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72B1 - 액체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액체회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72B1
KR0127772B1 KR1019930004910A KR930004910A KR0127772B1 KR 0127772 B1 KR0127772 B1 KR 0127772B1 KR 1019930004910 A KR1019930004910 A KR 1019930004910A KR 930004910 A KR930004910 A KR 930004910A KR 0127772 B1 KR0127772 B1 KR 012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in body
float
liquid recover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839A (ko
Inventor
요지 모리
모토노리 스즈키
켄로 모토다
히로시 키쿠치
Original Assignee
요지 모리
가부시기가이샤 월드케미컬
켄로 모토다
모토다덴시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히로시 키쿠치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소오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지 모리, 가부시기가이샤 월드케미컬, 켄로 모토다, 모토다덴시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히로시 키쿠치,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소오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요지 모리
Publication of KR94002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3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mechanical means, e.g. skimmers,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가 높은 회수오일등이나 크게 성장한 스컴이라 하더라도 회수해서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플로우트에 의해서 액체에 뜨는 본체조와, 본체조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져서 가이드플로우트에 의해서 액체에 뜨고 구배면을 가지며 본체조내에 액체를 도입하는 유입언과, 본체조내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고, 유입언의 구배면상에 긁어모으는 기계를 설치하고 또한 본체조내에 압입스크류를 설치하므로서,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긁어모아 본체조내에 압입한다. 그리고, 또 발명은, 회수펌프에 의해서 회수오일등을 사이클론부에 보내어 기액분리하고, 내통과 외통을 동심형상으로 배치하여, 이들의 사이에 스파이럴형상벽을 형성한 비중차분리부에 회수오일등을 공급해서 비중차가 있는 액체를 분리하고, 저류빼내기부에서 비중이 가벼운 액체를 저류 또한 외부에 배출하고 내통내에 배출관을 접속한 오우버플로우부에서 비중이 무거운 액체를 외부에 배출하므로서, 공기, 오일, 물의 3성분을 분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회수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액체회수장치를 표시한 측면도.
제 2 도는 액체회수장치를 일부단면의 평면도.
제 3 도는 긁어모으는 기계의 연결부를 표시한 일부단면의 측면도.
제 4 도는 긁어모으는 기계의 연결부를 표시한 일부단면의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제1도와 동일형상의 측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제1도와 동일형상의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제2도와 동일형상의 평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구성도.
제 9 도는 분리수단의 일부단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회수장치2 : 본체플로우트
3 : 본체조4 : 가이드플로우트
5 : 유입언6 : 긁어모으는 기계
7 : 배출관(배출부)10 : 원통체
11 : 원추형상조12 : 유입구
13 : 브래킷14 : 나비형 너트
15 : 가대(架台) 20 : 원통체
21 : 구배면22 : 브래킷
23 : 나비형 너트24 : 바아(bar)
30 : 회전구동부31 : 긁어모으기날개
32 : 회전축33 : 연결부
34 : 지지베이스35 : 브래킷
36 : 장착너트37 : 축
38 : 돌기39 : 스플라인 홈
40 : 매달기금속부재41 : 스톱바아
50 : 압입스크류51 : 연결부
52 : 유입언53 : 구배면
54 : 스프링55 : 본체플로우트
56 : 유니버설조인트60 : 액체회수장치
61 : 분리수단62 : 사이클론부
63 : 내통64 : 외통
65 : 스파이럴형상벽66 : 비중차분리부
67 : 저류빼내기부68 : 배출관
69 : 오우버플로우부70 : 사이클론본체
71 : 도입구72 : 공기빼기
73 : 도입관74 : 스크류나사
75 : 간막이판76 : 통로
77 : 저류조78 : 빼내기조
79,80 : 노즐81 : 오우버플로우언(越流堰)
82 : 파이프83 : 통로
84 : 자동밸브85 : 드레인노즐
86 : 가대87 : 회수펌프
88 : 파이프89 : 호오스
90 : 회수오일저류탱크1a : 액체회수장치
3a : 반원형상돌기30a : 회전구동부의 축
50a : 스크류의 축55a : 오목부
65a : 스파이럴형상벽의 하면77a : 원통
77b : 원추79a,80a : 오일검지센서
S : 단면H : 수평면
본 발명은, 원유등의 유출오일, 하수처리장, 식품공장 등에 있어서의 스컴(SCUM), 기계가공센터의 냉각제오일, 도금의 탈지공정에 있어서의 부상오일등의 액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특히 유조선 등의 좌초 사고나 침몰사고 등에 의해 원유나 연료유 등이 배출하는 해상 오염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유출오일을 극력회수하고, 환경보전을 도모하는 것이 강력하게 요망되고 있다.
상기 요망에 대해서, 유출오일의 회수장치는,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①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공소 53-26422호 공보등이 알려져 있다. 또, ②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원평 3-123712호, ③ 동 특원평 4-16771호가 있다.
①의 본원 출원인에 의한 공지예에서는, 본체조의 분리부의 상부에 액면보다 높게 설치하고 있는 오일저장실로부터 진공펌프에 의해 오일을 회수하고, 물은 내통내에 있는 오우버플로우관내에 넘쳐 흐르게 하고, 이것을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하는 것이다.
또 ②의 본원 출원인에 의한 것에서는, 유입가이드부의 유입구로부터 들어간 비중이 가벼운 오일등을 함유한 액체는 본체조의 유입구로부터 속으로 들어가 분리부의 방해판에 의해 유통을 소외하여, 비중차에 의해 오일등을 분리해서 분리조내에 오일등을 저류(貯留)하고, 소정량으로 되면 빼내기관으로부터 오일등을 회수하고, 물은 분리부로부터 내통으로 들어가, 오우버플로우관내에 넘쳐 흘러서 일단 절연되고, 오우버플로우관내에 물만을 외부에 배수하는 것이다.
또 ③의 본원 출원인에 의한 것은, 유입가이드부의 가이드플로우트의 장착위치를 조정해서 가이드유입언의 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또 본체조의 본체플로우트의 장착위치를 조정해서 본체유입언의 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덩어리상태의 오일이나 스컴 등이 많을 경우에는 쌍방의 유입언의 높이를 낮게 조정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①, ②의 종래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모두 오일만을 효율좋게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펜스 등에 의해서, 수면이 둘러쌓여져 오일막이 확산하여 갈 우려가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사정이 좋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처리 능력도 한정되며, 대형화하여 운반하기에도 불편하므로 긴급한 때에 대응이 지연되기 쉽고, 수역상을 확산할려고 하는 오일막을 신속히 회수해서 오일막의 확산을 방지하는데는 불충분하다.
또, 이들 종래예에서는, 점도가 높고 덩어리형상으로 된 오일이나 스컴 등은 유입구에 걸려서 회수할 수 없게 되거나, 이것들이 유입구에 가득차서 오일등을 함유한 액체를 회수할 수 없는 일이 있다.
③의 종래예는, 덩어리형상의 오일이나 스컴등을 가이드유입언 높이를 조정하므로서, 오일등을 함유한 액체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이나, 어느 점도 이상의 덩어리형상의 오일이나 크게 성장한 스컴 등은, 유입구에 걸려서 회수할 수 없다. 또, 가이드플로우트의 장착위치를 조정해서 가이드유입언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은, 가이드플로우트의 수만큼 조정개소가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빈번히 가이드유입언의 높이조정을 필요로 하는 도금의 탈지공정에 있어서의 부상오일등의 경우에는, 품이 너무 많이 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본원 출원인에 의한 것을 더 긴급한 때의 대응이나 유입높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점도가 높고 유입구에 부착한 오일이나 크게 성장한 스컴이더라도, 유입구에 가득차는 일없이 용이하게 회수해서 분리할 수 있는 액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체회수장치는, 본체플로우트에 의해서 액체에 뜨고 유입구를 가진 본체조와, 이 본체조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지고 가이드플로우트에 의해서 액체에 뜨고 상기 본체조에 근접함에 따라서 올라가는 구배면을 가지고 상기 유입구를 개재해서 상기 본체조내에 액체를 도입하는 유입언과, 상기 본체조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본체조내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액체회수장치를 표시하고, 이 액체회수장치(1)는, 본체플로우트(2)에 의해서 액체에 뜨는 본체조(本體槽)(3)와, 이 본체조(3)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지고 가이드플로우트(4)에 의해서 액체에 뜨는 유입언과(流入堰)(5)과, 이 유입언(5)위에 설치한 긁어모으는 기계(6)와, 본체조(3)내에 설치한 배기관(배출부)(7)을 주요 구성요소로 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조(3)는, 원통체(10)내에 원추형상조(11)를 설치한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쪽벽은 그 전체 둘레가 유입구(12)로 되어 있으며, 이 유입구(12)로부터 액체가 본체조(3)내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유입구(12)는 수역의 오일을 함유한 액체가 넘어서 유입하여 오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원통체(10)의 하단부면에는 4개의 브래킷(13)이 배설되고, 그들 브래킷(13)의 선단부에는 본체플로우트(2)의 하단부가 2개의 나비형 너트(14),(14)에 의해 장착위치가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에 의한 본체조(3)의 흘수(吃水)위치를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플로우트(2)의 수량은 액체회수장치(1)의 중량, 사이즈에 의해 3개 이거나 5개...로 증가한다. 또, 이들 브래킷(13)에는 육상에 놓기 위한 가대(架台)(15)가 설치되고, 배출관(7) 및 이것에 접속하는 호오스, 파이프류를 보호한다.
상기 유입언(5)은, 제3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체조(3)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한 단면이 반원형상의 돌기(3a)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통체(20)의 상단부에 원추형상플랜지를 이룬 구배면(21)을 형성해서 이루어지고, 이 원통체(20)의 상단부 전체 둘레로부터 액체가 안쪽으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유입언(5)의 하단부면에는 4개의 브래킷(22)이 상기의 본체플로우트(2)의 4개의 브래킷(13) 위쪽에 위치해서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2)의 선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플로우트(4)가 하단부쪽이 2개의 나비형 너트(23),(23)에 의해 장착위치가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유입언(5)의 흘수위치를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유입언(5)은, 본체조(3)와는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액체에 뜨고, 본체조(3)내의 액체량의 변화에 의한 뜨고 가라앉음에 영향되지 않고, 가이드플로우트(4)의 브래킷(22)에 대한 장착위치를 나비너트(23)에 의해 바꾸므로서, 유입언(5)을 넘어 본체조(3)내에 유입하는 액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가이드플로우트(4)의 상단부쪽은 바아(2)에 의해 연결되어서 가이드플로우트(4)의 진동을 방지한다.
상기 긁어모으는 기계(6)는, 본체플로우트(2)에 의해서 지지한 회전구동부(30)와, 유입언(5)의 구배면(21)상의 부유물을 중심부에 긁어모으는 긁어모으기날개(31)와, 이 긁어모으기날개(31)의 회전축(32)와 회전구동부(30)의 축을 축선방향으로 소정거리 진퇴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또한 이 축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 이동이 자유롭게 접속해서 긁어모으기날개(31)에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구동부(30)는 가벼속모우터를 사용하여, 부유물의 성질에 의해 긁어모으기날개(31)의 회전수를 바꾸는 것으로서, 지지베이스(34)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베이스(34)에 4개의 브래킷(35)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5)의 선단부에는 본체플로우트(2)의 상단부쪽이 2개의 장착너트(36),(36)에 의해 장착위치가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구동부(30)의 장착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긁어모으기날개(31)는, 구배면(21)상에 얹어 놓여져 있으며, 통상은 3매 날개이나, 2매 이상 있으면 된다. 이 긁어모으기날개(31)는 스플라인 이음매인 연결부(33)에 의해서 회전구동부(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연결부(33)는, 제3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30)의 축(30a)에 고정된 축(37)에 반구(半球) 형상의 돌기(38)를 형성하고, 또한 긁어모으기날개(31)의 회전축(32)의 내주면에 스플라인 홈(39)을 형성하고, 이 스플라인홈(39)에 돌기(38)를 끼우므로서, 긁어모으기날개(31)가 축선방향으로 소정거리 진퇴이동하거나, 이 축선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동해도, 회전구동부(30)는 긁어모으기날개(31)에 회전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유입언(5)의 원통체(20)와 본체조(3)의 돌기(3a)에 의해, 연결부(33)의 경우와 동일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7)은 본체조(3)의 원추형상조(11)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통상 액체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도록 펌프의 흡입쪽에 직접 또는 흡입관을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도, 제2도중, (40)은 매달기금속부재이고, (41)은 소톱바아이며,가이드플로우트(4)를 항상 본체플로우트(2)의 브래킷(13)의 대강 바로 위로 위치시켜서, 부유물이 유입언(5)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이 액체회수장치(1)의 설비 및 그 운전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오일 등이 유출하고 있는 수역 근처에 있는 육상영역에 액체회수장치(1) 및 그 부대 설비를 운반한다. 이 부대 설비는, 회수펌프, 액체분리장치, 회수오일저류탱크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육상영역에 액체분리장치를 설치하고, 또 회수펌프 및 회수오일저류탱크를 설치하고, 액체회수장치(1) 및 회수펌프 등에 전원을 접속한다. 다음에 본체조(3)에 유입언(5)을 헐겁게 끼우는 등의 필요한 세트를 행하고, 또, 배출관(7)이 회수펌프를 접속하는 등의 부대설비와의 사이에 필요한 세트를 행한다. 수역에 부유하고 있는 오일의 대강중심부에 액체회수장치(1)를 뜨게 한다. 그리고, 본체플로우트(2)의 장착위치 및 가이드플로우트(4)의 장착위치를 조정해서, 수역에 있어서의 본체조(3)의 유입구(12) 및 유입언(5)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면, 액체회수장치(1)와 그 부대설비의 설치 및 운전준비가 완료되므로, 전원을 넣는다. 오일을 함유한 물은, 유입언(5), 유입구(12)를 개재해서 본체조(3)내의 원추형상조(11)에 유입하고, 배출관(7)를 개재해서 회수펌프에 의해 액체분리장치내에 들어가, 오일과 물로 분리되어서 물은 수역으로 되돌아가게 되고, 오일은 회수오일저류탱크에 저류된다. 그러나, 고정도의 오일덩어리나 크게 성장한 스컴등의 부유물이 있으며 구배면(21)에 의해 안내되어도 유입언(5)을 넘어서 본체조(3)내에 들어갈 수 없고 구배면(21)상에 저류되어 이후 오일을 회수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긁어모으는 기계(6)의 긁어모으기날개(31)를 부유물의 상태에 따라서 회전수를 설정해서 회전구동부(30)에 의해 회전시켜서, 강제적으로 중심부에 긁어모아 본체조(3)에 넣고, 구배면(21)위를 항상 매끄러운 상태로 하여 두고, 오일을 함유한 물을 항상 회수한다. 또, 파도 등에 의해 유입언(5)이 상하좌우로 요동하여도 긁어모으기날개(31)는 유입언(5)위에 놓여져 있으므로, 그것에 추종하여 스플라인이음매인 연결부(33)에 의해 회전구동부(30)의 회전력은 추종하고 있는 긁어모으기날개(31)에 전달되고, 구배면(21)상의 부유물을 긁어내어 항상 매끄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액체회수장치(1a)와 제1도~제4도에 표시한 실시예와의 상위점은, 회전구동부(30)에 본체조(3)내에 압압스크류(50)를 직결하고, 이 압압스크류(50)의 축(50a)과 긁어모으는 기계(6)의 회전축(32)과의 사이에 연결부(33)와 마찬가지의 스플라인이음매인 연결부(51)를 개재시켜 긁어모으는 기계(6)에 의해 긁어모으는 것만으로는 본체조(3)내에 들어가기 어려운 부유물를 강제적으로 압입하고, 배출관(7)으로부터 외부로 내보내는 점에 있다. 그외의 구성 작용에 대해서는, 제1도~제3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액체회수장치(1b)와 제1도~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와의 상위점은, 긁어모으는 기계(6)가 없고, 또 가이드플로우트(4)에 유입언(52)와 장착위치를 조정하는 나비형 너트(23)(단, 이 나비형 너트(23)가 설치되어 있으면, 최초에 액면에 액체회수장치(1b)를 띄을때의 대강조정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안성마춤이므로 설치하고 있어도 된다)가 없고 그 대신에 브래킷(22)에 유입언(52)을 나사접합하고, 브래킷(22)과 유입언(52)의 구배면(53)과의 사이에 스프링(54)을 설치하고, 또 본체플로우트(55)에 오목부(55a)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55a)에 가이드플로우트(4)의 일부를 삽입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 그리고, 유입언(52)을 회전시키므로서 언높이를 미세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입시킬려고 하는 액체 두께를 자유롭게 또한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후 스프링(54)의 탄력에 의해 유입언(52)이 자연적으로 회전해서 언높이가 변화되지 않도록 하고, 또, 유입언(52)에 오일등이 유입하는 것을 가이드플로우트(4)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6도중, (56)은 유니버설조인트이며, 형상에 버릇이 있는 호오스를 접속해도 유입언의 높이에 변동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외의 구성·작용은 제1도~제3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액체회수장치(60)와 제1도~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와의 상위점은, 분리수단(61)을 부가시킨 점에 있다.
즉, 이 분리수단(61)은, 기액분리하는 사이클론부(62)와, 이 사이클론부(62) 보다 아래쪽에 내통(63)과 외통(64)을 동심형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내통(63)과 외통(64)과의 사이에 스파이럴형상벽(65)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클론부(62) 통과후의 회수오일등 액을 하부로부터 공급해서 비중차가 있는 액체를 분리하는 비중차분리부(66)와, 이 비중차분리부(66) 위에 위치해서 비중이 가벼운 액체를 저류하고 또한 외부에 배출하는 저류빼내기부(67)와, 내통(63)내에 배출광(68)을 접속해서 비중이 무거운 액체를 외부에 배출하는 오우버플로우부(69)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클론부(62)는, 원통의 아래에 원추를 장착한 형의 사이클론본체(70)의 측면에 도입구(71)를 접선방향으로 형성하고, 사이클론본체(70)의 상면에 공기빼기(72)를 형성해서 이루어지고, 사이클론본체(70)의 하부에 상기 내통(63)내를 관통하고 있는 도입관(73)의 일단부가 장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비중차분리부(66)의 하부에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사이클론본체(70)의 원추에 연결되는 도입관(73)에 위치해서 스크류나사(74)를 설치해서, 사이클론부(62) 통과후의 회수오일등의 흐름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비중차분리부(66)의 외통(64)은 그 하부에 간막이판(75)이 있으며, 이 간막이판(75)에 의해 비중차분리부(66)와 오우버플로우부(69)의 후술하는 통로(83)로 분리하고 있다. 외통(64)과 상기 내통(63)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스파이럴형상벽(65)은, 그것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S와 수평면 H로 이루는 각도 α가 20도에서부터 60도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30도에서부터 45도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좋다. 이 각도 α가 20도 이하이면, 점성이 높은 오일, 예를들면 10,000센티스토크스 이상이면, 스파이럴형상벽(65)의 하면(65a)에 저류하고, 저류빼내기부(67)쪽으로 상승하여 가지 않는다. 반대로 이 각도 α가 60도 이상으로 되면 스파이럴형상벽(65)의 피치를 작게 취하지 않으면 스파이럴형상벽(65), 외통(64) 및 내통(63)에 의해 구획되는 통로(76)를 길게 취할 수 없어, 가공이 어렵게 되고 가공이 어렵게 되는 점을 피하면, 통로(76)가 짧아져서 분리가 불충분하게 되기 쉽고 분리를 만족시킬려고 하면 비중차분리부(66)의 높이치수가 지나치게 높아져 버린다.
상기 저류빼내기부(67)는, 하부가 원통(77a), 상부가 원추(77b)의 저류조(77)와, 원추(77b)위에 장착한 빼내기조(78)로 구성하고 있다. 이 원통(77a)의 측벽면 및 원추(77b)의 벽면에는 노즐(79),(80)이 배치되고, 이들 노즐(79),(80)에는 오일검지센서(79a),(80a)가 삽입되어 있다. 빼내기조(78)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에 의해 만들어져, 오우버플로우언(81)이 장착되고, 또 이 오우버플로우언(81)을 넘은 오일을 빼내기 위한 파이프(8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빼내기조(78)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오우버플로우부(69)의 배출관(68)은, 상기 내통(63)의 하단부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통로(83)에 접속하고, 또 이 배출관(68)의 도중에 자동밸브(8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통로(83)에는 드레인노즐(8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분리수단(61)은, 가대(86) 위에 서치되고, 이 가대(86)속에 자흡식펌프인 회수펌프(87)가 설치되며, 회수펌프(87)의 토출관쪽과 상기 사이클론본체(70)의 도입구(71)에 파이프(88)가 접속되고, 또 액체회수장치(1)의 배출관(7)과 회수펌프(87)의 흡입관쪽이 호오스(89)에 의해 접속되어서, 상기의 액체회수장치(60)를 구성하고 있다. 이 파이프(88) 및 도입구(71)의 단면적은, 회수펌프(87)의 토출관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회수펌프(87)를 통과후의 호수오일등은 급속히 유속(流速)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 가대(41)위에는 회수오일저류탱크(90)가 놓여지고, 저류빼내기부(68)의 파이프(82)로부터 배출된 오일을 저류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되는 분리수단(6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회수펌프(87)를 가동시키면, 액체회수장치(1)에 의해 회수된 회수오일 등이 배출관(7)으로부터 호오스(89), 회수펌프(87)를 통과하여 파이프(88)내에서 급속히 유속을 떨어뜨리고, 회수오일 등의 기액분리가 개시되어, 도입구(71)로부터 사이클론부(62)에 들어간다. 사이클론부(62)의 사이클론 효과에 의해 공기가 분리되어서 공기빼기(72)로부터 외부에 배출되고, 회수오일 등은 스크류나사(74)에 의해 그 흐름을 흐트러지게 하는 일 없이 도입관(73)에 의해 비중차분리부(66)의 통로(76)에 보내진다. 회수오일 등은 스파이럴형상벽(65)에 안내되어서 통로(76)를 통과하여 서서히 상승하여 가고, 그 과정에서 비중이 가벼운 오일은, 스파이럴형상벽(65)의 하면(65a)상에 모아지고 또 내통(63)의 바깥쪽에 모아지면서, 스파이럴형상벽(65)의 각도가 20도에서부터 60도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30도에서부터 45도의 범위내에 있으므로, 하면(65a)상에 머무는 일 없이 슬라이드해서 비중이 무거운 물과 함께 상승하여 가고, 비중차분리부(66)의 상단부로 가서, 분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분리된 오일은 저류빼내기부(67)의 저류조(77)에 저류하여 가고, 오일검지센서(79a)가 오일을 검지하면, 배출관(68)의 자동밸브(84)가 폐쇄되어 물이 배출관(68)으로부터 오우버플로우하지 않으므로, 오일면은 상승하여 가고 빼내기조(78)의 오우버플로우언(81)을 넘어서, 파이프(82)로부터 오일은 외부에 배출되고, 회수오일저류탱크(90)에 저류된다. 오일검지센서(80a)가 오일을 검지하지 않게 되면, 자동밸브(84)가 개방되어 배출관(68)으로부터 오우버플로우를 개시하므로, 오일면은 오우버플로우면까지 하강한다. 또한, 이 분리된 오일의 흐름은, 빼내기조(78)로부터 목측할 수 있고, 오일이 분리된 물은, 내통(63)내에 들어가 낙하해서 통로(83)를 통과하여 배출관(68)으로부터 오우버플로우 해서 외부에 배출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회수장치에 의하면, 유입언의 높이를 유입시킬려고 하는 액체 두께에 맞추어서 미리 설정하고, 또 본체조의 유입구의 높이를 유입언의 높이보다 항상 맞아지도록 미리 설정하여 두고, 유입언은 본체조에 관계없이 액면 및 액체 밀도의 변동에 항상 추종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 비중이 가벼운 오일이나 크게 성장한 스컴등을 함유한 액체가 본체조에 근접함에 따라 올라가는 구배면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유입언을 넘고 또 유입구를 넘어서 본체조내에 들어가, 본체조 하부의 배출부로부터 오일, 스컴등을 함유한 액체를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점성이 높은 오일 덩어리나 크게 성장한 스컴등의 부유물이더라도 구배면에 의해 원활하게 유입언을 넘어서 본체조내에 들어가 회수할 수 있다.
또, 유입언의 구배면상에 긁어모으는 기계가 있으면, 구배면상에 밀어올라가 놓여진 그대로의 부유물을 본체조내에 긁어모으고, 구배면상을 항상 매끄러운 상태로 한다. 따라서, 단단한 부유물을 함유한 액체이더라도 항상 회수할 수 있다.
또, 액면의 변동에 의해 유입언이 움직이면 긁어모으기날개는 추종하고, 본체플로우트에 의해 지지된 회전구동부는 유입언에 추종하지 않으나, 연결부에 의해 긁어모으기날개에 회전을 전달하므로,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긁어모은다. 따라서, 유입언이 움직여도 하등 지장없이,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긁어모을 수 있다.
또, 본체조내에 압입스크류가 있으므로 긁어모으는 기계에 의해 긁어모은 부유물을 압입압력을 가하면서, 배출부 방향으로 보낸다. 따라서, 보다 단단한 부유물이더라도 본체조로부터 외부에 내보낼 수 있다.
또 회전구동부에 의해 압입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또 액면의 변동이 있고 긁어모으기날개의 추종이 있어도 긁어모으기날개에 회전구동부의 회전을 전달하므로서,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본체조내에 긁어모아, 압입스크류에 의해 배출부 방향으로 보낸다. 따라서, 유입언이 움직여도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본체조에 긁어모아 압입배출부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또, 회전구동부는, 유입언위에 밀어올라간 부유물의 종류에 의해, 회전수를 변경해서 부유물 회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부유물을 무리없이 회수할 수 있다.
또, 유입언을 돌리면, 유입언의 높이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체플로우트의 오목부에 가이드플로우트의 일부를 삽입하고 있으면, 가이드플로우트의 존재에 의해서 유입언에 액체가 유입하는 면을 막는 것이 감소한다. 따라서, 더한층 부유물을 회수하기 쉽다.
그리고, 배출부를 유니버설조인트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것에 호오스를 접속해서 액체를 회수할 때, 호오스의 형상의 버릇이 본체플로우트, 가이드플로우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입언의 높이에 변동을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형의 액체회수장치에서도 버릇이 있는 호오스를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본체플로우트에 의해서 액체에 뜨고 유입구를 가진 본체조와, 이 본체조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져서 가이드플로우트에 의해서 액체에 뜨고 상기 본체조에 근접함에 따라서 올라가는 구배면을 가지고, 상기 유입구를 개재해서 상기 본체조내에 액체를 도입하는 유입언과, 상기 본체조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본체조내에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언의 구배면상에 긁어모으는 기계를 설치하고, 상기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본체조내에 상기 긁어모으는 기계에 의해서 긁어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모으는 기계는, 본체플로우트에 의해서 지지한 회전구동부와, 상기 유입언의 구배면상의 부유물을 중심부에 긁어모으는 긁어모으기날개와, 이 긁어모으기날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축을 축선방향으로 소정거리 진퇴이동이 자유롭고 또한 이 축선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동이 자유롭게 접속해서 상기 긁어모으기날개에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모으는 기계에 의해 긁어모은 부유물을 본체조내에 압입하여 배출부 방향으로 보내는 압입스크류를 상기 본체조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스크류는, 본체플로우트에 지지한 회전구동부에 연결하고, 이 회전구동부, 긁어모으는 기계의 회전축의 어느 한쪽과 상기 압입스크류를 축선방향으로 소정거리 진퇴이동이 자유롭고 또한 이 축선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동이 자유롭게 접속해서, 상기 압입스크류에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변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로우트에 유입언을 나사접합하여 유입언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로우트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가이드플로우트의 일부를 삽입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유니버설조인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10.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액체회수장치에 분리수단을 부가시켜서 이루어지고, 이 분리수단은, 기액분리하는 사이클론부와, 이 사이클론부보다 아래쪽에 내통과 외통을 동심형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내통과 외통과의 사이에 액체를 분리하는 비중차분리부와, 이 비중차분리부위에 위치해서 비중이 가벼운 액체를 저류하고 또한 외부에 배출하는 저류빼내기부와, 상기 내통내에 배출관을 접속해서 비중이 무거운 액체를 외부에 배출하는 오우버플로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형상벽은, 이것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S)과 수평면(H)으로 이루어진 각도(α)가 20도에서부터 60도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30도에서부터 45도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와 비중차분리부와의 사이에 스크류나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와 비중차분리부와의 사이에 스크류나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회수장치.
KR1019930004910A 1993-01-14 1993-03-29 액체회수장치 KR0127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05121A JP2598864B2 (ja) 1993-01-14 1993-01-14 液体回収装置
JP93-5121 1993-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839A KR940021839A (ko) 1994-10-19
KR0127772B1 true KR0127772B1 (ko) 1997-12-29

Family

ID=1160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910A KR0127772B1 (ko) 1993-01-14 1993-03-29 액체회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66629A (ko)
EP (1) EP0606698B1 (ko)
JP (1) JP2598864B2 (ko)
KR (1) KR0127772B1 (ko)
DE (1) DE69308120T2 (ko)
DK (1) DK0606698T3 (ko)
TW (1) TW2291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1629B1 (de) * 1993-01-26 1996-08-21 STEINER, Walter, Georg Ölabsaugestation
BE1012093A3 (fr) * 1998-07-28 2000-04-04 Intervention Depollution Installation permettant d'ecremer un plan d'eau pollue en surface par des objets flottants.
JP2000170142A (ja) * 1998-12-04 2000-06-20 Sanwa Bosai Setsubi Kk 流出油回収処理装置
CN100485366C (zh) * 2007-04-13 2009-05-06 江苏省原子医学研究所 一种测定药盒中2β-[N,N’-双(2-巯乙基)乙撑二胺]甲基-3β-(4-氯苯基)托烷含量的方法
CN101555688B (zh) * 2009-04-23 2011-01-26 上海交通大学 热气球海上浮油收集处理装置
ES2393515B1 (es) * 2010-08-24 2013-10-29 Ignacio MARTÍNEZ ORTEGA Sistema skimmer para recoger y retirar vertidos de carburante o petróleo en el mar.
CN102644262B (zh) * 2011-02-17 2016-03-16 青岛光明环保技术有限公司 浮标型堰式收油装置
RU2484204C1 (ru) * 2012-01-10 2013-06-10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НПАО) "ЗО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разлитых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JP6250682B2 (ja) 2012-09-19 2017-12-2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ポリカルボジイミドの精製方法
JP5575311B1 (ja) * 2013-08-19 2014-08-20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液面浮遊物回収装置
JP5552611B1 (ja) * 2013-09-13 2014-07-16 産機テクノス株式会社 浮上油吸引装置及び分離槽
FR3028269B1 (fr) * 2014-11-07 2017-04-21 Technip France Dispositif d'ecremage d'un fluide de surface
CN107973355B (zh) * 2018-01-12 2018-11-09 义乌市开晶进出口有限公司 一种工业冷却水重复利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0246A (fr) * 1962-08-28 1963-10-18 Appareillage pour la récupération d'épaves flottantes, spécialement d'huile résiduaire répandue sur une surface aquatique
DE7012128U (de) * 1970-04-03 1971-09-09 Ruhrgas Ag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auf gewaessern schwimmenden pumpfaehigen verunreinigungen.
US4024063A (en) * 1973-02-15 1977-05-17 Kabushiki Kaisha World Chemical Floating-matter removing apparatus
US4142972A (en) * 1975-03-27 1979-03-06 Scientific Associates,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recovering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a liquid body
DE2728821A1 (de) * 1976-07-16 1978-01-19 Framnaes Mek Vaerksted As Vorrichtung zum entfernen fluessiger verunreinigungen an der wasseroberflaeche
JPS5846622B2 (ja) * 1976-08-23 1983-10-18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軒天井板取付方法
SE416220B (sv) * 1977-04-27 1980-12-08 Sten Gosta Walin Oljesaneringspump
JPS54159476U (ko) * 1978-04-28 1979-11-07
JPS5591993U (ko) * 1978-12-20 1980-06-25
FR2452549A1 (fr) * 1979-03-30 1980-10-24 Alsthom Atlantique Recuperateur de la couche de surface d'une etendue liquide
US4595510A (en) * 1979-07-09 1986-06-17 Per Winbladh Method and plant for collecting of oil floating on water
US4378291A (en) * 1980-03-31 1983-03-29 Shell Oil Company High volume stationary skimmer
ES2016710A6 (es) * 1989-07-26 1990-11-16 Martinez Ortega Ignacio Instalacion para la recogida de aceites y carburantes derramados en el mar.
US5118412A (en) * 1991-04-17 1992-06-02 Schmidt Richard J Fluid recovery apparatus
JPH0694646B2 (ja) * 1991-05-28 1994-11-24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液体回収装置及びその利用システム
GB2257051B (en) * 1991-06-25 1995-01-25 Weatherstones Offshore Ltd Skimming apparatus
JPH0834749B2 (ja) * 1992-01-31 1996-03-29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液体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06698A1 (en) 1994-07-20
JP2598864B2 (ja) 1997-04-09
DE69308120T2 (de) 1997-05-28
DE69308120D1 (de) 1997-03-27
JPH06212613A (ja) 1994-08-02
TW229187B (ko) 1994-09-01
EP0606698B1 (en) 1997-02-12
DK0606698T3 (da) 1997-04-21
KR940021839A (ko) 1994-10-19
US5366629A (en) 1994-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772B1 (ko) 액체회수장치
US4385986A (en) Gravity separator for separating liquids
US5080802A (en) Induced gas liquid coalescer and flotation separator
US4846780A (en) Centrifuge processor and liquid level control system
US4483774A (en) Oil concentrating method and apparatus
NO339437B1 (no) Forbedret rotasjonsseparator og -fremgangsmåte
US7153439B1 (en) Grease separator for kitchen sinks and other applications
CN105107234A (zh) 一种脱水装置及使用该装置的净油机和连续预脱水方法
JP2001009204A (ja) 油水分離装置
US4287063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CN110127797B (zh) 一种旋流气浮设备
US5137643A (en) Continuous soap skimmer
US5308504A (en) Viscosity based tank level and flow control systems
JPH04350211A (ja) 液体回収装置及びその利用システム
CN210261222U (zh) 一种带旋转刮渣机的旋流气浮器
KR100301417B1 (ko) 오일추출스테이션
US4747947A (en) Separator skimmer for surge vessels
GB2355211A (en) Separating oil from water
RU22289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бора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WO1989007971A1 (en) Interceptors
RU2006247C1 (ru) Отстойник
RU2077364C1 (ru) Сепар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CN115124104B (zh) 含油污水用旋流气浮除油系统
CN110844962B (zh) 一种微型气浮装置
JP2960854B2 (ja) 油の回収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