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16Y1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16Y1
KR0130416Y1 KR2019960011400U KR19960011400U KR0130416Y1 KR 0130416 Y1 KR0130416 Y1 KR 0130416Y1 KR 2019960011400 U KR2019960011400 U KR 2019960011400U KR 19960011400 U KR19960011400 U KR 19960011400U KR 0130416 Y1 KR0130416 Y1 KR 0130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headrest
movable member
coupled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485U (ko
Inventor
정해창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정해창
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창, 정해일 filed Critical 정해창
Priority to KR2019960011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16Y1/ko
Publication of KR970061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대폭 감소되어 원가의 절감과 고장 발생율의 저하로 수명의 단축이 방지되게 하여주기 위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쪽에 고정 착설되는 제1,2 지지부재(20)(20')에 양측로드(31)(31')가 지지되게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30)와, 이 가동부재를 전진방향으로 당겨주게 장착되는 인장 스프링(40)과, 일측로드(31)에 하단 일부가 하부로 개방되게 뚫어 설치된 부채꼴 형상의 회동제어공(34) 내에 결합되어 비틀림스프링(50)에 의해 탄발 회동되게 설치되며 제1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동홈(22)들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가동부재(30)의 전·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게 되고 이 제1 지지부재에 형성된 해제경사면(23)에 의해 그 제동상태가 해제되며 복원돌기(35)에 의해 제동상태로 복원되는 제동부재(70)들로 수평이동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동 동작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동 헤드라이트 내에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실시예가 적용된 헤드라이트를 의자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로드 20,20' : 제1,2지지부재
22 : 제동홈 23 : 해제경사면
24 : 복원돌기 30 : 가동부재
31 : 일측로드 33 : 결합공
34 : 회동제어공 40 : 인장 스프링
50 : 비틀림스프링 70 : 제동부재
71 : 몸체 74 : 연동핀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며 수명의 단축이 방지되는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테이로드의 상단부 양쪽에 고정판들을 각각 용접 부착하고, 이들 고정판의 외측단 전·후에는 가동 레버들의 하단을 각각 축착하며, 이들 레버 중 전방 위치의 레버들 상단은 각기 양측의 가동판 상부에 축착하고, 후방 위치의 레버들 상단은 양 가동판을 축착하여 연결시켜주는 축관에 용접하며, 일측의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을 걸어주어 이 스프링의 수축력에 의해 가동판들이 항상 전방으로 당겨져 있게 하고, 타측 가동판에는 래칫과 그 제어편 및 이 제동편의 제동상태를 해제시켜주는 해제편을 각각 축착하며, 또 제동편에는 인장 스프링을, 해제편에는 비틀림스프링을 각각 걸어주어 이들 스프링에 의해 제동편과 해제편들이 각기 원위치되게 한 수평 이동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이 장치는 2개의 고정판과, 4개의 가동 레버와, 1개의 축관 및 6개의 축핀들과, 2개의 인장 스프링 및 1개의 비틀림스프링들과, 래칫과 그 제동편 및 해제편들과, 이들이 서로 연동되게 연결시켜주는 연동핀들이 필요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 부품 및 조립공수가 많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축핀과 연결핀들에 의한 축착 연결부위 및 용접부분들이 많게 되어 고장 발생율이 높고 그 수명이 단축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장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는 헤드레스트의 수평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명이 단축되지 않게 되는 헤드레스트의 수평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대폭감소되는 헤드레스트의 수평 이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장치는 스테이로드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용접 부착되는 제1,2지지부재들과, 이들 부재에 의해 지지되게 결합 설치되어 전·후진 이동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의 일측로드에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발 회동되게 축착 설치되어 가동부재의 전·후진 이동을 제동시켜주는 제동부재들로 구성된다.
가동부재와 스테이로드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이 장착되어 가동부재를 당겨주게 되며, 제1지지부재의 내면에는 제동부재의 제동편이 걸어지는 제동홈들이 일정간격으로 요입 설치되고, 또 제동편의 제동상태를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와 다시 제동상태로 복원시켜주는 복원돌기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수평이동장치는 가동부재의 후진이동이 제동홈과 이에 걸어지는 제동부재의 제동편 작용에 의해 다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완전 후진되면 해제돌부의 작용으로 제동편의 제동상태가 해제되어 인장스프링의 수축력에 의해 가동부재가 원위치로 전진 이동되고, 동시에 복원돌기의 작용으로 제동편은 다시 제동홈에 걸어지게 되므로 헤드레스트의 전·후진 수평이동 작동이 수행되는 것으로서, 2개의 제1,2지지부재와, 2개의 전·후 지지대와 이들의 양단부 사이에 전·후단이 결착되는 2개의 양측 로드들로 되는 가동부재와, 단일체인 제동부재와, 각각 하나의 비틀림 및 인장 스프링들만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 장치에 비하여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이에 따라 부품 및 조립공수가 대폭감소되고 제조원가도 대폭 절감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장치는,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측에 용접 부착되는 제1,2지지부재(20)(20')와, 이들 부재에 양측이 지지되게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하게 되는 가동부재(30)와, 이 부재를 전진 방향으로 당겨주게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40)과, 비틀림스프링(50)에 의해 탄발 회동되게 가동부재(3)의 일측로드(31)에 결합 설치되어 가동부재(30)의 전·후진 이동을 제어하여 주게 되는 제동부재(70)들로 구성된다.
제1지지부재(20)는 판상으로 되며, 내면에는 가동부재(30)의 일측로드(31)가 전·후로 관통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가 요입 설치되고, 이 결합부의 하단 상면에는 수개의 제동홈(22)들이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요입 설치되며, 이들 제동홈들중 후단 위치의 제동홈 후단으로부터 결합부(21)의 후단까지는 해제경사면(23)이 후방을 향해 적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제동홈(22)들의 상측 위치에는 복원돌기(24)가 전방을 향해 적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스테이로드(10)의 상단과 결착되는 결착홈(25)이 설치된다.
제2지지부재(20')는 관형상으로 되며, 그 하단에는 스테이로드(10)의 상단과 결착되는 결착편(21')들이 설치된다.
가동부재(30)는 양측의 로드(31)(31')와, 이들 로드의 전·후단이 양측단에 각각 착설되는 전후의 지지대(32)(32')들로 형성되며, 로드(31')는 제2지지부재(20')의 내부를 관통하게 결합된다.
로드(31)의 후측부에는 원형의 결합공(33)과 이 결합공을 꼭지점으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제어공(34)이 관통 설치되고, 이 제어구의 하단 일부분(34')은 하부로 개방되며, 전방위치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전단이 결착되는 결착공(35)이 설치된다.
인장스프링(40)의 선단은 스테이로드(10)의 중간위치에 걸어 고정하며, 후단은 가동부재(30)의 후단 지지대(32')의 중간에 걸어 고정한다.
제동부재(70)는 결합공(33)에 결합되는 원판형의 몸체(71)와, 이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연장 설치되며 단부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후단이 결착되는 결착공(73)이 설치된 제동편(72)과, 이 제동편의 단부측 외면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해제경사면(23)의 상면과 복원돌기(24)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연동핀(74)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장치는, 제3도에서와 같이 헤드레스트(90)의 갑피(91) 내에 설치될 때, 이 갑피 내에 충진되는 발포물(쿳션)에 의해 그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 커버(92)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 보호 커버는 가동부재(30)에 착설하여 갑피(91) 내에 설치하고 발포물을 충진하므로 보호 커버(92)와 갑피(91)는 발포물에 의해 한 몸체로 되며, 이에 따라 가동부재(30)와 함께 전 ·후지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보호 커버(92)의 저면과 갑피(91)의 저면 양쪽에는 헤드레스트(90)를 제5도에서와 같이 의자(94)의 상단에 설치하여 전·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스테이로드(10)의 양단부가 관통하는 장공(93)(93')들이 각각 설치된다.
제2도는 본 고안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a)는 헤드레스트(90)가 전방으로 완전히 전진되어 있을 때의 상태로서, 인장 스프링(40)은 수축되어 있고, 제동편(72)은 회동제어구(34) 내에서 하향되어 있게 되므로 그 하단이 개방된 일부분(34')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어 제동홈(22)들 중 제일 후방 위치의 제동홈에 걸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동부재(70)를 하향 탄발시켜 주고 있는 비틀림스프링(50)의 탄발력보다 큰 힘으로 헤드레스트(90)를 후진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제동홈(22)에 하단이 걸어져 있는 제동편(72)의 하단이 제동홈의 경사면에 의해 밀어 올려지게 되어 제동부재(70)는 몸체(71)를 축으로 하여 상향 회동되므로 비틀림스프링(50)은 압축되고 가동부재(30)는 후진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제동홈(22)들 중 하나의 제동홈 간격만큼만 가동부재(30)를 후진시켜준 다음 헤드레스트(90)를 후방으로 밀어주지 않게 되면, 이 때는 압축되었던 비틀림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제동부재(70)가 하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제동편(72)의 하단이 하향되어 후방에서 두번째 위치의 제동홈(22)에 걸어지게 되므로 헤드레스트(90)는 하나의 제동홈 간격만큼 후진되고 정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헤드레스트(90)를 하나의 제동홈(22) 간격만큼씩 후진 이동시켜 주거나, 또는 2 내지 3개의 간격으로도 이동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b)는 이렇게 이동된 헤드레스트(90)에 의해 제동편(72)이 제일 후방위치의 제동홈(22)에 걸어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90)를 원위치로 전진 이동시켜 주고져 할 때에는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30)를 후진방향으로 더 밀어주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동편(72)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동핀(74)이 해제경사면(23)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제동부재(70)는 몸체(71)를 축으로 하여 상향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동편(72)의 하단이 상향되어 제동홈(2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므로, 가동부재(30)는 제동편(72)에 의한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동핀(74)이 해제부(23)의 후단위치에 도달하면, 제동편(72)에 착설된 비틀림스프링(50)의 후단은 이 제동편 몸체(71)의 수평 중심선상보다 조금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틀림스프링(50)의 탄발방향이 상향 변동되어 제동부재(70)를 상방향으로 탄발시켜 주게 되므로, 이 제동부재는 회동제어공(34)의 상단에 접촉되어 그 상태에서 정지되고, 동시에 가동부재(30)는 이 제동부재에 의한 제동상태에서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헤드레스트(90)는 더 이상 후진되지 않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밀어주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이 때는 가동부재(30)의 후진으로 늘어나 있는 인장 스프링(40)의 수축력에 의해 이 가동부재가 당겨져 원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d)는, 가동부재(30)가 전진되는 과정에서 복원돌기(24)가 제동부재(70)를 하향 회동시켜 주게 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즉, 가동부재(30)의 전진으로 연동핀(74)이 복원돌기(24)의 후단 저면에 도달하게 되면 이 복원돌기의 저면에 걸어지게 되는데, 이 복원돌기는 전방을 향해 적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재(30)가 계속 전진되면 연동핀(74)이 복원돌기(24)의 경사진 저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제동부재(70)는 하향 회동 된다.
이렇게 되어 연동핀(74)이 몸체(71)의 수평 중심선상을 지나 하향하게 되면, 이때부터는 비틀림스프링(50)의 탄발력 방향이 하향 변동되어 제동부재(70)를 하향으로 탄발시켜 주게 되고, 동시에 가동부재(30)는 완전히 전진되므로 모든 상태는 제2도 (a)에서와 같이 초기 상태로 원위치되며, 헤드레스트(90)는 제4도의 실선과 같이 전진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장치는, 가동부재의 일측 로드에 제동부재가 결합 설치되고, 제1지지부재에는 제동홈들과 해제부 및 복원돌기들이 단일체로 형성되며, 가동부재의 전·후진 이동을 제어하여 주게 되는 제동부재는 연동핀이 착설된 단일체로 형성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대폭 감소됨은 물론, 이런 점들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됨은 물론 각 부품의 연결부분도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고장발생율도 저하되므로 그 수명의 단축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3)

  1.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쪽에 고정 착설되는 제 1,2 지지부재(20)(20')에 양측로드(31)(31')가 지지되게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30)와, 이 가동부재를 전진 방향으로 당겨주게 장착되는 인장 스프링(40)과, 상기 일측로드(31)에 하단 일부가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회동제어공(34)에 결합되어 비틀림스프링(50)에 의해 탄발회동되게 축착되며 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20)의 내면에 형성된 제동홈(22)들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가동부재(30)의 전·후진 이동을 제동시켜주게 되고 외측면에는 이 제1지지부재 내면의 해당 위치에 격리형성된 제동상태의 해제경사면(23)과 복원돌기(24)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연동핀(740이 착설된 제동부재(70)들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동홈(22)들은 제1지지부재(20) 내면 하부의 전단부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해제경사면(230은 후단위치의 제동홈(22) 후단 내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복원돌기(24)는 제동홈(22)들이 설치된 부위의 중간 상측에 위치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동제어공(34)은 부채꼴 형상으로 뚫어 설치되고, 그 이 제어공의 꼭지점 위치에는 원형의 결합공(330이 설치되며, 제동부재(70)의 몸체(71)는 상기 결합공(33)에 결합되게 원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2019960011400U 1996-05-10 1996-05-1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0130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400U KR0130416Y1 (ko) 1996-05-10 1996-05-1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400U KR0130416Y1 (ko) 1996-05-10 1996-05-1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85U KR970061485U (ko) 1997-12-10
KR0130416Y1 true KR0130416Y1 (ko) 1999-02-18

Family

ID=1945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400U KR0130416Y1 (ko) 1996-05-10 1996-05-1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73B1 (ko) * 2009-08-11 2010-08-31 주식회사 대한 헤드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73B1 (ko) * 2009-08-11 2010-08-31 주식회사 대한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8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558A (en) Seat lock mechanism
KR10098279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6302483B1 (en) Revolving seat, in particular for a rail vehicle
JPS6144485B2 (ko)
US10524575B2 (en) Furniture member with foldable pawl and ratchet assembly
US2970862A (en) Safety vehicle seat mechanism
KR101031065B1 (ko) 주차 브레이크에서의 케이블 장력 자동 조정 장치 및 이를이용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
WO2002030701A1 (en) Vehicle seating system having chuck reducing apparatus
EP0609130A1 (fr) Siège de véhicule enlevable et réglable en position
KR0130416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US5362124A (en) Seat locking and adjustment mechanism
GB2428190A (en) Locking mechanism for castor
CN109484261B (zh) 用于车辆的安全座椅
KR013558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102038933B1 (ko) 차량용 시트
US20110175419A1 (en) Linear latch with spring biased adjustment bar for use with an upper rear pivoting seat back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JP3142293B2 (ja) 2支柱式台の構成
KR100229441B1 (ko) 자동차용 이동식 헤드레스트
JP68223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FR2801851A1 (fr) Siege regl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1030125A (ja) コイルスプリング圧縮装置
KR100376071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US3527438A (en) Manually operable vehicle seat adjuster
US2556006A (en) Automobile bumper guard for vehicle j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