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99B1 -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99B1
KR0129499B1 KR1019930021898A KR930021898A KR0129499B1 KR 0129499 B1 KR0129499 B1 KR 0129499B1 KR 1019930021898 A KR1019930021898 A KR 1019930021898A KR 930021898 A KR930021898 A KR 930021898A KR 0129499 B1 KR0129499 B1 KR 012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polyolefin resin
polyolefin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526A (ko
Inventor
최길영
이재홍
송봉근
이성구
김상혁
김은호
임병연
Original Assignee
강박광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박광,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강박광
Priority to KR101993002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99B1/ko
Publication of KR95001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시 전처리 공정없이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30∼9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고무 10∼70 중량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0.1∼30중량부,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0.1∼30 중량부와 무기 충전재 0.1∼4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도장성 부여 방법에 비하여 플라즈마, 프라이머 등의 전처리 없이 직접 도장이 가능하며, 또한 도막 밀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자동차의 범퍼,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 도장을 필요로 하는 각종 산업 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극성기를 갖는 첨가제로서 두 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올리고머와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를 적정비율로 혼합사용하고, 무기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의 전처리없이 직접 도장이 가능하고 또한 도료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펠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또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각종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그 분자 구조중에 극성기 또는 반응성기가 전혀 없고, 또한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나쁘기 때문에 도장, 인쇄 등의 2차 가공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폴리올레핀계 성형폼의 표면에 상기와 같은 2차 가공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료, 잉크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키려는 여러 가지 표면처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 56-82825호, 소61-204239호 등에서는 인쇄에 대하여 화염처리, 코로나 방전처리가 행해지고 있지만, 이들 방법으로서는 성형폼의 형태가 제약을 받음과 함께 얻어진 표면활성의 지속성이 충분하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고, 더욱 사용하는 잉크도 한정되는 등의 결점이 있기 때문에, 이들 표면처리 방법은 도장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 도장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성형품의 표면을 크롬산-황산처리 또는 퍼클로로에틸렌 등에 의한 유기용매 처리 등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들 방법은 시약을 사용하는 것과 조작이 번거로워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결점이 있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한편, 도료에 있어서는 표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도료가 개발되었지만, 이 도료에는 하도용 수지질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과 프라이머를 필요로 하지 않는 1회 도장의 도료가 있지만, 전자의 방법에서는 프라이머가 고가이기 때문에 도장비가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고, 또 폴리올레핀과 도료와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아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 프라이머를 필요로 하지 않는 후자의 도료는 특수 도료이고 도막의 광택 및 내습성, 내가솔린성이 한정되는 어려움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친화성을 부여하기 위해 반응성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아크릴산, 초산비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공중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들 개질 폴리올레핀류의 성형품은 보통의 도료에 의한 도장은 불가능하고 그 물성도 본래의 폴리올레핀이 갖는 특성과 현저히 달라 실용화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 폴리올레핀의 도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폴리올레핀에 무수말레산 등을 그라프트 반응시킨 극성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 63-97655호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무수말레산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에틸렌-프로필넨 공중합체 고무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도료의 도장시에 전처리 공정으로 프라이머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필요로 하는 등 직접 도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 1-165641호, 평 1-182338호에서는 사슬이 긴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크릴레이트,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우 폴리프로필렌만을 기재로 사용하므로써 충격 강도가 떨어지며, 또한 원하는 만큼의 도막 밀착성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 55-3413호에는 아크릴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우 반응성기의 도입을 위하여 사용된 폴리스티렌 수지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기재인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나쁘며, 또한 원하는 만큼의 도막 밀착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 63-39950호에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가 첨가되어 용매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며, 또한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의 도막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 58-167626호에는 올레핀계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아민계 화합물과 유기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제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료와의 도막 밀착성이 우수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 61-215643호, 소 62-84142호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무기충전재와 카본 블랙 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우 도료의 도장시 플라즈마 처리 또는트리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로 처리하는 등 직접 도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 63-39945호, 소 63-38348호, 소 63-128045호에는 프로필렌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와 2-히드록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탈크와 각종 폴리에틸렌, 유기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조성물 역시 트리클로로에탄 등에 의한 세척 또는 프라이머 등의 전처리를 필요로 하며 직접 도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 63-122752호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탈크와 각종 안정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있으나, 이 조성물 역시 도장시 플라즈마에 의한 전처리를 필요로 하며 직접 도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장시 모든 전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접 도장이 가능한 방법을 검토한 결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고무 혼합물에, 두 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와,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무기 충전재를 적정 비율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직접 도장이 가능하고, 도막 밀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냄으로써 완성될 수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무극성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극성기를 갖는 첨가제와 무기충전재를 도입함으로써 플라즈마, 프라이머 처리 등의 전처리없이 직접 도장이 가능하고 또한 도막 밀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30∼9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고무 10∼70중량부, 수평균 분자량이 1,000∼4,000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0.1∼30중량부, 아크릴산메틸의 함량이 1~40중량%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0.1~30중량부 및 무기 충전재 0.1∼4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30∼9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40∼8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고무 10∼7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20∼60중량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0.1∼3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20중량부와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0.1∼3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20중량부와 무기 충전재 0.1∼4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35중량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30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수지 조성물의 인장강도와 굴곡강도 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90중량부보다 많이 함유되면, 충격강도와 도막 밀착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고무가 10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충격강도와 도막 밀착성이 나빠지며; 70중량부보다 많이 함유되면, 인장강도와 굴곡강도 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고무 혼합물의 도막 밀착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가 0.1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도막 밀착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30중량부보다 많이 함유되면,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도막 밀착성의 향상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가 0.1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도막 밀착성 향상에 대한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30중량부보다 많이 함유되면,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도막 밀착성에 영향을 미치는 무기 충전재가 0.1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도막 밀착성과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40중량부보다 많이 함유되면, 충격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테,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 단일 중합체가 사용되거나, 또한 상기한 α-올레핀 단일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량체와 2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0중량부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이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고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가 좋으며, 특히 프로필렌 함유량이 20∼90중량 , 100℃에서의 무니(Mooney)점도가 15∼100인 것이 좋다.
프로필렌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에서는 성형품의 표면 광택이 저하하고, 90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제조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생산성, 형태 등이 나쁘고, 취급하기 어려워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 무니 점도가 15미만 혹은 100을 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첨가하면, 분산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입자 크기가 아주 적거나 혹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얻어진 성형품의 물성이 불균일하여 좋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또 하나의 성분인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고 있는 올레핀계 올리고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 올리고머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로서, 수평균 분자량이 1,000∼4,000인 것으로, 이때 수평균 분자량이 2,000보다 작으면, 성형품의 장시간 보존시에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성형품 표면으로의 이행이 용이하여, 도막 밀착성의 재현성에 문제가 있고; 4,000보다 크면, 상용성이 좋지 않게 되어 원하는 만큼의 도막 밀착성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막 밀착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는, 아크릴산메틸의 함량이 1∼40중량%인 것으로, 아크릴산메틸의 함량이 1중량%보다 작으면, 도막 밀착성의 향상을 나타내지 못하며; 아크릴산 메틸의 함량이 40중량%보다 많으면, 공중합체의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재로 사용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합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또 하나의 성분인 무기 충전재로서는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티탄산칼륨, 탈크 등이 이용되며, 이들 중에서 탈크가 도막 밀착성의 향상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한 탈크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10μm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0.5μm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평균입자 크기가 10μm보다 크면,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필수 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고무,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와 탈크 각 성분을 리본 블랜더(Ribbon Blender)나 V형 볼렌더, 헨셀믹서(Henchel Mixer)등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압출기, 브라벤더 플라스티코더(Brabender Plastic order),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믹싱롤(mixing Roll), 니더(Kneader), 2축 압출기 등으로 혼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에틸렌 함량이 8중량%이고 용융지수가 10.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70중량부; 프로필렌 함량이 28중량%이고, 100℃에서의 무니점도가 88, 230℃에서의 용융지수가 0.4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 수산가가 45KOHmg/g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2500인 에틸렌계 올리고머디올 5중량부; 아크릴산메틸의 함량이 20중량%이고, 용융지수가 24g/10분인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5중량부와; 평균 입자 크기가 1μm인 탈크 3중량부를 헨셀믹서(Henchel Mixer)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3,000rpm으로 5분간 혼합하였다. 헨셀믹서로 혼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190∼230℃로 온도가 조절된 2축 압출기(L/D=13)를 사용하여 250rpm으로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 커팅(Strand cutting)방식으로 펠레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도료와의 도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븐에서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로 시험편(80×160×2mm)을 사출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시험편은 전처리 없이 2액형의 우레탄계 도료를 50μm의 두께로 도장하여 90℃에서 30분간 건조한 후 실온에서 48시간 방치하여 도장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시험편을 폭 1cm, 길이 15cm 로 절단한 후 인스트론 만능 시험기로 도막 박리강도(180℃ Peel Strength)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시험 온도 23℃,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는 50mm/분인 조건에서 행하고, 그 도막 밀착성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5]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펠렌 블록 공중합체 7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사원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계 올리고 머디올,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탈크의 배합량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9]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에틸렌 함량이 3중량%이고 용융지수가 18.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7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계 올리고머디올,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탈크의 배합량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용융지수가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계 올리고머디올,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탈크의 배합량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7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30 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탈크의 배합량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9]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7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계 올리고머디올,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탈크의 배합량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13]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7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계에 올리고머디올,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평균입자 크기가 각기 다른 탈크의 종류 및 배합량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16]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70중량부와; 프로필렌 함량이 27중량%이고 100℃에서의 무니점도가 70, 230℃에서의 용융지수가 0.7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계 올리고머디올,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탈크의 배합량이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하여 도막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도막 밀착성
[표 2]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도막 밀착성
[표 3]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도막 밀착성
[표 4]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도막 밀착성
[발명의 효과]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반응성기를 함유하는 첨가제와 무기 충전재인 탈크를 사용하므로써 도장시 전처리 공정없이 직접 도장이 가능하며 또한 우수한 도막 밀착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자동차의 범퍼, 인스트루먼트 패넬 등 도장을 필요로 하는 각종 산업 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5)

  1. 폴리올레핀계 수지 30∼9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고무 10∼70중량부; 수평균 분자량이 1,000∼4,000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0.1∼30중량부; 아크릴산 메틸의 함량이 1∼40중량%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0.1∼30중량부; 및 무기 충전재 0.1∼4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고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삼원 공중합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고무의 프로필렌 함유량이 20∼90중량%이고, 100℃에서의 무니 점도가 1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가 탈크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0.5∼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19930021898A 1993-10-19 1993-10-19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0129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898A KR0129499B1 (ko) 1993-10-19 1993-10-19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898A KR0129499B1 (ko) 1993-10-19 1993-10-19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26A KR950011526A (ko) 1995-05-15
KR0129499B1 true KR0129499B1 (ko) 1998-04-07

Family

ID=1936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98A KR0129499B1 (ko) 1993-10-19 1993-10-19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892B1 (ko) * 1995-10-23 2002-10-31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도장성이향상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100738024B1 (ko) * 2006-02-22 2007-07-16 (주)폴리머스넷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602A (ko) 2018-04-30 2019-11-07 소윤서 비닐봉지홀더가 내장된 쓰레기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892B1 (ko) * 1995-10-23 2002-10-31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도장성이향상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100738024B1 (ko) * 2006-02-22 2007-07-16 (주)폴리머스넷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26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046A (en) Polyolefin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paintability
US4945005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20010105088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A2055855A1 (en) Coating method of polypropylene resin moldings
KR100705656B1 (ko)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소재 조성물
AU617315B2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0180228B1 (ko) 직접 페인팅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KR0129499B1 (ko)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US3641211A (en) Sulfur-curable olefin polymer compositions
KR100344892B1 (ko) 도장성이향상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JPS59204644A (ja) オレフイン系重合体組成物
KR100263332B1 (ko) 자동차내장재용도장성이우수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JPH0124409B2 (ko)
JPH0243243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H0124408B2 (ko)
JPS61185546A (ja) オレフイン系重合体組成物
JPH0627238B2 (ja) 塗装バンパ−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S644534B2 (ko)
JPH0564660B2 (ko)
KR950013178B1 (ko)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S63221142A (ja) オレフイン系重合体組成物
KR940006457B1 (ko) 도장성이 개선된 자동차 부품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S6226664B2 (ko)
KR950013179B1 (ko)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S58173135A (ja) オレフイン系重合体組成物の成形物の塗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