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34Y1 -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34Y1
KR0130334Y1 KR2019950050513U KR19950050513U KR0130334Y1 KR 0130334 Y1 KR0130334 Y1 KR 0130334Y1 KR 2019950050513 U KR2019950050513 U KR 2019950050513U KR 19950050513 U KR19950050513 U KR 19950050513U KR 0130334 Y1 KR0130334 Y1 KR 0130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ate
redundant
transmitter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905U (ko
Inventor
이학묵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50050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34Y1/ko
Publication of KR9700479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9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중앙 데이타 링크가 공간분할 스위치측으로 이중화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이중화 데이타를 손실없이 선택 수신하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는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측에 장애가 발생되어 A 데이타 또는 B 데이타의 상태가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변동되는 경우 정상적인 데이타를 번갈아 가며 선택 출력하는데,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번갈아 가며 데이타를 선택 출력할 때 데이타를 유실하게 되어 통화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중화된 데이타 발신장치측에 장애가 발생되어 인가되는 이중화 데이타의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경우 데이타의 유실없이 정상적인 데이타를 선택하여 수신하므로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제1도는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송수신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3도는 종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의 동작 진리표.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 데이타 송수신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의 동작 진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데이타 발신장치 20a, 20b : PLL
50a, 50b :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41, 52, 56 : 인버터
53, 54 : 노어게이트 55 : JK플립플롭
본 고안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 데이타 링크가 공간분할 스위치측으로 이중화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이중화 데이타를 손실없이 선택 수신하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를 선택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에서는 각 구성 요소들을 이중화 시켜, 구성 요소 중의 하나에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다른 구성요소로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전자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대한 호연결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중앙 데이타 링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공간분할 스위치가 수신하여 처리하는데, 중앙 데이타 링크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타 발신장치는 이중화되어 있어, 이중화된 각 데이타 발신장치가 데이타를 송출함으로써 이중화된 데이타를 송출한다. 또한, 공간분할 스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는 이중화되어 있어, 이중화된 각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가 데이타 발신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이중화 데이타를 선택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송수신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데이타 링크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 및 다수의 PLL(20a, 20b)와 공간분할 스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PLL(20a)은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안정된 클럭을 데이타 발신장치(20b)측에 인가한다. 한편, 데이타 발신장치(10a)는 인가받은 A데이타를 PLL(20a)로부터 인가된 클럭에 따라 처리하여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측으로 출력하며, 데이타 발신장치(10b)는 인가받은 B데이타를 PLL(20b)로부터 인가된 클럭에 따라 처리하여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측으로 출력한다. 데이타 선택 수신 장치(30a)는 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데이타와 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수신하여, 해당 A데이타와 B데이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b)는 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데이타와 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데이타를 수신하여, 해당 A데이타와 B데이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의 각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인버터(31∼33), 다수의 앤드게이트(34∼38) 및 다수의 오어게이트(39, 40)로 연결 구성되고, 제3도에 도시된 진리표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A데이타 및 B데이타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L(로우레벨) 상태로 인가되고,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H(하이레벨) 상태로 인가된다.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는 A데이타와 B데이타가 모두 L 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A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A데이타가 L상태로 인가됨과 동시에 B데이타가 H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A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A데이타가 H상태로 인가됨과 동시에 B데이타가 L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B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A데이타와 B데이타 모두가 H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상태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즉, 데이타 선택 수진장치(30a, 30b)는 A데이타와 B데이타 모두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A데이타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A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런데, A 데이타를 송신하는 데이타 발신장치(10a)측에 장애가 발생되거나 실장 또는 탈장되는 등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A 데이타의 상태가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변동되면,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도 A 데이타와 B 데이타를 반복적으로 번갈아 가며 선택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30a, 30b)는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측에 장애가 발생되어 A 데이타 또는 B 데이타의 상태가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변동되는 경우 정상적인 데이타를 번갈아 가며 선택 출력하는데,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번갈아 가며 데이타를 선택 출력할 때 데이타를 유실하게 되어 통화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화된 데이타 발신장치측에 장애가 발생되어 인가되는 이중화 데이타의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경우 데이타의 유실없이 정상적인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화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데이타 발신장치로 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인버터와; 제2데이타 발신장치로 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인버터와; 상기 제1인버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2데이타 발신장치로 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논리합 한 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노어게이트와; 상기 제2인버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1데이타 발신장치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를 논리합 한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노어게이트와; 상기 제1노어게이트로부터 제1입력단에 데이타를 인가받고, 상기 제2노어게이트로부터 제2입력단에 데이타를 인가받아,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동작하여 출력단을 통해 A 데이타를 출력하는 JK 플립플롭과; 상기 JK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A 데이타를 반전시켜 B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3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송수신장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데이타 링크에 구비되는 다수의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 및 다수의 PLL(20a, 20b)와, 공간분할 스위치에 구비되는 다수의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PLL(20a)은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안정된 클럭을 데이타 발신장치(10a)측에 인가하고, PLL(20b)은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안정된 클럭을 데이타 발신장치(20b) 측에 인가한다. 한편, 데이타 발신장치(10a)는 인가받은 A 데이타를 PLL(20a)로부터 인가된 클럭에 따라 처리하여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측으로 출력하며, 데이타 발신장치(10b)는 인가받은 B 데이타를 PLL(20b)로부터 인가된 클럭에 따라 처리하여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측으로 출력한다.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는 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와 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수신하여, 해당 A 데이타와 B 데이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b)는 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와 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수신하여, 해당 A 데이타와 B 데이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한편,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의 각각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인버터(51, 52, 56), 다수의 노어게이트(53, 54) 및 JK플립플롭(55)으로 연결 구성된다. 인버터(51)는 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를 반전시켜 노어게이트(53)측으로 출력하고, 인버터(52)는 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반전시켜 노어게이트(54) 측으로 출력한다. 노어게이트(53)는 인버터(5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와 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논리합 한후 반전시켜 JK플립플롭(55)의 입력단(J)측으로 출력하고, 노어게이트(54)는 인버터(52)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와 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를 논리합 한 후 반전시켜 JK플립플롭(55)의 입력단(K)측으로 출력한다. JK플립플롭(55)은 노어게이트(53)로부터 입력단(J)에 데이타를 인가받고, 노어게이트(54)로부터 입력단(K)에 데이타를 인가받아,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출력단(O)을 통해 A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또한, 인버터(56)는 JK플립플롭(55)으로부터 출력되는 A 데이타를 반전시켜 B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는 제6도의 진리표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A 데이타와 B 데이타는 정상적인 경우 L(로우레벨) 상태로 인가되고,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H(하이레벨) 상태로 인가된다. 진리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는 A 데이타와 B 데이타 모두가 L 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이전 상태의 출력을 유지하고, A 데이타가 L 상태로 인가됨과 동시에 B 데이타가 H 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A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A 데이타가 H 상태로 인가됨과 동시에 B 데이타가 L 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B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A 데이타와 B 데이타 모두가 H 상태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이전 상태의 출력을 유지한다.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는 데이타를 선택 수신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데이장치(10a, 10b)의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A 데이타 및 B 데이타가 모두 정상상태(L상태)이거나 비정상 상태(H상태)이면,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의 각각은 이전 상태의 출력을 유지한다. 또한,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로부터 전송되는 A 데이타와 B 데이타 중의 하나가 비정상 상태로 되면,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는 정상 상태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수신하는데, 예를 들어 A 데이타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B 데이타를 선택하여 수신하고, B 데이타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A 데이타를 선택하여 수신한다. 따라서,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 중의 하나에 장애가 발생되어 A 데이타와 B 데이타 중의 하나가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로 변동되더라도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는 이전에 선택 수신하던 데이타를 계속하여 출력하므로,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가 데이타 발신장치(10a, 10b)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와 B 데이타의 반복적인 상태 변화에 따라 데이타 수신을 변경하지 않게 되어 반복적인 선택 수신데이타의 변경에 기인한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발신장치(10a)가 탈장 및 실장되어 PLL(20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에 오류된 A 데이타가 전소되는 경우,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는 데이타 발신장치(10a)가 탈장되는 순간에 데이타 발신장치(10b)의 B 데이타를 선택하고 해당 B 데이타를 계속적으로 선택 수신함으로, 데이타 발신장치(10a)의 실탈장시에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50a, 50b)가 오류된 A 데이타를 선택 수신하지 않아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중화된 데이타 발신장치측에 장애가 발생되어 인가되는 이중화 데이티의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경우 데이타의 유실없이 정상적인 데이타를 선택하여 수신하므로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에 있어서, 제1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인버터(51)와; 제2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인버터(52)와; 상기 제1인버터(5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2데이타 발신장치(10b)로부터 인가되는 B 데이타를 논리합 한 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노어게이트(53)와; 상기 제2인버터(52)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1데이타 발신장치(10a)로부터 인가되는 A 데이타를 논리합 한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노어게이트(54)와; 상기 제1노어게이트(53)로부터 제1입력단(J)에 데이타를 인가받고, 상기 제2노어게이트(54)로부터 제2입력단(K)에 데이타를 인가받아,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동작하여 출력단(O)을 통해 A 데이타를 출력하는 JK플립플롭(55)과; 상기 JK플립플롭(55)으로부터 출력되는 A 데이타를 반전시켜 B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3인버터(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KR2019950050513U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KR0130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513U KR0130334Y1 (ko)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513U KR0130334Y1 (ko)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05U KR970047905U (ko) 1997-07-31
KR0130334Y1 true KR0130334Y1 (ko) 1998-12-01

Family

ID=1944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513U KR0130334Y1 (ko)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05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5742A (en) Nod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network
KR0159663B1 (ko) 광데이타 전송 이중화를 구현한 광데이타 전송장치
KR940020754A (ko) 최종 사용자 사이에서의 데이타 및 감독 신호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Emorgency local switching)
KR0130334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데이타 선택 수신장치
JPH047865B2 (ko)
KR1002255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이중화 장치
KR19980075969A (ko) 아이피시(ipc)경로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중화 장치
KR200301942Y1 (ko)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US5359599A (en) Interface for inserting a set of equipments interconnected by a telecommunication network into a management system for said equipments
EP0197930B1 (en) Arrangement for path selec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H0683512B2 (ja) ネットワ−ク構成
JP3059002B2 (ja) ルート切替装置
KR20010053924A (ko) 이중화시스템에서의 동기신호생성장치
KR0161152B1 (ko) 알에스 485 방식의 그로벌버스 중계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KR200193996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공간분할 스위치장치
KR10019743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 이중화 통신장치
EP0667058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a changeover of asynchronous clock signals
KR200167748Y1 (ko) 교환기의 클럭 송수신 시스템
KR960007581B1 (ko) 광수신부에서의 클럭 이중화 회로장치
KR20030041279A (ko)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KR0181117B1 (ko) 비-버스 입출력부에서 직접 메모리 접근부를 사용한 직렬통신 장치
KR200206030Y1 (ko)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JP2003008597A (ja) クロックパス切替方法
JPH02202137A (ja) ディジタル伝送路の切替システム
KR19990060525A (ko) 무선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