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100Y1 -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100Y1
KR0128100Y1 KR2019960013926U KR19960013926U KR0128100Y1 KR 0128100 Y1 KR0128100 Y1 KR 0128100Y1 KR 2019960013926 U KR2019960013926 U KR 2019960013926U KR 19960013926 U KR19960013926 U KR 19960013926U KR 0128100 Y1 KR0128100 Y1 KR 0128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lock
alarm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647U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13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100Y1/ko
Publication of KR970063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밧데리의 전원이 시계 구동부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밧데리의 전원이 분할 저항을 거치도록 한 전압 검출부에서는 밧데리의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큰 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의 검출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PNP 트랜지스터의 스위치부를 동작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릴레이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이 통하여 흐르는 밧데리의 전압이 알람IC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알람IC의 경보음이 증폭기를 거치고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의 충전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밧데리 3 : 전압검출부
4 : 스위치부 5 : 릴레이
7 : 알람IC
본 고안은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이나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시계의 밧데리 전원을 체크하여 교체해야 할 정도의 낮은 전원이면 경보음을 발하여 사용자가 인식한 후 교체해 줄 수 있도록 한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밧데리는 일정한 용량의 전압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방전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별도의 전선이 필요없으므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을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시계와 같이 비교적 소비 전력이 작은 전기 제품의 경우에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밧데리의 전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계의 밧데리는 밧데리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면서 시계의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밧데리의 전원을 검출하지 않으므로 밧데리의 전원이 과방전되어 시계가 멈추게 되는 경우가 빈번함은 물론, 밧데리의 전원이 줄어들어 시계가 느려져서 시간이 맞지 않거나 멈춘 지 얼마의 시간이 지나서 밧데리를 교체하면서 시간을 다시 맞춰야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시계의 내부에 최소 동작 전압을 설정하여 밧데리의 전원을 사용하는 중에 밧데리의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으로 낮아지면 경보음을 발하여 사용자가 밧데리를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한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밧데리의 전원이 시계 구동부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밧데리의 전원이 분할 저항을 거치도록 한 전압 검출부에서는 밧데리의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큰 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의 검출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PNP트랜지스터의 스위치부를 동작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릴레이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을 통하여 흐르는 밧데리의 전압이 알람IC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알람IC의 경보음이 증폭기를 거치고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밧데리(1)의 전원이 시계 구동부(2)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밧데리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밧데리(1)의 전원이 두 분할 저항(R1)(R2)을 거치도록 한 전압 검출부(3)에서는 밧데리(1)의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스위치부(4)의 PNP트랜지스터(Q)를 온시키지 못하여 상기 시계 구동부(2)로만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압 검출부(3)에서의 검출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위치부(4)의 PNP트랜지스터(Q)를 온시켜줌으로써 밧데리(1)의 전원이 릴레이(5)로 공급되어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릴레이(5)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6)을 통하여 흐르는 밧데리(1)의 전압이 알람IC(7)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알람IC(7)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은 증폭기(8)를 거치고 스피커(9)를 통하여 경보음으로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는 밧데리(1)의 전원이 시계 구동부(2)로 공급되어 밧데리(1)의 전원이 있는 동안에는 정상적인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밧데리(1)의 전원이 두 분할 저항(R1)(R2)을 거치도록 한 전압 검출부(3)에서는 밧데리(1)의 전압이 두 분할 저항(R1)(R2)에 의한 최소 동작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스위치부(4)의 PNP트랜지스터(Q)에 H가 인가되어 온시키지 못하여 상기 시계 구동부(2)로만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압 검출부(3)에서의 검출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위치부(4)의 PNP트랜지스터(Q)에 L이 인가되어 온시켜줌으로써 밧데리(1)의 전원이 릴레이(5)로 공급되어 구동시킨다.
상기 릴레이(5)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6)을 통하여 흐르는 밧데리(1)의 전압이 알람IC(7)로 공급되어 저장된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알람IC(7)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을 증폭기(8)를 거치고 스피커(9)를 통하여 경보음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음으로 들으면서 시계의 밧데리를 교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에 의하여서는, 밧데리의 전원이 시계 구동부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시계의 기능을 수행한 상태에서 밧데리의 전원이 분할 저항을 거치도록 한 전압 검출부에서는 밧데리의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큰 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의 검출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PNP트랜지스터의 스위치부를 동작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릴레이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을 통하여 흐르는 밧데리의 전압이 알람IC로 공급되도록 하여 경보음이 증폭기를 거치고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밧데리의 전원이 시계 구동부로 공급되어 정상적인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에 있어서,상기 밧데리의 전원이 분할 저항을 거치도록 한 전압 검출부에서는 밧데리의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큰 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의 검출 전압이 최소 동작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PNP 트랜지스터의 스위치부를 동작시켜 밧데리의 전원이 릴레이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릴레이에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을 통하여 흐르는 밧데리의 전압이 알람IC로 공급되면서 경보음을 발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KR2019960013926U 1996-05-30 1996-05-30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KR0128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926U KR0128100Y1 (ko) 1996-05-30 1996-05-30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926U KR0128100Y1 (ko) 1996-05-30 1996-05-30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47U KR970063647U (ko) 1997-12-11
KR0128100Y1 true KR0128100Y1 (ko) 1999-03-20

Family

ID=1945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926U KR0128100Y1 (ko) 1996-05-30 1996-05-30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1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47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2431A1 (ja) 警報音駆動回路
US4223305A (en) Single station type ionization smoke sensor
KR0128100Y1 (ko)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JP2015130795A (ja) 電源瞬断対応装置
JPS6239395B2 (ko)
EP0248849A1 (en) Adaptive switching circuit
KR870000835Y1 (ko) 가스배출기의 경보음 발생장치
KR100478402B1 (ko)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회로
JP3760744B2 (ja) 定電圧出力装置
JPH0535497Y2 (ko)
JPH04118670U (ja) 電子式検電器
KR940002334Y1 (ko) 전원 제어회로
KR900004256Y1 (ko) 가스 배출기의 자동 경보 장치
JP2000244978A (ja) バッテリチェック機能付き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S5831276Y2 (ja) 煙感知器の電池チエツク回路
JPS6228105Y2 (ko)
KR940002501Y1 (ko) 음향기기의 슬립 타이머(sleep timer)회로
JPS6226785Y2 (ko)
JPS6231916Y2 (ko)
KR100186768B1 (ko) 앰프의 스텐바이 회로
JPH0313826Y2 (ko)
KR930006486Y1 (ko) 절전형 바 코드 스캐너
JPH0612579A (ja) 電子機器の取外し監視装置
KR890000469Y1 (ko) 전자기기의 건전지 교체회로
KR920000457Y1 (ko) 무정전 전원장치용 펄스폭 변조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