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088Y1 - 릴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릴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088Y1
KR0130088Y1 KR2019940014319U KR19940014319U KR0130088Y1 KR 0130088 Y1 KR0130088 Y1 KR 0130088Y1 KR 2019940014319 U KR2019940014319 U KR 2019940014319U KR 19940014319 U KR19940014319 U KR 19940014319U KR 0130088 Y1 KR0130088 Y1 KR 0130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magnetic recording
braking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872U (ko
Inventor
김주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4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088Y1/ko
Publication of KR960002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자기테이프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회전을 제공하기 위한 릴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릴을 필요에 따라 강한 제동력 또는 약한 제동력으로 제동할 수 있는 릴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는 제자리회전가능케 구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고정되고 약한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접촉부, 상기 몸통부에 고정되고 강한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접촉부 및 상기 몸통부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몸통부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를 사용하면 릴을 제동하기 위한 장치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릴제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의 동작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의 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 11 : 릴의 제1원주면
12 : 릴의 제2원주면 13 : 요철
20 : 릴제동부재 21 : 몸통부
22 : 제1접촉부 23 : 제2접촉부
24 : 레버 25 : 단턱
31 : 모터 33 : 제1기어
35 : 제3기어 36 : 캠홈
38 : 슬라이더 39 : 슬라이더의 종동절
40 : 레버단턱결합홈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자기테이프 공·수급릴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릴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저장매체를 자기기록재생장치에 로딩(Loading)할 경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의 회전관성력에 의해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저장매체가 필요이상으로 많이 풀려 느슨해지게 된다. 또한, 자기기록재생장치가 재생동작(Play), 고속정회전(Fast Forward), 되감기(Rewind) 등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멈출 경우 역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회전관성력에 의해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저장매체가 필요이상으로 많이 풀려 느슨해지게 된다. 특히, 자기기록재생장치가 고속정회전 또는 되감기동작 기능을 수행할 경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회전관성력은 매우 크기 때문에 그 기능을 수행하다가 멈출 경우, 자기기록저장매체가 풀려지는 량은 자기기록저장매체를 로딩할 때 보다 훨씬 더 많아지게 된다.
이와같은 경우, 자기기록저장매체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제동장치는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회전관성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이 사용된다. 다시 설명하면, 자기기록재생장치가 로딩동작을 수행할 경우, 그 동작 완료시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제동력을 갖는 제동장치가 사용되고, 고속정회전동작 또는 되감기기능을 수행하다가 멈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제동력을 갖는 제동장치가 사용된다.
즉, 종래에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의 제동장치로 강한 제동력을 갖는 제동장치와 약한 제동력을 갖는 제동장치가 따로 분리 구성되어 사용되었다. 이로인해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됨으로 인해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내부공간이 릴제동장치의 설치에 많이 할애됨으로 인해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줄어든다는 단점도 더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하나의 제동장치로서도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또는 수급릴을 필요에 따라 강하게 제동하거나 약하게 제동할 수 있는 릴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기기록저장매체를 공급하고 수급하기 위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회전릴을 소정의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릴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어느 일측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에 접촉되어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을 상대적으로 작은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제1접촉부와 상기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에 접촉되어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을 상대적으로 큰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제2접촉부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끝단에는 소정의 홈에 결합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브레이크부재 : 및 상기 브레이크부재를 필요에 따라 소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제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데크(DECK)(1)에는 릴(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릴(10)은 회전하면서 자기기록저장매체를 소정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 릴(10)은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원주면(11,12)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두 원주면들중 그 직경이 작은 제1원주면(11)은 그 표면이 비교적 매끈하게 구성되어져 있고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원주면(12)에는 요철(13)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13)들은 물론 릴(10)이 강한 제동력을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요철(13)들은 기어(Gear)로 성형하여도 된다.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데크(1)에는 필요에 따라 릴(10)을 제동하기 위한 릴제동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제동부재(20)는 제자리회전가능하다. 이 릴제동부재(20)는 데크(1)에 제자리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몸통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통부(21)에는 제1접촉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접촉부(22)는 몸통부(21)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릴(10)의 제1원주면(11)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즉, 제1접촉부(22)는 릴(10)을 상대적으로 약한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 몸통부(21)에는 제2접촉부(23)도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접촉부(23)의 끝단은 릴(10)의 제2원주면(12)의 요철(13)에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이 적당하다. 제2접촉부(23)는 몸통부(21)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릴(10)의 제2원주면(12)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즉, 제2접촉부(23)는 릴(10)을 상대적으로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 몸통부(21)는 레버(24)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24)의 끝단부에는 단턱(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24)는 몸통부(21)를 탄력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이 레버(24)의 끝단부가 소정장치에 의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 되면 몸통부(21)는 힘을 받는 방향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이 몸통부(2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접촉부(22)와 제2접촉부(23)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10)의 원주면에 제1접촉부(22) 또는 제2접촉부(23)를 접촉시킬 수 있게 되고, 릴(10)의 회전관성력의 크기에 따라 거기에 알맞는 제동력으로 릴(10)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레버(24)의 끝단이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1접촉부(22)가 릴(10)의 제1원주면(11)에 접촉되게 된다. 그러면, 릴(10)은 약한 제동력을 받게 된다. 레버(24)의 끝단이 왼쪽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2접촉부(23)가 릴(10)의 제2원주면(12)에 접촉되게 된다. 그러면, 릴(10)은 강한 제동력을 받게 된다. 레버(24)에 미치는 힘의 작용관계는 제3도 설명시에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의 동작상태도로서, 서로 다른 동작상태의 예를 제2(a)∼제2(c)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2(a)도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자기기록저장매체가 로딩된 초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24)는 오른쪽으로 힘(F)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릴제동부재(20)의 몸통부(2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접촉부(22)는 릴(10)의 제1원주면(11)에 접촉되어 있다. 즉, 릴(10)은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의 약한 제동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제2접촉부(23)는 릴(10)의 제2원주면(12)과 떨어져 있다.
제2(b)도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재생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24)에는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고, 제1접촉부(22), 제2접촉부(23) 모두 릴(10)의 각 원주면과 떨어져 있다. 즉, 자기기록재생장치가 재생동작을 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제2(c)도는 자기기록재생장치가 고속정회전 또는 되감기동작기능을 수행하다가 멈춘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24)는 왼쪽으로 힘(F)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릴제동부재(20)의 몸통부(21)에 연결되어 있는 제2접촉부(23)는 릴(10)의 제2원주면(12)에 접촉되어 있다. 즉, 릴(10)은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의 강한 제동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제1접촉부(22)는 릴(10)의 제1원주면(11)과는 떨어져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는 단순히 레버(24)에 소정방향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선택적으로 강한 힘 또는 약한 힘의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의 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데크(1)에는 모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31)의 회전축(32)에는 제1기어(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기어(33)는 웜기어(Worm Gear)가 적당하다. 이 제1기어(33)의 측면에는 제2기어(34)가 설치되어 있다. 제2기어(34)는 제1기어(33)에 물려있고 제자리회전가능하다. 제2기어(34)는 제1기어(33)의 회전력을 제2기어(34)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3기어(3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1기어(33)가 제3기어(35)에 직접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3기어(35) 역시 제자리회전가능하다. 이 제3기어(35)의 상면에는 소정경로를 갖는 캠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36)은 제3기어(35)의 회전중심(37)에서 곡률반경이 서서히 변하는 폐곡선 형태의 경로를 갖게 하는 것이 좋다. 이 제3기어(35)의 윗쪽에는 좌·우 이동가능한 슬라이더(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38)의 하면의 일측에는 제3기어(35)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경로의 홈(36)에 결합되는 종동절(3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절(39)로는 제자리회전가능한 핀형상이 적당하다. 이 슬라이더(38)의 상면에는 레버(24)의 단턱(25)이 결합되는 레버단턱결합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0)의 좌·우 폭은 릴제동부재(20)의 회전각도와 제동력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 홈(36)의 좌·우 폭은 레버(24)의 단턱(25)의 좌·우 폭보다는 커야 한다.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데크(1)에는 슬라이더(38)에 의해 작동되는 릴제동부재(20)가 제자리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0은 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릴제동부재(20)와 릴(10)은 제1도 설명에서와 동일하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에서 모터(31)에 의해 제1기어(33)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려 있는 제2기어(34)도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3기어(35)는 제2기어(3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3기어(35)의 회전중심(37)과 슬라이더(38)의 종동절(39)이 결합되어 있는 캠홈(36)까지 거리는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8)는 일정거리만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제3기어(3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38)가 왼쪽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더(38)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단턱결합홈(40)의 오른쪽 측벽에 의해 레버(24)의 끝단은 왼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면, 릴제동부재(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릴제동부재(20)의 제1접촉부(22)는 릴(10)의 제1원주면(11)에 접촉되게 된다. 그러면, 릴(10)은 약한 제동력을 받게 된다.
제3기어(3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38)가 중립의 위치에 오면 릴제동부재(20)는 원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릴제동부재(20)의 제1접촉부(22)와 제2접촉부(23)의 어느것도 릴(10)과는 접촉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릴(10)은 아무런 제동력도 받지 않는 상태가 되고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된다.
제3기어(3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38)가 오른쪽으로 이동되게 되면 슬라이더(38)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단턱결합홈(40)의 왼쪽측벽에 의해 레버(24)의 끝단은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면, 릴제동부재(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릴제동부재(20)의 제2접촉부(23)는 릴(10)의 제2원주면(12)에 접촉되게 된다. 그러면, 릴(10)은 강한 제동력을 받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릴제동장치를 사용하면,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을 제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전체구조도 상대적으로 단순해진다. 뿐만아니라,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기능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종래의 것보다 더 많이 제공해 준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자기기록저장매체를 공급하고 수급하기 위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회전릴을 소정의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릴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어느 일측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에 접촉되어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을 상대적으로 작은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제1접촉부와 상기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에 접촉되어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릴을 상대적으로 큰 제동력으로 제동하기 위한 제2접촉부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끝단에는 소정의 홈에 결합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브레이크부재 : 및 상기 브레이크부재를 필요에 따라 소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설치된 모터 :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 : 상기 웜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상면부에는 소정경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캠기어 : 및 상기 캠기어의 홈에 결합되는 종동절을 구비하여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브레이크부재의 레버의 단턱이 결합될 수 있는 단턱결합홈을 갖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제동장치.
KR2019940014319U 1994-06-20 1994-06-20 릴 제동장치 KR0130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319U KR0130088Y1 (ko) 1994-06-20 1994-06-20 릴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319U KR0130088Y1 (ko) 1994-06-20 1994-06-20 릴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872U KR960002872U (ko) 1996-01-22
KR0130088Y1 true KR0130088Y1 (ko) 1998-12-15

Family

ID=1938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319U KR0130088Y1 (ko) 1994-06-20 1994-06-20 릴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0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872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3832A (en) Single motor selective drive tape cartridge loading/unloading apparatus
KR0130088Y1 (ko) 릴 제동장치
JPH04307450A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ブレーキ駆動装置
US5299076A (en) Brake actuating device for tape recorder
KR930022312A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급제동장치
US4807065A (en) Apparatus for driving loading gears in a video cassette-tape recorder
US612213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KR94000687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3478860B2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走行案内装置
JPH0621063Y2 (ja) テ−プ走行装置におけるピンチロ−ラ駆動装置
JPH0528588Y2 (ko)
KR10023802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모터 결합구조
KR011951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인가장치
KR0181024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급제동장치
KR10018865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구동 변환장치
JPH03212840A (ja) テープレコーダのリール駆動装置
KR200153796Y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JP357146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ンション制御機構
KR0125940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고속감기 절환장치
KR930004024Y1 (ko) 로직형 카세트 데크의 정속주행장치
JPH045088Y2 (ko)
JP2563651Y2 (ja) テープレコーダなどの動作切換え装置
JPH02239453A (ja) ギア機構を用いたシーケンス制御機構
JPH01143049A (ja) ブレーキ装置
JPH0424301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小径回転ドラム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