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909B1 - 데이타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 전송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909B1
KR0127909B1 KR1019890008533A KR890008533A KR0127909B1 KR 0127909 B1 KR0127909 B1 KR 0127909B1 KR 1019890008533 A KR1019890008533 A KR 1019890008533A KR 890008533 A KR890008533 A KR 890008533A KR 0127909 B1 KR0127909 B1 KR 012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ata
dummy data
error correction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841A (ko
Inventor
요이찌로 사꼬
겐따로 오다까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0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전송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재생 장치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VTR의 일실시예의 헤드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VTR의 일실시예의 트랙 패턴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 6 도는 A 모드의 NTSC 방식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7 도는 A 모드의 CCIR 방식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8 도는 B 모드의 NTSC 방식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9 도는 B 모드의 CCIR 방식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0도는 A 모드의 NTSC 방식의 블록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B 모드의 NTSC 방식으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상태의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2도는 더미 데이타의 부가 설명에 쓰이는 개략도.
제13도는 더미 데이타의 부가의 다른 예의 설명에 쓰이는 개략도.
제14도는 더미 데이타의 부가의 다른 예의 설명에 쓰이는 개략도.
제15도는 더미 데이타의 부가외의 다른 예의 설명에 쓰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S1 내지 MS9 : 모드 전환 스위치12 : 16-12 : 압축회로
13 : 더미 비트 삽입 회로15 : 에러 정정 인코더
16 : 더미 비트 제거 회로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데 적용되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뤄지는 블록의 단위로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더미 데이타는 에러 정정 부호의 계열의 적어도 일부가 더미 데이타만으로 생성되도록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부가되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한쪽의 블록 및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더미 데이타 및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용장 코드가 제외된 인코더의 출력 신호가 전송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미 데이타와 더미 데이타로 형성된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를 제외해서 전송되며, 전송 데이타의 데이타 비율을 내릴 수 있다.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의 하나로서 회전 헤드가 주사하는 1트랙을 비디오 신호의 기록 구간과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기록 구간으로 나누고, 1필드의 비디오신호와 시간축 압축된 1필드 기간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2개의 기록 기간의 각각에 기록되는 VTR(8밀리 VTR)이 알려져 있다. 8밀리 VTR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FM변조하여, 비디오 신호와 중첩해서 기록하는 방식이 표준 기록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옵션으로서 상술할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기록포맷이 규격화되어 있다.
8밀리 VTR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샘플링 주파수가 2fh(fh : 수평 주파수)이며, 양자화 비티수는 8비트이다. 이것들의 샘플링 주파수 및 양자화 비트수는 고품질의 오디오 재생면에서 충분히 만족되는 값이라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양자화 비트수가 16비트인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의 한 문제는 전송 데이타 양이 증대하고, 자기 테이프상의 기록파장이 짧게 되어 있다. 특히, 8밀리 VTR에서는 짧은 기록 구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송 데이타량의 증대의 영향이 크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고품질화가 도모해진 디지탈 오디오는 메탈 증착 테이프를 사용해서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메탈 도포 테이프를 사용해서 기록/재생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자기테이프의 종류에 따라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1 샘플의 비트수를 변경하면 된다. 즉,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16 비트의 양자화 비트수로 디지탈화하고 사용하는 자기 테이프가 메탈 증착 테이프일 경우엔 압축 처리를 행하지 않으며, 사용하는 자기 테이프가 메탈 도포테이프일 경우엔 16비트를 12비트로 압축한다. NTSC 방식 또는 CCIR방식(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각각의 1필드에 포함되는 샘플수는 소정의 갯수로 되며, 1샘플의 비트수가 압축됨으로서 전송 데이타의 비율이 낮아진다.
기록/재생시에 생기는 에러에 대처하기 위해서 예컨대, 1필드 기간에 포함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고, 2차원 배열(블록이라 칭한다)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를 행하는 에러 정정 부호가 채용된다. 사용하는 테이프로 1워드의 1비트수를 바꾸는 것은 블록의 치수의 차이를 발생시키며, 부호화를 위한 인코더 및 에러 정정을 위한 디코더로서 2개의 비트수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구비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하드웨어의 규모가 커지므로 되도록 인코더 및 디코더를 2개의 비트수간에서 공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출원인은 특원소 63-96547호 명세서에 기재되고 있듯이 1워드를 16비트에서 12비트로 압축할 때엔 4비트의 더미 데이타(구체적으로는 0데이타)를 부가하며, 의사적인 16비트의 데이타에 12비트의 데이타를 변환하며, 블록의 크기를 동등하게 하며, 인코더의 출력으로부터 더미 데이타를 제외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식은 12비트 및 16비트간에서 인코더 및 디코더를 공용할 수 있다.
또, 16비트의 데이타 및 12비트의 데이타간에 에러정정 부호의 블록의 크기를 동등하게 하는 방식으로서 특개소 59-215013호 공보 및 특개소 61-2360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DAT(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DAT의 경우에는 16비트로부터 12비트로 비트수를 3/4으로 적게함과 동시에 샘플링 주파수를 48KHz로부터 32KHz로 2/3 내리고, 그 결과, 데이타량을 1/2로 하고, 한편, 회전헤드와 자기테이프와의 상대 속도를 1/2로 하는 것이며, 기록 파장은 16비트의 데이타 및 12비트의 데이타로 동등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과 같이 사용하는 자기 테이프에 따라서 기록 파장을 다르게 하는 경우에 대해서 DAT의 방식은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앞서 제안되어 있는 더미 데이타를 부가해서 비트수가 상이한 데이타에 관한 것이며,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로 처리되는 블록의 크기를 동등케 하는 방식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앞서 제안되고 있는 방식에선 부호화의 단위인 1심볼중에 더미 데이타와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혼재되어 있으며, 또,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블록 도면에 관해서 에러정정 부호의 부호화를 행했을 때, 에러 정정 부호의 짝중에 더미데이타와 디지탈 오디오 신호와의 양자가 혼재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에러 정정 부호가 블록의 경사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관한 것이며, 한쪽의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에 대해서도 다른쪽의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더미 데이타를 제외해서 전송할 수 있어도 더미 데이타를 포함하는 데이타에서 생성된 용장 코드를 제외할 수 없다. 이러므로, 전송해야 할 데이타량의 저감이 불충분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미 데이타뿐 아니라 일부의 용장코드를 제외해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해야 할 데이타량을 저감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TSC 방식 및 CCIR 방식간에서 블록의 크기를 동등하게 할 수 있으며, 인코더 및 디코더를 양자로 공유할 수 있으며, 또, 더미 데이타뿐 아니라 일부의 용장 코드로 제외해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해야 할 데이타양을 저감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16비트의 데이타 및 12비트의 데이타의 차이 및 NTSC 방식 및 CCIR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블록의 크기를 동등하게 할 수 있으며, 인코더 및 디코더를 공용할 수 있으며, 또, 더미 데이타뿐 아니라, 일부의 용장 코드도 제외해서 전송할 수 있고 전송해야 할 데이타량을 저감 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블록의 단위로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데이타의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더미 데이타는 에러 정정 부호의 계열의 적어도 일부가 더미 데이타만으로 생성되듯이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부가되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한쪽의 블록 및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더미 데이타 및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용장 코드가 제외된 인코더의 출력 신호가 전송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뤄지는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에러 정정 부호(C1 부호)의 부호화가 됨과 더불어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에러 정정 부호(C2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더미 데이타는 한쪽의 블록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정렬 되도록, 한쪽의 블록에 대해 부가되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한쪽의 블록 및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제 1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더미 데이타 및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외된 인코더의 출력 신호가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뤄지는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에러 정정 부호(C1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짐과 더불어 블록의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에러 정정 부호(C2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더미 데이타는 한쪽의 블록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듯이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부가되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한쪽의 블록 및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제 1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더미 데이타 및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외된 인코더 출력 신호가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에러 정정 부호(C1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짐과 더불어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에러 정정 부호(C2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데이타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제 1 의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제 1 더미 데이타는 한쪽의 블록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듯이 부가되며 제 2 더미 데이타는 한쪽의 블록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듯이 부가되며,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한쪽의 블록 및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제 1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 및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외된 인코더의 출력신호가 전송된다.
블록에 대한 에러 정정 부호로서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제 1 에러 정정 부호(C1부호)의 부호화를 행함과 더불어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제 2 에러 정정 부호(C2 부호)의 부호화를 행하는 것이 사용된다. C1부호 및 C2 부호로선 리드 솔로몬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부호화는 예컨대 8비트 길이의 심볼 단위로 이뤄진다. 16비트의 데이타를 12비트의 데이타로 압축할 때는 4비트의 더미 데이타(제로 데이타)가 압축후에 부가된다. (12)비트의 데이타의 상위 8비트가 1심볼을 구성하며, 하위 4비트와 다른 워드의 하위 4비트가 1심볼을 구성하며 3심볼에 대해서 1심볼분의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다. 따라서, 더미 데이타만으로 되는 심볼이 형성된다.
블록내어서 더미 데이타로 되는 심볼이 블록의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듯이 배치된다. 이 용장 코드는 더미 데이타와 마찬가지로 전혀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 NTSC방식과 CCIR방식으로 블록의 가로 방향의 크기가 다를 때에는 블록내에서 더미 데이타로 되는 심볼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듯이 배치되며, 2개의 텔레비젼 방식으로 블록의 크기가 동등해진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C1 부호의 부호화를 행했을 때는 더미 데이타만으로 C1 부호의 용장 코드가 형성된다. 이 용장 코드는 더미 데이타와 마찬가지로 전혀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더미 데이타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음과 더불어 더미 데이타로만 형성된 용장 코드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전송 데이타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양자에 더미 데이타를 부가하면, 16비트 및 12비트의 차이와 텔레비젼 방식의 차이와의 양자로 생기는 블록 크기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 장치를 도시하며, 제 1 도에 있어서 MS1 내지 MS5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도시한다. 이들 모드 전환 스위치 MS1 내지 MS5는 단자 6으로부터의 모드 전환 신호 MDR로, 1워드가 16비트의 모드(이하, A 모드로 칭한다)시는 단자 A측에 접속되며, 1워드가 12비트의 모드(이하, B모드라 칭한다)일 때는 단자 B측에 접속된다. 모드전환 신호 MDR는 예컨대 사용 테이프에 따라서 이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매뉴얼 밖에 예컨대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한 구멍의 유무로 테이프가 메탈 도포 테이프가 메탈 증착테이프인가를 판별하고, 상술의 모드 전환 신호 MDR을 자동적으로 발생해도 된다.
입력 단자 5A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A/D 변환기(11)에 공급되며, 48KHz의 샘플링 주파수로 16비트의 양자화 비트수로 디지탈화된다. 이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스위치 회로 SW1 내지 단지 AD에 공급되며, 입력 단자 5D로부터의 동일 형태의 샘플링 주파수 및 양자화 비트수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스위치 회로 SW1의 단자 DT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 SW1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1에 공급된다.
A모드에서는 모드 전환 스위치 MS1의 출력 신호가 그대로 모드 전환 스위치 MS2의 단자 A에 공급 된다. B모드에서는 모드 전환 스위치 MS2의 출력 신호가 압축 회로(12)에 공급되며, 16비트가 12비트로 압축된다. 비선형인 압축 방법이 사용된다. 압축 회로(12)의 출력 신호가 더미 비트 삽입 회로(13)에 공급되며, 압축으로 생긴 탐임 슬롯에 후술과 같이 더미 비트가 삽입된다.
더미 비트는 예컨대 제로 데이타이다. 어 더미 비트 삽입 회로(13)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2의 단지 B에 공급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 MS2의 출력 신호가 워드/심볼 변환회로(14)에 공급되며, 8비트의 심볼로 변환된다. 워드/심볼 변환 회로(14)의 출력 신호가 에러 정정 인코더(15)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인코더(15)는 1필드뿐의 오디오 신호마다 부호화를 행한다.에러 정정 인코더(15)에는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1필드뿐의 데이타(B모드에선 더미가 포함된다)가 메모리에 격납되며 메모리에 저장된 블록마다에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진다.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11워드가 16비트 및 12비트인 양자의 경우이며, 블록의 크기를 동등하게 할 수 있으며, 양자로 공통 에러 정정 인코더(15)가 사용된다. 후술하듯이 블록의 수직 방향에 C1 부호의 부호화를 행함과 더불어,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C2 부호의 부호화를 행하는 에러 정정 부호가 사용된다. 또, C1 부호 및 C2부호로서는 리드 솔로몬 부호가 사용된다. 또한, 에러 정정 인코더(15)로는 데이타의 시간축이 압축된다.
에러 정정 인코더(15)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3에 공급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 MS3의 A축 단자로부터 꺼내진 데이타는 모드 전환 스위치 MS4의 A측을 통해서 8내지 10변조 회로(17)에 공급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 MS3의 B축 단자로부터 꺼내진 데이타는 더미 비트 제거 회로(16)에 공급되며, 더미 비트는 제거된다. 더미 비트 제거 회로(16)에서는 부가된 더미 비트와 더미 비트만으로 형성된 C2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거된다. 따라서, 12비트의 데이타는 16비트의 데이타에 비해서 전송해야 할 데이타량이 적어진다. 더미 비트 제거 회로(16)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4의 단자 B축을 통해서 8 내지 10 변조 회로(17)에 공급된다.
8 내지 10 변조 회로는 1 심볼의 데이타를 직류분이 적어지도록 10비트의 데이타에 1대 1로 변환하는 것이며, 변환 맵이 격납된 ROM으로 구성되어 있다. 8 내지 10변조회로(17)의 출력 신호는 가산 회로(18)에 공급된다. 가산 회로(18)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 MS5를 거쳐서 16비트용 헤더신호 발생 회로(19)로부터의 헤더 신호와 12비트용 헤더 신호 발생 회로(21)로부터의 헤더 신호가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헤더 신호는 동기 신호, 어드레스 신호, 식별 신호 등으로 된다. 후술의 에러 정정 부호는 헤드 신호의 어드레스 신호 및 식별신호에 관해서도 C1 부호의 부호화를 행하고 있다. 이 경우엔 에러 정정 인코더(15)의 입력측이며, 이것들의 어드레스 신호 및 식별 신호가 부가된다.
가산 회로(18)의 출력 신호가 병렬 내지 직렬 변환 회로(20)로 일련의 데이타로 변환되며 회전 헤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제12도는 재생 장치를 도시하며 제2도에 있어서 MS6 내지 MS9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도시한다. 이들 모드 전환스위치 MS6 내지 MS9는 후술하는 모드 전환 신호 MDP에 의해서 A모드시에 단자 A측이 선택되며, B모드로 단자 B축이 선택된다.
입력 단자(22)로부터의 재생 데이타는 블록 동기 신호 검출 회로(23) 및 PLL 회로(24)에 공급된다. PLL회로(24)로 재생 데이타와 동기한 블록 신호가 형성되며, 이 블록 신호가 블록 동기 신호 검출 회로(23)에 공급되며, 블록 동기 신호가 검출된다. 블록 동기 신호는 전환 신호 형성 회로(25)에 공급되며, 블록 동기 신호의 검출 주기의 차이 재생 데이타가 A 모드인지 B모드인지를 나타내는 모드 전환 신호 MDP가 전환 신호 형성회로(25)로 형성된다.
재생 데이타는 직렬 병렬 변환 회로(26)에 공급되며, 10비트 병렬의 데이타로 변환된다. 직렬-병렬 변환 회로(26)의 출력 신호가 10-8 복조 회로(27)에 공급되며, 10비트가 8비트로 변환된다. 10-8 복조 회로(27)는 기록측의 8-10 변조 회로(17)와 상보적인 것이며, 데이타 변환 맵이 격납된 ROM으로 구성되어 있다.
10-8 복조 회로(27)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6의 단자 A측과 모드 전환 스위치 MS7의 단자 A측을 거쳐서 에러 정정 디코더(29)에 공급된다. 한편, B모드에선 10-8복조회로(27)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6를 거쳐서 더미비트 삽입 회로(28)로 기록시와 동일 형태의 블록내의 위치에 더미 비트가 삽입되며 12비트의 데이타의 경우에도 블록의 크기가 16비트의 데이타와 동등하게 되어진다. 더미 비트 삽입 회로(28)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7의 단자 B축을 거쳐서 에러 정정 디코더(29)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디코더(29)는 16비트의 데이타 및 12비트 데이타의 양자에 공용된다. 에러 정정 디코더(29)는 1블록의 데이타를 격납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재생 데이타를 사용해서 C1 부호 및 C2 부호의 복호가 이뤄진다. 또, 에러 정정 디코더(29)로 시간축의 신장이 이뤄진다.
에러 정정 디코더(29)로부터의 에러 정정이 이루어진 데이타가 심볼/워드 변환 회로(30)에 공급되며, 심볼이 워드로 변환된다. A 모드에선 심볼/워드 변환 회로(30)의 출력 신호가 모드 전환 스위치 MS8의 단자 A 및 모드 전환 스위치 MS9의 단자 A를 거쳐서 스위치 회로 SW2에 공급된다. B모드에선 모드 전환 스위치 MS8의 단자 B측을 통해서 심볼/워드 변환 회로(30)의 출력 신호가 더미 비트 제거회로(31)에 공급된다. 더미 비트 제거 회로(31)의 출력 신호가 12 내지 16 신장 회로(32)에 공급되며, 1워드가 16비트로 신장된다. 12 내지 16 신장 회로(32)의 출력 신호가 모드전환 스위치 MS9의 단자 B를 거쳐서 스위치 회로 SW2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 SW2가 단자 DT측에 접속되는 때,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출력 단자(34)에 꺼내어진다. 스위치 회로 SW2가 단자 AD측에 꺼내어질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출력 단자(34a)에 꺼내어진다.
제 2 도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으며, 에러 정정되어 있는 워드를 복수의 올바른 워드로 보간하는데 보간 회로를 설치해도 좋다.
제 1 도에 도시하는 기록 장치로 생성된 기록 데이타는 8밀리 VTR로 기록된다. 제 3 도는 8밀리 VTR의 회전 헤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며, 제 4 도 및 제 5 도는 그 테이프 포멧을 도시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HA 및 HB는 회전 헤드를 도시하며, 이것들의 회전 헤드 HA 및 HB는 그 작동 갭의 방향각이 서로 다르게 됨과 동시에 180°의 대향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헤드 HA 및 HB는 프레임 주파수로 화살표 3H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기 테이프(2)가 드럼(1)의 주위면에 221°의 각 범위에 감겨진 상태로 화살표 3T의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된다.
자기 테이프(2)에는 제 4 도에 도시하듯이 회전 헤드 HA 및 HB에 의해서 221°분의 길이의 트랙 4A 및 4B이 교대로 형성된다. 트랙 4A 및 4B내에서 회전 헤드 HA 및 HB가 주사하기 시작하는 점에서 약 36°의 각 범위의 영역 AP에는 비디오 신호의 1 필드분에 관련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시간축 압축되어 기록되며, 그후의 180°의 각 범위의 영역 AV에는 1필드분의 칼라 비디오 신호와 FM 오디오 신호와 트랙킹용인 파일롯 신호가 기록된다. 나머지 5°분은 헤드가 테이프에서 이간할 때의 마진으로 되어 있다.
또, 8밀리 VTR에서는 칼라 비디오 신호의 기록 영역 AV도 PCM오디오 신호의 기록 영역으로서 사용하며, 8밀리 VTR을 오디오 전용의 기록 재생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칼라 비디오 신호가 기록되는 180°의 각 범위의 영역 AV는 36°의 각 범위의 영역 AP의 5배의 길이가 있으므로 영역 AV를 5등분해서 제15도에 도시하듯이 1개의 트랙 4A, 4B 당 ①로 나타내는 것과의 영역 AP1외에 ②내지 ⑥으로 나타내는 5개의 영역 AP2 내지 AP6을 설치한다. 이것의 6개 영역 AP1 내지 AP6의 각각에 상이한 채널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기록된다.
에러 정정 인코더(15)에서는 데이타의 2차원 배열(블록)을 단위로서 부호화가 이뤄진다. 제 6 도 내지 제 9 도는 블록의 구성중의 몇가지 예를 도시한다.
NTSC방식에선 1필드 기간의 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48K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기 때문에, 1필드 기간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심볼수는 다음 식에서 3204개가 된다.
Figure kpo00001
CCIR 방식에선 1필드 기간의 2채널 오디오 신호를 48K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기 위해서 1필드 기간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심볼수는 다음식에서 3840개가 된다.
Figure kpo00002
제 6 도 및 제 7 도는 A모드(1워드가 16비트)일때이며, NTSC방식과 CCIR방식과의 각각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NTSC방식의 경우에서는 제 6 도에 도시하듯이 데이타의 심볼이(36×90)의 매트릭스상에서 배치된다. 심볼수의 합계는 3240개가 된다. 오디오 데이타는 3204심볼이며, 나머지의 36심볼이 예비 데이타이다. 오디오 데이타 및 리저브 데이타에 대해서, (4×110)의 헤더 신호가 부가된다. 제 1 도에 도시하는 구성에선,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진 후에 헤더 신호가 부가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는 헤더 신호에 관하는 에러 정정의 부호화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 6 도 내지 제 9 도에 도시하는 블록 구성에선 헤더 신호중의 동기신호(최초의 행에 위치하는 1심볼)이외의 어드레스 신호 및 식별 신호에 관해서도 C1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져 있다.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헤더 신호의 3심볼과 데이타의 36심볼과의 합계 39심볼마다에 C1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진다. C1부호는(부호 길이, 정보 길이, 거리)가 (43, 39, 5)의 리드 솔로몬 부호이다. 39심볼의 짝마다 생성되는 4심볼의 C1부호의 용장 코드(이하, 체크 데이타라 칭한다) P가 블록의 아래측 4개의 행에 배치된다.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C2 부호의 부호화가 된다. C2 부호는 (22, 18, 5)의 리드 솔로몬 부호이다. 블록의 수평 방향의 각 행에는 90개의 심볼이 포함된다. 90개의 심볼의 5개 마다에 선택된 18개의 심볼에서 4개의 C2부호의 체크 데이타 Q가 생성된다. 1행에는 5짝의 C2부호의 짝이 포함되며, (4×5=20)개의 심볼의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가 생성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타와 예비 데이타와 헤더 신호와 체크 데이타 P, Q로 (44×110)의 크기의 블록이 최종적으로 얻어진다. 기록시에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44개의 심볼마다에 차례로 기록된다. 오디오 데이타의 각 채널에서 최초의 워드로부터 차례를 부쳤을 때의 짝수째의 워드가 블록의 한쪽 편측(도면을 향해서 좌측)에 배치되며, 홀수째의 워드는 블록의 다른쪽의 편측(도면을 향해서 우측)에 배치되며 짝수째의 데이타와 홀수째의 데이타와의 사이에 C2부호의 체크 데이타가 배치된다. 이것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오디오 데이타의 기록 위치가 자기 테이프상에서 떨어지며, 더불어 에러 데이타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C2부호의 체크 데이타 Q에 대해서도 C1부호의 부호화가 되며, 체크 데이타 P가 생성된다. 이때 얻어지는 체크 데이타 P는 C1부호의 체크 데이타 P에 대해서 C2 부호의 부호화를 행했을 때에 얻어지는 체크 데이타 Q와 동일한 것으로 된다. 이런 의미로, 도면중에선 P(Q)의 부호가 사용되어 있다.
CCIR방식의 A 모드에서는 제 7 도에 도시하는 블록구성을 사용해서 부호화의 처리가 이뤄진다. CCIR방식의 경우에서는 제 7 도에 도시하듯이 데이타의 심볼이(36×108)의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다. 이 수칙 방향의 심볼수는 제 6 도에 도시하는 NTSC 방식의 블록과 동등하다. 심볼수의 합계는 3888개가 된다. 오디오 데이타는 3940심볼이며, 나머지 48심볼이 예비 데이타이다. 오디오 데이타 및 예비 데이타에 대해서 (4×110)의 헤더 신호가 부가된다.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헤더 신호의 3심볼과 데이타의 36심볼과의 합계 39심볼마다에 C1부호의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C1부호는 NTSC방식과 마찬가지의(43, 39, 5)의 리드 솔로몬 부호이다. 39 심볼의 짝마다에 생성되는 4심볼의 C1부호의 체크 데이타 P가 블록의 아래측 4개의 행에 배치된다.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C2 부호의 부호화가 된다. C2 부호는 NTSC방식과 마찬가지(22, 18, 5)의 리드 솔로몬 부호이다. 블록의 수평 방향의 각 행에는 108개의 심볼이 포함된다. 108개의 심볼의 6개 마다에 선택된 18개의 심볼에서 4개의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 Q가 생성된다. 이 수평 방향의 상호 배치(interleave) 길이가 NTSC방식의 5 심볼과 상이한 6심볼로 되어 있다. 1행에선 6짝의 C2 부호의 짝이 포함되므로 (4×6=24)개의 심볼의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 Q가 생성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타와 예비 데이타와 헤더 신호와 체크 데이타 P, Q로 (44×132) 크기의 블록이 최종적으로 얻어진다. 기록시에는 수직 방향으로 병렬하는 44개의 심볼마다 차례로 기록된다. 짝수째의 워드, 홀수째의 워드,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의 배열은 제 6 도와 마찬가지다.
1워드가 12비트인 B모드 블록 구성은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하는 것으로 된다. 단, 이것들의 도면에선 더미 데이타를 제외한 참 데이타의 양이 도시되어 있다.
A모드에 대해서 B모드는 데이타량이 (3/4)이 되므로 NTSC방식의 경우엔 제 8 도에 도시하듯이 수직방향의 심볼수가 27 심볼로 되며, 수평 방향의 심볼수는 27 심볼로 되며, 수평방향의 심볼수는 A모드와 같은 110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9 도에 도시하듯이 CCIR방식의 경우에도 수직 방향의 심볼수가 27이 되며 수평 방향의 심볼수가 A모드와 같은 132로 되어 있다.
에러 정정 인코더(15)에 공급되는 때에는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며, 블록의 수직 방향의 심볼수가 A모드와 같은 36으로 된다. 따라서 C1 부호 및 C2부호는 A 모드 및 B 모드 사이에서 동일 부호를 사용할 수 있고, 에러 정정 인코더(15)가 2개의 모드로 공용된다. 또, 상술과 같이 블록의 크기와 수평 방향의 상호배치의 길이를 제외하고, NTSC방식과 CCIR방식으로 동일의 C1 부호 및 C2 부호가 사용된다.
제10도는 제 6 도에 도시하는 A모드(NTSC 방식)의 블록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다. 1 워드 16비트의 데이타의 한쪽 채널(좌채널) 데이타 L0, L1, L2…와 다른쪽의 채널(우 채널) 데이타(R0, R1, R2…)가 상위 8비트의 심볼(U의 부호를 붙인다)과 하위의 8비트의 심볼(1의 부호를 붙인다)로 분할된다. 예컨대 1 워드 L0는 2개의 심볼 L0,v와 L0, v로 나뉜다. 짝수째 워드의 심볼이 블록 좌측의 좌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홀수째 워드의 심볼이 블록의 우측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따라서, 블록의 가장 좌측열에는 제10A도에 도시되는 심볼이 위치한다.
헤더 신호(엄밀하게는 동기 신호를 제외한다)가 부가되어서 에러 정정 인코더에 공급되며, 제10B도에 도시하듯이 C1부호의 체크 데이타 D 및 C2부호의 체크 데이타 Q(도시하지 않음)이 부가된다. 제10B도와 마찬가지로 제10C도에 도시하는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제 8 도에 도시되는 A모드(NTSC 방식)의 데이타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며, 제11도에 도시하는 블록이 구성된다. 제11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하는 데이타가 더미 데이타(제로 데이타)이다. 이 예에서는 헤더신호의 아래측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3심볼마다 1심볼의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다. 이 처리로 A모드와 블록의 크기가 동등한 것으로 된다. 더미 데이타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위치되므로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 Q의 일부는 더미데이타만으로 생성된다. 더미 데이타만으로 생성되는 체크 데이타도 제11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C1 부호 및 C2 부호의 부호화후에 사선으로 도시하는 더미 데이타 및 더미 데이타에서 생성된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가 제외된 데이타가 전송된다. 따라서, 전송해야 할 데이타량이 저감되며, 데이타 비율이 내려간다.
제12도는 더미 데이타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12A도는 1워드가 12비트인 데이타를 8비트 길이의 심볼로 변환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12비트의 상위 8비트가 상위측 심볼(U의 부호가 붙여진다)로 되며, 하위 4비트가 하위측의 심볼(l의 부호가 붙여진다)로 된다. 이같이 워드를 심볼로 변환하면 4비트의 공백이 하위 심볼의 우측에 생긴다.
이 공백에 다른 워드의 하위의 4비트가 삽입되며, 이동된 하위의 4비트 앞의 위치에 생긴 8비트의 공백에 더미 데이타(8비트)가 삽입된다. 예컨대, 심볼 L0, v의 우측에 생긴 공간에 심볼 R0,L가 배치되며, 심볼 RO,L가 위치하고 있던 장소에 더미 데이타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2B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하듯이 블록의 1열을 보았을 때에 3심볼마다에 1심볼분의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게 된다. 모든 열에 관해서 마찬가지로 더미 데이타가 삽입되므로 더미 데이타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게 된다. 이같이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상태에서 C1 부호 및 C2 부호의 부호화가 된다.
부호화후에 더미 데이타가 제외되며, 제12C도에 도시하는 더미 데이타 제거후의 데이타가 기록된다. 상술과 같이 더미 데이타가 정렬하고 있으므로 C2부호의 체크 데이타의 집합에 있어서도 제12D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하듯이 더미 데이타로부터 생성된 C2부호의 체크 데이타(즉, 제로데이타)도 3심볼마다의 간격으로 생긴다. 이 더미 데이타로 생성된 체크 데이타로 제외되어서 제12E도에 도시하는 체크 데이타 Q가 전송된다.
실제적으로는 에러 정정 인코더의 메모리에 최초로 제로 데이타를 미러 써 넣고, 다음에 제12B도에 도시하는 배열로 되도록 심볼을 써넣으므로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다.
제13A도에 도시하듯이 하위의 4비트의 심볼의 좌측에 공백을 설치하며 제13도에 도시하듯이 더미 데이타를 부가할 수도 있다.
또, 제14도에 도시하듯이 제8도에 도시하는 데이타의 블록의 상측에 더미 데이타를 일괄해서 부가해도 된다.
또한, CCIR방식에 관해서도 이상 서술한 NTSC 방식에 관한 더미 데이타의 부가와 마찬가지 처리가 적용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A모드와 B 모드와의 사이에서 블록의 크기를 같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같은 모드로 NTSC방식과 CCIR방식으로 블록의 크기를 같게 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컨대, A모드의 경우, NTSC방식과 CCIR방식과의 사이에는 제 6 도 및 제 7 도로 알 수 있듯이 수평방향의 크기가(NTSC 방식 : 110, CCIR방식 : 132)와 상이하다. NTSC방식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를 부가하는 것으로 CCIR방식과 같은 크기의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제15도는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예를 도시한다. 제15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하듯이 NTSC방식의 제 6 도에 도시하는 블록에 대해서 5심볼의 간격으로 1심볼의 더미 데이타가 수직 방향으로 정렬 되도록 부가된다. C2부호의 수평방향의 상호 배치 길이가 6으로 되며, 따라서, 더미 데이타로만 형성되는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가 생성된다. 또,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더미 데이타로부터 C1 부호의 체크 데이타가 생성된다. 전송시에는 이것들의 더미 데이타와 더미 데이타로 생성된 C1 부호 및 C2 부호의 체크 데이타가 제외된다. 또, C1 부호에 관해서만 고려할 경우에는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일관해서 더미 데이타가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아도 상술한 일실시예(A 모드 및 B 모드 사이에서 블록의 크기를 동등하게 하는 방식)와 다른 실시예(NTSC 방식과 CCIR 방식으로 블록의 크기를 같게 하는 방식)과의 양자를 조합할 수 있다.
즉, 텔레비젼 방식의 차이와 비트수의 차이로 생기는 4개의 조합(제 6 도 내지 제 9 도)중에서, 최대의 블록에 크기를 맞추듯이 수평 방향 및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듯이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다. 이같이 하면, 블록의 크기는 통일되며, C2 부호의 수평 방향의 상호배치 길이도 통일된다.
더미 데이타로선 제로 데이타에 한하지 않고, 소정의 데이타(모드 1의 데이타, 특정의 비트 패턴의 데이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어지므로 해서, 워드의 비트수의 차이, 텔레비젼 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에러 정정부호의 블록의 크기가 동등해지며,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 및 디코더가 상이한 모드 또는 텔레비젼 방식간에서 공통으로 되며, 하드웨어는 소규모로 된다. 또, 본 발명은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는 경우, 에러 정정 부호의 체크 데이타의 일부가 더미 데이타만으로 구성되므로 더미 데이타 뿐만 아니라 일부의 체크 데이다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전송 데이타량이 저감된다. 따라서, 전송 데이타의 비율을 내릴 수 있다.

Claims (8)

  1.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블록의 단위로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되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는 상기 에러 정정 부호의 계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미 데이타만으로 생성되도록 상기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부가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상기 한쪽의 블록 및 상기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상기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 및 상기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용장 코드가 제외된 상기 인코더의 출력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2.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운적으로 배열되고 있는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짐과 더불어 상기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는 상기 한0쪽의 블록내에서 수평방향을 정렬하도록 상기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부가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상기 한쪽의 블록 및 상기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상기 제 1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 및 상기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외된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한 샘플링 주파수로 디지탈화된 디지탈 정보 신호이며 1단위가 m비트인 디지탈 정보 신호로 제 1 블록이 구성되며, 1단위가 n비트(mn)의 디지탈 정보 신호로 제 2 블록이 구성되며, (m-n)비트의 더머 데이타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1단위가 심볼인 경우에, (m=8 비트, n=6 비트)로 되며, 1단위가 워드인 경우에, (m=16 비트, n=12 비트)로 되며, 1단위가 2채널 데이타인 경우에, (m=32 비트, n=24 비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1워드가 12비트인 데이타를 8비트의 심볼로 분할할때, 워드의 상위 8비트로 1심볼이 형성되며, 상기 워드의 하위 4비트와 다른 워드의 하위 4비트로 1심볼이 형성되며, 3심볼에 대해서 1개의 비율로 8비트의 더미 데이터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6.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뤄지는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됨과 더불어, 상기 블록의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되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더미 데이타가 부가되므로서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는 상기 한쪽의 블록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부가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상기 한쪽의 블록 및 상기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상기 제 1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더미 데이타 및 상기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외된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NTSC 방식의 텔레비젼 신호의 일정 기간내에 포함되는 오디오 신호가 디지탈화 되어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형성되며, 상기 디지탈 오디오 신호 제 1 블록이 구성되며 CCIR방식의 텔레비젼 신호의 일정 기간내에 포함되는 오디오 신호가 디지탈화되어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형성되며, 상기 디지탈 오디오 신호로 제 2 블록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8. 디지탈 정보 신호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이루는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되어짐과 더불어 상기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뤄지는 데이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크기의 제 1 블록과 제 2 블록내에서 데이타량이 적은 한쪽의 블록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가 부가됨으로서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이 동등한 크기로 되며, 상기 제 1 더미 데이타는 상기 한쪽의 블록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부가되며 상기 제 2 더미 데이타는 상기 한쪽의 블록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듯이 부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가 부가된 상기 한쪽의 블록 및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쪽의 블록이 상기 제 1 및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더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데이타만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 및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코드가 제외된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KR1019890008533A 1988-06-24 1989-06-21 데이타 전송 장치 KR0127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6566 1988-06-24
JP63156556A JPH025080A (ja) 1988-06-24 1988-06-24 似顔絵作成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841A KR900000841A (ko) 1990-01-31
KR0127909B1 true KR0127909B1 (ko) 1998-04-01

Family

ID=1563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533A KR0127909B1 (ko) 1988-06-24 1989-06-21 데이타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5080A (ko)
KR (1) KR0127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412B2 (ja) * 1992-10-14 1995-09-20 株式会社高田工業所 人相判定方法
JP2020085981A (ja) * 2018-11-19 2020-06-04 恵子 瀧 人物の顔描写用テンプレート及び人物の顔描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5080A (ja) 1990-01-09
KR900000841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8091B2 (ja) データ伝送方法
EP0303450B1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EP0548887B1 (en) Digital video tape recorder with data block I.D. signal error correction
JPH0486183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EP0771109A2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6055357A (en) Signal recording apparatus
EP0130572B1 (en) Rotary head type pcm recorder
EP0321217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 digital video signal
US5101274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time-division multiplexing video and audio signals
KR960016490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재생장치 및 디지탈신호 기록재생방법
KR0127909B1 (ko) 데이타 전송 장치
US5315445A (en) Audio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VTR
US6438316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cluding line numbers
EP0366402A2 (en) Digital audi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JP2521967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2715418B2 (ja) エラー訂正符号化装置
JP2621873B2 (ja) ディジタル音声データの記録方法
JP3259298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装置
JPH0520794A (ja) デイ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H11164261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2886943B2 (ja) 符号化装置
JPH0530470A (ja) デイ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方法
JPH01165281A (ja)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EP0717563A2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H05130558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