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45B1 -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45B1
KR0130845B1 KR1019950009990A KR19950009990A KR0130845B1 KR 0130845 B1 KR0130845 B1 KR 0130845B1 KR 1019950009990 A KR1019950009990 A KR 1019950009990A KR 19950009990 A KR19950009990 A KR 19950009990A KR 0130845 B1 KR0130845 B1 KR 013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guide
muffler
block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168A (ko
Inventor
최문한
Original Assignee
최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한 filed Critical 최문한
Priority to KR101995000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45B1/ko
Publication of KR96003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머플러(소음기)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행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봉 소재를 캠 작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순차이송키면서 성형가공을 이루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행거 제조용 봉소재를 횡방향으로 순차이송시키면서 소재의 양단을 성형가공하여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성형장치에 의해 그 성형작업시간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게 되고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경쟁력을 우수하게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의 정면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의 평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의 일측 상,하금형과 성형수단을 보여주는 일부 정면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의 작동캠을 보여주는 일부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행거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의 상,하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정면구성도.
제8도는 제7도의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행거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제10도는 본 발명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행거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공급다이10:횡이송수단
11,11':좌,우가이드편12:파지홈
15:작동캠16,16':구동축
20:상금형22,32:반원형홈
24:승,하강블록30:하금형
35:인입가이드편36:인출가이드편
40,40':성형수단44:성형블록
44a:원추형홈26,36:상,하가이드블록
본 발명은 자동차의 머플러(소음기)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행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봉 소재를 캠 작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순차이송시키면서 성형가공을 이루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머플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체를 이루는 섀시의 저면 후방향에 클램프형 행거의 한단을 볼트를 고정하고 그 중간부에 완충고무를 끼운후 그 타단은 머플러의 양측 배기통에 휘어감아 역시 볼트로 고정하여 이루어진 형태의 것과 또한 일측에 원추걸림턱과 그 내측으로 스토퍼가 형성된 봉체로된 행거의 타단을 섀시와 머플러에 각각 복수개 용접시킨후 그 중간부에서 각각 끼움공이 형성된 완충고무에 끼워 이루어진 형태의 것이 주종을 이룬다.
이러한 것은 먼저 전자의 경우 차량조립라인에서 조립할때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조립공정이 많고 손이 많이가 작업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그 행거가 박판의 클램프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어 머플러가 제자리에서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완충고무에 형성된 끼움공에 일측의 원추걸림턱을 각각 끼워 내측의 스토퍼와 상기 원추걸림턱의 내측턱에 완충고무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제공하여 그 타측을 각각 섀시와 머플러에 용접시켜 주기만 하면 되므로 그 작업성이 현저히 상승되고 간단하며 또한 상기 이음부, 즉 완충고무가 배기음과 동반된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차체에 까지 미치는 배기진동을 막아 주므로 인해 근자에는 머플러고정용 행거로써 후자를 선호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봉체의 양단에 원추걸림턱 또는 원추걸림턱과 스토퍼를 일체형성한 행거를 그 중간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게 하여서 상기 절곡부가 머플러를 지지하게 하고 그 양단을 차체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행거 즉, 봉체의 단부에 원추걸림턱 또는 원추걸림턱과 스토퍼를 일체로 형성한 행거에 있어서 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봉체로된 소재를 일정길이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소재의 일측을 성형장치에 의해 타격가공하여 원추걸림턱을 성형가공하고, 상기 소재의 타측을 다시 타격가공하여 소재의 양측방에 원추걸림턱을 성형하여 얻게된다.
이때, 상기 성형가공시 필요에 따라 소재의 양측방에는 원추걸림턱과 스토퍼를 동시에 성형가공할 수도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봉소재의 양측방에 원추걸림턱 및 스토퍼를 일체형성한 행거는 상술한 바와같이 사용에 따라 일체로 또는 중간부를 절단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머플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행거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소재의 양측방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성형작업함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될뿐 아니라 수작업에 따른 성형작업으로 일률적인 제품의 생산이 곤란 즉, 불량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제조원가 등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에 갖는 제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행거 제조용 봉소재를 횡방향으로 순차이송시키면서 소재의 양단을 성형가공하여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를 제공하여 그 성형작업시간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게 되고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경쟁력을 우수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공급다이에 공급된 일정길이의 봉소재를 캠 작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들어서 하강하면서 다음위치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 파지홈을 갖는 좌,우가이드편, 상기 좌,우가이드편을 캠작동시키되 감속모터에 의해 간헐구동하는 작동캠을 갖는 횡이송수단과, 상기 좌,우가이드편에 의해 순차이송되는 소재를 안착시키는 반원형홈을 갖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과 대향되는 반원형홈을 갖되 승,하강작동에 의해 순차이송되는 소재를 클램핑하는 상금형과, 상기 상,하금형의 양측방에서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전,후작동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의 전,후작동에 의해 전,후작동하면서 순차이동된 소재의 양단을 성형가공하는 성형블록, 상기 실린더로드의 전,후작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을 갖는 하부 가이드블록, 상기 하부가이드블록의 안내홈에 대향되는 안내홈을 갖되 상기 상금형과 동시에 승하강작동하는 상부 가이드블록을 갖는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성형장치는 베이스(1)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다이(3)로부터 소재(P)를 순차이송키는 횡이송수단(10)과, 상기 횡이송수단(10)에 의해 순차이송되는 소재(P)를 안착시켜 클램핑하는 상,하금형(20)(30)과 상기 상,하금형(20)(30)에 의해 클램핑된 소재(P)를 양측방에서 성형가공하는 성형수단(40)(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횡이송수단(10)은 상단부에 소재(P)를 안착시키는 파지홈(1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좌,우가이드편(11)(11')에 대향설치되고 그 전,후방에는 감속모터(M)에 의해 연동되어 간헐구동하는 구동축(16)(16')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16)(16')의 양측방에 작동캠(15)(15')이 고정설치되어 좌,우가이드편(11)(11')을 캠작동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16)(16')에는 연동스프로켓(S1)(S1')이 축착되고 상기 연동스프로켓(S1)(S1')과 감속모터(M)의 회전축(7)에 축착된 구동스프로켓(S2)과 체인연결되어 구동축(16)(16')이 간헐구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캠(15)(15)은 구동축(16)(16')양단에 고정설치된 회전원반(15a)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연결봉(15b)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15b)의 단부가 좌,우가이드편(11)(11')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원반(15a)의 중심으로부터 연결봉(15b)의 이격위치는 좌,우가이드편(11)(11')이 캠작동하여 공급다이(3)로부터 소재(P)를 순차이송시키게 되는 반경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하금형(30)은 횡이송수단(10)의 좌,우가이드편(11)(11')내측으로 대향되게 베이스(1)상에 고정설치되되 그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반원형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하금형(30)의 전방에는 하금형(30)의 반원형홈(32)과 연속되게 반원형홈(32')을 갖는 인입가이드편(35), 후방에는 하향경사진 인출가이드편(36)이 각각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금형(20)은 유,공압실린더(25)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블록(24)에 대향되게 고정설치되되 그 하단부에 상기 하금형(30)의 반원형홈(32)과 대향되는 반원형홈(2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수단(40,40')은 상,하금형(20)(30)의 중앙부 반원형홈(22)(32)의 양측방에서 전,후가압작동하는 유,공압실린더(45)의 실린더로드(46)가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로드(46)의 선단부에는 원추형홈(44a)을 형성한 성형블록(44)이 돌출되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로드(46)의 하부에는 실린더로드(46)의 전후작동을 안내하도록 반원형의 로드안내홈(36a)이 형성된 하부가이드블록(36)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블록(36)의 상부에는 승하강블록(24)에 의해 상금형(20)과 동시에 승,하강작동하되 그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가이드블록(36)의 로드안내홈(36a)과 대향되게 반원형의 로드안내홈(26a)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블록(26)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46)의 중앙부에는 선단부에 가이드봉(47a)이 설치된 브라켓(47b)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47a)의 중앙부에는 작동편(47c)이 고정설치되어 중앙부에 힌지(48) 결합되고 탄발설치된 유,공압작동구(49)를 작동하게 되되, 상기 작동편(47c)이 유,공압작동구(49)를 탄발지지하게되면 유,공압실린더(45)에 유,공압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실린더로드(46)의 전진 가압작동에 의해 작동편(47c)이 유,공압실린더(49)를 해지하게되면 유,공압실린더(45)에 유,공압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속모터(M)의 구동스프로켓(S2)상에는 편심되게 작동봉(6)이 설치되어 중앙부에 힌지(8)결합되고 탄발설치된 유,공압작동구(9)를 작동시키게 되되 상기 구동스프로켓(S2)이 1회전하면서 유,공압작동구(9)를 해지하게 되면 유,공압실린더(25)에 유,공압의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S2)이 1회전하여 다시 작동봉(6)이 유,공작동구(9)를 탄발지지하게 되면 유,공압실린더(25)에 유,공압의 공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7도 및 제8도에서는 머플러 고정용 행거의 양단에 원추걸림턱(4) 및 스토퍼(5)를 동시에 성형가공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상,하금형(20)(30) 각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돌조(51)(51)와 스톱핀(52)(52)의 설치된 가이드부(54')(54)에 상기 안내돌조(51)(51)와 대향되는 슬라이드홈(56)(56)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하단부에 대향되는 반원형홈(55)(55)을 형성한 이동블록(58')(58)이 각각 슬라이드 작동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블록(58')(58)의 내측과 이에 대응되는 상,하금형(20)(30)의 측면에는 스프링안착홈(58a)(58b)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60)(60)이 각각 끼워져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21은 승,하강블록(24)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승,하강가이드봉, 17은 횡이송수단(10)의 구동축(16)(16')에 축착된 베어링(17')을 지지하는 베어링받이, 61은 행거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70은 머플러, P'는 소재(P)의 양단에 원추걸림턱(4)을 일체형성한 행거, P는 소재(P)의 양단에 원추걸림턱(4)과 스토퍼(5)를 일체형성한 행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제효과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6도, 제9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별도의 절단장치(미도시)로부터 가공할 봉소재(P)가 일정길이로 절단되어서 본 발명의 공급다이(3)에 일렬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감속모터(M)가 간헐구동하게 되면 감속모터(M)의 회전축(7)에 축착된 구동스프로켓(S2)과 체인연결된 구동축(16)(16')의 연동스프로켓(S1)(S1')이 간헐구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구동축(16)(16')의 양단에 설치된 작동캠(15)(15')이 캠작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캠(15)(15)은 회전원반(15a)의 간헐구동 즉, 1회전구동에 의해 회전원반(15a)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가 편심된 이격위치의 연결봉(15b)과 고정결합된 좌,우가이드편(11)(11')을 캠작동시키게 되어 상기 좌,우가이드편(11)(11')이구동축(16)(16')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회전하면서 승,하강작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좌,우가이드편(11)(11')이 회전하여 승강하면서 좌,우가이드편(11)(11') 상단부에 형성된 파지홈(12)에 공급다이(3)로부터 공급되는 소재(P)와 하금형(30)의 반원형홈(32)에 안착되어 있는 소재(P)를 파지하며 상승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좌,우가이드편(11)(11')이 회전하여 하강하면서 소재(P)를 하금형(30)의 순차이송위치인 반원형홈(32)에 안착시키게 된다(제10도 참조).
이때, 상기 감속모터(M)의 1회전구동에 의한 소재(P)의 순차이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감속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구동스프로켓(S2)에 편심되게 설치된 작동봉(6)이 탄력설치되는 유,공압작동구(9)를 1회전하면서 해지상태에서 다시 지지한 상태로 되어 유,공압실린더(9)에 유,공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같이 상기 유,공압실린더(9)에 유,공압이 공급되어 작동하면 승,하강블록(24)이 하강하여 상기 승,하강블록(24)의 하부에 대향설치된 상금형(20)과 상부 가이드블록(26)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상금형(20)은 하단부의 반원형홈(22)에 의해 하금형(30)의 반원형홈(32)에 안착되어 있는 소재(P)를 가압하면서 소재(P)를 클램핑하게 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블록(26)은 하단부의 반원형 로드안내홈(26a)에 의해 하부가이드블록(36)의 반원형 로드안내홈(36a)에 안착되어 있는 실린더로드(46)에 가압하여 상,하부가이드블록(26)(36)의 로드안내홈(26a)(36a)에서 실린더로드(46)가 안내되어 일정한 전,후가압작동을 하게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하금형(20)(3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반원형홈(22)(32)의 양측방에서 대향되게 설치된 성형수단(40)(40')이 작동하여 소재(P)를 성형가공하게 되는데 이는 유,공압실린더(45)의 실린더로드(46)가 전진가압작동하여 실린더로드(46)의 선단부에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성형블록(44)의 원추형홈(44a)에 의해 소재(P)의 양단을 상,하금형(20)(30)의 측면에 가압성형하여 원추걸림턱(4)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46)가 전진가압작동함과 동시에 실린더로드(46)의 브라켓(47b)에 설치된 가이드봉(47a)이 일체로 전진작동하여 상기 가이드봉(47a)의 작동편(47c)이 유,공압작동구(49)를 탄력지지 상태에서 해지하게 되므로 결국, 성형수단(40)(40')의 성형블록(44)에 의해 소재(P)의 양단을 성형가공하면 유,공압실린더(45)에 유,공압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실린더로드(46)는 후진작동하여 실린더로드(46)의 작동편(47c)은 다시 유,공압작동구(49)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소재(P)의 양단에 원추걸림턱(4)의 성형가공이 완료되면 유,공압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블록(24)이 상승하게 되고 결국 상금형(20)과 상부 가이드블록(26)도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감속모터(M)의 재차 1회전구동에 의해 좌,우가이드편(11)(11')은 소재(P)를 캠작동에 의해 순차이송하게 되고 결국 소재(P)의 양단이 원추걸림턱(4)을 형성하게 가공된 소재(P')는 하금형(20)의 후단부에 고정설치되되 하향경사진 인출가이드편(36)에 안내되어 완성된 성형품을 얻게된다.
이와같이 전술한 작동의 반복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소재(P)를 순차이송하면서 소재(P)의 양단을 성형가공하여 연속적인 자동성형가공을 이루게 된다.
한편,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P)의 양단에 원추걸림턱(4)과 스토퍼(5)를 동시에 성형가공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감속모터(M)의 간헐구동에 의한 작동캠(15)(15')의 캠작동에 의해 좌,우가이드편(11)(11')이 공급다이(3)에 공급된 소재(P)를 하금형(20)에 순차이송하면 승,하강블록(24)의 하강작동에 의해 소재(P)를 클램핑하게 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상,하금형(20)(30)의 중앙부에 대향설치된 성형수단(40)(40')의 실린더로드(46)가 소재(P)의 양단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46)의 선단부에 돌출되게 고정결합된 성형블록(44)이 상,하금형(20)(30)의 가이드부(54)(54')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진 이동블록(58)(58')을 가압하면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성형블록(44)의 가압력에 의해 성형블록(44)의 원추형홈(44a)이 이동블록(58)(58')의 측면에 닿아 소재(P)의 양단부를 원추걸림턱(4)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블록(58)(58')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반원형홈(55)(55)에 클램핑된 상태로 안착되어있는 소재(P)가 가이드부(54)(54')의 내측으로 밀려나 그 공간부를 점하고 있던 부분이 확대되면서 스토퍼(5)가 성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58)(58')과 상,하금형(20)(30)사이의 스프링(60)은 수축된다.
이와같이 소재(P)의 양단을 성형수단(40)(40')에 의해 가압성형하여 스토퍼(5)와 원추걸림턱(4)을 동시에 성형한후 성형수단(40)(40')이 후진작동하여 원위치되게 되면 이동블록(58)(58')은 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되고 연이어 상술한 바와같이 승,하강블록(24)이 상승하게되며 캠작동하는 좌,우가이드편(11)(11')에 의해 소재(P)의 양단에 원추걸림턱(4)과 스토퍼(5)가 동시에 성형가공된 행거를 얻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소재(P)의 순차이송에 따른 연속공정에 의해 생산된 행거(P')를 사용목적에 따라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체로 절곡하여 상기 절곡부에 의해 자동차의 머플러(70)를 지지하게 하고 그 양단을 브라켓(61)에 의해 차체에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행거(P')의 중간부를 절단하여 각각의 일측을 머플러에 용접하고 타단을 차체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행거(P')(P)는 필요에 따라 단부에 원추걸림턱(4) 또는 원추걸림턱(4)과 스토퍼(5)가 형성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성형장치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소재를 캠작동에 의해 순차이송하면서 소재의 양단을 원추걸림턱 또는 원추걸림턱과 스토퍼를 동시에 연속하여 성형가공하게 되므로 생산성 및 품질향상은 물론 제조원가를 낮추게되어 제품경쟁력이 우수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5)

  1. 통상의 프레스기에 있어서, 공급다이(3)에 공급된 일정길이의 봉소재(P)를 캠작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들어서 하강하면서 다음위치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 파지홈(12)이 형성된 좌,우 가이드편(11)(11'), 상기 좌,우가이드편(11)(11')을 캠작동시키되 감속모터(M)에 의해 간헐구동하는 작동캠(15)(15')을 갖는 횡이송수단(10)과, 상기 좌,우가이드편(11)(11')에 의해 순차이송되는 소재(P)를 안착시키는 반원형홈(32)을 하금형(30)과, 상기 하금형(30)의 반원형홈(32)과 대향되는 반원형홈(22)을 갖되 승,하강블록(24)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여 순차이송되는 소재(P)를 클램핑하는 상금형(20)과, 상기 상,하금형(20)(30)의 양측방에서 전,후가압작동하여 상,하금형(20)(30)에 클램핑된 소재(P)를 성형가공하는 성형수단(40)(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15)(15')은 감속모터(M)에 연동되어 간헐구동하는 구동축(16)(16')의 양단에 회전원반(15a)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원반(15a)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연결봉(15b)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봉(15b)의 단부가 좌,우가이드편(11)(11')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단(40)(40')은 상,하금형(20)(30)의 중앙부 반원형홈(22)(32)의 양측방에서 전,후가압작동하는 유,공압실린더(45)의 실린더로드(46)가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로드(46)의 선단부에는 원추형홈(44a)을 형성한 성형블록(44)이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단(40)(40')의 실린더로드(46) 하부에는 실린더로드(46)의 전,후작동을 안내하도록 반원형의 로드안내홈(36a)이 형성된 하부가이드블록(36)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블록(36)의 상부에는 승하강블록(24)에 의해 상금형(20)과 동시에 승,하강작동하되 그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블록(36)이 로드안내홈(36a)과 대향되게 반원형의 로드안내홈(26a)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블록(26)이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금형(20)(30) 각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돌조(51)와 스톱핀(52)이 각각 설치된 가이드부(54)(54')에 상기 안내돌조(51)와 대향되는 슬라이드홈부(56)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하단부에 대향되는 반원형홈(55)(55')을 형성한 이동블록(58)(58')이 각각 슬라이드 작동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블록(58)(58')의 내측과 이에 대응되는 상,하금형(20)(30)의 측면에는 스프링안착홈(58a)(58b)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60)이 각각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장치.
KR1019950009990A 1995-04-26 1995-04-26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KR013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990A KR0130845B1 (ko) 1995-04-26 1995-04-26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990A KR0130845B1 (ko) 1995-04-26 1995-04-26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168A KR960037168A (ko) 1996-11-19
KR0130845B1 true KR0130845B1 (ko) 1998-07-01

Family

ID=1941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990A KR0130845B1 (ko) 1995-04-26 1995-04-26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47B1 (ko) * 2013-06-17 2014-01-24 태양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KR20190097938A (ko) * 2018-02-13 2019-08-21 삼광정밀공업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핀 챔퍼링 장치
KR102584969B1 (ko) * 2023-03-16 2023-10-04 노윤석 금속 가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660B1 (ko) * 1999-06-24 2002-06-22 정희문 오토바이용 머플러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47B1 (ko) * 2013-06-17 2014-01-24 태양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KR20190097938A (ko) * 2018-02-13 2019-08-21 삼광정밀공업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핀 챔퍼링 장치
KR102584969B1 (ko) * 2023-03-16 2023-10-04 노윤석 금속 가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168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9363B1 (en) Bending apparatus for a long material
KR0130845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고정용 행거 자동연속 성형장치
US27595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 bending metal members
WO2000078479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ilatation du materiau d'un tube
CN201573070U (zh) 薄壁件缸体定位夹紧装置
CN1230266C (zh) 利用再成形工具使金属板成形的设备和方法
JP3650903B2 (ja) トランスファ装置
KR20040000088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KR100435703B1 (ko) 프레스용 피어싱 장치
KR100611339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2437462Y (zh) 一种平移取料机械手
JP4018777B2 (ja) 線材送り装置
CN210818275U (zh) 一种异形螺栓自动上料定位机构
KR101580476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핑 장치
CN100396401C (zh) 多级式压造成形机
CN220278846U (zh) 一种多工位打孔攻丝机
CN110576304A (zh) 一种异形螺栓自动上料定位机构
KR20030081679A (ko) 롤러 헤밍 장치
KR20020090645A (ko) 자동 부싱 스웨징기
CN111846924B (zh) 一出多模具上料机械手
CN220200624U (zh) 一种夹持机构可移动的抓取工装
KR20190033187A (ko) 자동차용 시프트 레버의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CN219724288U (zh) 一种用于汽车部件斜面冲孔模具
CN212822277U (zh) 一出多模具上料机械手
CN216729476U (zh) 暖气片生产用夹具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