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530Y1 - 방석 - Google Patents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530Y1
KR0131530Y1 KR2019950023945U KR19950023945U KR0131530Y1 KR 0131530 Y1 KR0131530 Y1 KR 0131530Y1 KR 2019950023945 U KR2019950023945 U KR 2019950023945U KR 19950023945 U KR19950023945 U KR 19950023945U KR 0131530 Y1 KR0131530 Y1 KR 0131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ushion layer
seat surface
center
mai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979U (ko
Inventor
임재윤
Original Assignee
임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윤 filed Critical 임재윤
Priority to KR2019950023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530Y1/ko
Publication of KR970011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9/00Furni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석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시트면(10), 쿠션층(20) 및 바닥면(30)으로 구성되며, 이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테두리부를 천(40)으로 마감처리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시트면(10)은 방석의 표면, 즉 좌석부위로서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일정한 크기의 대나무편(1)이 미세한 간격이 유지되게 조밀하게 연속적으로 실(1a)로 재봉,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의 중앙부에는 미끄럼 방지용 연결띠(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재봉,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면(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쿠션층(20)은 중앙의 스폰지(3)를 기준으로 상ㆍ하측에 우레탄(4)이 적층,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쿠션층(20)의 저면에는 바닥면(30)이 레자(5)로 형성되어 발한 방지와 통풍을 유지하고, 착석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쿠션을 주게되어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석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극명하게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나무편 1a : 실
2 : 미끄럼 방지용 연결편 3 : 스폰지
4 : 우레탄 5 : 레자
10 : 시트면 20 : 쿠션층
30 : 바닥면 40 : 천
본 고안은 방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은 중앙에 미끄럼 방지용 연결띠가 구비되며 미세한 간격으로 조밀하게 연속하여 연결되는 대나무편으로 되며, 이의 저면에는 우레탄 및 스폰지로 되고, 바닥면은 레자면으로 적층 형성하여, 대나무재에 의한 발한 방지효과와 착석시의 미끄럼 방지 및 우레탄, 스폰지에 의한 쿠션력을 갖도록 한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온돌이나 사무용 의자 또는 자동차의 시트등에 사용되는 방석은 특히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 발한 방지를 위하거나 땀의 배출에 따른 통풍 등을 위해 대나무재를 이용한 방석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나무 방석은 표면, 즉 사람이 앉는 좌석면을 일정한 크기로 되는 대나무편을 연속, 연결하여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면은 천이나 직물지를 접착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천 또는 직물지를 표면의 테두리부에서 재봉되게 하는 방식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되는 종래의 방석은 단순히 표면의 대나무편과 바닥면의 천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쿠션력을 갖기가 곤란하여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몸에 배기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표면이 대나무재로만 되어 있어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대나무재의 특성상 자주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안정되게 앉아 있기가 매우 곤란하고 불편한점 등의 제 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이 미세간격으로 연속하여 조밀하게 연결되는 대나무재에 의해 발한 방지효과를 가지며, 착석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내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와 이의 상하측에 적층되는 우레탄에 의해 향상된 쿠션력을 갖도록 한 방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좁은 폭과 얇은 두께의 일정한 크기로 된 다수의 대나무편을 미세간격으로 연속하여 조밀하게 실로써 재봉하고, 중앙부에 미끄럼 방지용 연결띠를 돌출,재봉하여서 되는 시트면과, 이 시트면의 저면에 중앙의 스폰지를 기준으로 상ㆍ하측에 우레탄을 적층하여서 되는 쿠션층과, 이 쿠션층의 하측에 레자로 되는 바닥면과, 상기 시트면, 쿠션층 및 바닥면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테두리부를 천으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예시적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극명하게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시트면(10), 쿠션층(20) 및 바닥면(30)으로 구성되며, 이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테두리부를 천(40)으로 마감처리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시트면(10)은 방석의 표면, 즉 좌석부 위로서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일정한 크기의 대나무편(1)이 미세한 간격이 유지되게 조밀하게 연속적으로 실(1a)로 재봉,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의 중앙부에는 미끄럼 방지용 연결띠(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재봉,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면(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쿠션층(20)은 중앙의 스폰지(3)를 기준으로 상ㆍ하측에 우레탄(4)이 적층,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쿠션층(20)의 저면에는 바닥면(30)이 레자(5)로 형성되는데, 이 레자(5)는 가죽의 일종으로서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방석의 바닥이 닳거나 헤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방석을 구성함에 있어, 시트면(10), 쿠션층(20) 및 바닥면(30)으로 구성하되, 그 외관을 일반적인 사각형상과는 달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하여 수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사각형상으로 되는 방석을 구성하되, 다수의 대나무편(1)을 조밀하게 연결하여서 시트면(10)을 구성하고 있어 발한 방지와 통풍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면(10)의 중앙부에 미끄럼 방지용 연결띠(2)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장시간 착석하여도 일측으로 쏠리거나 미끄러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면(10)의 저면에 스폰지(3)와, 이의 상ㆍ하측에 우레탄(4)이 적층되어 착석시 인체에 쿠션을 주게 되므로 장시간 앉아 있어도 몸이 배기거나 결리는 일이 없으며, 쿠션력에 의해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음은 물론 방석의 테두리부가 천(40)으로 마감 처리되어 있어 상기 시트면(10)상의 대나무편(1)이 흐트러지거나 탈락될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한 방지와 통풍을 유지하고, 착석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쿠션을 주게되어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의 착석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좁은 폭과 얇은 두께의 일정한 크기로 된 다수의 대나무편(1)을 미세간격으로 연속하여 조밀하게 실(1a)로써 재봉하고, 중앙부에 미끄럼 방지용 연결띠(2)를 돌출,재봉하여서 되는 시트면(10)과; 이 시트면(10)의 저면에 중앙의 스폰지(3)를 기준으로 상ㆍ하측에 우레탄(4)을 적층하여서 되는 쿠션층(20)과; 이 쿠션층(20)의 하측에 레자(5)로 되는 바닥면(30)과; 상기 시트면(10), 쿠션층(20) 및 바닥면(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테두리부를 천(40)으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
KR2019950023945U 1995-09-04 1995-09-04 방석 KR0131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945U KR0131530Y1 (ko) 1995-09-04 1995-09-04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945U KR0131530Y1 (ko) 1995-09-04 1995-09-04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979U KR970011979U (ko) 1997-04-25
KR0131530Y1 true KR0131530Y1 (ko) 1998-12-15

Family

ID=1942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945U KR0131530Y1 (ko) 1995-09-04 1995-09-04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979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0610A (en) Multilayer supplemental support pad
US7216387B2 (en) Arched pillow assembly
US3266066A (en) Upholstery cushion construction
US4019779A (en) Laminated armrest
US7207627B2 (en) Seat cushion with gripping member
KR0131530Y1 (ko) 방석
WO2020257726A1 (en) Covering having a non-slip elastic member
US2878860A (en) Seat construction
US6830293B2 (en) Seat pad for outdoor furniture
JP2000354525A (ja) 座布団
KR200212430Y1 (ko) 저면에 미끄럼 방지 돌기를 가지는 방석
US3332092A (en) Form fitting pew cushion
JP2000166709A (ja) 体圧対応ソファー兼用マットレス
AU2021106167A4 (en) A floor cushion
JP2003000394A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0226588Y1 (ko) 미끄럼 방지용 방석.
KR940002036Y1 (ko) 안락의자
JP2006218007A (ja) 車椅子の座部、又は背もたれ部のフィッティングダブルシートクッション
JP3041065U (ja) 椅子カバー
KR920008391Y1 (ko) 조립식 쇼파
JPH0243272Y2 (ko)
US10357111B2 (en) Releaseably engaged armchair cushion
JP2000000132A (ja) 椅子における身体接触面の位置調節装置
JP3607891B2 (ja) クッションカバーおよびクッション構造体
JP3071346U (ja) 座椅子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716

Effective date: 1999121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117

Effective date: 2000070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