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03Y1 -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03Y1
KR0130303Y1 KR2019960018826U KR19960018826U KR0130303Y1 KR 0130303 Y1 KR0130303 Y1 KR 0130303Y1 KR 2019960018826 U KR2019960018826 U KR 2019960018826U KR 19960018826 U KR19960018826 U KR 19960018826U KR 0130303 Y1 KR0130303 Y1 KR 0130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ixed
flacon
stopp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8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599U (ko
Inventor
임태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8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03Y1/ko
Publication of KR980002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상자에 담겨져 있던 자재가 작업장 바닥으로 쏟아져 부품이 파손된다든지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플라콘의 출구측 끝단에는 결합부와 고정부와 저지부로 된 저지구를 설치하되 하기 결합부에는 플라콘이 삽입 고정되게 한 삽지공간과 상기 플라콘의 받침편과 플렌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결합부에 고정시켜 상기 받침부의 횡간에 볼트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저지부는 결합부의 상면에 결합시켜 상기 상자의 일측면이 걸리도록 한 것으로, 각종 자재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전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A의 요부확대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지구 설치상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저장대 B : 상자
10 : 받침대 20 : 플라콘
30 : 저지구 40 : 볼트
본 고안은 저장대의 출구측으로 저지부가 형성된 저지구를 설치함으로써 자재가 담겨진 상자의 낙하를 방지하여 자재가 파손되거나 작업장이 어지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 작업은 자동화되어 그 작업을 기계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이는 이송라인 위에서 각종 부품을 올려놓은 다음 분업화된 작업으로 조립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 라인 작업시 라인의 측면에 필요한 각종 자재를 쌓아 놓은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있는데, 그 자재들은 별도로 구비된 상자 내에 적치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상기 상자들을 한꺼번에 여러개 설치 보관할 수 있는 저장대를 구성함에 있어, 수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한 쌍의 측부와 다수개의 받침부를 배열하여 저장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저장대의 받침부를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하면서 각 받침부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상하로 이격 배열한 후 그 받침부의 양측단에 측부를 각각 세워 용접 결합하였으며,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측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개의 플라콘(placon)을 매설하여 상기 상자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고 있었다. 이때 상기 플라콘의 상부에는 수개의 롤러를 차례로 축설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었다. 아울러, 상기 저장대의 입구보다 출구쪽의 받침부가 약간 낮은 위치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상기 입구로 상자를 넣었을 때 받침부 자체가 경사진 상태이므로, 별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출구쪽으로 보낼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저장대의 이면에는 수개의 다리가 돌출 형성되어 있었다. 그 다리는 상기 저장대를 지면에서 이격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저장대를 여러개 겹쳐 쌓을 때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서 상기 상자에 자재를 채워넣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와 같이 형성된 수납공간의 입구측으로 자재가 적치된 상자를 넣게 되고, 그 상자를 밀어 반대쪽 출구로 빼낼 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상자의 이면은 받침부 표면으로 매설된 플라콘의 롤러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상자들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힘을 별로 들이지 않고도 상자를 밀어 넣으면 출구쪽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있었다. 여기서, 상기 저장대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는 통상의 지게차로 저장대의 하부를 받친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예를들어, 보관장소에서 생산라인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등이다.
그렇지만, 상기의 구조에서 상기 상자를 수납공간의 입구로 밀어 넣을 때 그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상자가 후방의 출구로 이탈되어 바닥으로 낙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었다. 이에 상기 상자에 담겨져 있던 자재가 작업장 바닥으로 쏟아져 부품이 파손된다든지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그리하여 상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로 보강대나 수지레일을 설치하기도 했으나,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장대에 보관되는 자재 상자가 수납공간의 출구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구에 의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자의 낙하에 의한 자재가 쏟아지는 것을 막아 자재의 파손 및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콘의 출구측 끝단에는 결합부와 고정부와 저지부로 된 저지구를 설치하되 상기 결합부에는 플라콘이 삽입 고정되게 한 삽지공간과 상기 플라콘의 받침편과 플렌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결합부에 고정시켜 상기 받침부의 횡간에 볼트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저지부는 결합부의 상면에 결합시켜 상기 상자의 일측면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기술한다.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수개의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하여 받침부(10)와 측부(12)를 형성하면서 그 받침부(10)와 측부(12)를 조합하여 상자(B)의 수납공간(16)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부(10) 상면에는 수개의 롤러(26)가 길이 방향으로 축설된 플라콘(20)을 설치한다.
상기 플라콘(20)의 출구측 끝단에는 결합부(33)와 고정부(31)와 저지부(36)로 된 저지구(30)를 설치하되 상기 결합부(33)에는 플라콘(20)이 삽입 고정되게 한 삽지공간(34)과 상기 플라콘(20)의 받침편(22)과 플렌지(2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턱부(35)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31)에는 결합부(33)에 고정시켜 상기 받침부(10)의 횡간(14)에 볼트(40)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32)을 형성하며, 상기 저지부(36)는 상기 결합부(33)의 상면에 결합시켜 상기 상자(B)의 일측면이 걸리도록 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8)는 상기 저장대(R)의 이면으로 돌출 형성된 다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자동차의 자재를 상기 상자(B)에 적치한 후 그 상자(B)를 상기 저장대(R)에 형성한 수납공간(16)의 입구로 각각 밀어 넣은 다음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자(B)는 플라콘(20)의 끝단에 설치된 저지구(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자(B)를 보관하고 있다가 자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저장대(R)를 작업라인으로 끌고가 상기 상자(B)를 수납공간(16)의 출구측으로 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지구(30)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33)의 삽지공간(34)에는 플라콘(20)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다시말해, 그 플라콘(20)의 플렌지(24)와 받침편(22) 사이로 상기 저지구(30)의 단턱부(35)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저지구(30)의 고정부(31)를 상기 횡간(14)에 끼운 다음, 고정부(31)의 구멍(32)으로 볼트(40)를 끼워 상기 횡간(14)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저지구(30)는 횡간(14)에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6)의 입구로 상자(B)를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상자(B)의 밑면을 플라콘(20)의 롤러(26)와 접촉한 상태에서 미끌어지게 되고, 상기 상자(B)의 전면 부분이 상기 저지구(30)의 저지부(36)에 걸려 더 이상 수납공간(16)의 출구쪽으로 밀리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자(B)가 작업장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면, 그 상자(B)내의 자재가 작업장 바닥으로 흩어져 어지럽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대(R)에 각각의 상자(B)를 적치시켜 보관하고 있다가 라인작업에서 상자(B)에 담겨진 자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저장대(R)를 원하는 라인까지 이동시키게 되는데, 그 저장대(R)의 이면에 통상의 지개차의 받침 부분을 끼워 지상에서 이격시킨 후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저장대(R)를 원하는 라인 작업에 이동시키게 되면, 그 저장대(R)의 출구를 통해 상자(B)를 빼내어 그 내부에 저장된 자재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저장대(R)의 수납공간(16)에 보관되는 상자(B) 내의 자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저지구(30)의 저지부(36)에 걸려진 상자(B)의 부분을 약간 들어준 다음 상자(B)를 상기 수납공간(16)의 출구 방향으로 밀어 빼내 상기 상자(B)에 담겨진 자재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에 따르면, 자재가 가득 담겨진 상자를 보관시에는 저장대의 수납공간의 입구를 통해 상자를 넣어 보관하게 되고, 이때 그 상자가 수납공간의 출구를 통해 이탈 작업장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으로부터 저지구에 걸려지게 되므로 자재의 파손 및 작업장이 어지럽혀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

Claims (1)

  1. 받침부(10)와 측부(12)를 배열하여 수개의 수납공간(16)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받침부(10)에는 수개의 롤러(26)가 축설되면서 양측단에는 받침편(22)과 플렌지(24)가 형성된 플라콘(20)을 다수개 설치하여 된 자동차의 자재 저장대(R)에 있어서, 상기 플라콘(20)의 출구측 끝단에는 결합부(33)와 고정부(31)와 저지부(36)로 된 저지구(30)를 설치하되 상기 결합부(33)에는 플라콘(20)이 삽입 고정되게 한 삽지공간(34)과 상기 플라콘(20)의 받침편(22)과 플렌지(2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턱부(35)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31)에는 결합부(33)에 고정시켜 상기 받침부(10)의 횡간(14)에 볼트(40)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32)을 형성하며, 상기 저지부(36)는 상기 결합부(33)의 상면에 결합시켜 상기 상자(B)의 일측면이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KR2019960018826U 1996-06-29 1996-06-29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KR0130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8826U KR0130303Y1 (ko) 1996-06-29 1996-06-29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8826U KR0130303Y1 (ko) 1996-06-29 1996-06-29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99U KR980002599U (ko) 1998-03-30
KR0130303Y1 true KR0130303Y1 (ko) 1998-12-15

Family

ID=1946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8826U KR0130303Y1 (ko) 1996-06-29 1996-06-29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318B1 (ko) * 2008-01-10 2010-04-2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상자 적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318B1 (ko) * 2008-01-10 2010-04-2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상자 적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99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4368A (en) Universal pallet
CA2591504C (en) Cantilever pallet cart
US6641236B2 (en) Cabinet with drawer retainer/locking system
US20230031585A1 (en) Electric vehicle battery transportation container having shield sleeve
KR0130303Y1 (ko) 자재저장용 상자의 이탈방지구조
US5482426A (en) Pallet changing method
JPH0516942A (ja) 円筒形物体を輸送するためのパレツトと円筒形物体の中心チユーブを支持するホルダ
US6764269B1 (en) Frame apparatus mountable on a forklift
US10961017B2 (en) Crane mat stand device
US4287994A (en) Wedgable storage rack
US5779064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racking system
WO2019103167A1 (ko) 철판 코일 수송용 거치 장치
JP2008155921A (ja) 載置物品落下防止治具
US2896799A (en) Rack structure
EP2033902A1 (en) Pallet storage
KR100229142B1 (ko) 박스적치장치
JP2989071B2 (ja) 大型板ガラスの輸送用梱包具
RU252112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длинномер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JPH11157540A (ja) 運搬用パレット
JP3030341U (ja) 変圧器の収納保管装置
CA2277599A1 (en) Roll storage and transport rack
JP3216358U (ja) 工事規制標識収納運搬架台
KR0123968Y1 (ko) 제품의 운반 및 보관용 기구
JP4289572B2 (ja) 棚板
JP2002067965A (ja) 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