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58Y1 - 클램핑 밴드구조 - Google Patents

클램핑 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58Y1
KR0127758Y1 KR2019950044955U KR19950044955U KR0127758Y1 KR 0127758 Y1 KR0127758 Y1 KR 0127758Y1 KR 2019950044955 U KR2019950044955 U KR 2019950044955U KR 19950044955 U KR19950044955 U KR 19950044955U KR 0127758 Y1 KR0127758 Y1 KR 0127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band
clamping
reinforcing member
round bar
ban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164U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758Y1/ko
Publication of KR970042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핑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필요한 금속을 클램핑(Clamping)시키는 클램핑밴드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클램핑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절연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필요한 부품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밴드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밴드(10)가 삽입되도록 일측 하부에 절곡형태의 걸림턱(30)을 갖는 보강부재(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2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환봉(1)의 클램핑상태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램핑밴드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기술구성을 보인 클램핑밴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보인 클램핑밴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봉 10 : 클램핑밴드
12 : 공간 14 : 구멍
20 : 보강부재 30 : 걸림턱
본 고안은 클램핑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필요한 금속을 클램핑(Clamping)시키는 클램핑밴드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클램핑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절연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조립하는 작업라인에 있어서 금속성의 부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밴드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필요한 부품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밴드의 일례를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1)의 주연부가 삽입되도록 공간(12)을 갖는 클램핑밴드(10)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램핑밴드(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호 동일축선에 위치하도록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14)으로는 볼트(16)의 나사축이 삽입되어 너트(18)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클램핑밴드(10)로 금속성의 성질을 갖는 환봉(1)의 주연부를 견고히 고정시킬 경우 상기 클램핑밴드(10)와 환봉(1)이 상호 동일한 금속의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위에서는 심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클램핑밴드(10)와 환봉(1)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히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클램핑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밴드(1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는 부위가 전기장치일 경우 별도의 절연부재가 클램핑밴드(10)에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주의를 기울여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클램핑밴드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클램핑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절연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밴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필요한 부품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밴드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밴드가 삽입되도록 일측 하부에 절곡형태의 걸림턱을 갖는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부호를 동일하게 부가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양측에 구멍(14)을 형성한 클램핑밴드(10)가 삽입되도록 일측 하부에 걸림턱(30)을 갖는 보강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밴드(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4)으로 볼트(16)와 너트(18)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클램핑밴드(10)를 덮고 있는 보강부재(20)의 공간(12)으로 환봉(1)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보강부재(20)를 클램핑밴드(10)로 결합함에 따른 효과를 보면, 먼저 클램핑밴드(10)의 일측을 보강부재(2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0)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금속성을 갖는 환봉(1)이 상기 보강부재(20)의 공간(12)으로 삽입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환봉(1)의 주연부가 보강부재(20)의 공간(12)내측으로 견고히 밀착됨으로써 클램핑상태가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차량에 필요한 부수적인 부품 및 환봉(1)을 클램핑하게 되는 클램핑밴드(10)를 보강부재(20)가 덮고 있으므로 상기 클램핑밴드(10)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가 탄성 및 전기적 절연상태가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환봉(1)의 주연부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발생하였던 마찰에 의한 소음이 상기 보강부재(20)와 환봉(1)이 각각 상이한 재질로써 결합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밴드구조는 클램핑밴드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일측 하부에 절곡형태의 걸림턱을 갖는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환봉의 클램핑상태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에 필요한 부품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밴드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밴드(10)가 삽입되도록 일측 하부에 절곡형태의 걸림턱(30)을 갖는 보강부재(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밴드구조.
KR2019950044955U 1995-12-21 1995-12-21 클램핑 밴드구조 KR0127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55U KR0127758Y1 (ko) 1995-12-21 1995-12-21 클램핑 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55U KR0127758Y1 (ko) 1995-12-21 1995-12-21 클램핑 밴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64U KR970042164U (ko) 1997-07-29
KR0127758Y1 true KR0127758Y1 (ko) 1998-12-01

Family

ID=1943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955U KR0127758Y1 (ko) 1995-12-21 1995-12-21 클램핑 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7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64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4469A (en) Grounding strap
US4127316A (en) Cable clamp construction
US4591229A (en) Grounding strap
US5458512A (en) Mounting and grounding connector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0127758Y1 (ko) 클램핑 밴드구조
US5561588A (en) Electrical capacitor, particularly an electrolyte capacitor
KR102610772B1 (ko) 접지용 멀티 어스단자
KR200212159Y1 (ko) 케이블 록킹장치
US6034327A (en) Grommet and structure for taking out electric power from electric connection box by using grommet
KR200147739Y1 (ko) 클립
CA1162597A (en) Grounding strap
JPH0635603Y2 (ja) ケ−ブルヘツド保持装置
KR0133571Y1 (ko) 차량용 와이어 보호용 클립구조
JP2914207B2 (ja) グランド付き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H0822876A (ja) ランプソケットの取付構造
JPH06163094A (ja) ケーブル接地構造
JP3449263B2 (ja) 機器直結端末、分岐端末用振れ止め装置
KR200147572Y1 (ko) 전기배선 보호용 클립
KR0123938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고정용 리어브라켓
JPH0333146Y2 (ko)
JP3008742U (ja) 絶縁クランプ
KR200225094Y1 (ko) 어스 단자
KR19980076423A (ko) 와이어 하니스 고정클립
KR100233582B1 (ko) 메인 와이어 고정용 클램프 구조
JP3421850B2 (ja) カバークランプ用フックボルト取付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