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238Y1 - 리모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238Y1
KR0130238Y1 KR2019950050716U KR19950050716U KR0130238Y1 KR 0130238 Y1 KR0130238 Y1 KR 0130238Y1 KR 2019950050716 U KR2019950050716 U KR 2019950050716U KR 19950050716 U KR19950050716 U KR 19950050716U KR 0130238 Y1 KR0130238 Y1 KR 013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rol
remote control
key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515U (ko
Inventor
박만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50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238Y1/ko
Publication of KR970047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으로 동작하는 본체의 리모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교류전원을 변환한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리모콘을 충전할 수 있게하는 한편, 리모콘의 키이제어부와 본체의 마이컴을 연결시킴으로써 리모콘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용 직류전원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리모콘이 충전되는 동안에, 즉 리모콘이 본체와 연결되었을 때는 상기 리모콘의 콘트롤-키이를 이용하여 본체를 동작할 수 있게함으로써, 리모콘이 충전되는 기간 동안에도 리모콘의 콘트롤-키이로 본체를 동작할 수 있게 하여 리모콘으로 본체를 동작시킬수 없는 경우, 즉 리모콘의 충전시 본체에 부착된 로컬-키이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평상시에는 사용을 하지 않는 본체의 로컬-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게끔 한다.

Description

리모콘 충전장치
제1도는 종래 리모콘 총전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리모콘 충전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리모콘과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로서,
(a)는 전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리모콘
300 : 연결부 10 : 주전원
20 : 변환부 30 : 정류,평활부
40 : 마이컴 50 : 충전기
60 : 콘트롤-키이 70 : 키이 제어부
400 : 리모콘 장착기
본 고안은 리모콘으로 동작하는 본체의 리모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입력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리모콘의 충전기를 충전하며 리모콘의 일측에 로컬-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충전시에는 리모콘을 TV의 로컬-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는 리모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리모콘 충전장치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류 전원(DC)에 연결된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D), 전류제한저항(R1) 및 바이어스저항(R2)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와 연결된 전극(A)(B)을 통하여 직류전원(DC)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BAT)로 이루어진 리모콘(2)으로 구성된 것으로, 리모콘(2)이 본체(1)와 연결되면 본체 내부에 있는 충전용 직류전원(DC)이 다이오드(D)와 저항(R1)을 통하여 배터리(BAT)에 충전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리모콘 충전장치는 본체 내부에 리모콘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용 직류전원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리모콘이 충전되는 기간 동안 본체를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부착된 로컬-스위치를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므로, 이때는 본체의 로컬-스위치와 리모콘의 콘트롤-스위치가 중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교류 전원을 변환한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리모콘을 충전시키고, 리모콘이 충전되는 동안에, 즉 리모콘이 본체와 연결되었을 때는 리모콘의 콘트롤-키이를 이용하여 본체를 제어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리모콘 충전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전원(10)에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 교류전원(AC)을 변환하는 변환부(20)와, 변환된 교류전원(AC)을 다이오드(D11)를 통하여 정류하고, 평활콘덴서(C11)를 통하여 평활하여 직류전원(DC)을 생성하는 정류,평활부(30)와, 상기 정류,평활된 직류전원(DC)을 공급받아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4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충전기(BAT)(50)와 연결되어 콘트롤-키이(60)를 제어하는 키이 제어부(70)로 이루어진 리모콘(200)과, 상기 본체(100)의 직류전원(DC)을 상기 리모콘(200)의 충전기(BAT)(50)와 연결하는 전극단자(A)(B)와 본체(100)의 마이컴(40)과 리모콘(200)의 키이 제어부(70)를 연결하는 커넥터(CNT)로 이루어진 연결부(30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리모콘과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로서,(a)는 전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입력 교류전원(AC)은 TV의 주전원(10)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이와 병렬로 연결된 변환부(20)에서 강압된 후 정류,평활부(30)의 다이오드(D11)에서 정류되고 콘덴서(C11)를 통하여 평활됨으로써 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직류전원(DC)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40)에 공급되는 한편, 전류제한저항(R11)을 거쳐 리모콘(200)과 연결되는 연결부(300)의 전극단자(A),(B)에 공급된다.
이때, 제3도의 (a)에 도시된 리모콘 장착기(400)를 통해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모콘(200)을 본체(100)와 연결되고 이에따라 변환된 직류전원(DC)이 연결부(300)의 전극단자(A)(b)를 통하여 리모콘(200)의 충전기를(50)를 충전시키게 된다.
또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콘트롤-키이(60)를 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키이제어부(70)에서 제어신호(CS)를 발생하게 되고 이 제어신호(CS)는 연결부(400)의 커넥터(CNT)를 통하여 본체(200)의 마이컴(3)으로 공급됨에 따라 본체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교류전원을 변환한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리모콘을 충전시킴으로써 리모콘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용 직류전원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리모콘이 충전되는 동안에, 즉 리모콘이 본체와 연결되었을 때는 상기 리모콘의 콘트롤-키이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게함으로써, 리모콘이 충전되는 기간 동안에도 리모콘의 콘트롤-키이로 본체를 동작할 수 있게 하여 리모콘으로 본체를 동작시킬 수 없는 경우, 즉 리모콘의 충전시 본체에 부착된 로컬-키이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평상시에는 사용을 하지 않는 본체의 로컬-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게끔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류전원을 강압하는 변환부와,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류, 평활하는 정류/평활부와, 상기 정류/평활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한 본체와; 총전기와, 콘트롤-키이에 연결되어 이 콘트롤-키이를 제어하는 키이제어부로 이루어진 리모콘과; 상기 본체의 직류전원을 상기 리모콘의 충전기에 공급하는 전극단자와, 리모콘의 콘트롤-키이의 조작에 따른 키이제어부에 의한 제어신호를 본체의 마이컴에 전달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진 연결부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충전장치.
KR2019950050716U 1995-12-28 1995-12-28 리모콘 충전장치 KR013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716U KR0130238Y1 (ko) 1995-12-28 1995-12-28 리모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716U KR0130238Y1 (ko) 1995-12-28 1995-12-28 리모콘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15U KR970047515U (ko) 1997-07-31
KR0130238Y1 true KR0130238Y1 (ko) 1999-04-15

Family

ID=1944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716U KR0130238Y1 (ko) 1995-12-28 1995-12-28 리모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2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15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4048B2 (en) Power supply capable of AC and DC input utilizing winding of transformer as boost inductor
CA2011563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RU97100480A (ru) Схема подач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видеодисплея
US6208118B1 (en) Far-distance remotely controllable rectifier with back-up battery
US4510419A (en) Grip-type photographic flash discharge device
US5872445A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low internal power consumption and electronic appliances using said power supply device
JP2840850B2 (ja) スイッチング型電源
KR0130238Y1 (ko) 리모콘 충전장치
JP347232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H11215814A (ja) スイッチングモード電源供給装置
WO2015114780A1 (ja) キャパシタインプット形平滑回路
KR0139935Y1 (ko) 직류/교류전원공용의 배터리충전장치
KR01656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리모콘 충전장치
JP333422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200425205Y1 (ko) 직류-교류 겸용 단말기 충전 회로
JPH10262347A (ja) バックアップ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8126311A (ja) 電源装置
JPH051962Y2 (ko)
JP2690185B2 (ja) 電源回路
JPH08264207A (ja) Acアダプタ兼充電装置
KR940005556Y1 (ko) 충전용 전원 공급장치
JPH0795496A (ja) 電源装置
JPS603643Y2 (ja) 電源回路
JPS5855703Y2 (ja) 水平発振開始用電源装置
KR920008830Y1 (ko) 충전가능한 착탈식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