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924Y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924Y1
KR0128924Y1 KR2019960001295U KR19960001295U KR0128924Y1 KR 0128924 Y1 KR0128924 Y1 KR 0128924Y1 KR 2019960001295 U KR2019960001295 U KR 2019960001295U KR 19960001295 U KR19960001295 U KR 19960001295U KR 0128924 Y1 KR0128924 Y1 KR 0128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 wire
power supply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pply termina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014U (ko
Inventor
배영돈
안정훈
김진범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01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924Y1/ko
Publication of KR970050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집진기 본체에 마련되는 코로나와이어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전기집진기는 상부케이스(15a)와 하부케이스(15b)로 마련되어 그 내부에 코로나와이어(16), 고전압판(31)그리고 집진판(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코로나와이어(1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00)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전원공급단자(100)에는 다수개의 부속단자(110)가 마련되어 있어 접속된 코로나와이어(16)에 각각의 부속단자(110)를 통하여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단자(11)는 코로나와이어(16)의 전선부하에 의한 집진효율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제2도의 (a)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하부케이스를 보인 평면도이다.
(b)는 (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c)는 (a)의 B-B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전기집진기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하부케이스를 보인 평면도이다.
(b)는 (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c)는 (a)의 B-B 선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12 : 열교환기
13 : 송풍팬 15 : 전기집진기
16 : 코로나와이어 17 : 지지구
18 : 전원공급단자 20 : 용수철
31 : 고전압판 32 : 집진판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일측에 마련되어 흡입공기중의 부유먼지를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집진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싸이클 내에서 순환되는 냉매의 열교환에 의해서 필요한 공간에 조화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 실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실내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다음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본체(10)전면과 상부면으로는 실내공기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구(11)가 마련되어 있고, 흡입된 공기중의 부유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15)가 흡입구(11)내측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2), 열교환된 공기를 강제 토출시키느 송풍팬(13)과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토출구(1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특히 전기집진기(15)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5a)와 하부케이스(15b)로 마련되어 상부케이스(15a)에는 양끝단이 용수철(20)로 연결된 코로나와이어(16)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 및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5a)의 좌, 우 일측부에 간격유지용 회전지지구(17)가 다수 형설되고, 코로나와이어(16)의 양끝단에 연결된 용수철(20)을 걸어 지지함과 아울러 전원을 외부로부터 집진기로 연결, 공급해 주기위한 전원단자(18)가 조립될 수 있도록 된 전원단자(16) 걸림턱(22)과 전원단자(16)의 조립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기(19)가 상부케이스(15A)의 좌우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단자(18)에는 용수철(20)을 걸어 지지할 수 있게 용수철 걸림턱(21)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케이스(15a)에 마련된 가이드돌기(19)에 조립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단자(18)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만곡부(26)가 형성되며 이 만곡부(2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5a)에는 만곡부 노출구(23)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5a)에는 외부공기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코로 나와이어(16)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형상으로 된 흡입구(25)가 형성되어있고, 좌우 또는 상하에는 하부케이스(15b)와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37)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152b)에는 다수의 집진판(32)과 고전압판(31)이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35)에 지지되어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실내의 송풍팬(13)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공기가 열교환기(12)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실내로 토출되는데, 이때 흡입공기는 먼저 전기집진기(15)에 의해서 흡입공기 내에 있는 부유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후 열교환기(12)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 전기집진기(15)는 코로나 와이어(16)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흡입공기에 있는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게 되고, 계속해서 유입된 공기는 고전압판(31)과 집진판(32)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이 집진판(32)에 부착되어 집진하게 된다. 그리고 정화된 공가는 열교환기(12)를 거치면서 열교환된후 송풍팬(13)에 의해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 전기집진기에서 그 전원단자에 인가된 전압는 용수철에 의하여 코로나와이어에 직렬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의 코로나마와이어에 인가된 전압은 코로나 와이어의 길이에 비례하여 전압강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리 전압이 인가된쪽의 전압과 그 반대쪽의 전압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오염된 먼지의 하전율이 떨어져 집진기의 집진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코로나와이어의 전선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를 구성하여 전기 집진기의 집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흡입공기중의 부유입자가 이온화 되도록 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와이어, 이온화된 부유입자를 자기장에 의하여 편향되도록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판, 편향된 부유입자를 포집하는 집진판, 코로나와이어에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코로나와이어에 동일한 위상의 전압이 고르게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세한 실시예를 서술하기로 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제1도를 참조한다. 제 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기늘 상부케이스(15a)와 하부케이스(15b)로 구분되어 마련되는데 상부케이스(15a)에는 양끝단이 용수철(20)로 연결된 코로나와이어(16)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 및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5a) 의 좌, 우 일측부에 간격유지용 회전지지구(120)가 다수 형설되고, 코로나와이어(16)의 양끝단에 연결된 용수철(20)을 걸어 지지함과 아울러 전원을 외부로부터 집진기로 연결, 공급해 주기위한 전원단자(100)가 조립될 수 있도록 된 전원단자 거러림턱(19)과 전원단다(100)의 조립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기(22)가 상부케이스(15a)의 좌우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단자(100)에는 용수철(20)을 걸어 지지할 수 있게 용수철 걸림턱(21)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케이스(15a)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2)에 조립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단자(100)의 일측부에는 코로나와이어(16)의 회전 및 전원을 연결해주기 위한 부속단자(110)가 다수 마련된다. 그리고 이 부속단자(110)는 회전지지구(120)와 밀착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단자(100)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만곡부(26)가 형성되며 이 만곡부(2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5a)에는 만곡부 노출구(23)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5a)에는 외부공기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코로나와이어(16)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형상의 흡입구(25)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 또는 상하에는 하부케이스(15b)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37)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15b)에는 다수의 집진판(32)과 고전압판(31)이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지지대(35)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15)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팬(13)이 작동함에 따라 외부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하여 흡입되게 되는데 흡입된 외부공기는 먼저 전기집진기(15)를 거치면서 흡입공기내에 부유하는 먼지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때 전기집진기(15)는 코로나와이어(16)에 공급되는 전압은 전원단자(100)에 마련된 각각의 부속단자(110)에 의하여 균일하게 공급되어 흡입공기를 이온화 시키게된다.
이온화된 먼지는 고전압판(32)과 집진판(31)사이에 발생하는 전기력에의하여 집진판(31)으로 끌려가서 집진판(31)에 집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흡입공기 내부의 공기는 정화되어 열교환기(12)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후 재차 실내로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는 각각의 코로나와이어의 회전부위에 전입을 균일하게 공급하여 줌으로 해서 전선부하로 인한 전압강하를 방지하여 전기집진기의 집진율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5), 상기 본체(15)일측에 마련되어 흡입공기중의 부유입자가 이온화 되도록 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와이어(16),상기 아온화된 부유입자를 자기장에 의하여 편향되도록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판(31), 상기 편향된 부유입자를 포집하는 집진판(32),상기 코로나와이어(1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0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1)는 상기 코로나와이어(16)에 동일한 위상의 전압이 고르게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100)는 상기 본체(1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회 반복되어 배열된 상기 코로나이어(16)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며 지지하는 부속단자(1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KR2019960001295U 1996-01-30 1996-0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28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295U KR0128924Y1 (ko) 1996-01-30 1996-0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295U KR0128924Y1 (ko) 1996-01-30 1996-0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014U KR970050014U (ko) 1997-08-12
KR0128924Y1 true KR0128924Y1 (ko) 1999-01-15

Family

ID=1944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295U KR0128924Y1 (ko) 1996-01-30 1996-0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9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014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780B2 (en) Air purifier
CA2614822C (en) Air filtration system
EP1915215B1 (en) Air filtration system control
EP3666383B1 (en) Electrical appliance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arbon fiber
KR0128924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020368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9327636A (ja) 空気調和機
RU2686883C1 (ru) Раз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снащенное им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JP2002136893A (ja) エアクリーナー
KR20200073964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정전집진장치를 구비한 가전기기
KR20030075703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KR0136182Y1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KR100484868B1 (ko) 전기식 공기청정기
KR101264778B1 (ko) 공기조화기
KR20030077156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장치
KR20230057818A (ko) 전기집진장치
KR102374472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231046B1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
KR100500982B1 (ko) 공기조화기
JP2004069212A (ja) 空気清浄装置付空気調和機
KR0119571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전기집진필터
JP2002028533A (ja) 電気集塵装置
KR0118102Y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JPH1194282A (ja) 空気調和機
KR100231045B1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