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873Y1 -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873Y1
KR200212873Y1 KR2019980008549U KR19980008549U KR200212873Y1 KR 200212873 Y1 KR200212873 Y1 KR 200212873Y1 KR 2019980008549 U KR2019980008549 U KR 2019980008549U KR 19980008549 U KR19980008549 U KR 19980008549U KR 200212873 Y1 KR200212873 Y1 KR 200212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ipe
terminals
connector
heat transf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085U (ko
Inventor
원종선
Original Assignee
원종선
주식회사미진비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선, 주식회사미진비앤피 filed Critical 원종선
Priority to KR2019980008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873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87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열가소성 수지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매개로 이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자체구비된 전열코일에 의해 융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몸체(11)와, 다수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로 구성되되,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가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외주면에 한 쌍을 이루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열코일(20a,20b,20c)이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내주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전열코일(20a,20b,20c) 양단이 해당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에 연결되되, +단자(21a,21b,21c) 혹은/또는 -단자(22a,22b,22c)에 연결되는 전열코일(20a,20b,20c)의 선단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는 구조로 됨에 따라, 제조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전열코일이 자체 구비된 소켓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를 상용화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본 고안은 열가소성 수지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매개로 이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자체구비된 전열코일에 의해 융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열코일의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상의 문제점을 해소함에 따라 전열코일을 이용한 융착구조를 소켓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됨과 아울러 융착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형태에 따라 소켓(Socket), 엘보우(Elbow), 티(Tee), 레듀셔(Reducer), 레듀셔 티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이러한 연결구들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구조로 제작되어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의 파이프들간의 연결은 금속파이프들의 선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금속파이프의 선단을 나사산 결합으로 직접 연결하고, 파이프의 재질이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의 파이프들간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되,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의 선단과 이 연결구의 개구된 연결부를 융착하여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파이프들간의 연결작업은 종래에는 작업자의 직접적인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의 선단 외주면과, 열가소성 수지재질로 만들어진 연결구의 개구된 연결부 내주면을 융해시킨 후, 연결구의 연결부에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의 선단을 삽입하여 융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의 숙련성이 필히 요구되고, 연결부의 밀봉성이 저하되고, 밀봉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여, 작업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전열코일이 자체 내장된 연결구가 발명되어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도 4는 이러한 종래 연결구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구를 매개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에 따르면 종래 연결구(10)는, 관통홀(11a)이 형성된 몸체(11)와, 안착홀(12a,13a)이 형성되어 몸체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로 구성되고,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내주면인 안착홀(12a,13a)에 전열코일(20)이 인서트 성형되어, 전열코일(20)의 양단이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21)와 -단자(22)에 각각 연결되되,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전열코일(20)이 하나로 연결되고, +단자(21)와 -단자(22)가 양측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에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안착홀(12a,13a)에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를 삽입한 후, +단자(21)와 -단자(22)에 전류를 공급하면, 전열코일(20)에 의해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내주면과,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의 외주면이 융착된다.
이러한 연결구(10)는 상기 수작업이 필요한 연결구에 비해 연결작업이 한층 단순화되면서, 기밀성의 신뢰도가 향상되고, 전류 공급시간을 조절하여 융착상태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구조상의 단점으로 인해 제조상의 문제가 발생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켓타입의 연결구이외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제조공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전열선을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와 동일한 재질로 피복한 후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의 외경과 동일하게 일정간격으로 감아서 전열코일(20)을 만들되,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에 배치되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양선단에 +단자(21)와 -단자(22)를 각각 연결하고, 이후 단자(21,22)가 연결된 전열코일(20)을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와 동일한 외경의 원형치구에 삽입한 상태로 금형에 배치시켜 인서트 성형하면, 연결구(10)가 완성되지만, 이에 따르면,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전열코일(20)이 하나로 연결되고, +단자(21)와 -단자(22)가 양측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에 각각 설치되므로, 소켓타입을 제외한 엘보우타입이나 티타입 등의 기타 연결구에는 그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한, 특수한 제조방법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전체 전열코일(20)이 하나로 연결되므로, 전류공급원의 용량이 크게 요구되는 단점과, 작업의 난이성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는 필연적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열코일의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상의 문제점을 해소함에 따라 전열코일을 이용한 융착구조를 소켓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연결 작업중 파이프의 융착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제1실시예로서, 연결구를 매개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제2실시예로서, 도 1에 대한 대응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제3실시예로서, 도 1에 대한 대응도,
도 4는 종래 기술로서, 도 1에 대한 대응도이다.
10 ; 연결구, 11 ; 몸체,
11a ; 관통홀, 12,13,14 ; 수지파이프 연결부,
12a,13a,14a ; 안착홀, 12b,13b,14b ; 융착확인홈,
20a,20b,20c ; 전열코일, 21a,21b,21c ; +단자,
22a,22b,22c ; -단자, 30a,30b,30c ; 열가소성 수지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와, 안착홀이 형성된 다수의 수지파이프 연결부로 구성되고, 수지파이프 연결부의 내주면인 안착홀에 전열코일이 인서트 성형되어, 전열코일의 양단이 수지파이프 연결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와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단자가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의 외주면에 한 쌍을 이루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열코일이 수지파이프 연결부의 내주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전열코일 양단이 해당 수지파이프 연결부의 +단자와 -단자에 연결되되, +단자 혹은/또는 -단자에 연결되는 전열코일의 선단이 절연물질로 코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제1실시예로서, 연결구를 매개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는, 관통홀(11a)이 형성된 몸체(11)와, 안착홀(12a,13a)이 형성되어 몸체(11)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로 구성되되, +단자(21a,21b)와 -단자(22a,22b)가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외주면에 한 쌍을 이루며 돌출되게 설치되고, 전열코일(20a,20b)이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내주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전열코일(20a,20b) 양단이 해당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의 +단자(21a,21b)와 -단자(22a,22b)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를 연결하는 작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 있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를 대신하며 생략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전열선을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 또는 연결구(10)와 동일한 재질로 피복한 후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의 외경과 동일하게 일정간격으로 감아서 각각의 전열코일(20a,20b)을 만들고, 각각의 전열코일(20a,20b)의 양선단에 +단자(21a,21b)와 -단자(22a,22b)를 각각 연결하며, 이후 단자(21a,21b,22a,22b)가 연결된 개개의 전열코일(20a,20b)들을 개별적으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30a,30b)와 동일한 외경의 원형치구에 각각 삽입한 상태로 금형에 배치시켜 인서트 성형하면, 연결구(10)가 완성되므로, 작업자의 숙련성이 그다지 요구되지 않으면서, 도 2에 도시된 엘보우타입의 연결구(10)나, 도 3에 도시된 티타입 등의 기타 일반적인 연결구에 모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르면,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에 한 쌍으로 구비된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에 일일이 전류를 공급해야되는 번거로움은 수반되지만, 전류공급원의 용량이 작게 요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열코일(20a,20b,20c)은 그 목적상으로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내주면에만 위치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에 전열코일(20a,20b,20c)의 양선단이 각각 연결되어야 하므로,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내주면 이외의 임의의 위치에 전열코일(20a,20b,20c)의 양선단이 배치되어, 전열코일(20a,20b,20c)의 양선단 주위가 융해되거나, 이로 인한 합선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전열코일(20a,20b,20c)의 양선단 혹은 어느 한 선단을 절연물질(석면 튜브 혹은 테프론 등등)로 코팅하면 쉽게 해소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구에는 융착확인홈(12b,13b,14b)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융착상태를 직접확인 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는 각각 소켓타입과 엘보우타입 및 티타입의 연결구에 적용한 실시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레듀셔, 레듀셔 티 등의 공지의 연결구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전열코일을 자체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에 있어서, 전열코일과 이 전열코일의 양단에 연결되는 +단자와 -단자가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구조로 되어, 제조작업이 용이하고, 전열코일이 자체 구비된 소켓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를 상용화 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연결작업중 작업자가 연결구의 융착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관통홀(11a)이 형성된 몸체(11)와, 안착홀(12a,13a,14a)이 형성된 다수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로 구성되고,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내주면인 안착홀(12a,13a,14a)에 전열코일(20a,20b,20c)이 인서트 성형되어, 전열코일(20a,20b,20c)의 양단이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에 각각 연결되는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가 각각의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외주면에 한 쌍을 이루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열코일(20a,20b,20c)이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내주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전열코일(20a,20b,20c) 양단이 해당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단자(21a,21b,21c)와 -단자(22a,22b,22c)에 연결되되, +단자(21a,21b,21c) 혹은/또는 -단자(22a,22b,22c)에 연결되는 전열코일(20a,20b,20c)의 선단이 절연물질로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파이프 연결부(12,13,14)의 외주면에 융착확인홈(12b,13b,14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KR2019980008549U 1998-05-22 1998-05-22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KR200212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549U KR200212873Y1 (ko) 1998-05-22 1998-05-22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549U KR200212873Y1 (ko) 1998-05-22 1998-05-22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85U KR19980032085U (ko) 1998-08-17
KR200212873Y1 true KR200212873Y1 (ko) 2001-02-15

Family

ID=6951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549U KR200212873Y1 (ko) 1998-05-22 1998-05-22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8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527B1 (ko) * 1999-10-04 2002-07-19 주식회사 미진비앤피 열융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527B1 (ko) * 1999-10-04 2002-07-19 주식회사 미진비앤피 열융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85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4452A (en) Method of making interlocked welded connections between shaped thermoplastic articles
US4530521A (en) Electrically weldable socket for joining pipe members
US4436988A (en) Spiral bifilar welding sleeve
KR100688997B1 (ko)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US4530520A (en) Electrically weldable bushings
JPH01500452A (ja) 電気溶接による接続用の一体化された加熱抵抗体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パイプ
EP0278553A1 (en) Welding sleeve made of thermoplastic and method for forming a welding sleeve of this type
KR200212873Y1 (ko) 열가소성 수지파이프용 연결구
KR101797719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기구
JPH0731036Y2 (ja) 溶着継手
CN1469071B (zh) 电焊套管
US8049146B2 (en) Device and method for welding two polymer parts via fusion
JP2001519261A (ja) 付属品内に統合された電気加熱要素によって管に付属品を溶接する装置
JPH0230508A (ja) 溶着継手の製造方法
KR0124493Y1 (ko)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100336943B1 (ko) 연결관용연결부재
JP2004183858A (ja) 電気融着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175856U (zh) 一种组合式电熔连接管件
JP3670323B2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H079559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の製造方法
JP2721465B2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
JPH03129194A (ja) 融着継手
CN110848492A (zh) 一种组合式电熔连接管件及管件施工焊接方法
JPH0764031B2 (ja) 溶着継手
JP2002257284A (ja) 電気融着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