환장치내에 투입하는 장치와, 투입된 카세트를 VCR의 데크로 삽입하거나, 혹은 VCR의 데크로부터 언로딩되는 카세트를 자동교환장치내로 회수하는 카세트 삽입 및 인출장치와, 게이트로부터 인출한 카세트를 자동교환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카세트 배출장치 및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류형의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는 전술한 자동적이고 순차적인 카세트 자동교환을 수행하는 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로는, 카세트 삽입 및 인출장치는 무한 궤도형태의 카세트 이송장치로 VCR의 데크의 형태가 이러한 무한궤도 카세트 이송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전용형태를 가져야 하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VCR의 데크와는 함께 이용될 수 없으며 둘째로는 제어장치에 포함된 센서들과 제어수순으로는 신뢰성 있고 간편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목적은 보다 신뢰성 있고 간편하며, 일반적인 형태의 VCR과 적합하게 이용가능한 개선된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VCR에 순차적으로 카세트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카세트를 투입할 수 있는 카세트 투입구(301), 상기 VCR의 카세트 투입구(301)와 대략 일치하는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한 카세트 배출구(13),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안착부를 가진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에 투입된 카세트(50)를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를 통해 상기 VCR(300)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장치(30)와; 상기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내로 언로딩된 카세트(50)를 배출시키기 위한 카세트 배출장치(40)를 포함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투입장치(20)와 관련하여 설치되며 적재된 카세트(50)를 감지하여 제1카세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수단과; 상기 카세트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 안착부내에 수용되는 카세트(50)를 감지하여 제2카세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수단과;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와 관련하여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를 통해 로딩 및 언로딩되는 카세트(50)를 감지하여 제3카세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센서 수단과; 상기 카세트 배출구(13)와 관련하여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카세트(50)를 감지하여 제4카세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센서수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센서수단으로부터의 제1 내지 제4카세트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세트 투입장치(20),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 및 상기 카세트 배출장치(40)로 순차적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201,203,204)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는 프론트로딩 방식의 일반적 형태의 VCR과 적합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10), 카세트 투입장치(20),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 및 카세트 배출장치(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에 카세트(50)의 수평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 카세트 투입구(11), VCR(300) 전면의 카세트 투입구(301)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 및 일측면에 형성된 카세트 배출구(13)를 가진다.
카세트 투입구(11)에는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4개의 모서리 또는 2개의 모서리에 카세트(50)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제공될 수 있다.
카세트 배출구(13)에는 배출되는 카세트(50)를 안내할 수 있도록 트레이(60)가 제공된다.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카세트 투입구(11) 또는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로부터 투입 또는 언로딩되는 카세트(50)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카세트 안착부가 제공된다.
카세트 배출구(13)는 바람직하게는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보다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 저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카세트 투입장치(20)는 카세트(50)의 일측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개방부를 가진 반원형 지지부가 형성된 디스크(21), 모터(23)의 구동에 따라 디스크(2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어(22)를 포함한다.
디스크(21)는 하우징(10)의 내측 일측면에 제공되어, 다수의 카세트(50)가 카세트 투입구(11)의 상부에서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하나의 카세트(50)의 일측면이 반원형 지지부의 개방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디스크(21)가 반원형 지지부의 개방부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의 카세트(50)만이 하우징(10) 내측의 카세트 안착부에 투입된다.
개방부의 크기가 카세트(50)의 선단 모서리와 대략 일치하므로, 개방부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의 카세트(50)가 카세트 안착부에 투입되는 동안 잔류 카세트(50)는 반원형 지지부 및 걸림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크(21)가 완전히 1회전을 한 경우, 새로운 카세트(50)가 개방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투입장치(20)는 카세트(50)의 투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디스크(21)와 연동하여, 카세트(50) 투입시 카세트(50)의 후단측면을 밀 수 있는 가동레버(도면 중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VCR(300)에 삽입하기 위한 카세트(50)가 카세트 안착부에 삽입된 경우, VCR(300)의 카세트 투입구(301)를 통해 VCR(300)에 카세트(50)를 로딩시키며, VCR(300)의 카세트 투입구(301)로부터 소정길이로 이젝트되는 카세트(50)를 카세트 안착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32)에 의해 협지동작을 할 수 있는 그리퍼(31)와, 모터(33)의 회전구동에의 그리퍼(31)를 VCR(300)의 카세트 투입구(301) 방향 및 그와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퍼(31)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통상 닫힌 상태로서, 솔레노이드(32)가 동작하는 경우 열려진다.
닫힌 상태에 의해 카세트(50)의 후단측면이 협지될 수 있으며, 열린 상태인 경우, 카세트(50)가 그리퍼(3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퍼(31)의 이송장치는 모터(33)의 정역회전에 따라 그리퍼(31)를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부(12)측으로 또는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하우징(10) 하부에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를 향해 하우징(10)의 측면과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과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랙기어와,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회전시 랙기어와 협동하여 그리퍼(31)를 이송시키는 헬리컬 및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다.
카세트 배출장치(40)는 카세트 로딩/언로딩 개구(12)의 상부에 개구(12)와는 나란하게 설치되며, 카세트(50)의 일측면에 밀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버(41)와, 레버(41)를 하우징(10)의 일측면에 따라 이송시키도록 제공하는 레버이송장치(42)를 포함한다.
레버이송장치(42)는 모터(43)의 회전에 연동하는 기어와 기어의 구동에 따라 레버(41)를 이송하기 위해 기어산이 형성된 벨트를 포함한다.
레버(41)의 초기 위치는 카세트 배출구(13)와는 반대 방향의 하우징(10) 일 내측의 끝단으로, 카세트 안착부에 카세트(50)가 안착된 경우, 레버이송장치(42)가 구동함에 따라 카세트 배출구(13)측으로 카세트(50)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레버(41)는 카세트(50)가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 경우 레버 이송장치(42)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카세트 투입장치(20),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장치(30)와 카세트 배출장치(40)를 제거하기 위한 제어장치(200)는 센서(S0,…,S4), 스위치(202), 마이크로프로세서(201), 모터구동회로(204) 및 솔레노이드구동회로(203)를 포함한다.
센서(S0)는 카세트 투입장치(10)의 디스크(21)와 나란하게 설치되거나 그와는 반대방향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디스크(21)에 카세트(50)가 장착되어 있는 가를 감지하고, 카세트(50)가 존재하는 경우 제1카세트 감지신호 ''H''(논리1)를 출력한다.
센서(S4)는 하우징(10) 내측 하부에 제공되어, 카세트(50)가 카세트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카세트(50)가 안착된 경우, 제2카세트 감지신호 ''H''(논리1)를 출력한다.
센서(S2)는 카세트 로딩/언로딩 개구(12)가 형성된 하우징(10)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카세트(50)가 카세트 로딩/언로딩 개구(12)에 삽입되거나, VCR(300)의 카세트 투입구(301)로부터 녹화 또는 재생이 완료된 테이프가 VCR(300)의 카세트투입구(301)로부터 소정거리로 이젝트 되는 것을 감지하며, 카세트(50)가 감지된 경우, 제3카세트 감지신호 ''H''(논리1)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센서(S3)는 전술하는 카세트 배출장치(40)의 레버(41)가 위치하는 초기위치에 설치되어, 레버(41)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레버감지신호인 ''H''(논리1)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센서(S4)는 카세트 배출구의 일내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카세트(50)를 감지하여 제4카세트 감지신호 ''H''(논리1)를 출력한다.
센서(S0 내지 S4)로는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광센서가 이용되었으나, 신뢰성 있게 카세트(5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202)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스타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VCR(300)에 로딩된 카세트의 이젝트 동작 및 필요한 동작을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구동회로(203)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1)로부터의 솔레노이드 구동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31)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3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알려진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모터구동회로(2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1)로부터 모터 선택 신호 및 구동 방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모터를 선택된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모터 선택신호 및 구동방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DC 모터 인 모터(22,33,34) 중 선택된 모터에 선택된 정 또는 역 방향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알려진 모터구동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1)는 전술한 센서(S0,…,S4)로부터의 제1 내지 제4카세트 감지신호 및 레버감지신호와, 스위치(202)로부터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수순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회로(203)로는 솔레노이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모터구동회로(204)로는 모터선택신호 및 구동방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이용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제어장치는 제1 내지 제4제어모드를 갖는다.
제1제어모드는 VCR(300)에 대한 카세트(50)의 로딩을 위한 것으로, 이 모드에 의해 카세트 투입장치(20)에 의해 카세트(50)를 카세트 안착부에 투입하고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를 구동시켜 투입된 카세트(50)를 카세트 로딩/언로딩 개구(12)를 통해 VCR(300)에 로딩시키게 된다.
제2제어모드는 VCR(300)에 로딩되었던 카세트(50)를 장치외부로 언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이 모드에 의해 VCR(300)로부터 카세트 로딩/언로딩 개구(12)를 통해 소정길이로 카세트(50)가 이젝트된 경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를 구동하여 카세트(50)를 카세트 안착부로 회수하고, 카세트 배출장치(40)를 구동하여 회수된 카세트(50)를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제3제어모드는 카세트(50)가 VCR(300)의 데크에 삽입되어 재생 및 기록 중인 경우로 모든 모터(23,33,43)의 동작 및 솔레노이드(32)의 구동이 종료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센서(S2)의 제3카세트 감지신호의 상승에지에서 제2제어모드로 진행된다.
제4제어모드는 카세트(50)가 하우징(10)의 카세트 배출구(13)을 통해 배출된 경우, 제어동작을 연속수행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의 플래그 상태 및 제어동작 수행개시를 수동선택하는 스타트 스위치 조작을 대기하는 단계로, 플래그가 세트되거나 스타트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센서(S0)의 제1카세트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제1 모드로 진행한다.
전술한 동작모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억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8도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수단을 구현될 수 있는 카세트 교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순으로 도시한 것으로, 제2도의 타이밍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주제어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단계(P1)은 제어장치(200)의 모든 구성성분을 초기상태로 세트시키며,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상태를 초기화한다.
단계(P2)에서 제어의 개시를 요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의 플래그가 1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즉, 제어개시 요구가 없는 경우, 작동을 개시하지 않고 계속 단계(P2)를 반복한다.
단계(P3)에서는 플래그를 클리어하고, 단계(P4)로 진행한다.
단계(P4)에서는 센서(S0 내지 S4)로부터의 카세트 감지신호 및 레버감지신호를 체크하고, 센서(S0 내지 S4)로부터의 입력상태를 확정하며, 스위치(202)로부터의 신호를 체크한다.
단계(P5)에서는 단계(P4)에서 확정된 센서(S0 내지 S4) 및 스위치(202)의 입력 상태에 따라 다음 제어동작을 결정한다.
단계(P6)에서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단계(P7)에서 해당제어모드를 수행하며, 단계(P8)에서는 단계(P7) 즉, 선택된 제어모드수행에서 결정된 출력을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각 출력포트에 제공한다.
제4도는 제3도의 단계(P4)를 상세화한 흐름도로서, 단계(R1)에서 센서(S0,…,S4)로부터 현재상태(A)를 입력하고, 이전동작에서 기억된 각 센서(S0,…S4)의 이전상태(B)를 체크한다.
이와 같은 경우, 현재상태(A) 및 이전상태(B)는 논리값으로 인식되며, 특히 현재상태의 논리값(A)은 적어도 2회의 주사에 의해 판정되므로 노이즈에 의한 상태판단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단계(R2)에서 각 센서의 현재상태값과 이전상태값을 배타적 OR 논리를 취하며 단계(R3)에서는 이러한 배타적 OR 논리값(C)이 ''0''인지 아닌지 즉, 현재상태와 이전상태가 다른 경우를 판단한다.
배타적 OR 논리값(C)이 ''1''인 경우 즉, 현재상태 및 이전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R4)에서 센서의 현재상태값(A)과 배타적 OR 논리값1의 AND 논리를 취한다.
AND 논리값이 1인 경우 센서의 현재상태는 ''L''→''H'' 상태인 상승에지로 세트한다.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계(R6)에서는 이전상태값(B)과 배타적 OR 논리값(1)의 AND 논리값을 취하여, AND 논리값이 1인 경우 센서의 현재상태는 ''H''→''L'' 상태인 하강에지로 세트한다.
상승 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세트된 경우,단계(R9)로 진행한다.
배타적 OR 논리값(C) ''0''인 경우, 단계(R7) 및 단계(R8)에서 이전에 세트된 상승 및 하강에지를 클리어하고 단계(R8)로 진행한다.
단계(R4)에서는 스위치(202)로부터 개시 신호를 체크하여 입력시킨다.
제5도는 제3도의 단계(P5)를 상세화한 것으로, 단계(S1)에서 제1 또는 제2제어모드인가를 판단하고 제1 또는 제2제어모드가 아닌 경우,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2)에서 모터(23,33,43) 및 솔레노이드(32) 구동이 종료된 경우 즉, 이동종료 세트인가를 판단하고 이동종료 세트가 아닌 경우, 제1도의 단계(P7)로 복귀하며, 구동이 종료된 경우,이동종료세트인 경우,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서는 이전상태의 제어모드가 제1제어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제1제어모드인 경우, 단계(S6)에서 다음 동작을 위해 제어모드를 제2제어모드로 세트시키고 단계(S8)로 진행한다.
제1제어모드인 경우, 단계(S7)에서 다음 동작을 위해 제어모드를 제4제어모드로 세트시키고 단계(S8)로 진행한다.
다음 동작을 위해 제어모드를 제4제어모드로 세트시키고 단계(S8)로 진행한다.
제2제어모드가 아닌 경우, 전술한 단계(P8)로 진행한다.
단계(S8)에서는 소정의 시간지연 후, 단계(P6)로 진행한다.
전술한 단계(S1)에서 제어모드가 제1 또는 제2제어모드가 아닌 경우, 단계(S4)에서 소정의 대기시간이 종료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소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단계(P6)로 진행하며, 소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단계(S15)에서는 이전 제어모드가 제3제어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제3제어모드가 아닌 경우 단계(S5)에서 제어모드가 제4제어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제4 모드가 아닌 경우, 단계(P6)로 진행하고,제4제어모드인 경우, 단계(S9)에서 하나의 카세트 로딩 및 하나의 언로딩 동작이 완전히 종료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종료세트인지를 판단한다.
플래그 종료세트인 경우, 단계(S10)에서 스타트 스위치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고, 스타트 스위치 입력이 없는 경우, 단계(P6)로 진행하고,스타트 스위치 입력이 있는 경우, 단계(S11)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S9)에서 플래그 종료세트가 아닌 경우,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는 센서(S0)로부터 제1카세트 감지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감지신호가 ''1''인 경우 단계(S12)로 진행하며, 감지신호가 ''1''이 아닌 경우,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2)에서는 동작모드를 제1제어모드로 세트하고 이동종료를 클리어하며,플래그 종료를 클리어하고 단계(P6)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는 플래그 종료를 세트시키고 단계(P6)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S15)에서 제3제어모드인 경우, 단계(S16)에서는 센서(S2)의 제3카세트 감지신호가 상승에지 상태 즉, 제2도의 점(T1)인가를 판단한다.
상승에지가 아닌 경우, 단계(P6)로 진행하고, 상승에지인 경우, 단계(S17)에서, 동작모드를 제2제어모드로 세트하고, 이동종료를 클리어하며 플래그 종료를 클리어하여 단계(P6)로 진행한다.
제6도는 제3도의 단계(P7)의 대기루틴의 흐름도로서 단계(T1)에서 계수치가 정해진 시간만큼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경과된 경우 단계(T2)에서 시간지연 종료를 세트하고 단계(P8)로 지행하며 경과되지 않은 경우, 단계(T3)에서 계수치를 감소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제7도는 제1제어모드의 제어동작을 설며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단계(U1)에서 최초수행이 세트상태 즉, 초기수행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한다.
최초수행이 세트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U2)에서 최초수행을 세트시키고, 동작단계를 제1동작단계로 세트시킨다.
단계(U3)에서 제2도 점(T1)에서와 같이, 모터(23)의 정방향 온을 세트시키고 출력단계(P8)로 진행한다.
최초수행이 세트인 경우, 단계(U4)에서 제1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여, 제1동작단계인 경우, 단계(U5)로 진행하고, 제1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단계(U9)로 진행한다.
단계(U5)에서 제2도에서 점(T2)에서와 같이, 센서(S1)가 상승에지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상승에지가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상승에지인 경우, 단계(U6)에서 동작단계를 제2동작단계로 세트하고, 계수치를, 예를 들면 100으로 세트하며, 단계(P8)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U9)에서, 동작단계가 제2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여 제2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단계(U15)로 진행하고, 제2동작단계인 경우, 단계(U10)에서 계수치가 ''0''인가를 판단한다.
계수치가 ''0''인 경우, 단계(U11)로 진행하고 계수치가 ''0''이 아닌 경우 단계(U12)에서 계수치를 감소시키고, 단계(U13)에서 계수치가 ''80''인가를 판단한다.
계수치가 ''80''이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며, 계수치가 ''80''인 경우, 단계(U14)에서 제2도 점(Z3)에서와 같이, 모터(23)이 구동종료를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단계(U11)에서는 제2도 점(Z4)에서와 같이 모터(33)의 정방향 구동온을 세트시키고, 단계(U7)에서 제2도 점(Z5)에서와 같이, 센서(S2)가 하강에지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하강에지가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하강에지인 경우 단계(U8)에서 동작단계를 제3동작단계로 세트하며 계수치를 다시 ''100''으로 설정하고 단계(P8)로 진행한다.
단계(U15)에서는 동작단계가 제3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고, 제3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제3동작단계인 경우, 단계(U16)에서 계수치를 감소시킨다.
단계(U17)에서 계수치가 ''80''인 경우 단계(U18)에서 제2도에서 점(Z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33)의 역방향 구동온을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단계(U19)에서는 계수치가 ''0''인가를 판단하고, ''0''이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계수치가 ''0''인 경우, 단계(U20)에서 제2도 점(Z7)에서와 같이, 모터(33) 구동을 종료하고 동작단계를 제1동작단계로 세트한다.
단계(U21)에서 이동 종료를 세트하고 최초수행을 클리어하고 단계(P8)로 진행한다.
이로서, 카세트투입장치(20)에 의해 하우징(10)내로 투입된 카세트(50)는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에 의해 VCR(300)의 카세트 투입구(301)로 로딩될 수 있다.
제8도는 제2제어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단계(W1)에서 최초수행이 세트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세트된 경우, 단계(W4)로 진행하고 세트되지 않은 경우 단계(W2)로 진행한다.
단계(W2)에서 최초수행을 세트하고, 동작단계를 제1동작단계로 세트하며, 계수치를 ''100''으로 세트한다.
단계(W3)에서 제2도 점(Z8)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32)를 동작온시키고 모터(33)의 정방향 구동온을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단계(W4)에서, 동작단계가 제1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여 제1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제8도(b)의 단계(W14)로 진행하고, 제1동작단계인 경우 단계(W5)로 진행한다.
단계(W15)에서는 계수치가 ''0''인지를 판단하고 ''0''이 아닌 경우, 단계(W9)로 진행하고, ''0''인 경우 단계(W6)로 진행한다.
단계(W9)에서는 계수치를 감소시키고 단계(W10)에서 계수치가 ''80''인가를 판단한다.
계수치가 ''80''이 아닌 경우, 단계(W12)로 진행하고, 계수치가 ''80''인 경우 단계(U11)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W12)에서는 계수치가 ''40''인지를 판단하여 ''40''이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40''인 경우 단계(W13)로 진행한다.
단계(W13)에서는 제2도의 점(Z9)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 구동종료를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W10)에서 계수치가 ''80''인 경우, 단계(W11)에서 모터(33)의 구동오프를 세트시키고 계수치가 ''0''인 경우, 단계(W6)에서 제2도의 점(Z10)에서와 같이, 모터(33)의 역방향 구동온을 세트시키고 단계(W7)에서 제2도의 점(Z11)에서와 같이 센서(S1)가 상승에지인가를 판단하고, 상승에지가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상승에지인 경우 동작단계를 제2동작단계로 세트하고, 제2도의 점(Z12)에서와 같이 솔레노이(32)의 구동온을 세트시키며, 계수치를 ''100''으로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시킨다.
제8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W14)에서는 동작단계가 제2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고 제2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제8도(b)의 단계(W21)로 진행하고, 제2동작단계인 경우, 단계(W15)에서 계수치가 ''0''인가를 판단한다.
계수치가 ''0''이 아닌 경우 단계(W19)에서 계수치를 감소시키고 단계(W20)에서 다시 계수치가 ''80''인가를 판단한다.
''80''인 경우 단계(W21)로 진행하고 ''80''이 아닌 경우, 단계(W22)에서 계수치가 ''40''인가를 판단한다.
''40''이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40''인 경우 단계(W23)에서 제2도의 점(Z13)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 구동오프를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W20)에서 계수치가 ''80''인 경우 단계(W18)에서, 제2도의 점(Z14)에서와 같이, 모터(33)의 구동오프를 세트하고 단계(P8)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W15)에서, 계수치가 ''0''인 경우 단계(W16)에서 제2도의 점(Z16)에서와 같이, 센서(S4)가 하강에지인지를 판단한다.
하강에지가 아니면 단계(P8)로 진행하고 하강에지인 경우, 동작단계를 제3동작단계로 세트하며, 계수치를 다시 ''80''으로 세트하고 단계(P8)로 진행한다.
제8도(c)에서, 단계(W24)는 동작단계가 제3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고, 제3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단계(W30)로 진행하고 제3동작단계인 경우 단계(W25)로 진행한다.
단계(W25)에서 계수치가 ''0''인지를 판단하고 계수치가 ''0''이 아닌 경우 단계(W29)에서 계수치를 감소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계수치가 ''0''인 경우, 단계(W26)에서 제2도 점(Z18)에서와 같이 센서(S4)가 상승에지인가를 판단한다.
센서가 상승에지가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센서가 상승에지인 경우 단계(W28)에서 동작단계를 제4동작단계로 세트시키며 계수치를 ''80''으로 세트시키고 단계(P8)로 진행한다.
단계(W30)에서 동작단계가 제4동작단계인가를 판단하여 제4동작단계가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제4동작단계인 경우 단계(W31)에서 계수치를 감소시키고, 단계(W32)에서 계수치가 ''0''임을 판단한다.
계수치가 ''0''이 아닌 경우 단계(P8)로 진행하고 계수치가 ''0''인 경우 단계(W33)에서 제2도의 점(Z19)에서와 같이 모터(43)의 구동오프를 세트시키고 단계(W34)에서 동작단계를 제1동작단계로 세트시키고 이동종료를 세트시키며, 최초수행을 클리어하고 단계(P8)로 진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VCR(300)의 데크에 의해 재생 및 녹화가 끝난 카세트(50)는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에 의해 회수되고, 순차적으로 카세트 배출장치(40)에 의해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적재된 카세트(50)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교환동작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는 일반적인 형태의 VCR(300)의 데크와 상호 호환성 있게 이용될 수 있으며, 센서 및 정밀한 제어수순에 의해 신뢰성 있고 간편한 카세트 자동교환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커다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VCR(300)에 순차적으로 카세트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카세트를 투입할 수 있는 카세트 투입구(11)와, 상기 VCR(300)의 상기 카세트 투입구(11)와 일치하는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와,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한 카세트 배출구(13)와,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상기 카세트 투입구(11) 상에 적재된 카세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하우징(10)내로 투입시키기 위한 카세트 투입장치(20); 상기 하우징(10)에 투입된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를 통해 상기 VCR(300)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장치(30); 상기 하우징(10)내로부터 언로딩되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카세트 배출장치(40)를 포함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투입장치(20)와 관련하여 설치되어, 적재된 카세트를 감지하는 제1센서(S0); 상기 카세트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 안착부내에 수용되는 카세트를 감지하는 제2센서(S1);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와 관련하여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를 통해 로딩 및 언로딩되는 카세트를 감지하는 제3센서(S2); 상기 카세트 배출구(13)와 관련하여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카세트를 감지하는 제4센서(S4); 상기 카세트 배출장치(40)가 카세트의 일측면을 상기 카세트 배출구(13)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버(41); 상기 레버(41)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5센서(S3); 상기 제1 내지 제5센서(S0,S1,S2,S4,S3)로부터의 각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세트 투입장치(20),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 상기 카세트 배출장치(40)로 순차적인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201,203,204)을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투입장치(20)는, 일 방향 회전으로 카세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카세트 안착부로 투입시키는 디스크 및 기어(21,22); 상기 디스크 및 기어(21,22)의 상기 일 방향 회전을 유발하는 제1모터(23)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장치(30)는,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로부터 언로딩되는 카세트를 협지하는 그리퍼(31); 상기 그리퍼(31)의 협지동작을 유발하는 솔레노이드(32); 상기 그리퍼(31)를 상기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 개구(12) 방향 및 그와 반대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동작을 유발하는 제2모터(33)를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배출장치(40)는, 상기 레버(41)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레버이송장치(42); 상기 레버(41)의 이송동작을 유발하는 제3모터(4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201,203,204), 상기 제1 내지 제5센서(S0,S1,S2,S3,S4)로부터의 상기 제1 내지 제5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 구동제어신호와 상기 제1 내지 제3모터(23,33,43) 중의 특정 모터의 구동신호 및 그 특정 모터의 회전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1);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1)로부터의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32)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회로(203);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1)로부터의 상기 특정 모터의 구동신호 및 그 특정모터의 회전방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 특정 모터를 선택된 회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구동회로(204)를 포함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1)는, 적재된 카세트 중 순서에 의한 특정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안착부에 투입하고, 그 투입된 카세트를 상기 VCR(300)에 삽입하기 위한 제1제어모드; 상기 VCR(300)로부터 로딩이 끝난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안착부로 회수하고, 회수된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배출구(13)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제2제어모드;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상기 제1센서(S0)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센서(S1)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모터(23)의 구동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모터(33)의 정방향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3센서(S2)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모터(33)의 역방향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시간 지연 후, 상기 제2모터(33)의 구동 오프신호를 제공하는 제3제어모드를 포함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모드는, 상기 제3센서(S2)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모터(33)의 정방향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203)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소정시간 지연 후, 상기 제2모터(33)의 구동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모터(33)의 역방향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1단계; 상기 제2센서(S1)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203)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솔레노이드(203)의 구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솔레노이드(203)의 구동 오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모터(33)의 구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모터(33)의 구동 오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모터(43)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제4센서(S4)의 감지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3모터(43)의 역방향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4단계; 상기 제5센서(S3)의 레버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모터(43)의 구동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1,203,204)은 그 제어수단(201,203,204)의 구동을 스타트할 수 있는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모드가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부터의 스타트 신호와 상기 제1센서(S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자동교환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KR1019920014840A 1992-08-18 1992-08-18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KR013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840A KR0131583B1 (ko) 1992-08-18 1992-08-18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JP5204353A JPH06168529A (ja) 1992-08-18 1993-08-18 カセット自動交換装置用制御装置
US08/109,601 US5452149A (en) 1992-08-18 1993-08-18 Automatic video-tape cassette changer for use with a video cassette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840A KR0131583B1 (ko) 1992-08-18 1992-08-18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81A KR940004581A (ko) 1994-03-15
KR0131583B1 true KR0131583B1 (ko) 1998-04-18

Family

ID=1933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840A KR0131583B1 (ko) 1992-08-18 1992-08-18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52149A (ko)
JP (1) JPH06168529A (ko)
KR (1) KR0131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831A (en) * 1995-09-20 1997-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veable media drive unit with loader interlock to indicate presence of object
US5973876A (en) * 1996-05-14 1999-10-26 Storage Technology Corportion Data cartridge shuttl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768920B1 (ko) * 2005-12-19 200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Dvd 캠코더의 하우징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415667A (nl) * 1974-12-02 1976-06-04 Philips Nv Automatische magneetband-cassette wisselin- richting.
JPS5327006A (en) * 1976-08-25 1978-03-13 Sony Corp Casset te changer of recorder/reproducer
US4092685A (en) * 1976-09-10 1978-05-30 Dictaphone Corporation Cassette changer apparatus having priority eject
JPS58153264A (ja) * 1982-03-09 1983-09-12 Sony Corp カセツトオ−トチエンジヤ−
US4636888A (en) * 1984-07-09 1987-01-13 Dictaphone Corporation Changer apparatus with movable means for withdrawing recording media from an input hopper to a recording deck to an output hopper
JPH079730B2 (ja) * 1986-03-31 1995-02-01 今在家精工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セツトチエンジヤ−
JPS61233461A (ja) * 1986-03-31 1986-10-17 Aisin Seiki Co Ltd 情報媒体保持検索装置
JPH0810516B2 (ja) * 1988-02-19 1996-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ートリッジ自動交換連続処理方法
US4835634A (en) * 1988-02-24 1989-05-30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ic magnetic tape cartridge stack loader for tape drive systems
US5274516A (en) * 1990-09-29 1993-12-2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ulti-cassett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276558A (en) * 1991-03-18 1994-01-04 Rimage Corporation Electronic information t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81A (ko) 1994-03-15
JPH06168529A (ja) 1994-06-14
US5452149A (en) 1995-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7446A2 (en) An automatic tape cassette loading device
US4071857A (en) Cassette changer apparatus
EP0374899B1 (en) Magnetic tape cassette loading system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092685A (en) Cassette changer apparatus having priority eject
KR0131583B1 (ko) 카세트 자동교환 장치를 위한 제어장치
EP0527273B1 (en) Cassette changer
US4099209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multiple cassette record and/or playback apparatus
JP3196957B2 (ja) ディスク状記録担体の収納装置
JPH0821267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20010038595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6574171B1 (en) System for reproducing recording mediums
JP259822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33573Y2 (ja) マルチデイスクプレーヤ
KR940007426B1 (ko) 카세트 자동교환장치
JP310985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648977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H11345449A (ja) ディスク装置
CA2009438C (en) Vcr loader
JP2978931B1 (ja) 光ディスク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7923B2 (ja) カセットローダ装置
JPH08212670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S59175059A (ja) テ−プカセツトの移送装置
JPS628361A (ja) 車載用オ−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JP2001307407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H08212668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