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27Y1 - 커넥터 핀 - Google Patents

커넥터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27Y1
KR0130927Y1 KR2019950027120U KR19950027120U KR0130927Y1 KR 0130927 Y1 KR0130927 Y1 KR 0130927Y1 KR 2019950027120 U KR2019950027120 U KR 2019950027120U KR 19950027120 U KR19950027120 U KR 19950027120U KR 0130927 Y1 KR0130927 Y1 KR 0130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n
lead
main body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380U (ko
Inventor
서인종
Original Assignee
서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종 filed Critical 서인종
Priority to KR2019950027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27Y1/ko
Publication of KR970015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핀의 타단부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조립을 원활하게 하고, 양단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하여 납의 유입속도를 저하시켜 납 사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커넥터 핀의 포밍부를 형성하여 플러그 본체 및 납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 핀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미세공(13B)이 형성된 튜브형태의 본체(11B)를 갖으며,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어 납땜되며 그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납(Pb)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핀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는 본체(11B)의 타단부를 안쪽으로 말아서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 상기 미세공(13B)보다 큰 내경을 갖는 납유입구멍(13C)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핀
본 고안은 커넥터 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핀의 타단부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조립을 원활하게 하고, 양단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하여 납의 유입속도를 저하시켜 납 사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커넥터 핀에 포밍부를 형성하여 플러그 본체 및 납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으로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과 전원부 또는 각종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접속기구이다.
이러한 커낵터는 다수의 커넥터 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커넥터 핀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통공(13)이 형성된 튜브형태의 본체(11)를 갖으며,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어 납땜되며, 그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납(Pb)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에 타단부를 삽입한 후에 그 타단부를 타격에 의해 바깥쪽으로 확관하여 인쇄회로기판(P)에 견고히 고정한 다음 납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통공(13)은 본체(11)의 내부로 납(Pb)이 스며들 때 내부의 공기가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하여 납(Pb)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커넥터 핀(10)은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본체(11)의 타단부가 이 인쇄회로기판(P)에 형성되어 있는 홀과 거의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자동삽입의 경우 중심이 약간 어긋나는 경우 커넥터 핀(10)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휘거나 수동삽입의 경우에는 삽입작업을 지연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본체(11)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이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과다하게 유입된 납(Pb) 또는 플럭스(도시 않음)가 반대편의 통공(13)을 통해 넘치거나 본체(11)의 내부에 채워져 납(Pb)이 낭비되거나 납땜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8)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핀은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인서팅된 상태에서 플러그본체(18)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플러그 본체(18)를 성형하기 전에 금형에 삽입되는 부분을 인서팅 한 후 수지를 주입하여 플러그 본체(18)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개방된 타단부로는 전선(W)을 삽입하여 납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커넥터 핀(10')은 단순히 플러그 본체(18)와 표면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었으므로, 잦은 결합/분리과정에서 축방향으로 힘을 받는 커넥터 핀(10')이 플러그 본체(18)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선(W)과 커넥터 핀(10')의 결합이 납(Pb)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경시변화에 의해 납(Pb)과 커넥터 핀(1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경우 전선(W)이 커넥터 핀(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 핀으로 유입되는 납 또는 플럭스가 커넥터 핀의 안에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납의 범람을 방지함과 동시에 납을 보다 절감할 수 있고, 플러그 본체 및 전선과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커넥터 핀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미세공이 형성된 튜브형태의 본체를 갖으며, 외주면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어 납땜되며 그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납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핀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는 본체(11B)의 타단부를 안쪽으로 말아서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 상기 미세공(13B)보다는 크고 상기 본체(11B)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납유입구멍(13C)을 형성하여 커넥터 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인서팅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는 튜브형태의 본체를 갖는 커넥터 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바깥쪽에는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포밍부를 이 본체에 형성하여 그 본체의 안쪽에서는 전선이 걸리도록 하고, 바깥쪽에서는 용융된 합성수지가 포밍부의 옥목한 부분으로 채워지면서 걸리도록 구성하여 커넥터 핀이 제공된다.
제1도는 종래 양단이 개방된 형태의 커넥터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일측폐쇄형 커넥터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B : 미세공 13C : 납유입구멍
11B,11A' : 본체 18' : 플러그 본체
12B : 플랜지부 E : 포밍부
P : 인쇄회로기판 W : 전선
Pb : 납 10B,10A' : 커넥터 핀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미세공(13B)이 형성된 튜브형태의 본체(11B)를 갖으며,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어 납땜되며 그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납(Pb)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구조를 가지며, 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는 본체(11B)의 타단부를 안쪽으로 말아서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 상기 미세공(13B)보다는 크고 상기 본체(11B)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납유입구멍(13C)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즉, 상기 미세공(13B)은 예컨대, 0.05mm ~ 0.7mm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B)는 황동이나 구리소재로 된 튜브를 이용하여 소성가공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플랜지부(12B)는 반경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인서팅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18')와 일체로 성형되는 튜브형태의 본체(11A')를 갖는 커넥터 핀에 있어서, 상기 본체(11A')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바깥쪽에는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포밍부(E)를 이 본체(11A')에 형성하여 그 본체(11A')의 안쪽에서는 전선(W)이 걸리도록 하고, 바깥쪽에서는 용융된 합성수지가 포밍부(E)의 옥목한 부분으로 채워지면서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포밍부(E)는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타단부로 전선(W)을 삽입한 후에 납(Pb)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핀(10B)의 중심과 인쇄회로기판(P)에 형성된 홀의 중심이 어긋난 상태에서 커넥터 핀(10B)의 타단부를 선두로 하여 인쇄회로기판(P)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게 되면, 이 타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홀의 모서리부분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중심으로 이동되어 원활하게 삽입된다.
위와 같이 삽입된 커넥터 핀(10B)의 타단부에 납(Pb)이 공급되면, 인쇄회로기판(P)의 패턴에 흡착됨과 동시에 이 커넥터 핀(10B)의 타단부에 형성된 납유입구멍(13C)에 의해 커넥터 핀(10B)의 안쪽으로 납(Pb)이 유입된다.
이때 커넥터 핀(10B)의 타단부에 형성된 납유입구멍(13C)이 상기 미세공(13B)보다는 크고, 상기 본체(11B)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핀(10B) 내부로의 유입속도가 저하되며, 더욱이 커넥터 핀(10B) 내부에 잔류하던 공기의 배출속도가 커넥터 핀(10B)의 일단부에 형성된 미세공(13B)에 의한 저항 때문에 저하되면서 커넥터 핀(10B) 내부로 유입되는 납(Pb)의 유입속도가 저하되어 내부에 완전하게 채워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8')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도시 않됨)에 커넥터 핀(10A')을 부분적으로 인서팅한 후 수지를 주입하게 되면, 금형의 내부에 수지가 채워지면서 커넥터 핀(10A')과 함께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커넥터 핀(10A')에 형성되어 있는 포밍부(E)의 오목한 부분으로 용융상태의 수지가 채워지면서 굳어져 걸림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커넥터 핀(10A')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커넥터 핀(10A')의 타단부를 통해 전선(W)을 삽입한 후에 납(Pb)을 이용하게 땜하게 되면, 커넥터 핀(10A')의 안쪽으로 유입된 납(Pb)이 굳으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포밍부(E)의 볼록한 부분에 걸리게 되어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커넥터 핀의 타단부에 형성된 납유입구멍이 커넥터 핀의 내경은 물론 미세공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납 또는 플럭스의 커넥터 핀 내부로의 유입속도를 떨어드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납이 내부에 완전하게 채워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채워지게 되어 납의 사용량을 보다 줄일 수 있게 되며, 커넥터 핀에 형성되는 포밍부에 의해 플러그 본체와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고, 납과 커넥터 핀과의 결합력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미세공(13B)이 형성된 튜브 형태의 본체(11B)를 갖으며,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어 납땜되며 그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납(Pb)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핀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 삽입되는 본체(11B)의 타단부를 안쪽으로 말아서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 상기 미세공(13B)보다는 크고 상기 본체(11B)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납유입구멍(13C)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2. 일단부가 반구형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인서팅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18')와 일체로 성형되는 튜브형태의 본체(11A')를 갖는 커넥터 핀에 있어서, 상기 본체(11A')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바깥쪽에는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포밍부(E)를 이 본체(11A')에 형성하여 그 본체(11A')의 안쪽에서는 전선(W)이 걸리도록 하고, 바깥쪽에서는 용융된 합성수지가 포밍부(E)의 옥목한 부분으로 채워지면서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KR2019950027120U 1995-09-29 1995-09-29 커넥터 핀 KR0130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120U KR0130927Y1 (ko) 1995-09-29 1995-09-29 커넥터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120U KR0130927Y1 (ko) 1995-09-29 1995-09-29 커넥터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80U KR970015380U (ko) 1997-04-28
KR0130927Y1 true KR0130927Y1 (ko) 1998-12-15

Family

ID=1942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120U KR0130927Y1 (ko) 1995-09-29 1995-09-29 커넥터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83B1 (ko) * 2005-11-23 2007-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83B1 (ko) * 2005-11-23 2007-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80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8427A (en) Pin header
EP1139388A1 (en) Bulb-form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p case
US6529109B1 (en) Bead inductor
KR0130927Y1 (ko) 커넥터 핀
EP2018521B1 (de) Induktiver sensor und abschlusskappe für induktiven sensor
EP0654184B1 (en)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216115B1 (ko) 전자 센서 및 그 제조 금형
US5104342A (en) Structure of cable connector
KR100590339B1 (ko) 전기 컨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H0636962A (ja) コイル組立体の製造方法
JP2005101396A (ja) モールドコイル
JP4022339B2 (ja) ランプホルダーの射出成形方法
JP2004093253A (ja) センサー部品
JP3670323B2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2001024012A (ja) モールド成型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63703Y1 (ko) 전류차단기의 영상변류기
JPH0634370B2 (ja) ピンプラグの製造法
JPH04161032A (ja) 樹脂モールドモータの固定子
KR950019365A (ko) 연소기기의 안전밸브용 전자석 및 그 제조방법
JP2591496B2 (ja) 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3632138B2 (ja) コイル装置のターミナル構造
KR200212873Y1 (ko)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JP2698007B2 (ja) 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
KR890004597Y1 (ko) 콘넥터 플러그의 전원 코드 접속구조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