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12B1 -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712B1
KR0130712B1 KR1019950023612A KR19950023612A KR0130712B1 KR 0130712 B1 KR0130712 B1 KR 0130712B1 KR 1019950023612 A KR1019950023612 A KR 1019950023612A KR 19950023612 A KR19950023612 A KR 19950023612A KR 0130712 B1 KR0130712 B1 KR 013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ydraulic pressure
hydraulic
control valve
van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33A (ko
Inventor
이승춘
Original Assignee
이승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춘 filed Critical 이승춘
Priority to KR101995002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712B1/ko
Publication of KR97001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을 이재하는 화물 이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면 외부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오일탱크로 이루어진 유압 발생 장치와, 상기 유압발생 장치의 유압의로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리프트 작동을 수행하는 수직작동 실린더와, 상기 수직작동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수직실린더조절밸브와, 상기 유압발생장치로부터의 유압으로 회전되는 베인모터와,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도록 차체에 설치된 차륜과, 상기 베인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절환하여 베인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벨브와,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수단으로 구성된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그 동력원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유압을 적절히 제어하여 간단하고 안전하게 리프트 작동과 드라이브 작동을 구현할수 있는 유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작단가각 저렴하고, 부품의 교체와 아울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본 발명은 화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화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킬수 있는 지게차를 구동하기위한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운송하는데에는 지게차와 같은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지게차는 그 동력체계에 있어서, 화물을 적재하여 수직방향으로 올리고 내리는 작동(이하, 리프트(Lift)작동이라함)과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지게차가 다른 위치로 주행하도록 하는 작동(이하, 드라이브(Drive)작동이라함)을 위한 동력장치가 요구되는 바, 상기 리프트 작동과 드라이브 작동을 위해 각각 별도의 전기모터를 구동하는 동력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리프트 작동 및 드라이브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는 지게차 자체가 중량물을 이송하기위한 것이므로 적재할수 있는 베터리의 전압상태를 감안하여 충분한 에너지를 얻기위해서 그 전류의 세기를 크게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장치가 고용량화 복잡화됨에따라가격이 비싸고 잦은 고장이 발생하며, 고장시에는 부품의 전면적인 교체이외에는 별다른 수리방법이 없어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을 이용하여 리프트 작동 및 드라이브 작동을 동시에 구현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동력원으로 화물의 이제작업을 수행할수 있고, 그 구성을 간단하게하고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할수 있도록 한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조절 수단의 일 예로써 스피드컨트롤 밸브를 도시한 구조도.
도3은 도2의 스피드컨트롤밸브의 로터스풀을 작동시키기위한 로티스풀조작수단의 구조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조절수단의 일 예로서 자중제어밸브를 도시한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수단의 일 예로서 안전밸브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5a는 전제 구조도.
도5b는 밸브 하우징의 유로 및 포트의형성상태를 상세히표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DC모터 2 : 감속기
3 : 유압펌프 4 : 오일탱크
5 : 유압 발생 장치 6 : 수직작동 실린더
7 : 수직실린더 조절밸브 8 : 베인모터
9 : 차륜 10 : 방향 조절 밸브
11 : 틸트 실리더 12 : 틸트 실린더 조절 밸브
13 : 스피드 컨트롤 밸브 15 : 자중 조절 밸브
16 : 안전 밸브 20 : 차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따른 지게차 구동용 유압자치는 차체와, 상기차체에 설치되며외부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오일 탱크로 이루어진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유압발생장치의 유압으로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리프트 작동을 수행하는 수직작동실린더와, 상기 수직 작동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수직실린더조절밸브와, 상기 유압발생장치로부터의 유압으로 회전되는 베인모터와,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도록 차체에 설치된 차륜과, 상기 베인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절환하여 베인 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벨브와,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된바, 차체(20)와, 상기 차체(20)에 설치되며외부 동력원인DC모터(1)의 회전력이 감속기(2)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펌프(3)와 오일 탱크(4)로 이루어진 유압발생장치(5)와, 상기 유압발생장치(5)의 유압으로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리프트 작동을 수행하는 수직작동실린더(6)와, 상기 수직작동실린더(6)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수직실린더 조절밸브(7)와, 상기 유압발생장치(5)로부터의 유압으로 회전되는 베인모터(8)와, 상기 베인모터(8)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차체에 설치된 차륜(9)과, 상기 베인모터(8)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절환하여 베인모터(8)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벨브(10)와, 상기 베인모터(8)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에는 드라이브 작동시 적재된 화물의 안정된 자세 유지를 위해 틸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바,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유압발생장치(5)의 유압으로 작동되는 틸트실린더(11)와, 상기 틸트실린더(11)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틸트실린더조절밸브(12)로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틸트실린더조절밸브(12)와 상기 수직실린더조절밸브(7)에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레버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그 일 실시 예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스피드컨트롤밸브(13)를 설치하고 있는 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압발생장치(5)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제1포트(131)와, 상기 제1포트(131)로 제공되는유압이 상기 방향조절밸브(10)로 제공되도록 연통된 제2포트(132)와, 상기 제1포트(131)로 제공된 오일중 제2포트(132)를 통해 제공된 나머지 오일이 오일탱크(4)로 드레인 되도록하며 그위치는 제1포트(13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포트(13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포트(133)와, 상기 방향조절밸브(10)에서 드레인되는 오일이 유입되는 제4포트(134)와, 상기 제4포트(134)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탱크(4)로 드레인 되도록 하는 제5포트(135)를 구비하여 상기 제1,2,3,4,5포트(131,132,133,134,135)가 원형으로 배치된 밸브 하우징(136)과; 상기 밸브 하우징(136)내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1포트(131)로 제공되는 오일의 제2포트(132)를 통해 흐르는 양과 제3포트(133)를 통해 흐르는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제1랜드(137)와; 상기 제4포트(134)와 제5포트(135)의 연통상태를 조절하는 제2랜드(138)와, 상기 제4포트(134)로 유입되는 오일이 제1,2,3포트(131,132,133)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형성된 제3랜드(139)를 구비한 로터스풀(140)과; 상기 로터스풀(140)의 회전상태를 조절하는 로터스풀 조작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터스풀조작수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스풀(140)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암(141)과, 상기 회전암(140)에 힌지연결된 링크(142)와, 상기 링크(142)와 힌지연결되어 직선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143)와, 상기 슬라이더(143)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실린더(144)와, 상기 가이드실린더(144)와 슬라이더(143)사이에 개제되어 상기 로터스풀(140)이 제1랜드(137)로 제1포트(131)와 제2포트(132)를 차단하며 제2랜드(138)로 제4포트(134)와 제5포트(135)를 차단하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145)과, 상기 로터스풀(14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는 페달(146)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속도조절수단에는 화물적재시 상기 수직작동실린더(6)에 작용하는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속도조절수단에서 오일탱크로 드레인되는 유로에 화물의 중량에 따른 유압을 제공하여 베인모터(8)로 제공되는 오일의 유량이 자동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중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중량조절수단의 일 실시 예로서 다음의 구성과 같은 자중조절밸브(15)를 사용하고 있는 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에 화물 적재시 상기 수직작동실린더(6)에 작용되는 유압이 제공되는 제1포트(151)와,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밸브 하우징의 제3포트(133)에 연통된 제2포트(152)와, 오일탱크(4)와 연통된 제3포트(153)를 구비하며 상기 제1포트(151)와 제2포트(152)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포트(151)와 제2포트(152)의 중간에 제3포트(153)가 형성된 실린더용 밸브 하우징(154)과; 상기 실린더용 밸브 하우징(154)에서 제1포트(151)에서 제공되는 유압으로 실린더용 밸브 하우징(154)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스풀(155)과, 상기 제2포트(152)와 제3포트(153)의 연통상태를 조절하는 제2스풀(156)과, 상기 제1스풀(155)과 제2스풀(156)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인 스프링(157)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방향조절밸브(10)와 베인모터(8) 사이에는 상기 베인모터(8)로 제공되는 유압과 베인모터(8)에서 오일탱크(4)로 회수되는 유압이 갑자기 차단되었을 때 오일탱크(4)의 오일을 역흡입하여 관성력에 의한 베인모터(8)의 진공현상을 방지하며, 갑자기 차단된 유로의 충격을 타성부재로 흡수하여 완충하도록 하는 안전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안전밸브수단의 일실시 예로서 도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안전밸브(16)를 구성한 바, 방향조절밸브(10)와, 연통되어 베인모터(8)의 구동방향에 따라 오일의 유출입이 상대적으로 변경되는 제1,2포트(161,162)와, 상기 제1,2포트(161,162)로 유출입되는 오일이 베인모터(8)를 경유하도록 제1포트(161)와 연통된 제3포트(163) 및 제2포트(162)와 연통된 제4포트(164)와, 오일탱크(4)와 연통되는 제5포트(165)와, 상기 제5포트(165)에서 제1포트(161)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는 제1채크밸브(166)와, 상기 제5포트(165)에서 제2포트(162)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는 제2채크밸브(167)가 설치된 밸브 하우징(168)과; 상기 밸브 하우징(168)의 일측에 설치되어밸브 하우징(168)과 연통된 제1,2,3유로 (169,170,171)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172)과 스프링(173)이설치된 축압 실린더(174)와; 상기 제3포트(163)와 제4포트(164)의 상대적 유압차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제3포트(163)의 유압이 클 때 상기 제1유로(169)를 통해 축압 실린더(174)에 유압을 제공하고 제4포트(164)의 유압이 클 때 상기 제3유로(171)를 통해 축압 실린더(174)에 유압을 제공하며 제3포트(163)와 제4포트(164)의 유압이 동일할 때 제2유로(170)를 제5포트(165)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168)에 설치된 유로조절밸브(175)로 구성하였다.
즉, 상기 유로조절밸브(175)는 제3포트(163)와 제4포트(164)측에 각각 지지되는 스프링(176,177)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있는 슬라이딩 스풀(178)의 중앙에 상기 제2유로(170)를 제5포트(165)와 연통시킬 수 있을 링홈(179)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스풀(178)이 제3포트(163)측으로 이동하면 제4포트(164)와 제3유로(171)의 연통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스풀(178)이 제4포트(164)측으로 이동하면 제3포트(163)와 제1유로(169)의 연통상태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C모터(1)의 구동력이 감속기(2)에서 감속되어 유압펌프(3)로 하여금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하면, 상기 유압펌프(3)는 오일탱크(4)의 오일을 흡입하여 압력을 가하여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송출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화물의 리프트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상기 수직실린더조절밸브(7)의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수직작동실린더(6)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게되며, 상기 수직실린더조절밸브(7)에서는 상기 수직작동실린더(6)에 제공하는 유압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화물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수직작동실린더(6)에는 화물을 떠받치는 리프트 포크가 연결되어 있어 리프트 포트의 수직방향 작동으로화물의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들어올려진 화물이 드라이브 작동중 안정된 적재상태에 있도록하기 위해 상기 틸트실린더조절밸브(12)를 조작하여 틸트실린더(11)로 하여금 화물을 적절한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라이브 작동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는 유압펌프(3)에서 상기 수직실린더조절밸브(7)와 틸트실린더조절밸브(12)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오일의 유량을 상기 스피드 컨트롤 밸브(13)에서 조절하여 방향조절밸브(10)로 제공하며, 상기 방향조절밸브(10)는 상기 차륜(9)이 연결된 베인모터(8)에 제공되는 유로의 방향을 절환하여 베인모터(8)의 방향조절로 드라이브 작동의 전진상태와 후진상태를 구현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드라이브 작동중 드라이브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주로 상기 스피드 컨트롤밸브(13)에서담당하고 있으나, 적재된 화물의 중량에 따른 드라이브속도의제어와, 정지시 베인모터(8)로 제공되던 유압의 갑작스러운 중단에 대비하는 제어 등을 담당하기위해 별도의 구성 부품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하, 해당 구성부품의 작동을 설명하면서 상기와 같은 제어의 설명을 병행한다.
먼저,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13)가 유압펌프(3)로부터 제공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방향조절밸브(13)로 제공함으로써 드라이브 작동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압펌프(3)에서 수직실린더조절밸브(7)와 틸트실린더조절밸브(12)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유압은 밸브 하우징(136)의 제1포트(131)로 공급되며, 상기 제1포트(131)로 공급된 유압은 제2포트(132)와 제3포트(133)을 통해 빠져 나가게된다. 이때, 상기 제2포트(132)는 방향조절밸브(10)로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제3포트(133)는 오일탱크(4)로 유압을 드레인시키기 위한 것인 바, 운전자가 상기 폐달(146)을 밟기 전에는 로터스풀(140)이 스프링(145)의 힘에 의하여 제1랜드(137)로 제1포트(131)와 제2포트(132)를 차단하며 제2랜드(138)로 제4포트(134)와 제5포트(135)를 차단하는 상태이므로 제1포트(131)로 제공된 유압은 모두 제3포트(133)를 통해 오일탱크(4)로 드레인되어 방향조절밸브(10)를 통한 베인모터(8)의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스프링(145)의 힘을 극복하고 폐달(146)을 밟으면, 상기 제1랜드(137)는 회전되어 제1포트(131)와 제2포트(132)를 연통시키는 상태가 되는바, 상기 제1랜드(137)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포트(131)와 제2포트(132)의 연통상태가 달라져서 방향조절밸브(10)로 공급되는 유량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1포트(131)에서 제3포트(133)를 통해 오일탱크(4)로 드레인되는 유압은 상기 제1포트(131)와 제2포트(132)의 연통상태 변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 연통상태가 변화되어 제2포트(132)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는 유압을 드레인 시키게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제1포트(131)에서 제공된 유압이 제2포트(132)와 제3포트(133)로 배분되는 비율에 따라 방향조절밸브(10)를 통한 베인모터(8)의 구동속도가 조절되도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같이 폐달(146)을 밟게되면 상기 로터스풀(140)의 제2랜드(138)가 회전되어 제4포트(134)와 제5포트(135)가 연통되도록하는바, 이는 상기 제2포트(132)에서 방향조절밸브(10) 및 베인모터(8)를 경유하여 드레인되는 유압이 오일탱크(4)로 드레인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와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폐달(146)을 놓으면, 상기 제1포트(131)로 제공되던 유압은 모두 제3포트(133)를 통해 드레인되어 방향조절밸브(10)를 통한 베인모터(8)측으로는 유압이 공급되지 않으며, 이미 베인모터(8)와 방향조절밸브(10)를 경유하여 제4포트(134)로 유입되던 오일은 더 이상 제5포트(135)를 통해 드레인 되지못하고 유로가 차단되어 베인모터(8)가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브 작동의 정지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13)에 연결되어 적재된 화물의 중량에 따라 베인모터(8)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자중조절밸브(15)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154)의 제1포트(151)는 수직작동실린더(6)가 화물을 들어올리는 방향을 제공되는 유로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1포트(151)에 작용하는 유압은 화물의 중량에 따라변화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154)의 제2포트(152)에는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의 제3포트(133)가 연결되어 방향조절밸브(10)로 공급되지 못하는 유압이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154)의 제3포트(153)를 경유하여 오일탱브(4)로 드레인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제1포트(151)에 작용하는 유압은 제1스풀(155)을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154)의 내측으로 밀어 스프링(157)에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포트(152)에 제공되는 유압은 제2스풀(156)을 밀어상기 스프링(157)의 힘을 극복하고 제2포트(152)와 제3포트(153)의 연통상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한 화물의 중량이 크면, 상기 제1스풀(151)이 스프링(157)에 가하는 압력도 증가하여 상기 제2스풀(156)이 스프링(157)의 힘을 극복하고 제2포트(152)와 제3포트(153)의 연통상태를 형성하기에는 더욱 큰 유압을 요구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적재된 화물의 중량이 클수록 상기 제2스풀(156)이 제2포트(152)와 제3포트(153)간의 연통된 유로의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여 제2포트(152)에서 제3포트(153)로 드레인되는 오일의 유량이 줄어들게 하므로,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제3포트(133)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도 줄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제3포트(133)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감소되면 자연히 제2포트(132)를 통해 방향조절밸브(10)로 제공되는 유량이 증가하여 더욱 많은 양의 오일이 베인모터(8)로 제공되므로 화물의 중량에 따른 드라이브 작동력의 부족을 자동적으로 보충하게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향조절밸브(10)와 베인모터(8)의 사이에 설치되어 갑작스러운 유압의 중단에 대해 드라이브 작동의 완만한 정지상태를 구현하고 구성부품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밸브(16)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밸브(16)의 작동을 설명하기위해 먼저 방향조절밸브(10)가 설정하고 있는 한 가지 방향조절상태를 정하여 설명하면 방향조절밸브(10)에서 안전밸브(16)의 제1포트(161)로 유압이 제공되어 제3포트(163)를 거쳐 베인모터(8)에 공급되며, 베인모터(8)에서 안전밸브(16)의 제4포트(164)로 유압이 드레인되어 제2포트(162)를 통해 다시 방향조절밸브(10)로 회수되고, 방향조절밸브(10)에서는 회수된 오일이 상기 자중조절밸브(15)를 경유하여 오일탱크(4)로 회수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페달(146)을 놓으면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제2포트(132)에서 방향조절밸브(10)로 제공되던 유압이 갑자기 차단되며, 베인모터(8)를 경유한 후 회수되어 방향조절밸브(10)를 통해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제4포트(134)로 제공되고 제5포트(135)와의 연통상태를 통해 오일탱크(4)로드레인 되던 오일도 로터스풀(140)의 제2랜드(138)가 제4포트(134)와 제5포트(135)의 연통상태를 차단하게되어 드레인되던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도록한다.
상기와같이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제2포트(132)에서 방향조절밸브(10)로 제공되던 유압이 갑자기 차단되면, 안전밸브(16)의 제1,3포트(161,163) 및 베인모터(8)에 이르는 유로에는 베인모터(8)의 회전관성에 의한 진공이발생되는바, 이는 적재한 화물의 중량과 드라이브 속도 및 유압의 차단속도 등에따라 크게 달라지며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진공은 그 크기가 매우 큰 경우 베인모터(8)가 파손되는 등 각 구성부품의 파손을 초래하게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베인모터(8)의 회전관성에 의해 진공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포트(161)와 제5포트(165)를 연결하여 제5포트(165)로부터 오일탱크(4)의 오일을 흡수하여 제1포트(161)로 제공하는 제1체크밸브(166)가 개방되어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부압을 완충 보상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제1체크밸브(166)가 개방되어 제5포트(165)를 통해 오일탱크(4)로 부터의 오일이제1포트(161) 및 제3포트(163)를 경유하여 베인모터(8)에 제공되면, 베인모터(8)는 회전관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족한 오일을 상기와같이 제1체크밸브(166)를 통해 오일탱크(4)에서 흡입되는 오일로 보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피드컨트롤밸브(13)의 제4포트(134)에서는 베인모터(8)의 회전관성을 포함한 유로상의 오일이 가진 관성력에 의해 갑작스러운 유로의 차단으로 압력이 상승되는 바,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압력은 방향조절밸브(10)를 통해 안전밸브(16)의 제2포트(162) 및 제4포트(164)에 작용되고, 상기와같이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조절밸브(175)의 슬라이딩 스풀(178)은 제3포트(163)측에 설치된 스프링(176)의 힘을 극복하고 제3포트(163)쪽으로 이동되어 제4포트(164)를 제3유로(171)에 연통시키게된다.
따라서, 상기 제4포트(164)와 제3유로(171)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압력은 상기 축압실린더(174)의 피스톤(172)에 작용하여 피스톤(172)이 스프링(173)을 압축시키면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피드컨트롤밸브(13)에서 갑작스럽게 드레인되던 오일의 유로를 차단하여 발생된 충격압은 상기 축압 실린더(174)에 흡수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유압의 공급측에서는 제1체크밸브(166)를 통해 갑자기 부족해진 오일을 보충하면서 완충하고, 유압의 배출측에서는 슬라이딩 스풀(178)의 작동으로 갑자기 증가하는 오일을 축압 실린더(174)에 흡수하여 완충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체크밸브(166)는 다시 닫히게되어 오일탱크(4)로부터의 오일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슬라이딩 스풀(178)은 양쪽의 스프링(176,177)에 의해 중립상태가되어 링홈(179)으로 제2유로(170)와 제5포트(165)를 연통시키는 상태가 됨으로써, 축압실린더(174)에 축적된 오일을 다시 제5포트(165)를 통해 오일탱크(4)로 드레인시키게 됨으로써, 갑작스러운 유로차단에 의해 작동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몰론, 상기와같은 방향조절밸브(10)의 방향설정상태가 반대로 되어 베인모터(8)가 상기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던 중에 발생된 갑작스러운 유로의 차단에서도 상기 안전밸브(16)의 구조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있어 제2체크밸브(167) 및 유로조절밸브(175)의 작동으로 갑작스러운 충격에 대비할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단일동력원을 사용하여간단하고 안전하게 리프트 작동과 드라이브 작동을 구현하는 유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부품의 교채와 아울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오일탱크로 이루어진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유압발생장치의 유압으로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리프트 작동을 수행하는 수직작동실린더와, 상기 수직작동실린더로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수직실린더조절밸브와, 상기 유압발생장치로부터의 유압으로 회전되는 베인모터와,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도록 차체에 설치된 차륜과, 상기 베인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절환하여 베인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밸브와,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는 상기 유압발생장치의 유압으로작동되는 틸트실린더와, 상기 틸트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틸트실린더조절밸브로 구성된 틸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유압발생장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제공되는 유압이 상기 방향조절밸브로 제공되도록 연통된 제2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제공된 오일중 제2포트를 통해 제공된 나머지 오일이 오일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하며 그 위치는 제1포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포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포트와, 상기 방향조절밸브에서 드레인되는 오일이 유압되는 제4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탱크로 드레인되도록 하는 제5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2,3,4,5포트가 원형으로 배치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1포트로 제공되는 오일의 제2포트를 통해 흐르는 양과 제3포트를 통해 흐르는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되 제1랜드와, 상기 제4포트와 제5포트의 연통상태를 조절하는 제2랜드와, 상기 제4포트로 유입되는 오일이 제1,2,3포트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제3랜드를 구비한 로터스풀과; 상기 로터스풀의 회전상태를 조절하는 로터스풀조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스풀조작수단은 상기 로터스풀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힌지 연결된 링크와, 상기 링크와 힌지연결되어 직선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실린더와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터스풀이 제1랜드로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차단하며 제2랜드로 제4포트와 제5포트를 차단하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터스풀의 회전축에 연결된 페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화물적재시 상기 수직작동실린더에 작용하는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속도조절수단에서 오일탱크로 드레인되는 유로에 화물의 중량에 따른 유압을 제공하여 베인모터로 제공되는 오일의 유량이 자동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중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조절수단은 일단에 화물적재시 상기 수직작동실린더에 작용되는 유압이 제공되는 제1포트와, 상기 속도조절수단의 밸브 하우징의 제3포트에 연통된 제2포트와, 오일탱크에 연통된 제3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의 중간에 제3포트가 형성된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의 제1포트에서 제공되는 유압으로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스풀과, 상기 제2포트와 제3포트의 연통상태를 조절하는 제2스풀과, 상기 제1스풀과, 제2스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밸브와 베인모터 사이에는 상기 베인모터로 제공되는 유압과 베인모터에서 오일탱크로 회수되는 유압이 갑자기 차단되었을 때 오일탱크의 오일을 역흡입하여 관성력에 의한 베인모터의 진공현상을 방지하며, 갑자기 차단된 유로의 충격을 탄성부재로 흡수하여 완충하도록 하는 안전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수단은 방향조절밸브와 연통되어 베인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오일의 유출입이 상대적으로 변경되는 제1,2포트와, 상기 제1,2포트로 유출입되는 오일이 베인모터를 경유하도록 제1포트와 연통된 제3포트 및 제2포트와 연통된 제4포트와, 오일탱크와 연통되는 제5포트와, 상기 제5포트에서 제1포트 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5포트에서 제2포트 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밸브 하우징과 연통된 제1,2,3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과 스프링이 설치된 축압실린더와; 상기 제3포트와 제4포트의 상대적 유압차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제3포트의 유압이 클 때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축압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고, 제4포트의 유압이 클 때 상기 제3유로를 통해 축압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며, 제3포트와 제4포트의 유압이 동일할 때 제2유로를 제5포트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된 유로 조절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KR1019950023612A 1995-08-01 1995-08-01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KR013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612A KR0130712B1 (ko) 1995-08-01 1995-08-01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612A KR0130712B1 (ko) 1995-08-01 1995-08-01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3A KR970010633A (ko) 1997-03-27
KR0130712B1 true KR0130712B1 (ko) 1998-04-10

Family

ID=1942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612A KR0130712B1 (ko) 1995-08-01 1995-08-01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447B1 (ko) * 1997-07-28 2005-07-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유압모터 회전속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3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086B2 (en) Drive device for a bending press
US7565801B2 (en) Swing drive device and work machine
KR920010178B1 (ko) 이동식 크레인의 떨림 억제장치
CN103328371B (zh) 物料搬运车辆
US4761954A (en) Fork-lift system
US9168713B2 (en) Machine press
WO2013114948A1 (ja) 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制御装置
JPH066226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CN110030217B (zh) 一种高空作业车底架浮动油缸的控制系统及高空作业车
EP3483453A1 (en) Electro-hydraulic work vehicle with energy recovery
AU2020297373A1 (en) Active control type anti-yaw damper and damping system, and vehicle
KR100296535B1 (ko) 유압모터의구동장치
KR20000039494A (ko) 유압엘리베이터장치
CN210599623U (zh) 一种高空作业车底架浮动油缸的控制系统及高空作业车
CN107532627B (zh) 建筑机械的控制系统
KR0130712B1 (ko) 지게차 구동용 유압장치
JP4693708B2 (ja) 可動式運転室を有する作業機
WO2020152937A1 (ja) 建設機械
CN114183416A (zh) 一种三向堆垛式叉车液压系统
CN113928981B (zh) 工程车辆及其液压驱动系统
CN112555213B (zh) 液压控制回路、阀组单元及工程机械
KR0130711B1 (ko) 보행식 화물운송기기
KR20220128477A (ko) 건설 기계
JP2006117406A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の液圧装置
KR100284609B1 (ko) 지게차 구동용 유압 장치 및 스피드 컨트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