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24Y1 -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24Y1
KR0129424Y1 KR2019950023278U KR19950023278U KR0129424Y1 KR 0129424 Y1 KR0129424 Y1 KR 0129424Y1 KR 2019950023278 U KR2019950023278 U KR 2019950023278U KR 19950023278 U KR19950023278 U KR 19950023278U KR 0129424 Y1 KR0129424 Y1 KR 0129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shock absorbing
buffer
sho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883U (ko
Inventor
이남승
Original Assignee
이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승 filed Critical 이남승
Priority to KR2019950023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24Y1/ko
Publication of KR970009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3Compressable seals of hollow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나 공장바닥 및 주차장 등과 같이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가 계절에 따른 온도차에 의하여 변형되는 량을 흡수하여 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신축줄눈재에 다수의 완충구 삽입공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강봉(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로드가 삽입되는 완충 케이스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 케이스의 일단으로는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을 갖는 캡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 타단으로 입구에는 완충로드를 유동없이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이 십자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캡을 결합 설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설되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신축줄눈재와 함께 콘크리트 슬라브의 현장 타설시 매설 시키므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때 상기 완충로드가 완충케이스 내부에서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에 의해서 피스톤 동작하여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등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설치사용 상태 작용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슬라브 2 : 신축줄눈재
3,3' : 완충구 삽입공 4 : 완충로드
5 : 완충케이스 6 : 완충용 탄성편
7 : 고정캡 8 : 지지편
9 : 입구캡 10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도로나 공장바닥 및 주차장 등과 같이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가 계절에 따른 온도차에 의하여 변형되는 량을 흡수하여 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신축줄눈재에 다수의 완충구 삽입공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강봉(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로드가 삽입되는 완충 케이스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 케이스의 일단으로는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을 갖는 캡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 타단으로 입구에는 완충로드를 유동없이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이 십자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캡을 결합 설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설되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신축줄눈재와 함께 콘크리트 슬라브의 현장 타설시 매설 시키므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때 상기 완충로드가 완충케이스 내부에서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에 의해서 피스톤 동작하여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등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한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의 현장 타설시 슬라브가 계절에 다른 온도 변화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기 개발한 신축줄눈재를 일정 간격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줄눈재는 단순히 콘크리트 슬라브가 온도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량을 흡수하여 균열을 방지하는 단순한 역할 만을 하였을 뿐 차량이 많이 통행하는 도로나 공장바닥 및 주차장등의 콘크리트 슬라브와 같이 지속적으로 충격이나 진동을 받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은 할 수가 없었다.
상기와 같은 교량이나 주차장등의 콘크리트 슬라브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주는 완충장치가 없을 경우에 슬라브의 균열이 심하게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이에 따라 부실공사를 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져 콘크리트 슬라브가 계절에 따른 온도차에 의하여 변형되는 량을 흡수하여 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신축줄눈재에 다수의 완충구 삽입공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강봉(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로드가 삽입되는 완충 케이스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 케이스의 일단으로는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을 갖는 캡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 타단으로 입구에는 완충로드를 유동없이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이 십자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캡을 결합 설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설되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신축줄눈재와 함께 콘크리트 슬라브의 현장 타설시 매설 시키므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때 상기 완충로드가 완충케이스 내부에서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에 의해서 피스톤 동작하여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등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를 제공하고져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제1도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콘크리트 슬라브(1)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신축줄눈재(2)에 다수의 완충구 삽입공(3)(3')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구 삽입공(3)(3')에 내부로 강봉(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로드(4)가 삽입되는 완충 케이스(5)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 케이스(5)의 일단으로는 주름관 형상의 완충용 탄성편(6)을 갖는 고정캡(7)을 결합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5)의 타단으로 입구에는 완충로드(4)를 유동없이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8)이 십자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입구캡(9)을 결합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케이스(4)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는 고정캡(7)에 탄성편(6)대신 완충용 코일스프링(10)을 설치하여 완충로드(4)가 상기 코일스프링(10)에 의해 완충작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신축줄눈재(2)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구 삽입공(3)(3')에 일단에 완충로드(4)가 삽입 설치되는 완충케이스(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5)의 일단으로 완충용 탄성편(6)을 갖는 고정캡(7)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완충케이스(5)내부에 삽입되는 완충로드(4)가 상기 고정캡(7)의 탄성편(6)과 접하게 설치면 상기 완충로드(4)의 탄성편(6) 동작에 의해서 좌우로 피스톤 동작할 수 있는 운동공간을 형성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상기 탄성편(6)이 없는 경우에는 완충로드(4)를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여 끼우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인 상기 고정캡(7)에 탄성편(6)대신 코일스프링(10)을 설치하여도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완충로드(4)가 코일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서 피스톤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케이스(5)내에 완충로드(4)를 고정캡(7)과 함께 피스톤 동작가능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완충케이스(5)의 입구를 입구캡(9)으로 막아주면 상기 입구캡(9)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얇은막 형상의 지지편(8)이 상기 완충로드(4)를 지지하여 피스톤 동작시 완충로드(4)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수평을 유지시켜 주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신축줄눈재(2)를 콘크리트 슬라브(1) 현장 타설시 매설하게 되면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콘크리트 슬라브(1)내에 완충장치를 갖는 신축줄눈재(2)가 매설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1)에 완충장치를 갖는 신축줄눈재(2)를 매설하게 되면 슬라브(1)자체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기 신축줄눈재(2)에 고정되는 완충 케이스(5)내부의 완충로드(4)가 콘크리트 슬라브(1)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라서 고정캡(7)에 형성되는 완충용 탄성편(6)이나 코일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좌우로 피스톤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서 콘크리트 슬라브(1)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로드(4)와 완충 케이스(5) 및 탄성편(6)이나 코일스프링(10)사이에서 완충 동작이 이루어져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라브(1)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신축줄눈재(2)에 설치되는 완충장치에 의해서 완전히 흡수되므로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 방지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슬라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브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라브가 계절에 따른 온도차에 의하여 변형되는 량을 흡수하여 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신축줄눈재에 다수의 완충구 삽입공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강봉(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로드가 삽입되는 완충 케이스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 케이스의 일단으로는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을 갖는 캡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 타단으로 입구에는 완충로드를 유동없이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이 십자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캡을 결합 설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설되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신축줄눈재와 함께 콘크리트 슬라브의 현장 타설시 매설 시키므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때 상기 완충로드가 완충케이스 내부에서 완충용 탄성편이나 스프링에 의해서 피스톤 동작하여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슬라브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 슬라브(1)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신축줄눈재(2)에 다수의 완충구 삽입공(3)(3')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구 삽입공(3)(3')에 내부로 강봉(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로드(4)가 삽입되는 완충 케이스(5)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 케이스(5)의 일단으로는 주름관 형상의 완충용 탄성편(6)을 갖는 고정캡(7)을 결합 설치하고, 상기 완충케이스(5)의 타단으로 입구에는 완충로드(4)를 유동없이 수평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8)이 십자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입구캡(9)을 결합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완충케이스(4)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는 고정캡(7)에 완충용 코일스프링(10)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KR2019950023278U 1995-08-31 1995-08-31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KR0129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278U KR0129424Y1 (ko) 1995-08-31 1995-08-31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278U KR0129424Y1 (ko) 1995-08-31 1995-08-31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83U KR970009883U (ko) 1997-03-29
KR0129424Y1 true KR0129424Y1 (ko) 1998-12-15

Family

ID=1942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278U KR0129424Y1 (ko) 1995-08-31 1995-08-31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4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487B1 (ko) * 2011-10-06 2014-01-28 이정락 신축이음용 판재의 다웰바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695A (ko) * 2001-05-19 2002-11-29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다우엘 바 및 캡을 이용한 옹벽 신축이음 시공방법
KR20030095175A (ko) * 2002-11-07 2003-12-1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보강 블록 구조의 충격 흡수용 슬리브 장치
KR101382062B1 (ko) * 2012-10-24 2014-04-04 현태식 신축이음용 다웰-바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487B1 (ko) * 2011-10-06 2014-01-28 이정락 신축이음용 판재의 다웰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83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46365A (ja) 橋梁の継手部構造
CN106436558A (zh) 一种三向限位缓冲耗能型桥梁抗震挡块结构及设置安装方法
WO2008016241A1 (en) Earthquake-resistant expansion joint
KR0144516B1 (ko) 프리캐스트판에 의한 플로우팅 슬랩
JP6191369B2 (ja) 道路橋用伸縮装置
KR0129424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완충장치
KR101938294B1 (ko) 롤링저감을 위한 비틀림에 저항하는 강재빔을 이용한 철도용 방진궤도 시스템
JP2009235847A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橋梁用伸縮構造
KR20080095371A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1036122B1 (ko)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20040086653A (ko) 일체식 복합교대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8643028B (zh) 一种具有桥墩保护功能的桥梁梁体防偏移装置
KR101386422B1 (ko)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의 연장슬래브 신축이음구조
CN210151571U (zh) 预制护栏安装定位装置
JP3814286B2 (ja) 型枠の支持構造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JP4858848B2 (ja) 桁間連結装置
CN219385993U (zh) 一种预制桥桥面连接结构
JP3984433B2 (ja) レール支承体の支持構造及び車両用軌道
KR102416415B1 (ko)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방진침목 교체시공방법
KR100515931B1 (ko) 건축물 벽체의 방음방진구조
KR200247446Y1 (ko) 교량 낙하 방지장치
JP2003013404A (ja) 道路・橋梁用伸縮継手の緩衝装置
JP2008025324A (ja) 傾斜型荷重支持板付伸縮装置
KR20070009520A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