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593Y1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593Y1
KR0130593Y1 KR2019940029495U KR19940029495U KR0130593Y1 KR 0130593 Y1 KR0130593 Y1 KR 0130593Y1 KR 2019940029495 U KR2019940029495 U KR 2019940029495U KR 19940029495 U KR19940029495 U KR 19940029495U KR 0130593 Y1 KR0130593 Y1 KR 0130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casing
seat plat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26U (ko
Inventor
장병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9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593Y1/ko
Publication of KR960016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와, 좌판과,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좌변기에 있어서, 중앙에 제1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축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좌판의 단부에 설치된 제1회동부와; 제2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축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제2회동부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면에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일부가 상기 좌판의 제1회동부와 상기 개폐부재의 제2회동부에 체결되며 타부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면에 걸림편이 형성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와 연동하여 회동되는 회동풀리로 이루어진 축지수단과; 상기 축지수단의 축부재의 회동을 감속시키도록 감속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설된 감속수단과; 상기 감속수단의 회동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속도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장착된 케이싱에 축지수단과 감속수단 그리고 속도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좌판 및 개폐부재의 회동속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좌판 및 개폐부재의 하향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좌변기
본 고안은 좌판과 개폐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의 본체를 개폐시키는 좌판 및 개폐부재가 본체를 복개시킬 경우 좌판 및 개폐부재의 하향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좌판 및 개폐부재의 회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킨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종래의 좌변기는, 단순히 앉아서 용변을 하는 기능 이외에 온수와 온풍을 공급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 항문과 국부를 온수로 세정하고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기능이 추가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좌변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좌변기는, 좌변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상측이 개방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양측에 구비된 온수세정기(10)와, 상기 온수세정기(10)가 장착된 상기 본체(20)의 상측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좌판(30)과, 상기 좌판(30)과 같이 상기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20)를 복개하는 개폐부재(8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좌변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를 위로 젖혀 사용을 하고, 좌변기를 미사용 시에는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를 아래로 젖혀 상기 본체(20)의 상측을 복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좌변기는, 좌변기를 사용 후 상기 본체(20)를 복개시키기 위하여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를 아래로 하향시킬 경우 상기 본체(20)와 상기 좌판(30) 그리고 상기 좌판(30) 및 상기 덮개부재(80)가 부딪히게 되어 과다한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기 위하여 좌판과 개폐부재의 하향하는 회동속도를 감소시켜 그에 따른 소음을 다소 감쇄시킬 수 있는 좌변기가 제안되어 있다.
즉, 좌판과 개폐부재의 하향하는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좌변기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되도록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를 상기 본체(20)와 축결합시키는 회동축(11)과, 상기 회동축(11)이 축결합된 상가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의 회동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회동축(11)의 외면에 채워지며 점성에 의해 급속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12)과, 상기 실리콘(12)이 상기 회동축(11)의 외면에 채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11)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축(11)의 외측에 배설된 부싱(13)과, 상기 부싱(13)의 외측에 밀폐 설치되는 케이싱(1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케이싱(14)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본체(20)의 후방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좌변기는, 좌변기의 사용 후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를 하향시킬 경우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회동축(11)의 일측에 회동이 부가하도록 협지되어 상기 회동축(11)의 타측 즉 상기 부싱(13)을 지축으로 이에 축지된 상기 회동축(11)만 회동하여서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를 하향시키게 된다.
또, 상기 회동축(11)의 회동시에는 상기 회동축(11)의 외주면에 점도가 높은 실리콘(12)이 충진됨으로써 상기 실리콘(12)은 쿠션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회동축(11)의 급속회동 및 충격소음을 감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좌변기는, 장기간 사용하면 상기 회동축(11)과 상기 부싱(13) 사이에 충진된 상기 실리콘(12)은 외부 공기에 의해 경화되어 상기 실리콘(12)의 점성은 저하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회동축(11)은 급속 회동되게 되어 상기 본체(20)와 상기 좌판(30) 그리고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가 과다하게 부딪히게 되어 충격에 의한 소음이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와 같은 좌변기는 좌판 및 개폐부재의 회동속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음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좌변기의 본체를 개폐시키는 좌판 및 개폐부재가 본체를 복개시킬 경우 좌판 및 개폐부재의 하향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좌판 및 개폐부재의 회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킨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는, 좌변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좌판과, 상기 좌판과 같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를 복개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좌변기에 있어서; 중앙에 제1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회동될 경우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축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좌판의 단부에 설치된 제1회동부와; 중앙에 제2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될 경우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2축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제2회동부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착된 케이싱과; 상기 좌판과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될 경우 상기 좌판과 상기 개폐부재와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일부가 상기 좌판의 제1회동부와 상기 개폐부재의 제2히동부에 체결되며 타부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면에 걸림편이 형성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와 연동하여 회동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축부재의 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축공 및 제2축공 그리고 상기 지지공과 동일한 형상을 한 축공이 형성된 회동풀리로 이루어진 축지수단과; 상기 축지수단의 축부재의 회동을 감속시키도록 감속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설된 감속수단과; 상기 감속수단의 회동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속도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에 의하면, 본체에 장착된 케이싱에 축지수단과 감속수단 그리고 속도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좌판 및 개폐부재의 회동속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좌판 및 개폐부재의 하향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에 따라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에 의한 좌변기에 있어서 제1도의 A-A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부분을 절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좌변기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주요부분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을 절결하여 도시한 내부 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속도조절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30 : 좌판
31 : 제1회동부 32 : 제1축공
32a : 지지공 40 : 케이싱
41 : 통공 50 : 축지수단
51 : 축부재 52 : 걸림펀
53 : 회동풀리 53a : 축공
60 : 감속수단 61 : 감속풀리
62 : 벨트 70 : 속도조절수단
71 : 조절부재 72 : 지지봉
73 : 지지간 74 : 지지롤러
80 : 개폐부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좌변기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주요부분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6도는 제5도의 A-A선을 절결하여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고, 제7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속도조절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써, 제1도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좌판(30)의 후단부에는 중앙에 제1축공(32)이 형성되며 좌판(30)이 회동될 경우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축공(32)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32a)이 형성된 제1회동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개폐부재(80)의 단부에는 중앙에 제2축공(82)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될 경우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2축공(82)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82a)이 형성된 제2회동부(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20)의 후방의 상면 양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축지수단이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통공(41)이 형성된 케이싱(40)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50)는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될 경우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의 개폐동작과 일체로 회동되는 축지수단으로써,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될 경우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와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일부가 상기 좌판(30)의 제1회동부(31)와 상기 개폐부재(80)의 제2회동부(81)에 체결되며 타부가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공(31a)(82a)에 삽입되도록 외면에 걸림편(52)이 형성된 축부재(51)와, 상기 축부재(51)와 연동하여 회동되며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축부재(51)의 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축공(32) 및 제2축공(82) 그리고 상기 지지공(32a)(82a)과 동일한 형상을 한 축공(53a)이 형성된 회동풀리(5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축부재(51)의 타단에는 상기 축부재(51)로부터 사익 제1회동부(31) 및 상기 제2회동부(81)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54)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케이싱(40)에는,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될 경우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와 연동하여 회동되는 상기 축지수단(50)의 축부재(51)의 회동을 감속시키도록 하는 감속수단(60)과, 상기 감속수단(60)의 회동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감속수단(60)은 상기 회동풀리(53)의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며 상기 회동풀리(53)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감속풀리(61)와, 상기 감속풀리(61)와 상기 회동풀리(53)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감속풀리(61)와 상기 회동풀리(53)를 연결시키는 벨트(6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속도조절수단(70)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좌판(30) 및 상기 개폐부재(80)의 회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40)으로부터 노출된 조절부재(71)와, 상기 조절부재(7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조절부재(71)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봉(72)과, 상기 지지봉(72)이 상하 이동될 경우 상기 지지봉(72)과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봉(72)의 하부에 형성되며 양단부가 하향되어 수직 절곡된 지지간(73)과, 상기 지지간(73)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며 상기 축부재(51)의 회동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벨트(62)에 접한 지지롤러(74)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지지롤러(74)는 상기 벨트(62)와 접촉될 경우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기 이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본체(20)의 상측후방에는 통공(41)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40)이 설치되고, 상기 제1회동부(31)와 상기 제2회동부(81) 그리고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배설된 회동풀리(53)의 축공(53a)은 걸림편(52)이 형성된 상기 축부재(51)에 의해 조립되므로써,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와 상기 축부재(51) 그리고 상기 회동풀리(53)가 연동하여 회동된다.
또, 상기 회동풀리(53)와 상기 감속풀리(61)는 상기 벨트(62)에 의해 연결되므로써 상기 회동풀리(53)가 회동될 경우 상기 감속풀리(61)도 연동하여서 회동된다.
한편, 상기 벨트(62)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속도조절수단(70)의 지지롤러(74)가 면접촉되므로써, 사용자가 상기 속도조절수단(70)의 조절부재(71)를 제6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봉(7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벨트(62)가 제6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수축 혹은 이완되어서 상기 축부재(51) 및 상기 좌판(30)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80)의 회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속도조절수단(70)의 조절부재(71)를 조작하면 상기 벨트(62)가 이완 혹은 수축되어 상기 회동풀리(53)의 회동속도가 조절되므로써, 상기 축부재(51)의 회동속도가 조절되게 되어 상기 좌판(30) 및 상기 개폐부재(80)의 회동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에 의하면, 본체에 장착된 케이싱에 축지수단과 감속수단 그리고 속도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좌판 및 개폐부재의 회동속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좌판 및 개폐부재의 하향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좌변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측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좌판(30)과, 상기 좌판(30)과 같이 상기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20)를 복개하는 개폐부재(80)로 이루어진 좌변기에 있어서; 중앙에 제1축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30)이 회동될 경우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축공(32)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32a)이 형성되어 상기 좌판(30)의 단부에 설치된 제1회동부(31)와; 중앙에 제2축공(82)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될 경우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2축공(82)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공(82a)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80)가 단부에 설치된 제2회동부(81)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면에 통공(4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20)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착된 케이싱(40)과;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가 회동될 경우 상기 좌판(30)과 상기 개폐부재(80)와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일부가 상기 좌판(30)의 제1회동부(31)와 상기 개폐부재(80)의 제2회동부(81)에 체결되며 타부가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면에 걸림편(52)이 형성된 축부재(51)와, 상기 축부재(51)와 연동하여 회동되며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축부재(51)의 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축공(32) 및 제2축공(82) 그리고 상기 지지공(32a)(82a)과 동일한 형상을 한 축공(53a)이 형성된 회동풀리(53)로 이루어진 축지수단(50)과; 상기 축지수단(50)의 축부재(51)의 회동을 감속시키도록 감속풀리(61)와 벨트(6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배설된 감속수단(60)과; 상기 감속수단(60)의 회동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케이싱(40)에 구비된 속도조절수단(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60)은, 상기 회동풀리(53)의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케이싱(4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며 상기 회동풀리(53)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감속풀리(61)와, 상기 감속풀리(61)와 상기 회동풀리(53)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감속풀리(61)와 상기 회동풀리(53)를 연결시키는 벨트(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수단(70)은, 사용자가 상기 좌판(30) 및 상기 개폐부재(80)의 회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40)으로부터 노출된 조절부재(71)와, 상기 조절부재(7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조절부재(71)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봉(72)과, 상기 지지봉(72)이 상하 이동될 경우 상기 지지봉(72)과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봉(72)의 하부에 형성되며 양단부가 하향되어 수직 절곡된 지지간(73)과, 상기 지지간(73)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며 상기 축부재(51)의 회동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벨트(62)에 접한 지지롤러(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2019940029495U 1994-11-07 1994-11-07 좌변기 KR0130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495U KR0130593Y1 (ko) 1994-11-07 1994-11-07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495U KR0130593Y1 (ko) 1994-11-07 1994-11-07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26U KR960016326U (ko) 1996-06-17
KR0130593Y1 true KR0130593Y1 (ko) 1998-12-15

Family

ID=1939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495U KR0130593Y1 (ko) 1994-11-07 1994-11-07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5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26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0914B2 (ja) 回転ダンパー装置
US5193228A (en)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with damping capability
JPH10131947A (ja) 複合トルクヒンジ
US4639051A (en) Turn-out shelf assembly for a cabinet
KR0130593Y1 (ko) 좌변기
JPH0546719Y2 (ko)
JPH0319838Y2 (ko)
KR0130592Y1 (ko) 좌변기
JPS62270838A (ja) ロ−タリ−ダンパ
KR101925484B1 (ko) 양변기용 회전식 댐퍼
JP3968697B2 (ja) バランスドア
JP3899490B2 (ja) グラビティヒンジ
JP2569690Y2 (ja) 便器の便座や便蓋の起倒装置
KR200214243Y1 (ko) 채핑디쉬 커버용 감속기구
JPH0650055A (ja) 車室内収納箱の開放速度の調速装置
JPH0628340Y2 (ja) 自動車の開閉屋根装置
KR200214242Y1 (ko) 채핑디쉬 커버용 감속기구
JPH0515471A (ja) 温水洗浄装置
KR20050117235A (ko) 차량의 암레스트용 가이드 부시
JP4695455B2 (ja) 流体摩擦抵抗型制動装置
EP1113137A1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door
JPH0525519Y2 (ko)
KR0136942Y1 (ko) 승용차 뒷좌석용 암 레스트
JP2636365B2 (ja) 便座の自動開閉装置
JPH06189872A (ja) トイレッ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