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76Y1 -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76Y1
KR0129776Y1 KR2019920017015U KR920017015U KR0129776Y1 KR 0129776 Y1 KR0129776 Y1 KR 0129776Y1 KR 2019920017015 U KR2019920017015 U KR 2019920017015U KR 920017015 U KR920017015 U KR 920017015U KR 0129776 Y1 KR0129776 Y1 KR 0129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iring
fixed arm
fixed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7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719U (ko
Inventor
이영화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20017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76Y1/ko
Publication of KR940008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는 기기본체에 고정된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대해 회전 및 상, 하운동하는 이동아암과, 상기 고정아암과 이동아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아암 및 이동아암 내부에 내장되는 배선을 결속하는 결속장치를 구비하는 배선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가, 상기 고정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 지지용 제1슬라이더 롤러와,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이동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 지지용 제2슬라이더 롤러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서 고정아암에 대해 회전 및 상, 하운동하는 이동아암이 회전 및 상, 하이동운동함에 있어 그 내부에 내장된 배선이 받는 응력을 전길이에 걸쳐 고루 분포 시킬수 있어 어느 한 부분에 응력집중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집중에 따른 배선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선장치
제1도는 종래 배선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배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성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발췌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아암 20 : 이동아암
30 : 연결부재 40 : 배선
50 : 결속장치 60, 70 : 제1, 2슬라이더 롤러
본 고안은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화기계 및 산업기계에 있어 상대운동이 있는 둘 이상의 부재 내부에 내장되는 배선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대운동이 있는 부재 내부에 배선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배선을 처리하여 왔다.
즉, 제1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아암(ARM)(1)(2)과, 상기 아암(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를 구비하는 기기에 있어 그 내부에 상기 아암(1)(2)를 각각 구동하는 배선(4)을 내장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배선(4)의 소정부위를 연결부재(3)의 상, 하단부에 각각 소정의 결속장치(5)에 의해 결속시킴으로써 배선을 내장시켜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선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4)을 연결부재(3)의 상, 하단부에 각각 결속장치(5)에 의해 결속시키는 것이어서 상기 아암(1)(2)이 회전운동 및 상, 하운동을 행함에 있어 상기 연결부재(3)의 상, 하단부에 결속된 배선(4) 사이에 심한 비틀림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바 이에 의해서는 배선의 피로에 의한 단락의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제2도에는 제1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아암(1')(2')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의 상, 하단부에 배선을 소정의 결속장치(5')에 의해 결속시키되 상기 연결부재(3')의 상, 하단부에 위치한 배선(4')을 3 내지 5회 나선방향으로 권선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 배선장치에 있어서는 어느정도 비틀림에 의한 배선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으나 완전히 해소시키지는 못하는 것이며 특히 아암이 상, 하운동 함에 있어서는 결속장치(5')에 의해 결속된 부위에 단락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배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틀림에 의한 피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아암이 상, 하운동함에 있어서도 결속부위에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기본체에 고정된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대해 회전하는 이동아암과, 상기 고정아암과 이동아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아암 및 이동아암 내부에 내장되는 배선을 결속하는 결속장치를 구비하는 배선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가, 상기 고정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지지용 제1슬라이더 롤러와,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이동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 지지용 제2슬라이더 롤러를 구비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아암에 대해 상기 이동아암이 회전운동하여도 연결부재 사이에 결속된 배선이 비틀림을 받지 않게되어 피로가 발생되지 않으며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일부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는, 기기본체(도시되지 않음)에는 고정아암(10)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아암(10)에 대해 회전운동하는 이동아암(20)은 소정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아암(10)과 이동아암(20) 내부에는 이들에 예컨대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40)이 설치되는 바, 상기 연결부재(30)의 상, 하단부에는 상기 배선(40)을 결속 시키기 위한 결속장치(5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결속장치(50)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고정아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지지용 제1슬라이더 롤러(60)와,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이동아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지지용 제2슬라이더 롤러(7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 2슬라이더 롤러(60)(70)는 제4도에 상세히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아암(10) 및 이동아암(2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며 그 상단부에 슬라이딩 홈(61)(71)이 마련된 돌출부(62)(72)를 가지는 지지대(63)(73)와, 상기 슬라이딩 홈(61)(71)에 삽입되어 회전운동하며 그 내면에 배선결속용 결속홈(64)(74)이 마련된 가이드 축(65)(75)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2슬라이더 롤러(60)(70)사이에 위치된 배선(40)은 나선 방향으로 3회 내지 5회 정도 권선함이 비틀림응력을 받을시 그 피로도가 저하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는, 상기 배선(40)을 결속하고 있는 제1, 2슬라이더 롤러(60)(70)가 상기 돌출부(62)(72)에 마련된 슬라이딩 홈(61)(71)에 대해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고정아암(10)에 대해 이동아암(20)이 회전 및 상, 하운동 할 때 비틀림을 배선의 길이방향으로 일부 배분시키고 양단의 구속을 해제시킴으로써 배선(40)의 응력을 배선(40)의 전 길이에 걸쳐 고루 분포 시킬 수 있다. 즉, 응력집중에 따른 배선(40)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에 의하면 고정아암에 대해 회전운동하는 이동아암이 회전운동함에 있어 그 내부에 내장된 배선이 받는 응력을 전길이에 걸쳐 고루 분포 시킬수 있어 어느 한 부분에 응력집중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집중에 따른 배선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은 전선이나 튜브를 그 내부에 사용하는 산업기기 및 각종 자동화 기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기기본체에 고정된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대해 회전운동하는 이동아암과, 상기 고정아암과 이동아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아암 및 이동아암 내부에 내장되는 배선을 결속하는 결속장치를 구비하는 배선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가, 상기 고정아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 지지용 제1슬라이더 롤러(60)와,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이동아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선 지지용 제2슬라이더 롤러(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슬라이더 롤러(60)(70)가, 상기 고정아암(10) 및 이동아암(2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며 그 상단부에 슬라이딩 홈(61)(71)이 마련된 돌출부(62)(72)를 가지는 지지대(63)(73)와, 상기 돌출부(62)(72)에 마련된 슬라이딩 홈(61)(71)에 삽입되어 회전운동하며 그 내면에 배선결속용 결속홈(64)(74)이 마련된 가이드 축(65)(75)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장치.
KR2019920017015U 1992-09-07 1992-09-07 배선장치 KR0129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7015U KR0129776Y1 (ko) 1992-09-07 1992-09-07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7015U KR0129776Y1 (ko) 1992-09-07 1992-09-07 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719U KR940008719U (ko) 1994-04-21
KR0129776Y1 true KR0129776Y1 (ko) 1998-12-15

Family

ID=1933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7015U KR0129776Y1 (ko) 1992-09-07 1992-09-07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719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97482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ケーブル処理装置
US7748503B2 (en) Cable fixing point for fastening at least one cable and elevator with at least one cable fixing point for at least one cable
KR0129776Y1 (ko) 배선장치
JP2962099B2 (ja) 回転式電線癖取り装置
JPH0324124B2 (ko)
FI914066A (fi) Anordning foer vaexelriktningstvinning
EP0289703A2 (de) Versorgungsleitungsanordnung für einen Roboter
DE3410637C2 (ko)
US5181591A (en) Arrangement for the electrical cables of an articulated robot arm
JPH0630386Y2 (ja) 産業用ロボットアームの配線処理装置
JPH08155880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ケーブル類処理装置
JP4635301B2 (ja) 産業用ロボット
KR102655240B1 (ko) 로봇용 관절 장치
JPH0748388Y2 (ja) 可動部のケーブル処理装置
DE69203180D1 (de) Reversierende Verseilvorrichtung.
JP3508181B2 (ja) 直交ロボット及び複合ケーブル
JP7430740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リンク式スライドドア、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0139929Y1 (ko) 로보트 아암의 케이블 지지장치
JP3545027B2 (ja) 撚線機及び撚り戻し具
JP4284409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
JP2733601B2 (ja) Sz撚りワイヤーシールド装置
KR0131582Y1 (ko) 선회축 회전장치
JPH0414955Y2 (ko)
JPS6246876A (ja) 線材の走行方向転換装置
KR200158749Y1 (ko) 수직 다관절 로봇 베이스의 케이블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