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31B1 -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31B1
KR0131031B1 KR1019950001195A KR19950001195A KR0131031B1 KR 0131031 B1 KR0131031 B1 KR 0131031B1 KR 1019950001195 A KR1019950001195 A KR 1019950001195A KR 19950001195 A KR19950001195 A KR 19950001195A KR 0131031 B1 KR0131031 B1 KR 013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compressor
separation tan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633A (ko
Inventor
원윤희
Original Assignee
원윤희
경원세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윤희, 경원세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윤희
Priority to KR101995000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31B1/ko
Publication of KR96002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7Cooling of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pump housing, e.g. i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압축기의 용량 제어시 요구되는 많은 밸브로 인한 구조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필터(1)와, 이 흡기필터(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개폐시키는 흡입·교축밸브(2)와, 이 흡입·교축밸브(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된 압축기(3)와, 이 압축기(3)로부터 압축된 공기 및 오일을 분리하는 분리탱크(5)와, 이 분리탱크(5)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 및 오일에 동반된 열기를 냉각시키는 제 1,2냉각기(8,9)로 구성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교축밸브(2)와 분리탱크(5)의 사이에 5방전자밸브(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5방전자밸브(40)를 제어하는 압력스위치(50)가 구비된 것으로, 제어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압축공기의 누설 및 제품의 고장을 감소시키므로써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스크류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스크류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계통도로서, (a)는 부하시의 계통도,
(b)는 무부하시의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흡기필터 2 : 흡입·교축밸브
3 : 압축기 5 : 분리탱크
8 : 제 1 냉각기 9 : 제 2 냉각기
40 : 5방전자밸브 50: 압력스위치
60,61,62,70,90 : 관로 80 : 스프링
본 발명은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5방 전자밸브(5-WAY SOLENOID VALVE)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용량제어용 장치를 단순화하면서 정확하게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축공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공기 압축기를 통해 생성시키는바, 첨부된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필터(1)와, 이 흡기필터(1)와 연통된 흡입·교축밸브(2)와, 이 밸브(2)의 하부에 설치된 압축기(3)와, 이 압축기(3)와 배관(4)를 통해 연통되게 설치된 분리탱크(5)와, 이 분리탱크(5)의 일측으로 배관(6,7)을 통해 연결된 제 1 냉각기(8)와 제 2 냉각기(9)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교축밸브(2)의 내부에는 스프링(10)에 의해 탄지된 피스톤(11)이 장착되어 있고, 압축기(3)의 내부에는 방향이 다르게 형성된 한쌍의 스크류로터(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로터(12)의 축(13)의 일단에는 밸트(14)를 경유하여 전동기(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기필터(1)와 흡입.·축밸브(2)의 사이에는 관로(16)가 형성되어 흡입·교축밸브(2)의 하부 통로관(17)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 관로(16)에 역지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로관(17)의 일측에는 관로(19)가 형성되고 역지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탱크(5)의 상부에는 관로(21)가 형성되고, 이 관로(21)의 일단에는 감압밸브(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감압밸브(22)의 일측으로 3방 전자밸브(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3방 전자밸브(23)의 일측으로 상기 흡입·교축밸브(2)의 상단과 연통되게 관로(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냉각기(9)의 상부에는 압축기(3)로 오일을 순환시키기 위한 회수관(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로(21)의 일측방향으로 방기전자밸브(26)와 압력조절밸브(27)가 갖추어져 있고, 진공밸브(28)가 설치된 관로(29)와 상기 방기전자밸브(26)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관(6)과 분리탱크(5)의 일측에 토출압력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고, 제 1,2 냉각기(8,9)의 일측에 냉각팬(32)이 갖추어져 있다.
위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는 먼저 전동기(15)를 가동시키면 밸트(14)를 경유하여 축(13)이 회전하게 되어 압축기(3)의 내부에 장착된 한쌍의 스크류로터(12)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3방전자밸브(23)의 배관(19)과 흡입·교축밸브(2)의 배관(16)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그러면, 압축기(3)를 통과하여 배관(4)을 통해 분리탱크(5)안의 압력이 상승되고, 흡입·교축밸브(2)가 닫힌 상태에서 기동하여 정상적인 회전수에 도달할 때까지 무부하운전을 하게 된다. 이런 다음에 공기 압축기(3)가 정상적인 회전수에 도달하면 3방전자밸브(23)에 통전이 되고, 유로가 변경되어 흡입·교축밸브(2)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흡입구를 열어 부하 운전을 시작한다.
분리탱크(5)안에 유입된 오일 및 압축공기는 분리되어 압축공기는 배관(6)을 통해 제 1 냉각기(8)를 경유하여 배출되고, 오일은 배관(7)을 통해 제 2 냉각기(9)를 거쳐 냉각되면서 회수관(25)을 지나 다시 압축기(3)안으로 재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공기 사용량이 감소하여 토출배관내의 압력이 소정압력에 다다르면, 압력조절밸브(27)가 개방되어 흡입 무부하 운전이 시작된다. 공기 사용량이 게속 감소하여 토출배관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토출압력스위치(30)에서 검출, 방기 전자밸브(26)를 열어 흡입.교축밸브(2)의 흡입구를 닫고 분리탱크(5)안의 압력을 대기로 방출·토출압력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면서 무부하운전을 하게 된다.
한편, 공기의 사용량이 증대되어 배관내의 압력이 복귀압력까지 저하되면 토출압력스위치(30)에서 검출, 방기전자밸브(27)를 닫고 부하운전으로 복귀하게 된다. 압축기(3)가 무부하 운전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하면 압축기(3)는 자동 정지되며, 공기사용량의 증대로 배관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자동으로 기동되어 부하운전으로 복귀하게 되어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는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과정에서 무부하 상태와 부하상태일 때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정하기위해 방기 전자밸브, 압력조절밸브, 감압밸브, 3방전자밸브, 무부하 운전시 압축기안에서 발생하는 진공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진공밸브등 많은 밸브등이 설치되어 있어 그 만큼 설비자체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잦은 고장을 유발하며, 더욱이 장치의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5방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교축밸브와 분리탱크 사이에 5방전자밸브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므로써, 흡입·교축밸브를 개폐시키고 무부하운전시 진공압력을 해소시키면서 분리탱크의 내부압력을 방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면한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필터(1)와, 이 흡기필터(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개폐시키는 흡입.교축밸브(2)와, 이 흡입.교축밸브(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된 압축기(3)와, 이 압축기(3)로부터 압축된 공기 및 오일을 분리하는 분리탱크(5)와, 이 분리탱크(5)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 및 오일에 동반된 열기를 냉각시키는 제 1,2 냉각기(8,9)로 구성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교축밸브(2)와 분리탱크(5)의 사이에 5방전자밸브(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5방전자밸브(40)를 제어하는 압력스위치(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5방전자밸브(40)는 각각 제 1,2,3,4,5포트(41,42,43,44,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5방전자밸브(40)에는 상기 흡입·교축밸브(2)와 연통되는 2개의 관로(60,70)가 설치되어 있고, 5방전자밸브(40)의 일단에는 스프링(80)이 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탱크(5)의 상부 일측에는 5방전자밸브(40)와 연통되는 관로(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로(60)의 하부에는 2개의 관로(61,62)가 형성되어 흡입.교축밸브(2)의 측면 및 하부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압축기(3)를 가동시키면 공기가 흡기필터(1)를 통해 흡입되면서 흡입·교축밸브(2)안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운전상태에서 흡입·교축밸브(2)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0)이 압축되면서 피스톤(11)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가동하고 있는 압축(3)를 통과하여 파이프(4)를 통해 분리탱크(5)에 공급되는바, 이때 압축되는 공기는 오일과 함께 유동한다. 오일을 동반한 공기가 분리탱크(5)안에서 오일은 하부에 고이게 되고, 공기는 상부에 형성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공기는 파이프(6)를 통해 제 1 냉각기(8)로 공급되고, 오일은 파이프(7)를 통해 제 2 냉각기(9)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냉각기(8)를 통해 압축된 공기는 냉각된 상태로 외부로 토출되고, 오일은 다시 회수관(25)을 통해 압축기(3)안으로 재공급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사용량에 따라 변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부하조건에 맞도록 부하 및 무부하운전을 자동적으로 반복수행 가능한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압축기(3)의 토출공기 압력이 부하운전 압력이하인 경우에, 압력스위치(50)의 접점이 닫히고, 5방전자밸브(40)에 통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5방전자밸브(40)는 통전과 동시에 일측으로 이동되어 스프링(80)을 압축한 상태에 있게된다. 그러면, 분리탱크(5)안에 있던 압축공기가 제 1 포트(41)를 지나 제 2 포트(42)를 통과하여 관로(70)를 통해 흡입·교축밸브(2)안으로 공급되어 스프링(10)을 압축시키면서 피스톤(11)을 우측으로 밀어 개방되도록 하므로써 외부공기가 압축기(3)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한편, 토출 공기량보다 소모 공기량이 적은 경우,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무부하 압력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압력스위치(50)의 접점이 열려 5방전자밸브(4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5방전자밸브(40)는 스프링(80)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분리탱크(5)안의 잔류하는 압축공기는 5방전자밸브(40)의 제 1 포트(41)와 제 3 포트(43)를 통과하여 관로(61)를 거쳐 흡입·교축밸브(2)의 내부를 통과하여 방기되고, 이때 흡입·교축밸브(2)와 압축기(3)의 사이 즉, 압축기(3)의 흡입구에 진공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분리탱크(5)의 일부의 공기가 관로(62)를 거쳐 압축기(3)의 흡입구로 공급되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의 수행과 동시에 흡입·교축밸브(2)안에서 스프링(10)을 압축하여 흡입·교축밸브(2)의 흡입구를 개방시켰던 압축공기는 관로(70)를 거쳐 5방전자밸브(40)를 거쳐 오리피스를 통해 방기속도가 조절되면서 방기되어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 흡입.교축밸브(2)의 흡입구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흡입·교축밸브 흡입구의 개폐를 위한 2종류의 전자밸브 및 진공해소를 위한 밸브를 하나의 5방전자밸브로 통합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압축공기의 누설 및 고장요인을 감소시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며, 부하운전에서 무부하운전으로 전환시 분리탱크 내부의 압력이 흡입·교축밸브를 통해 방기되므로써 방기소음 및 장치의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필터(1)와, 이 흡기필터(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개폐시키는 흡입·교축밸브(2)와, 이 흡입·교축밸브(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된 압축기(3)와, 이 압축기(3)로부터 압축된 공기 및 오일을 분리하는 분리탱크(5)와, 이 분리탱크(5)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 및 오일에 동반된 열기를 냉각시키는 제 1,2 냉각기(8,9)로 구성된 공기 압축기 요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교축밸브(2)와 분리탱크(5)의 사이에 5방전자밸브(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5방전자밸브(40)를 제어하는 압력스위치(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방전자밸브(40)에 상기 흡입·교축밸브(2)와 연통되는 2개의 관로(60,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압축기 용량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탱크(5)의 상부 일측에 상기 5방전자밸브(40)와 연통되는 관로(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압축기 용량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60)의 하부에 관로(61,62)가 형성되어 흡입·교축밸브(2)의 측면 및 하부에 각각 연통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KR1019950001195A 1995-01-24 1995-01-24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KR013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195A KR0131031B1 (ko) 1995-01-24 1995-01-24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195A KR0131031B1 (ko) 1995-01-24 1995-01-24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633A KR960029633A (ko) 1996-08-17
KR0131031B1 true KR0131031B1 (ko) 1998-04-20

Family

ID=1940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195A KR0131031B1 (ko) 1995-01-24 1995-01-24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633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843B1 (ko) 스크류 압축장치와 그 운전 제어방법
US4052135A (en) Control system for helical screw compressor
EP11280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installation and compressor installation controlled in this manner
US6517325B2 (en) Air compres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H0260873B2 (ko)
JPH0979166A (ja) 空気圧縮機
KR0131031B1 (ko) 5방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 압축기 용량제어장치
US3072320A (en) Rotary fluid compressor
US37781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a rotary compressor
GB2133585A (en) A screw 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
JP2688945B2 (ja)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S6143297A (ja) 分子ポンプのガスパ−ジ装置
CN112459994A (zh) 一种空压机防乳化结构及方法
JP3009255B2 (ja) 給油式スクリュー圧縮機の吸込み絞り弁
JPS60216092A (ja) スクリユ−圧縮機の起動負荷軽減装置
JP4088396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S59110889A (ja) オイルフリ−ねじ圧縮機
JP3390935B2 (ja) モータコンプレッサの再起動時間短縮装置
JP3904177B2 (ja) エンジン駆動圧縮機
JPH11257227A (ja) 圧縮機の後部冷却器ドレン排出方法及び装置
JPH06108982A (ja) スクリュー圧縮機用フェイル・セーフ機械的オイル遮断装置
JP5046659B2 (ja) 空気圧縮機
JPH07259792A (ja) ポンプの潤滑水供給方法および立軸ポンプ
JPH08312564A (ja) 空気圧縮機
JPS6321389A (ja) ベルト駆動式油冷式スクリユ−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