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229B1 -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229B1
KR0129229B1 KR1019940007297A KR19940007297A KR0129229B1 KR 0129229 B1 KR0129229 B1 KR 0129229B1 KR 1019940007297 A KR1019940007297 A KR 1019940007297A KR 19940007297 A KR19940007297 A KR 19940007297A KR 0129229 B1 KR0129229 B1 KR 012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ignal
switching
control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088A (ko
Inventor
민경일
이호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07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229B1/ko
Publication of KR95003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229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디지탈 데이타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재생시에 발생되는 직선성이나 주행계의 안정주행을 위해 테이프의 초기와 말기 이송시에 변화되는 텐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텐션감지수단에서 얻어진 테이프의 텐션감지신호를 텐션기준신호와 비교증폭하여 차신호를 발생하는 텐션증폭수단과, 상기 텐션증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차신호가 기준장력치를 추종하도록 비례, 적분, 미분하여 보상하는 아날로그 제어수단과, 재생, 기록, 2배속 재생모드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절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제어수단과, 상기 스위칭제어수단으로 부터 모드의 선택에 따라 얻어진 스위칭절환 제어신호에 의해 아날로그 제어수단의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차단, 공급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해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텐션증폭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의 아날로그 제어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5도는 제2도의 스위칭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6도는 제2도의 스위칭제어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7도는 제2도의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타실시예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의 아날로그 제어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10도는 제8도의 스위칭제어 발생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제12도는 제11도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보다 상세하게 보인도.
제13도는 제11도 텐션증폭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텐션감지수단 201 : 텐션증폭수단
202 : 아날로그 제어수단 202a : 비례제어부
202b : 적분제어부 202c : 미분제어부
203 : 스위칭제어수단 203a : 모드신호 전달부
203b : 전압비교부 204 : 스위칭수단
205 : 액츄에이터 구동수단 205a : 임피던스 조절부
205b : 토오크전류 발생부 206 : 액츄에이터
300 : 스위칭제어 발생수단 400 : 마이크로 컴퓨터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브이씨알이라 약칭함)에 있어서 테이프의 장력(Tension)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브이씨알에서의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시 직선성 문제와 안정화를 위하여 동작 모드와 테이프의 잔여량 변화에 따라 개별적인 제어를 행하여 자동으로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브이씨알에서의 텐션제어장치는 포워드 패스트(Forward Fast), 리와인드(Rewind) 모드등을 제외한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할시에 직선성 문제와 주행계의 안정화를 위하여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테이프가 공급릴(Supply Rell)에서 권취릴(Take up)로 이송할시 공급릴에서 테이프가 풀려 나가면서 헤드드럼을 통해 권취릴에 감기게 된다.
이때, 공급측 또는 권취측의 테이프 감김량에 따라, 즉 테이프의 초기와 말기때의 텐션량이 상당히 변화하게 되는데, 이 변화하는 텐션량에 따라서 텐션레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테이프의 텐션량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포스트(100)가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102)이 연결되는 텐션레버(101)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축(11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축착하고, 카세트(117)내의 테이프(108)를 권취릴(107)에 공급하는 공급릴(106)의 외주면 일부에 권취되는 텐션밴드(104)의 일단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절편(105)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텐션밴드(104)의 타단부를 상기 텐션레버(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편(103)에 연결하여 테이프(108)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10, 112는 헤드드럼(111)의 입, 출구측에서 상기 테이프(108)를 안내하는 제1, 제2경사포스트이고, 109, 113은 상기 헤드드럼(111)의 입, 출구측에서 테이프(108)를 안내하는 제1, 제2가이드롤러이며, 116은 핀치롤러, 115는 캡스턴축(114)의 후방에 설치되어 테이프(108)를 권취릴(107)로 안내하는 가이드포스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는 먼저, 재생모드 또는 기록모드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카세트(117)의 공급릴(106)에서 풀리어 권취릴(107)에 감기는 테이프(108)가 텐션포스트(100)의 외주면 일부에 감긴 후 제1가이드롤러(109), 제1경사포스트(110)를 통해 안내되어 헤드드럼(111)의 외주면 일부에 접촉되는 상태로 이송을 하고, 계속해서 상기 헤드드럼(111)의 출구측에 설치된 제2경사포스트(112), 제2가이드롤러(113)를 통하고 캡스턴축(114)과 핀치롤러(116)에 의해 가하여지는 마찰이송력에 의해 주행하고 가이드포스트(115)로 안내되면서 카세트(117)의 권취릴(107)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프(108)가 주행하는 동안, 즉 공급릴(106) 및 권취릴(107)에 감긴 테이프(108)의 량에 따라 그 테이프(108)의 텐션이 강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이때는 테이프(108)의 장력이 스프링(102)의 장력보다 강하게 되므로 그 테이프(108)의 강한 장력에 의해서 텐션레버(101)가 축(11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편(105)과 연결편(103)에 연결된 텐션밴드(104)의 마찰부재(104')가 상기 공급릴(106)에 접촉되는 상태가 느슨하게 되므로 테이프(108)의 풀림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테이프의 장력이 약하게 조절된다.
반대로, 이송되는 테이프(108)의 장력이 약한 경우에 있어서는 스프링(102)의 장력이 테이프(108)의 장력보다 강하게 되므로 그 스프링(102)의 탄력에 의해서 상기 텐션레버(101)가 축(11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텐션밴드(104)의 마찰부재(104')가 공급릴(106)에 접촉되는 상태가 강하게 되므로 테이프(108)의 풀림량이 감소하게 되어 테이프의 장력이 다시 강하게 조절되며, 이는 테이프(108)가 주행하는 동안에 상기와 같은 작용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됨으로써 테이프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테이프의 초기에서 말기까지 그 테이프가 이송할시 장력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전술한 기계식 텐션방식과 릴모터 직접구동방식이 있는데, 전술한 전자의 기계식 텐션방식은 테이프의 초기에서 말기까지의 변화되는 장력량을 텐션레버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조절하게 됨으로써 테이프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재생/기록, 2배속등 다양한 모드에서 동일한 텐션 제어를 행해야 하고, 또한 공급측 릴의 회전량에 따른 리플(Ripple)등에 따라서 디지탈신호에 큰 영향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후자의 릴모터 직접구동방식에 있어서는, 릴모터를 직접 제어하여 테이프의 초기에서 말기까지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기는 하나, 릴모터의 비용이 많이 들어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에 적용하는데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계식이 아닌 간단한 전기식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탈 데이타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재생할시에 발생되는 직선상이나 주행계의 안정주행을 위해 테이프의 초기와 말기 이송시에 변화되는 텐션량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테이프의 텐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테이프가 공급측에서 권취측으로 이송시 공급측에서 테이프가 풀려 나가면서 발생하는 테이프의 장력 변화를 공급측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시 직선상과 주행계의 안정화를 위하여 재생, 기록 2배속 재생등의 모드와 테이프의 잔여량에 따라 개별적인 제어를 행하여 가능한 모든 상태에서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텐션 제어방식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저항, 콘덴서, 코일 소자값의 변동으로 인한 특성변화와 액츄에이터의 차이등에 민감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점과, 기계식의 단점인 테이프의 초, 중, 말기의 일정텐션량을 유지 못하는 점을 해결함은 물론 가능한 여러 동작 모드에 획일적이 아닌 알맞은 개별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의 텐션을 얻도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는 테이프의 이송시 변화되는 테이프의 텐션량을 감지하는 텐션감지수단과, 상기 텐션감지수단에서 얻어진 테이프의 텐션감지신호를 설정된 텐션기준신호와 비교증폭하여 차신호를 발생하는 텐션증폭수단과, 상기 텐션증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차신호가 기준장력치를 추종하도록 비례, 적분, 미분하여 보상하는 아날로그 제어수단과, 재생, 기록 2배속 재생모드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절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제어수단과, 상기 스위칭제어수단으로 부터 모드의 선택에 따라 얻어진 스위칭절환 제어신호에 아날로그 제어수단의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해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의 주행시 텐션레버(도면에 미도시)의 좌, 우회동에 따른 가압에 의해 그 테이프의 텐션량에 비례하는 전위차를 발생하여 텐션량을 감지하는 텐션감지수단(200)과, 상기 텐션감지수단(200)에서 얻어진 텐션감지신호(TSD)와 설정된 텐션기준신호(TRef)와의 차를 증폭하여 텐션오차신호(TS1)를 발생하는 저항(R1-R4) 및 차동증폭기(OPI)로 이루어진 텐션증폭수단(201)과,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비교증폭되어 공급된 텐션오차신호(TS1)를 기준텐션치에 도달하도록 보상 처리하여 그 결과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제어수단(202)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생모드(PM), 기록모드(RM), 2배속 재생/기록모드(XPRM)등의 신호를 임계치값(+Vth)과 비교하여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를 발생하는 스위칭제어수단(203)과, 상기 스위칭제어수단(203)으로 부터 모드의 선택에 따라 공급된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에 의해 스위칭되어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으로 부터 입력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수단(204)과, 상기 스위칭수단(204)으로 부터 공급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에 따라 임피던스를 적절히 조절하여 토오크전류(TQ)를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과,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에서 공급된 토오크전류(TQ)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을 억제하여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206)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TS1)를 비례제어하여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출력하는 저항(R5-R8) 및 차동증폭기(OP2)로 이루어진 비례제어부(202a)와,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TS1)를 적분하여 그 적분값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출력하는 저항(R9-R11), 콘덴서(C1) 및 차동증폭기(OP3)로 이루어진 적분제어부와(202b),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TS1)의 순간적인 변화율을 미분하여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출력하는 저항(R12-R14), 콘덴서(C2) 및 차동증폭기(OP4)로 이루어진 미분제어부(202c)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스위칭제어수단(203)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재생모드(PM), 기록모드(RM), 2배속 재생/기록모드(XPRM)등의 신호를 전달하는 다이오드(D1-Dn) 및 저항(R17)으로 이루어진 모드신호 전달부(203a)와, 상기 모드신호 전달부(203a)로 부터 공급된 각각의 모드신호와 설정된 임계치(+Vth)와를 비교하여 그 결과로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를 출력하는 저항(R18-R20) 및 비교기(CP1)로 이루어진 전압비교부(203b)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스위칭수단(204)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에서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저항(R16)을 통한 접지전위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증폭 출력하는 차동증폭기(OP5)와, 상기 차동증폭기(OP5)의 반전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스위칭제어수단(203)으로 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에 따라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으로 공급 및 차단하는 제1스위칭소자(T1)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TR1)와 병렬 접속되어 차동증폭기(OP5)의 출력신호를 그의 반전단자(-)로 궤환하는 저항(R15)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06)의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Z1)(Z2)를 적절히 조절하고 그 조절된 임피던스에 따라 스위칭수단(204)을 통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증폭 출력하는 저항(R21)(R22) 및 차동증폭기(OP6)로 이루어진 임피던스 조절부(205a)와, 상기 임피던스 조절부(205a)에서 발생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에 의해 스위칭되어 액츄에이터(206)를 제어하는 토오크전류(TQ)를 발생하는 저항(R23-R26), 다이오드(D1)(D2) 및 제2, 제3스위칭소자(TR2)(TR3)로 이루어진 토오크전류 발생부(205b)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2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프가 공급릴에서 권취릴로 이송시 공급릴에서 테이프가 풀려나가면서 텐션량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텐션량의 변화에 따라 텐션레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그 회동력은 텐션감지수단(20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에서 텐션감지수단(200)으로써는 홀센서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는 텐션레버의 가압력에 의해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위차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 전위차는 텐션감지신호(TSD)로써 텐션증폭수단(201)의 각각의 저항(R1)(R2)을 통해 차동증폭기(OP1)의 반전단자(-) 및 비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저항(R2)을 통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텐션감지신호(TSD)는 저항(R4)을 통한 텐션기준신호(TRef)와의 차로 상기 자동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한 차동증폭기(OP1)는 그의 저항(R1)을 통해 입력되는 텐션감지신호(TSD)와 저항(R4)를 통한 텐션기준신호(TRef)와의 차를 증폭하여 텐션오차신호(TS1)로써,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은 비례제어부(202a), 적분제어부(202b), 미분제어부(202c)로 구성되어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를 비례제어, 적분, 미분제어하여 텐션오차를 보상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비례제어부(202a)는 단지 차동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가 저항(R7)을 통해 접지되고 차동증폭기(OP2)의 출력단자가 저항(R6)을 통해 그의 반전단자(-)로 궤환 접속되어 있는 반전증폭기로써,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의 저항(R5)을 통해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에 비례하여 저항(R8)을 통해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분제어부(202b)는 저항(R9)과 콘덴서(C1)의 값에 따라 텐션증폭수단(201)에서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를 차동증폭기(OP3)를 통해 적분하고 그 적분된 값을 텐션오차보상신호(TS2)로 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여기서 적분제어부(202b)는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가 0이 될 때까지 콘덴서(C1), 저항(R9) 및 차동증폭기(OP3)를 통해 적분하였다가 0이 되면 그때의 적분값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하여 저항 (R11)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분제어부(202c)는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의 텐션오차신호(TS1)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입력될 경우에 그 입력 텐션오차신호(TS1)의 순간적인 변화율에 비례하여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출력하게 된다.
즉, 여기서 미분제어부(202c)는 정상상태에서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텐션오차신호(TS1)가 급격하게 변화되어 입력된 경우에 저항(R12)(R13) 및 콘덴서(C2)의 값에 따라 차동증폭기(OP4)를 통해 미분하고 그 미분값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하여 저항(R14)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을 통해 비례, 적분, 미분되어 보상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는 제5도에 도시한 스위칭수단(204)의 차동증폭기(OP5)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스위칭수단(204)은 사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스위칭제어수단(203)으로 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에 의해 도통 또는 차단되어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에서 보상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를 발생하여 스위칭수단(204)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수단(203)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모드(PM), 기록모드(RM) 또는 2배속 재생/기록모드(XPRM)등의 신호중에 하나의 모드가 사용자로 부터 선택되어 입력될 경우에 모드신호 전달부(203a)의 다이오드(D1-Dn)는 그 선택되어 입력된 모드의 고전위신호를 전압비교부(203a)의 저항(R18)을 통해 비교기(CP1)의 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의 모드중에서 하나의 모드가 사용자로 부터 선택될 경우에는 모드신호 전달부(203a)의 다이오드(D1-Dn)를 통해 전압비교부(203b)의 반전단자(-)에는 고전위신호가 걸리게 되고, 모든 모드가 사용자로 부터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전위신호가 걸리게 된다.
여기서, 비디오 테이프의 텐션을 모든 모드에서 제어할 필요가 없고, 단지 재생, 기록, 2배속 재생/기록모드 등에만 필요하다.
이는 포워드 패스트(FF) 모드 또는 리와인드(REW) 모드 등에도 텐션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전력의 소비만 낭비되므로 여기에서는 포워드 패스트 모드와 리와인드 모드만을 제외시키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전압비교(203b)의 비교기(CP1)는 모드신호 절단부(203a)로 부터 입력된 모드신호와 저항(R19)을 통해 설정되어 입력된 임계차값(+Vth)과를 비교하여 임계치값(+Vth)이 크면 모드선택이 안된 것이므로 고전위신호(+Vcc)를 출력하게 되고, 모드신호 전달부(203a)로 부터 입력된 모드신호가 임계치값(+Vth)보다 크면 상기 모드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이므로 이때에는 저전위신호(-VEE)를 저항(R20)을 통해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로 하여 스위칭수단(204)에 구성된 제1스위칭소자(TR1)의 제어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수단(204)의 제1스위칭소자(TR1)는 스위칭제어수단(203)에서 입력된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가 고전위신호일 경우에는 차단된다.
이때에는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에서 비례, 적분, 미분되어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가 저항(R16)을 통해 접지와 접속된 스위칭수단(204)의 차동증폭기(OP5)를 통해 반전(즉, 거의 저전위신호로)되어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에 입력되고, 스위칭제어수단(203)으로 부터의 스위칭절환 제어신호(SC)가 저전위신호로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TR1)가 도통되어 아날로그 제어수단(202)에서 비례, 적분, 미분 보상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은 액츄에이터(206)의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를 적절히 조절함과 아울러 스위칭수단(204)으로 부터 전달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에 상응한 적절한 토오크 전류를 발생하여 액츄에이터(206)를 억제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칭수단(204)으로 부터의 텐션오차 보상신호(TS2')가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에 구성된 임피던스 조절부(205a)의 저항(R21)을 통해 차동증폭기(OP6)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데, 이때 상기 차동증폭기(OP6)의 비반전단자(+)에는 액츄에이터(206)의 특성에 따라 가변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Z1)(Z2)가 적절히 조절되어 있고, 그 임피던스(Z1)(Z2)를 통해서 액츄에이터(206)로 부터의 토오크 전류(TQ)가 차동증폭기(OP6)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임피던스 조절부(205a)의 차동증폭기(OP6)는 저항(R21)을 통해 입력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와 임피던스(Z1)(Z2) 조절된 미세 토오크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저항(R22)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피던스 조절부(205a)의 차동증폭기(OP6)에서 출력되는 결과신호가 저전위신호일 경우에는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토오크 전류 발생부(205b)의 저항(R23)과 다이오드(D10)및 저항(R22)을 통해 차동증폭기(OP6)의 접지단자로 바이패스됨으로써, 제2스위칭소자(TR2)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걸려 차단되고, 아울러 제3스위칭소자(TR3)의 베이스에는 마이너스 전압(-VEE)이 저항(R24)을 통해 공급되므로 그 제3스위칭소자(TR3)가 도통되어 액츄에이터(206)에 공급되는 토오크 전류(TQ)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조절부(205a)의 차동증폭기(OP6)로 부터 출력되는 결과신호가 고전위신호일 경우에는 상기 토오크 전류 발생부(205b)의 다이오드(D10)가 역바이어스되어 차단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상기한 제2스위칭소자(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제2스위칭소자(TR2)가 도통되고, 또한 토오크 전류 발생부(205b)의 다이오드(D11)에는 저항(R22)을 통한 고전위신호가 흘러 제3스위칭소자(TR3)의 베이스에 인가됨으로써, 그 제3스위칭소자(TR3)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상기 도통된 제2스위칭소자(TR2)를 통하고 저항(R25)을 통하고 액츄에이터(206)에 토오크 전류(TQ)로 입력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06)는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에서 발생된 토오크 전류(TQ) 즉, 회전력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을 적절히 억제하게 됨으로써, 공급릴에서 풀리어 권취릴에 감기는 비디오 테이프가 기준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8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이는 제2도의 텐션제어장치와는 달리 공급측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검출되어 입력되는 잔여 테이프량 신호에 의해 텐션이득을 변화시키도록 제1,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제어 발생수단과 그 스위칭제어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제1, 제2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텐션증폭수단에서 입력되는 텐션오차신호를 비례, 적분, 미분이득의 가변으로 보상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제어수단을 추가 및 변경하여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가 공급릴에서 권취측으로 이송시마다 변화되어 입력되는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와 설정된 이득변환 기준신호(Vref)와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1, 제2스위칭제어신호(SC1)(SC2)를 발생하는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과,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에서 발생된 제1스위칭제어신호(SC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에 따라 이득값을 변화시켜 텐션증폭수단(201)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TS1)를 보상하여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스위칭수단(204)에 입력하는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여기서 제2도의 기술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릴에서 검출되어 얻어진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와 설정된 이득변환 기준신호(Vref)와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호 반전된 제1스위칭 제어신호(SC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를 발생하는 저항(R39-R41)(R42-R44) 및 제1, 제2비교기(CP2), (CP3)로 각기 이루어진 제1, 제2텐션이득 비교부(300a)(300b)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의 제1 및 제2스위칭제어신호(SC1)(SC2)에 따라 비례이득값을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입력되는 텐션오차신호(TS1)를 보상출력하는 저항(R27-R31), 차동증폭기(OP7) 및 제4, 제5스위칭소자(TR4)(TR5)로 이루어진 비례제어부(301a)와,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에서 얻어진 제1 및 제2스위칭제어신호(SC1)(SC2)에 따라 제6, 제7스위칭소자(TR6)(TR7)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켜 이에 접속된 콘덴서(C3)(C4)의 값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콘덴서(C3)(C4)의 값과 저항(R32)(R33)의 값에 의해 텐션증폭수단(201)에서 증폭되어 입력되는 텐션오차신호(TS1)를 차동증폭기(OP3)로 적분제어하여 저항(R34)을 통해 보상출력하는 적분제어부(301b)와,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에서 얻어진 제1 및 제2스위칭제어신호(SC1)(SC2)에 따라 제8, 제9스위칭소자(TR8)(TR9)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이에 각각 접속된 저항(R35)(R36)의 값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저항(R35)(R36)의 값과 콘덴서(C5)의 값에 따라 텐션증폭수단(201)에서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를 차동증폭기(OP9) 및 저항(R37)으로 미분제어하여 저항(R38)을 통해 보상출력하는 미분제어부(301c)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텐션제어장치를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프가 공급릴에서 권취릴로 이송시 공급에서 테이프가 풀려나가면서 텐션량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텐션량의 변화를 텐션감지수단(200)에서 검출하고 그 검출된 텐션감지신호(TSD)는 텐션증폭수단(201)을 통해 텐션기준신호(TRef)와의 비교차로 증폭되어 텐션오차신호(TS1)로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에 입력된다.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은 전술한 제2도와는 달리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비례, 적분, 미분 이득을 가변 선택하여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입력되는 텐션오차신호(TS1)를 보상하게 된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급릴의 테이프가 풀리면서 권취측으로 이송하게 되면 그 공급릴에 감긴 테이프량은 점점 감소하게 된다.
이 공급릴의 테이프 잔여량을 검출하여 얻어진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는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에 입력된다.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은 제10도에서와 같이, 제1, 제2텐션이득 비교부(300a)(30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텐션이득 비교부(300a)는 저항(R39)을 통해 입력된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와 저항(R40)을 통해 입력된 이득변환 기준신호 (Vref)와를 제1비교기(CP2)를 통해 비교하여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가 이득변환 기준신호(Vref) 보다 높으면 저전위(-VEE)를 출력하고,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가 이득변환 기준신호(Vref) 보다 낮으면 고전위(+VCC)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1텐션이득 비교부(300a)의 제1비교부(CP2)에서 출력된 신호는 저항(R14)을 통해 제1스위칭 제어신호(SC1)로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2텐션이득 비교부(300b)는 저항(R14)을 통해 입력된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와 저항(R43)을 통해 입력된 이득변환 기준신호 (Vref)와를 제2비교기(CP3)를 통해 비교하여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가 이득변환 기준신호(Vref) 보다 높으면 고전위(+VCC)를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로 하여 저항(R44)를 통해 출력하고,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가 이득변환 기준신호 (Vref)보다 낮으면 저전위(-VEE)를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로 하여 저항(R44)을 통해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의 제1, 제2텐션이득 비교부(300a)(300b)는 서로 반전된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SC1)(SC2)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은 전술한 제2도와 같이, 비례제어부(301a), 적분제어부(301b), 미분제어부(301c)로 구성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제2도와는 달리,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를,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의 제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SC1)(SC2)에 따라 비례, 적분, 미분이득값을 가변시켜 텐션오차신호를 보상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비례제어부(301a)는 차동증폭기(OP7)의 비반전단자(+)가 저항(R30)을 통해 접지되고 차동증폭기(OP7)의 출력단자가 각각 병렬접속된 저항(R28)(R29) 및 제4, 제5스위칭소자(TR4)(TR5)를 통해 그의 반전단자(-)로 궤환 접속되어 있는 반전증폭기로써,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의 저항(R27)을 통해 텐션오차신호(TS1)가 차동증폭기(OP7)의 반전단자(-)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으로 부터 발생된 제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SC1)(SC2)가 비례제어부(301a)의 제4, 제5스위칭소자(TR4)(TR5)의 제어단자로 입력되는데, 이때, 제1텐션이득 비교부(300a)로 부터의 저전위인 제1스위칭 제어신호(SC2)가 비례제어부(301a)의 제4스위칭소자(TR4)의 제어단자에 입력되고, 제2텐션이득 비교부 (300b)로 부터의 고전위인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가 비례제어부(301a)의 제5스위칭소자(TR5)의 제어단자에 입력될 경우, 상기 비례제어부(301a)의 제4스위칭소자(TR4)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C1)에 의해 도통되고 제5스위칭소자(TR5)는 고전위인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출력된 텐션오차신호(TS1)는 비레제어부(301a)의 저항(R27)과 도통된 제4스위칭소자(TR4) 및 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R28)(R31)값에 의해 비례제어되어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스위칭수단(204)에 입력된다.
반대로, 제1텐션이득 비교부(300a)로 부터의 고전위인 제1스위칭 제어신호(SC1)가 비례제어부(301a)의 제4스위칭소자(TR4)의 제어단자에 입력되고, 제2텐션이득 비교부(300b)로 부터의 저전위인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가 비례제어부(301a)의 제5스위칭소자(TR5)의 제어단자에 입력될 경우, 상기 비례제어부(301a)의 제4스위칭소자(TR4)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C1)에 의해 차단되고 제5스위칭소자(TR5)는 저전위인 제2스위칭 제어신호(SC2)에 의해 도통되어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의 저항(R27)을 통해 입력되는 텐션오차신호(TS1)를 저항(R29)(R31)의 값으로 비례제어하여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스위칭수단(204)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비례제어부(301a)의 차동증폭기(OP7) 비반전단자(+)에 접속된 저항(R30)의 값은 거의 무시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에서 비례제어부(301a)는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으로 부터 입력되는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SC1)(SC2)에 의해 저항(R28) 또는 저항(R29)의 값을 선택하여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입력되는 텐션오차신호(TS1)의 이득을 비례적으로 가변하여 보상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의 적분제어부(301b)는 상기 비례제어부(301a)에서와 같이,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의 제1 및 제2텐션이득 비교부(300a)(300b)에서 발생된 제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SC1)(SC2)에 의해 병렬 접속된 제6 및 제7스위칭소자(TR6)(TR7) 중에서 한 소자를 선택적으로 도통 및 차단시켜 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2)과 콘덴서(C3)의 값 또는 저항(R32)과 콘덴서(C4)의 값으로 텐션증폭수단(201)에서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를 차동증폭기(OP8)를 통해 적분하고 그 적분된 값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하여 저항(R34)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여기서 적분제어부(301b)는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텐션증폭수단(201)으로 텐션오차신호(TS1)가 입력되면 제6스위칭소자(TR6) 또는 제7스위칭소자(TR7)를 도통 또는 차단시켜 이에 접속된 콘덴서(C3), 저항(R32) 및 차동증폭기(OP8) 또는 콘덴서(C4), 저항(R32) 및 차동증폭기(OP8)를 통해 적분하여 그때의 적분값을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로 하여 저항(R34)을 통해 스위칭수단(204)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분제어부(301c)는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스위칭제어 발생수단(300)에서 입력되는 제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SC1)(SC2)에 의해 제8 및 제9스위칭소자(TR8)(TR9) 중에서 한 소자를 선택적으로 도통 및 차단시켜서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의 텐션오차신호(TS1)가 급격하게 변환되어 입력될 경우, 그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1)의 순간적인 변화율에 비례하도록 고정된 콘덴서(C5)와 저항(R35)의 값 또는 콘덴서(C5)와 저항(R36)의 값으로 미분하여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301)을 통해 비례, 적분, 미분제어되어 보상된 텐션오차 보상신호(TS2)는 제2도 내지 제7도에서 전술한 스위칭제어수단(203)의 각 모드선택에 따라 스위칭수단(204),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 및 액츄에이터(206)를 통해 토오크 전류(TQ)로 변환된 후 캡스턴모터의 회전을 적절히 억제시켜 테이프의 텐션을 기준텐션에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1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보다 상세하게 보인도로서, 여기서는 제2도 및 제8도의 아날로그 제어수단과 스위칭제어수단 및 스위칭수단을 배제시키고 대신에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모드에 따라 테이프 텐션을 작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감지수단(200)에서 감지된 텐션감지신호(TSD)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텐션증폭수단(201')과, 상기 텐션증폭수단(201')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오차신호(TSD')와 공급릴에서 검출되어 얻어진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를 가지고 텐션오차를 계산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모드(PM), 기록모드(RM), 2배속 재생/기록모드(XPRM)등에 맞게 상기 계산된 텐션오차의 보상치를 산출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에 텐션증폭수단(201')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텐션기준신호와 비교차 증폭없이 단지 저항(R1)(R2)(R4)으로 부터 입력된 텐션오차신호(TSD)를 차동증폭기(OP1)로 반전증폭하여 저항(R3)을 통해 그의 반전단자(-)로 궤환시킴과 아울러 증폭된 텐션오차신호(TSD')를 마이크로 컴퓨터(400)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2도 또는 제8도의 기술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제14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텐션제어 신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초기화 후 모드신호의 입력유무를 검색하는 과정(ST100)과, 상기 검색결과 동작모드 입력일 경우 테이프의 텐션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얻어진 텐션감지신호와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검출되어 얻어진 가변정보를 가지고 텐션오차를 계산하는 과정(ST101)과, 상기 계산되어 얻어진 텐션오차를 현재 선택된 동작모드에 맞는 보상치로 산출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 및 액츄에이터(206)를 통해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ST10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2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도 또는 제8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400)는 내부의 메모리와 입출력포트(A/D1)(A/D2)(D/A), (P1-Pn)를 초기화시키고(ST1), 아울러 초기화 해제후 그의 입력포트를 조사하여 사용자로 부터의 현재 모드신호를 입력받는다(ST2).
상기 사용자로 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현재의 모드가 동작모드인가를 검색하여(ST3) 동작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시스템 초기화 과정 이후의 수행을 반복하고, 상기 단계(ST3)에서 검색한 결과 동작모드일 경우, 즉 재생모드(PM), 기록모드(RM), 2배속 재생/기록모드(XPRM)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한 마이크로 컴퓨터(400)는 그 선택된 모드에 맞게 드럼모터(도면에 미도시)와 캡스턴모터를 회전시키면서 텐션감지수단(200) 및 텐션증폭수단(201')을 통해 텐션감지신호(TDS')와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STD1)를 입력받게 된다(ST4)(ST5).
즉, 상기에서 텐션감지신호(TDS)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가 공급릴에서 권취릴로 이송시 그 공급릴에서 테이프가 풀려나가면서 텐션량이 변화하게 되고, 그 텐션량의 변화는 텐션감지수단(200)으로 부터 검출된 후 제13도의 텐션증폭수단(201')의 저항(R1-R4)과 차동증폭기(OP1)로 된 텐션증폭수단(201')을 통해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마이크로 컴퓨터(400)로 입력되고, 또한 상기 공급릴에서 테이프가 풀려나감으로써, 그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이 변화하게 되고, 이 변화된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은 상기한 마이크로 컴퓨터(400)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텐션증폭수단(201')을 통해 충분히 증폭된 텐션감지신호(TDS')와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가 연속적으로 가변되어 입력되면 상기한 마이크로 컴퓨터(400)는 그 텐션감지신호(TDS')와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TSD1)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단자(A/D1)(A/D2)를 통해 각각 입력받아 이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텐션오차를 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텐션오차가 계산완료되면 상기한 마이크로 컴퓨터(400)는 사용자로 부터 선택되어 그의 입력포트(P1-Pn)로 입력된 모드가 재생모드(PM), 기록모드(RM) 또는 2배속 재생/기록모드(XPRM)인가를 재검색하게 된다(ST6).
상기 단계(ST6)에서 검색한 결과가 정속(1800rpm)의 재생모드(PM) 또는 기록모드(RM)일 경우에는 그 동작모드에 맞게 상기에서 계산된 텐션오차의 보상치를 산출하게 된다(ST7)(ST9).
상기에서 산출된 텐션오차 보상치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그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단자(D/A)를 통해 출력되어(ST10)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 및 액츄에이터(206)를 통해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6)에서 검색한 결과 2배속(3600rpm) 재생/기록모드(XPRM)일 경우에는 그 동작모드에 맞도록 상기 계산된 텐션오차의 보상치를 산출하고(ST8), 그 산출된 텐션오차 보상치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수단(205) 및 액츄에이터(206)를 통해 테이프의 텐션을 2배속에 맞도록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탈 데이타를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할시 직선성이나 주행계의 안정주행을 위해 테이프의 초기와 중기, 말기 이송시에 변화되는 텐션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테이프의 텐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 아니라, 재생, 기록 2배속 재생/기록모드 등과 테이프의 잔여량에 따라 가능한 여러 동작모드에 획일적이 아닌 알맞은 개별제어를 행하고 또한 저항과 코일, 콘덴서 소자값의 변동 및 액츄에이터의 특성변화에 상관없이 최적의 텐션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테이프의 잔여량에 따라 변화되어 얻어진 테이프의 텐션감지신호를 설정된 텐션기준신호와 비교증폭하여 차신호를 발생하는 텐션증폭수단과, 상기 텐션증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차신호가 기준텐션치를 추종하도록 그 텐션오차신호를 보상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제어수단과, 사용자로 부터 선택된 현 동작모드에 따라 스위칭 절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제어수단과, 상기 스위칭제어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스위칭절환 제어신호에 의해 아날로그 제어수단의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해 테이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가 공급릴에서 권취측으로 이송시마다 변화되어 입력되는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에 따라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아날로그 제어수단의 보상값을 선택하는 스위칭제어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칭제어 발생수단은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와 설정된 이득변환 기준신호와의 비교 결과로 제1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텐션이득 비교부와, 상기 공급릴의 잔여 테이프량신호와 이득변환 기준신호와의 비교 결과로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텐션이득 비교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제어수단은 상기 텐션증폭수단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를 고정된 이득값으로 비례제어하여 보상하는 비례제어부와, 상기 텐션증폭수단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를 고정된 이득값으로 적분하여 보상하는 적분제어부와, 상기 텐션증폭수단에서 공급된 텐션오차신호의 순간적인 변화율을 고정된 이득값으로 미분하여 보상하는 미분제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어 텐션증폭수단에서 얻어진 텐션오차신호를 비례, 적분, 미분하여 보상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동작모드신호를 전달하는 모드신호 전달부와, 상기 모드신호 전달부로 부터 공급된 각각의 모드신호와 설정된 임계치와를 비교하여 그 결과로 스위칭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은 상기 아날로그 제어수단에서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저항을 통한 접지전위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증폭 출력하는 차동증폭기와, 상기 차동증폭기의 반전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스위칭제어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으로 공급 및 차단하는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 접속되어 차동증폭기의 출력신호를 그의 반전단자로 궤환하는 저항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를 적절히 조절하고 그 조절된 임피던스에 따라 스위칭수단을 통한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임피던스 조절부와, 상기 임피던스 조절부에서 발생된 텐션오차 보상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토오크전류를 발생하는 토오크전류 발생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텐션감지수단에서 감지된 텐션감지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하는 텐션증폭수단과, 상기 텐션증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감지신호와 공급릴에서 검출되어 얻어진 잔여 테이프량신호를 가지고 텐션오차를 계산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맞게 상기 계산된 텐션오차의 보상치를 산출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수단을 통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임피던스 조절부는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부터 얻어진 텐션오차 보상신호를 저항을 통해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액츄에이터에서 공급된 토오크전류를 임피던스를 통해 그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교 출력하는 차동증폭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토오크전류 발생부는 상기 임피던스 조절부에서 출력된 결과신호에 따라 상호 도통 및 차단되는 다이오드(D10)(D11)와, 상기 다이오드(D10)의 차단시 도통되어 전원단자의 전류를 저항을 통해 액츄에이터에 토오크전류로 입력하는 제2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D11)의 차단시 도통되어 액츄에이터의 토오크전류를 저항을 통해 바이패스시키는 제3스위칭소자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칭제어수단에서 얻어진 제1 및 제2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비례, 적분, 미분이득값을 각각 선택하여 텐션증폭수단에서 얻어진 텐션오차신호를 보상하는 비례, 적분, 미분제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비례, 적분, 미분제어부는 상기 스위칭제어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제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어 이에 직렬 접속된 각각의 저항과 콘덴서의 값을 선택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칭소자를 차동증폭기의 출력단자와 입력단자 사이에 각각 병렬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텐션제어장치.
KR1019940007297A 1994-04-07 1994-04-07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KR012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97A KR0129229B1 (ko) 1994-04-07 1994-04-07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97A KR0129229B1 (ko) 1994-04-07 1994-04-07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88A KR950030088A (ko) 1995-11-24
KR0129229B1 true KR0129229B1 (ko) 1998-04-18

Family

ID=6667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297A KR0129229B1 (ko) 1994-04-07 1994-04-07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2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88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3229A (en) Reel servo for tape transport
KR0129229B1 (ko) 브이씨알의 텐션 제어장치
CA1093187A (en) Tape drive motor control circuit
JPS6330703B2 (ko)
US5310133A (en) Magnetic tape transport device with tape tension roller on a lever subjected to motor torque
US5758835A (en) Magnetic tap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ack tension of a magnetic tape running on a rotary drum
JPS6161460B2 (ko)
JPS62128047A (ja) テ−プ走行装置
JPH0544901Y2 (ko)
JPH0115936B2 (ko)
KR900010892Y1 (ko) 테이프 백 텐션 제어회로
JPS62134843A (ja) テ−プ走行装置
JPS6330704B2 (ko)
KR920005940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SU11853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нат жени носител информации
JPH0131857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方式
JPH0354754A (ja) リールモータ制御装置
JP354654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76153A (ja) テ−プ状体のテンシヨン制御装置
JPH0310814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381213B2 (ko)
JPH02208857A (ja) テープ駆動制御装置
JPH0216846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14170A (ja) テ−プテンシヨン制御装置
JPH06215448A (ja) テープ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