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246Y1 -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246Y1
KR0130246Y1 KR2019960021647U KR19960021647U KR0130246Y1 KR 0130246 Y1 KR0130246 Y1 KR 0130246Y1 KR 2019960021647 U KR2019960021647 U KR 2019960021647U KR 19960021647 U KR19960021647 U KR 19960021647U KR 0130246 Y1 KR0130246 Y1 KR 0130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ush
oil
crankshaft
scroll
scrol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625U (ko
Inventor
조경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21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246Y1/ko
Publication of KR980008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04C2240/56Bearing bushing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상기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아서 냉동기유 중에 냉매가 용해되면, 상기 냉매의 비중 보다 큰 냉동기유가 하부에 가라앉으므로 인해 기동시 급유불량과 전반적인 급유능력의 저하로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와 크랭크축 결합보스의 내주 사이에 윤활부족에 따른 록(lock)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서는 선회스크롤의 하단면에 형성된 크랭크축 결합보스와 접촉되는 원형의 외주연 또는 접촉부를 중심으로한 반원상의 외주연에 그물형 급유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시와 크랭크축 결합보스 사이의 윤활유로 작용을 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급유홈에 잔존하여 스크롤 압축기 자체의 급유불량 또는 급유능력 저하가 발생하여도 지속적으로 냉동기유를 보충함으로써, 기동시 급유불량과 전반적인 급유능력의 저하에 의한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와 크랭크축 결합보스의 내주 사이에 록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제1도는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슬라이드 부시의 결합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부분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슬라이드 부시와 크랭크 축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부시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드 부시 10a : 그물형 급유홈
10b : 편심핀 결합공
본 고안은 스크롤 압축기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연에 그물형 급유홈을 형성하여 냉동기유의 일부를 보존하도록 함으로써, 급유부족에 따른 그랭크축 결합보스와 슬라이드 부시 간에 급유부족에 의한 록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 본체(1)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 고정스크롤(2)과, 그 고정스크롤(2) 하부에 결합되는 선회스크롤(3)과, 그 선회스크롤(3)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4)과, 그 메인 프레임(4)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상기 선회스크롤(3)을 회전시키는 크랭크축(5)이 회전자(6)와 고정자(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2)은 메인 프레임(4)에 리이프 스프링 및 보울트로 고정되어 축 방향으로 순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3)은 하부에 설치된 올담링(8)에 의해 자전은 방지되면서 공전만 하도록 상기 회전자(6)와 고정자(7)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 축(5)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회스크롤(3)과 크랭크 축(5)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회스크롤(3)의 하측 중앙에 크랭크축 결합보스(3a)가 형성되고, 그 결합보스(3a)에 결합되는 크랭크 축(5)의 상단부에는 편심핀(5a)이 형성되며, 상기 선회스크롤(3)과 크랭크 축(5) 간의 선회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크랭크축 결합보스(3a)의 내측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부시(9)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시(9)는 그 내주연에 가변반경의 편심핀 삽입공(9a)이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축에는 절개된 모양의 급유홈(9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5b)는 급유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 부시는, 상기 크랭크 축(5)의 회전에 따라 편심핀(5a)이 슬라이드 부시(9)와 함께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그 슬라이드 부시(9)의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선회스크롤(3)이 공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급유로(5b)를 통해 흡상되는 냉동기유는 상기 급유로(5b)의 상단부, 즉 편심핀(5a)의 상단부에서 분출되어 상기 슬라이드 보스(9)의 급유홈(9b)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냉동기유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보스(9)의 외주와 크랭크축 결합보스(3a)의 내주 사이에 형성되는 습동면을 윤활시켜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아서 냉동기유 중에 냉매가 용해되면, 상기 냉매의 비중 보다 큰 냉동기유가 하부에 가라앉으므로 인해 기동시 급유불량과 전반적인 급유능력의 저하로 슬라이드 부시(9) 의 외주와 크랭크축 결합보스(3a)의 내주 사이에 윤활부족에 따른 록(lock)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압축기의 급유불량 또는 급유능력의 저하에도 상기 슬라이드 부시와 크랭크축 결합보스 사이에 충분한 윤활유를 제공하여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크랭크 축의 상단면에 형성된 편심핀과 결합되어 선회스크롤의 하단에 형성된 크랭크축 결합보스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연에 그물형 급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슬라이드 부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가 가변내경으로 관통되어 크랭크 축(5)의 상단면에 형성된 편심핀(5a)과 결합되고, 그 편심핀(5a)의 선회운동에 의해 선회스크롤(3)이 공전하도록 상기 선회스크롤(3)의 크랭크축 결합보스(3a)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시(10)의 외주연에 그물망 형상의 급유홈(10a)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편심핀 결합공(10b)이 형성된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시(10)는,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오일 프로펠러(미도시)의 회전으로 흡상되는 냉동기유가 급유로(5b)를 통해 상승되어 상기 편심핀(5a)의 상단면에 분출되면, 그 분출된 냉동기유는 상기 크랭크 축(5)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주연으로 벗어나려고 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시(1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그물형 급유홈(10a)으로 흘러들어 그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시(10)와 크랭크축 결합보스(3a)사이의 윤활작용을 하게 되고, 그 나머지는 상기 급유홈(10a)에 잔존하여 스크롤 압축기 자체의 급유불량 또는 급유능력 저하가 발생하여도 지속적으로 냉동기유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변형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일례에서는 상기 그물형 급유홈을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연 전체에 형성하는 것이나, 본 병형예에서는 고정스크롤(2)과 선회스크롤(3)의 랩(wrap)에 의해 형성된 압축실의 가스력이 작용하여 선회스크롤의 크랭크축 결합보스(3a)와 접촉이 발생되는 슬라이드 부시(10)의 접촉부위에만 그물형 급유홈(10a)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효과면에서는 전술한 일례와 대동소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는, 선회스크롤의 하단면에 형성된 크랭크축 결합보스와 접촉되는 원형의 외주연 또는 접촉부를 중심으로한 반원상의 외주연에 그물형 급유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시와 크랭크축 결합보스 사이의 윤활유로 작용을 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급유홈에 잔존하여 스크롤 압축기 자체의 급유불량 또는 급유능력 저하가 발생하여도 지속적으로 냉동기유를 보충함으로써, 기동시 급유불량과 전반적인 급유능력의 저하에의한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와 크랭크축 결합보스의 내주 사이에 록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크랭크 축의 편심핀과 결합되어 선회스크롤의 크랭크축 결합보스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시의 외주연에 그물형 급유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형 급유홈은 상기 크랭크축 결합보스와 슬라이드 부시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반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KR2019960021647U 1996-07-23 1996-07-23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KR0130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647U KR0130246Y1 (ko) 1996-07-23 1996-07-23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647U KR0130246Y1 (ko) 1996-07-23 1996-07-23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25U KR980008625U (ko) 1998-04-30
KR0130246Y1 true KR0130246Y1 (ko) 1999-01-15

Family

ID=1946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647U KR0130246Y1 (ko) 1996-07-23 1996-07-23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2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817A (zh) * 2022-06-24 2022-08-19 广东美的环境科技有限公司 曲轴用偏心滑块、涡旋压缩机及温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25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313B1 (ko) 스크롤 압축기
JP267531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0322268B1 (ko) 요동형로타리압축기
KR20050060338A (ko) 스크롤 압축기의 편심부시 축방향 상승방지장치
US5011384A (en) Slider block radial compliance mechanism for a scroll compressor
KR10053457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 부시
US5141422A (en) Scroll-type compressor having cooling and lubrication holes to various mechanisms
JP4189713B2 (ja) 冷媒圧縮装置
KR0130246Y1 (ko) 스크롤 압축기용 슬라이드 부시의 실링구조
US5885066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oil bores formed through the crank shaft
KR20050060347A (ko) 스크롤 압축기의 편심부시 스토퍼장치
JP442735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59194128A (ja) 冷凍機用圧縮機の軸受
JPH07217574A (ja) 圧縮機
JP610439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42181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0558814B1 (ko) 오일 배출 기능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의 편심부시
JP413478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681959B2 (ja) 横置式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JPH10288178A (ja) 密閉ローリングピストン形圧縮機
JPH02230993A (ja) スクロール型流体装置
KR10036023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 부쉬
KR10039077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급유구조
KR10023476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토출량 저감 및 윤활구조
JPH05113190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