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853Y1 -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 Google Patents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853Y1
KR0129853Y1 KR2019950028272U KR19950028272U KR0129853Y1 KR 0129853 Y1 KR0129853 Y1 KR 0129853Y1 KR 2019950028272 U KR2019950028272 U KR 2019950028272U KR 19950028272 U KR19950028272 U KR 19950028272U KR 0129853 Y1 KR0129853 Y1 KR 0129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road
reflector
road boundary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124U (ko
Inventor
김재광
Original Assignee
신녹수
주식회사고속도로보수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녹수, 주식회사고속도로보수공단 filed Critical 신녹수
Priority to KR2019950028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853Y1/ko
Publication of KR970018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94Traffic lines movable for reuse at different lo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는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사고나 도로의 보수공사 등으로 인한 차선의 일시적인 변경시 페인트를 사용하므로 사용후 다시 지울 때 잘 지워지지 않아 본래 차선의 상태로 만들 때 어려움이 있고 불명확한 차선으로 인한 차량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하며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차선을 명확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는 반사체삽지공, 반사판, 운반공이 구비되고 좌·우측에는 각각 돌기와 요구로 된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임.

Description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3도의 (a)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b)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4도의 (a)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사체삽지공 11 : 운반공
20 : 돌기 21 : 요구
30 : 철(凸)부 31 : 요(凹)부
40 : 고정핀공 41 : 배수구
42 : 접착제 100 : 반사체
200 : 반사판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는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이 용이하고 필요시 긴급하게 설치하며 또 해체가 용이한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은 고속도로 또는 일반도로등의 보수공사나 사고시 차량의 통행을 제한 또는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것인바, 식별이 극히 용이하고 어느정도의 충격에도 고정되어 있는 견고성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도로보수공사 등으로 인한 차선의 일시적인 변경시 페인트를 사용하여 임시 차선을 그려서 사용하거나 차량이 위로 통과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고무 등의 재질에 발광체가 부착된 차선표시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차량을 유도 또는 통제하였다.
그러나 페인트로 차선을 그리는 방법은 사용후 다시 본래 차선의 상태로 만들 때 잘 지워지지 않아 그 흔적이 남기 때문에 차량에 혼란을 줄뿐 아니라 페인트를 지우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과 장비가 필요하고, 발광체가 부착된 차선표시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놓는 방법은 특히 야간 및 우천시에는 식별이 어렵고 차량에 의해 차선에서 이탈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하며 식별력이 뛰어나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차선을 명확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는 반사체삽지공, 반사판, 운반공이 구비되고 좌·우측에는 연결수단이 구성되어 좌·우로 연속 연결되도록 돌기와 요구로 구비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상부에는 반사체삽지공(10), 반사판(200), 운반공(11)이 각각 구비되고, 좌·우측에는 각각 돌기(20)와 요구(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구(21)에는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공(40)이 돌설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수단(20,21)은 양 끝단이 각각 돌기(20)와 요구(21)로 되어 있고, 돌기(20)와 요구(21)의 평면형상이 폭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이고 서로 결합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다.
제3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로써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요구(21)에 돌설된 고정핀공(40)이 있고, 상기 고정핀공(40)의 윗면은 이와 연결되는 돌기(20)의 밑면과 접면된다.
반사체삽지공(10)은 상부에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에 반사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홈으로 되어 있다.
운반공(11)은 지면쪽의 원형 홈과 이 홈과 관통되고 원보다 작은 사각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배수구(41)는 길이 방향과 넓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 방향과 평행된 직사면체의 홈으로 되어 있다.
제4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횡단면도로써 양 끝단의 평면 형상이 폭과 같은 지름의 원형이고, 일단은 종단면이 ㄱ자 형상이고, 타단은 종단면이 ㄴ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ㄱ자형상과 ㄴ자형상이 수직으로 접면하는 부위에 평면 형상이 원형인 요(凹)부(31)와 철(凸)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을 설치하고자 할 때는 반사판이 부착되어 있고, 양 끝단에 돌기와 요구를 구비하며, 반사체를 착탈시킬 수 있는 반사체삽지공과 운반공 및 지면에 수분이 있을 때 배수역할을 하는 배수구를 구비한 레일을 운반공에 T자형 고리를 이용하여 설치 장소까지 운반 후 좌측 요구에 다른 레일의 우측 돌기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연속 연결하고, 곡선 도로에서는 돌기와 요구의 평면 형상이 원형임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돌기와 요구결합시에 일정한 간격의 틈이 생기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돌기와 요구 결합부를 구부려서 설치하고, 야간 및 우천시에 더욱 명확한 차선의 식별을 위하여 차량의 전조등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체를 반사체삽지공에 원하는 간격마다 설치한다. 특히, 영구설치시는 배수구에 접착체를 주입시켜 지면에 고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고나 보수공사 등으로 인한 차선의 일시적인 변경시 식별력이 뛰어나고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하며 회수시 도로에 흔적이 남지 않게하여 차선을 명확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2)

  1. 상부에는 반사체삽지공(10), 반사판(100), 운반공(11)이 구비되고, 좌·우측에는 각각 연결수단(20,21)이 구비된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수단(20,21)은 돌기(20)와 요구(21)로 구성된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KR2019950028272U 1995-10-10 1995-10-10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KR0129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272U KR0129853Y1 (ko) 1995-10-10 1995-10-10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272U KR0129853Y1 (ko) 1995-10-10 1995-10-10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24U KR970018124U (ko) 1997-05-23
KR0129853Y1 true KR0129853Y1 (ko) 1998-12-15

Family

ID=1942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272U KR0129853Y1 (ko) 1995-10-10 1995-10-10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8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68B1 (ko) * 2008-12-30 2009-11-05 영신산업 주식회사 차량진출입구 및 램프구간 경계지점용 시선 유도봉 및 이의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68B1 (ko) * 2008-12-30 2009-11-05 영신산업 주식회사 차량진출입구 및 램프구간 경계지점용 시선 유도봉 및 이의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24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1435A (en) Roadway delineator
US4298292A (en) Traffic delineator
KR0129853Y1 (ko) 도로경계 가변 표시레일
KR20120027785A (ko) 도로변 갓길의 가드레일용 접철식 상황안내판
US4985007A (en) Swimming lane marker system
KR100521419B1 (ko) 도로 안내 표지판의 조립구조
SI23220A (sl) Naprava za preprečevanje vožnje vozil v prepovedani smeri
GB2165873A (en) Reflective road markers
CN210031577U (zh) 一种埋设于路面的自发光交通标志线
DE202016106143U1 (de) Verkehrsleitvorrichtung, Leitsystem und Verwendung
KR200208861Y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용 안내표시구
KR100939536B1 (ko) 차선 표시구
EP1636427B1 (en) Roadside post
KR200343184Y1 (ko) 도로 안내 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CN214006773U (zh)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US20080072815A1 (en) Traffic Delineator with Signaling Device
JPS62160305A (ja) 道路路側の事故防止方法
CN210797350U (zh) 一种高速公路的轮廓标
KR100413131B1 (ko) 가드레일
KR20130141231A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200357276Y1 (ko) 교통안내표시판 체결클램프
KR200171788Y1 (ko) 벽면용 도로유지표지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585948B1 (ko) 도로 안내 표지판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