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41B1 -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41B1
KR0127341B1 KR1019890700505A KR890700505A KR0127341B1 KR 0127341 B1 KR0127341 B1 KR 0127341B1 KR 1019890700505 A KR1019890700505 A KR 1019890700505A KR 890700505 A KR890700505 A KR 890700505A KR 0127341 B1 KR0127341 B1 KR 012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terminals
control devic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396A (ko
Inventor
죤 아넨 데이비드
오바페미 아칸비 찰스
더글라스 브루스 이안
카펜터 크래머 재클린
다리티 라슨 캐롤린
웨이 첸 니
테레사 오웬즈 아니타
Original Assignee
오레그 이. 앨버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레그 이. 앨버,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filed Critical 오레그 이. 앨버
Publication of KR89070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단자의 키-시스템 그룹을 제어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러 단자중 한 단자에 관한 상세도.
도 3 내지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분산 제어 장치에 의하여 키-시스템 호출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한 기능도.
도 16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분산 제어 장치에 의하여 키 시스템 호출을 끝내는 과정에 관한 기능적인 면을 도시한 도면.
도 22 및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분산 제어 장치 사이에 이용되는 오디트 매카니즘(audit mechanism)에 관해 기능적인 도시 및 관련 프로그램 플로우챠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정보 교환기(information switching)에 관한 것이다. 단일 스테이션 세트(single station set)로부터 다수의 전화국 선로에 억세스하기 위한 몇개의 장치들이 있다. 가장 오래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몇몇 전화국 선로들이 모여 단일 스테이션으로된 전자 기계적인 키 전화(key telephone)이다. 이때, 중앙 전화국 선로와 전화장치의 접속은 교환기를 통해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형적인 키 전화에서는, 몇몇 중앙 전화국 선로들은 동시에 단일 전화 스테이션으로 되며, 상기 스테이션은 각 전화국 선로들을 일회에 한 회선으로 단일 전화기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해 키와 스위치들이 장치되어 있다. 몇몇 스테이션은 동일 전화국 선로를 억세스 해야되므로, 키 전화 시스템은, 각 전화국 선로로부터 동시에 몇몇 전화 스테이션으로 팁(tip)과 링(ring)을 분산시키는 분산 박스(distribution box)를 갖고 있다. 몇몇 스테이션들이 몇개의 전화국 선로를 공유할 때, 시각 표시기(visual indicator)는, 예컨데, 어느 전화국 선로가 울리는가, 어느 선로가 사용중인가 또는 어느 선로가 통화중인가를 식별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하는 키와 관련되어 있다.
각 전화 장치가 한 쌍의 팁(tip) 와이어와 링(ring) 와이어에 의해 억세스되는 전자 키 시스템이 있다. 여러 전화기 선로와 전화 스테이션간의 스위칭은 중앙에서 실행되며, 전자 키 서비스 장치내에 있는 교환 매트릭스(switching matrix)를 전자적으로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전화 스테이션은 키를 내장하고 있어서, 전화 사용자가 상기 전화 스테이션에 연결하기 원하는 중앙선로가 어느것인지를 교환 매트릭스에 통보한다. 신호 처리(singnalling)와 시각 상태 표시기는 상기 시각 표시기들을 온, 오프(on,off)하고, 전화국 선로를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자적 신호를 운반하는 부가적 와이어(additional wires)를 통해 스테이션에서 이용가능하다.
키-시스템 서비스가 다수의 고객들에게 인기가 있지만, 이러한 키 시스템 스테이션에서는, 특정화된 와이어 및 분산 장치의 설비는 값이 비싸고 융통성이 없다. 최근의 키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각 스테이션을 개인 선로를 통해서 제어되고 저장된 프로그램, 중앙 전화국 또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 : PBX) 교환 시스템에 접속시키고, 또한 상기 시스템의 중앙 제어가 키 시스템 그룹의 부재(members)로 출입하는 호(call)의 프로세스 과정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특정화된 와이어 또는 어떠한 분산 장치도 키 시스템 스테이션에서는 필요치 않다. 키 시스템 그룹 제어는, 제어신호가 호출 작업동안, 시스템 중앙 제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스위칭 모듈에 분산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 시스템으로 된 장치에서는 훨씬 복잡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키 시스템 그룹이 다수의 스위칭 모듈로 분산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그룹 부재(members)의 변경에 있어 관리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일반적인 응용 분야에서 특히 잘 적용된다. 상술한 설명을 고찰해 보면, 종래 기술에서 대두되었던 문제는, 중앙 제어에 의존하지 않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키 시스템 그룹을 제어할때에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요약]
앞서 언급했던 문제는 해결이 되었으며, 기술적인 진보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산 제어교환 시스템에서 이루어졌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단자들의 키 시스템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디렉토리 번호(directory number)로 출입하는 호출 dms, 오직 하나의 제어 장치들 중 하나의 선두(lead)장치에 의해 저장된 공유 디렉토리번호(shared directory number)에 대한 busy/idle 데이타에 응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수의 분산된 제어 장치에 의해 프로세스된다. 호출을 프로세스하는 것 외에도 예컨데 상기 그룹 단자들중의 한 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해서, 상기 단자가 전자 기계적인 키 시스템에서와 같이 중앙 전화국 선로에 병렬로 접속되었더라도, 상기 호(call)가 호출 상태를 각 그룹 단자에게 알려줄 때, 다수의 제어 장치들은 함께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다수개의 단자들을 지원하는 분산 교환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서로 다른 단자들의 서브세트(subset)과 관련된 다수개의 제어 장치를 가지고 있다. 각 제어 장치는 그것과 관련된 단자들의 서브세트와의 접속을 제어한다. 다수의 제어 장치와 관련된 단자들의 키 시스템 그룹에 의해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로 출입하는 호출은 다음과 같이 프로세스된다. 선두 제어 장치는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한 busy/idle 데이타를 보존한다. 선두 제어 장치는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 비지/아이들 데이타를 판독하고, 다수의 제어 장치는 호출을 공동으로 프로세스함으로써 상기 판독 데이타에 응답한다. 각각의 호출동안에, 다수의 제어장치들은 호의 상태를 단자들의 그룹에 함께 통보한다.
상기 그룹의 최초단자의 할당 디렉토리 번호로부터 발생된 호출에 대해, 이 호출의 프로세스는 최초단자와 관련된 제어 장치에 의해서 시작된다. 만일 그룹의 다수의 단자들로부터 설정(setup) 신호가 수신되면, 시스템 접속은 여러 단자들중 한 단자로부터 설정된다. 시스템 접속이 최초단자에서 종료단자(terminating terminal)까지 접속이 된후에는 그룹의 다른 단자는 종료단자에 컨퍼런스(conference) 접속을 하기 위해 최초단자와 브릿지(birdge)될 수 있다.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한 단말 호출에 대해, 다수의 제어장치들은 종료 호출을 단자들의 그룹에 제공한다. 할당 디렉토리 번호의 해독은 그룹의 선두 단자를 한정시키기 위해 행해진다. 선두 단자는 그룹에 대한 선두 제어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 최초단자에서 선두단자까지의 초기 시스템 접속은, 상기 해독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선두 단자에서 접속 신호를 수신했을때, 선두 단자에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접속 신호가 그룹의 비선두 단자로부터 대신 수신될 때에는, 선두 단자에 대한 초기 접속은 제거되고, 제 1 시스템 접속이 최초단자로부터 비선두 단자로 이루어진다. 접속 신호가 그룹의 다수의 단자들로부터 수신될 경우, 시스템 접속은 여러 단자중 오직 한 단자에 접속된다. 최초단자에서 종료단자까지 접속이 이루어진후, 그룹의 다른 단자는 최초단자와의 컨퍼런스 접속을 위해 종료단자와 브릿지(bridge)될 수 있다.
디렉토리 번호는, 서로 다른 호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몇개의 호출 상태(call appearances)를 갖는다. 키 시스템 그룹의 단자는,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의 다수개의 호출 상태를 갖는다.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한 호출에 대해서는, 선두 제어 장치가 호출 상태중의 아이들(idle) 상태를 판정한다. 다수의 제어 장치는 결정된 호출 상태를 갖는 그룹 단자들에 상기 호출을 공동으로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원리는, 분산 제어 방식인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ISDN) 교환시스템(100,제 1 도)을 참조로하여 서술되었다. ISDN은 폭넓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앤드 투 앤드(end-to-end) 디지탈 접속을 제공하는 전화 집적 디지탈 회로망으로부터 발전된 망으로 정의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는, 표준 다목적 고객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세트에 의해 억세스 할 수 있는 음성과 비음성 서비스가 있다. 시스템(100)은 아날로그 단자 또는 디지탈 단자에 접속 가능하지만, 제 1도에서는 디지탈 ISDN 단자(181 내지 186,191 내지 194)만이 도시되었다(제 1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스템(100)은 또한, 트렁크(trunk)를 통해 다른 교환 시스템과 관련된 단자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100)은, 서로 다른 단자들의 서브세트와 관련된 다수개의 스위칭 모듈(SM)을 포함하고 있다. 예컨데, 스위칭 모듈(110)은 단자(181),(191)와 관련되어 있고, 스위칭 모듈(120)은 단자(182),(183),(192),(193)와 관련되어 있으며, 스위칭 모듈(130)은 단자(184),(194)와 그리고, 스위칭 모듈(140)은 단자(185),(186)과 관련되어 있다. 각 스위칭 모듈은 관련된 단자들의 세브 세트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장치 또는 스위칭 모듈 처리기(switching module processor : SMP)를 가지고 있다. 예컨데, 스위칭 모듈(110)은 제어 장치(11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자(181),(191)의 접속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 모듈(120),(130),(140)도 각각 제어 장치(121),(131),(141)를 포함하고 있다.
각 ISDN 사용자 단자(terminal)는, B-채널로 호칭되며, 초(sec)당 64킬로비트로 된 데이타 두개를 프로세스하는 채널과, D-채널로 호칭되며, 초당 16킬로비트로 된 데이타 한개를 프로세스하는 채널에 있는 시스템(100)과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B-채널이 초당 8비트 샘플, 즉 8000 비율로 디지탈화된 음성 샘플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다른 하나의 B-채널은 초당 64킬로비트 비율로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그러나 각 B-채널은 음성 전송이거나 데이타 전송에 모두 사용된다). D-채널은, ISDN 단자와 스위칭 모듈 제어 장치 사이에서 메시지 신호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신호 패켓을 전송시키며, 또한 서로 다른 ISDN 단자 사이에 데이타 패켓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ISDN 단자와 전송의 각 방향에 대해서, 한쌍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4개의 와이어로 된 디지탈 가입자 선로(DSL : 170)를 이용하는 시스템(100) 사이에서 정보가 전달되어 진다. DSL(170)은, 192Kbit/sec 속도로 프레이밍(framing),DC 밸런싱(balancing), 제어와 유지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기능들을 위해 사용되는 48킬로비트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앞에서 언급한 두개의 64Kbit/sec 데이타를 프로세스하는 B-채널과, 하나의 16Kbit/sec 데이타를 프로세스하는 D 채널에 대해서는 144Kbit/sec들을 포함하고 있는 직렬 비트 스트림(serial bit stream)을 전송한다. DSL(170)은 국제전선전화협의회(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 CCITT)에서 T-인터페이스로 부르기로 했다. T-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이 다른 억세스 방법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 서로 똑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대표적인 인터페이스가 되었다. 신호 패켓은, 예컨데 표준 LAPD 프로토콜에 따라, 레벨 2(링크-레벨)프레임내에 포함된 스위치 모듈 제어 장치와, 단자들 사이에 전송된다. 회로-교환형(circuit-switched) 음성 호출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신호 메시지는, CCITT 권고안 Q.931에 따른다.
시스템(100)의 구조는, 중심에 통신모듈(CM : 150)과, 스위칭 모듈(110),(120),(130),(140) 그리고, 관리모듈(AM,160)로 구성된다. 각 스위칭 모듈은 디지탈 가입자 선로의 끝에 있으며 타임-슬롯(time-slot) 교환 장치(TSIU)와 패켓(packet) 스위칭 장치(PSU)에 억세스 할 수 있도록하는 종합 서비스 선로장치(ISLU)를 포함하고 있다. 예컨데, 스위칭 모듈(110)에서는 ISLU(112)가 디지탈 가입자 선로를 끝내고, TSIU(113) PSU(114)는 제어장치(111)의 제어하에서 관련된 단자들에다 회로 교환 접속 및 패켓 교환 접속을 제공한다. 스위치 모듈(120),(130),(140)은 상기와 동일하게 ISLU(112,132,142), TSIU(123,133,143), PSU(124,134,144)를 포함하고 있다.
통신 모듈(150)은, 시분할, 공간 분할 스위치 또는 시간 다중화(time-multiplexed) 스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스위치는 스위칭 모듈 사이에 초당 64킬로비트 데이타를 전송하는 회로 교환 경로들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모듈은 서로 다른 스위칭 모듈내에 있는 PSU 간의 패킷 전송 뿐만 아니라, 스위칭 모듈 사이의 B-채널 전송도 지원한다. 스위칭 모듈 제어 장치는 스위칭 모듈에 대해 호출 프로세스 및 전체적인 제어, 유지 기능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모듈에 있는 스위칭 모듈 제어 장치는, 서로 교신하고, 내부 메세지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해, 통신 모듈내의 메세지 스위치(도시되지 않은)를 통해 관리 모듈(160)과 통신한다. 이러한 구조는 특정 프로세스 소자내에서 특정 프로세스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매우 융통성이 있다. 일반적인 설계 구조는 스위치 모듈 제어 장치내에 원하는 프로세스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심이 되는 여러 기능에 대한 관리 모듈을 유보해 둔다. 호출 프로세스 기능은 실시에 있어서 여러 방식으로 분산화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대부분의 호출 프로세스 기능은 라우팅(routing), 단자 헌팅(terminal hunting)을 갖는 스위칭 모듈 제어 장치내에 제공되어 있고, 경로 헌트(path hunt) 기능은 관리 모듈내에 있게 된다. 그 이외에도, 모든 호출 프로세스 기능은 관리 프로세스를 위해 유보된 관리 모듈과 스위칭 모듈 제어 장치내에 제공된다.
도 2에는 대표적인 ISDN 단자(181)가 도시되어져 있다. 상기 단자(181)는 수화기(237), 전화기 키 패드(233), 메시지 표시를 위한 표시기(232)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181)에는 22개의 버튼(201 내지 222)가 있다. 버튼(219 내지 222)은 HOLD, DROP, CONFERENCE, TRANSFE 기능으로만 사용된다. 나머지 버튼, 즉 버튼(210 내지 214)은 특정 버튼이고, 버튼(215 내지 218)은 호출 버튼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자의 구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버튼(201 내지 206)을 호출 버튼으로, 버튼(207 내지 218)은 특정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데, 버튼(201)은 사용 램프(in-use lamp)(238)와, 상태 램프(status lamp 239)와 관련된다. 사용 램프는 단자에서 호출상태가 선택된 호출상태일때 호출상태를 위해 불이 켜진다. 상태 램프는 호출의 여러가지 단계들, 즉 얼러팅(alerting), 동작중(active) 또는 특정(feature) 버튼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단자는 두개의 키 시스템 그룹(180),(190)으로 되어있다. 하나의 키 시스템 그룹은 단일한 디렉토리 번호(DN)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출 상태를 공유하는 단자들의 세트이다. 키-시스템 그룹에 대한 동적(dynamic) busy/idle 상태 정보는, 그룹의 선두 단자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의 제어장치에 의해 저장된다. 각 단자는 1차적인(primary) DN(directory number)을 갖는다. 만일 그룹에 공유되는 DN이 임의의 단자에서 1차적인 것이라면, 이 단자는 선두 단자로서 선택된다. 선두 단자는 공유된 DN에 대한 호출상태의 최대 번호(maximum number)를 갖는다. 그룹 이 공유하는 DN이 임의의 단자에서 1차적이 아닐경우, 선두 단자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그룹의 한 단자가 임의의 다른 그룹 단자들 보다 공유된 DN의 더 많은 호출상태를 가질 경우에는, 더 많은 호출상태를 갖는 단자가 선두 단자로서 선택된다.
만일 여러 단자들중 한 단자만이 다른 단자들 보다 공유된 DN의 더 많은 호출상태를 갖는 스위칭 모듈상에 있으나, 그룹의 많은 단자들은 공유된 DN의 호출상태들의 동일한 최대 번호를 갖는다면, 더 많은 호출을 갖는 스위칭 모듈상의 단자가 선두 단자로서 선택된다.
공유된 DN의 호출상태들의 동일한 최대 번호를 갖는 그룹은 다수의 단자들이 공유된 DN의 호출상태들의 동일한 번호를 갖는 스위칭 모듈상에 있을 경우, 다수의 단자들중 한 단자가 선두 단자로서 임의로 선택된다. 키 시스템 그룹에 대한 busy/idle 상태 정보가 저장된 제어 장치는 이하에서 선두 제어 장치로 칭한다. 선두 제어 장치는, 선두 단자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의 제어 장치이다.
키 시스템 그룹(180)은 1차적인 DN, 즉 D1 내지 D6을 각각 갖는 단자(181 내지 186)를 포함하고 있다. DN2는 그룹(180)에 대한 공유된 DN이며, 단자(182)는 선두 단자이고, 제어장치(121)는 선두 제어 장치이다. 단자(182)는 DN2에 대해서 호출상태의 최대수인 4개를 갖고 있다. DN2에 대한 4개의 호출에 대한 다이나믹 busy/idle 상태 정보는, 선두 제어 장치(121)의 busy/idle 테이블(126)에 저장된다. 키 시스템 그룹(190)은 1차적인 DN, 즉 DN11 내지 DN14를 각각 갖는 단자(191 내지 194)를 갖는다. DN11은 그룹(190)에 대한 공유된 DN이고, 단자(191)는 선두 단자이며, 제어 장치(111)는 선두 제어 장치이다. 단자(191)는 DN11에 대해 호출에 대한 최대 번호인 4개를 갖는다. DN11의 4개의 호출에 대한 다이나믹 busy/idle 상태 정보는 선두 제어장치(111)의 busy/idle 테이블(116)에 저장된다.
키 시스템 그룹의 단자에 대한 호출 프로세스는, 상기 단자와 관련된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전체적인 프로세스 작업은 프로그램 처리(program processes) 호칭되는 다수의 중요 작업(tasks)으로 분할된다. 호출 프로세스 과정은 처리들을 모아놓은 것이며, 처리과정의 각각은 몇개의 보조 프로세스과정(subtask of process)을 수행한다. 프로세스과정과 관련된 것으로는 데이타를 전체 프로세스과정에 인가되는 데이타를 저장 하는프로세스 제어 블럭(process control block)으로 칭해지는 메모리 블럭과, 각 프로세스 과정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스택(stack)으로 호칭되는 메모리 블럭(memory block)이 있다. 호출 프로세스에는 또한 보조 프로세스(subprocesses)로 호칭되는 모델(model)로 분할된다. 호출 프로세스기(그리고 모델)는 메세지를 서로 교신한다. 같은 형태의 메세지는 동일 프로세스기(processor)에서 다른 프로세스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거나, 다른 프로세스기에서 다른 프로세스와 교신하는데 이용된다. 시스템(100)에는 두가지 형태의 호출 프로세스가 있다. 즉 단자 프로세스(terminal processes)와 시스템 프로세스(system processes)이다. 시스템 프로세스는 시스템이 동작하는한 유지된다. 한편 단자 프로세스는 각각의 호출시간 동안 또는 진단검사(diagnostic test)나 서비스 평가와 같은 서비스 동안에만 존재한다.
키 시스템 그룹으로부터 나온 호출 발생에 관한 호출 프로세스 작업(call processing events)은 단자(181,DN2,CA1)로부터 나온 호출을 참조하여 서술되었다.
단자(181)로부터 나온 SETUP 메세지는 제어 장치(111)에 의해 수신된다. SETUP 메세지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111)는 발생단자 프로세스(OTP), (OTP1)(제 3 도)을 발생하고, 상기 호출동안 두개의 데이타 블럭 DALB181, BRCS191내에 단자(181) 및 키 시스템 그룹(180)에 관한 데이타를 저장한다. 블럭 DABL181은 호출 발생을 제어하는 단자 프로세스(terminal process)로 OTP1을 정의하는 변수 pid와, 그룹에 대한 선두 제어장치(121)를 정의하는 변수와, 단자(181)와 관련자 단자 프로세스로 OTP1을 정의하는 변수 pcbla_key를 저장한다. OTP1을 정의하는 블럭(BRCS181)은, 단자(181)가 키 시스템 그룹의 관련 단자가 아니라는 것을 정의하는 변수 assoc와 단자(181)는 그룹의 다른 단자들과 최초 디렉토리 번호를 공유하고 있다고 정의하는 변수 shar를 저장하고 있다(호출하는 동안, 그룹의 단자들은 단자들이 호출상태로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활성상태이거나, 단자들이 호출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보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키 시스템 그룹에 속한 단자 한 단자와 관련된 각 제어 장치는 모든 단자와의 통신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단일 공유 호출 시스템 프로세스(SCSP)를 갖는다. 제 3 도는 제어 장치(121)의 프로세스 SCSP121를 도시하고 있다.
일단, 프로세스 과정(OTP1), 데이타 블럭(DALB181,BRCS181)이 생성되면, 프로세스 OTP1은 발생 요청을 정의하는 MGORIGREQ 메세지(제 4 도)를 선두 제어 장치(121)의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한다. 프로세스(SCSP121)은 표(126,제 1 도)에 저장된 DN2, CA1에 대해 busy/idle 데이타를 판독한다. 만일 판독 데이타가, DN2, CA1이 아이들(idle)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면, 프로세스(SCSP121)은 비지(busy)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데이타를 변경시키고, MGZORIGOK 메세지를 프로세스 OTP1로 돌려보낸다. 그러나, 만일 판독 데이타가, DN2,CA1이 비지 상태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면 프로세스 SCSP121는 MGZORIGDEN 메세지를 프로세스 OTP1으로 되돌리고 발생 요청이 취소된다. 따라서, 그룹의 다수의 단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거의 동시적인 발생 시도는, 제 1 발생을 최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프로세스(OTP1)는 MGZORIGOK 메세지에 응답하여 다양한 호출 프로세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가지 모델들을 생성한다(도 5). 상기 기능들은, 공유된 DN에서 나온 발생을 제어하는 1) 공유된 호출 모델 SCM, 2) POTS(일반 구식 전화 서비스)특정 모델 PFM, 3) 호출의 발생 절반에 관한 단자(181)와의 교신을 제어하는 모델 NEAR, 4) 호출 원격 단부에서, 종료단자 프로세스와의 교신을 제어하는 모델 CC 등이 있다.
모델 SCM은 SETUP 메시지를 모델 PFM을 통해 모델 NEAR로 보낸다. 상기 NEAR 모델은 SETUP_ACK 메시지를 단자(181)로 보내며, MCGSNDASETUP 메시지를 모델 PFM을 통해 모델 SCM으로 보낸다. 모델 SCM은 차례대로, 키 시스템 그룹의 다른 각 제어 장치내에서 공유된 호출 시스템 프로세스 MGZASETUP 메세지를 보낸다. 제 5 도에서는, 제어 장치(121)내의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되는 MGZASETUP 메세지가 도시되어 있다.
MGZASETUP 메세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단자(182),(183)에 대하여, 블럭(DALB182,BRCS182,DALB183,BRCS183)을 할당(allocate)하고, 연결하며(link) 또한 초기화(initialize)한다. 블럭(DALB182)과, (DALB183)은 단자 프로세스와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블럭내의 변수 pcbla-key는 NULL임을 주목해야 한다. 변수 pid는 프로세스 OTP1를 단자(182),(183)와 통신하는 프로세스과정으로 정의한다. 프로세스(SCSP121)는 블럭(DALC182,DALB183)의 각각에 대한 인덱스(index)를 결정하며, 프로세스 OTP1로부터 나온 상기 블럭들을 연속적으로 억세스 하기 위해 인덱스들을 MGZDALBINDX 메세지내의 프로세스(OTP1)로 되돌린다. 프로세스(SCSP)(121)는 또한 ASSOC(setup) 메세지를 단자(182),(183)로 전송하며, 그룹의 다른 단자들중의 한 단자가 DN2, CA1에 관한 호출을 발생한다는 것을 상기 단자들에 알려준다. 단자(182),(183)들은 제어 장치(121)내의 메세지 통신 프로세스(도시되지 않음) 방식을 이용하여, ASSOC-ACK 메세지를 프로세스(OTP1)(제 6 도)로 되돌린다. 프로세스(OTP1)가 MGZASETUP 메세지를 프로세스(SCSP121)(제 5 도)로 전송하는 순간에, 프로세스(OTP1)는 타이머(timer)를 초기화 한다. 만일, 그룹의 관련된 단자들 중 어느 것이 소정시간인 4초 이내에 ASSOC-ACK 메세지를 되돌리지 않았다면, 프로세스(OTP1)는 제 2 MGZASETUP 메세지를 비인식 단자(non-acknowledging terminal) SCSP에 전송한후,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 한다. 제 2 MGZASETUP 메세지는 비인식 단자를 명시하고 있으므로(specify) 제 2 ASSOC(setup) 메세지들은 오직 명시된 단자에만 전송된다. 소정 시간내에 응답하지 않는 단자는 서비스 불능을 표시한다(out-of-service).
호출된 DN은 최초의 SETUP 메세지내에 포함되거나(제 3 도) 또는, INFO(키 패트) 메세지(제 6 도, 중복 전송 모드)에서 한번에 한 디지트씩 전송된다. 호출 발생을 알려주는 관련된 단자들과 통신하면서, 모델 CC는 그 호출에 대한 시스템(100)의 종단 포트(terminating port)를 식별하기 위해, 호출된 DN의 해독 기능(translation function)을 갖고 있는, 라우팅 및 단자 할당 기능을 초기화 하는 MGRT-GEN 메세지를 전송한다(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이러한 기능은 관리 모듈(administrative module)(160)에 의해서, 실행되거나 또는 스위칭 모듈의 제어 장치에 의해 독자적으로 실행된다). 원격 단부(far end)에 있는 ISDN 단자에서 얼러팅(ALERTING)이 시작되면, MGALETRIG 메세지는 프로세스 OTP1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응답하여, 모델 SCM은 MGALERTING 메세지를 모델 PFM을 경유하여 모델 NEAR으로 전송하며, 계속하여 ALERTING 메세지를 호출 단자(181)로 전송한다(부가적으로, 가청 얼러팅(audible alerting)은 B-채널 방식으로 단자(181)에 전송된다). 모델 SCM 또한 MGZALERT 메세지를 다른 제어 장치내의 SCSP으로 전송한다. 제 6 도에서는, MGZALERT 메세지를 제어 장치(121)내의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ALERTING 메세지를(제 7 도) FMF EKSWK(182),(183)으로 전송한다.
호출이 응답되었을 때, 메세지(MGANS-CHG 또는 MGANS-NOCHG)는 프로세스(OTP1)로 돌아간다. 모델 SCM은 MGANS-CHG 메세지를 모델 PFM로 전송하며, 그후에 ISGANS-CHG 메세지를 모델 CC으로 전송한다. 이때 모델 CC는 ISGNAS 메세지를, 모델 PFM을 통해, 모델 NEAR로 보낸다. 이에 응답하여, 모델 NEAR은 CONNECT 메세지를 호출단자(181)에 보낸다. 또한 SCM은 MGZCONN 메세지를 다른 제어 장치내에 있는 SCSP로 MGZCONN 메세지를 전송한다. 제 7 도에서는 MGZCONN 메세지를 제어장치(121)내의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 프로세스(SCSP21)는 CONNECT 메세지를, 새로운 호출 상태를 통보해주는 관련 단자(182),(183)로 전송한다.
또한 단자(181)가 DISC 메세지(제 8 도)를 호출 끝에서 프로세스(OTP1)로 전송할 경우, 프로세스(OTP1)는 RELEASE 메세지 및 REL-CMP 메세지의 교환과정을 단자(181)에서 수행한다. 이때, 블럭 DALB181, BRCS181이 해제된다. 그러나 DN2의 호출 상태가 비지/아이들 표(126,제 1 도)에서 아이들 상태가 아니고, 발생 단자 프로세스(OTP1)도 그룹의 모든 단자가 해제 프로세스가 완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대로 있게 된다. 프로세스(OTP1)는 MGZDISC 메세지를 다른 제어 장치내의 SCSP으로 전송한다. 제 8 도는 제어 장치(121)에서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되는 MGZDISC 메세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DISC 메세지를 연결 단자(182),(183)로 전송하고, 프로세스(OTPI) 다음에, RELEASE 메세지(제 9 도)에 응답한다. 모듈(120)에 있는 그룹 모든 관련 단자들이 RELEASE 메세지를 되돌려 줄 때(이 경우에서는 단자(182),(183)), 프로세스(OTP1)는 MGZRE-CMP 메세지를 제어 장치(121)내에 있는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REL-CMP 메세지(제10도)를 관련 단자(182),(183)로 전송하고, 블럭(DALB182,BRCS182,DALB183,BRCS183)은 해체된다. 그후에 프로세스(SCSP121)는 프로세스(OTPI)에다 MGZIDLED 메세지를 되돌린다. 프로세스(OTPI)는 그룹의 다른 모든 제어 장치의 SCSP로부터 MGZIDLED 메세지를 수신했을 때, 프로세스(OTPI)는 MGZLTMIO 메세지를 선두 제어 장치의 SCSP와, 제어 장치(121)의 프로세스(SCSP121)는 되돌린다. 이때, busy/idle 표(126)내의 DN2, CA1 상태는 아이들 상태로 돌아간다. 프로세스(SCSP121)는 MGZFIN 메세지를 프로세스(OTPI)로 돌려보내고, 프로세스(OTPI)는 종료된다(제11도).
원거리 쪽이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 메세지(MGCLR-FWID)와 MGPATH-REL, 또는 MGCLR-BK는 프로세스(OTPI)의 모델 CC로 복귀하고, MCGFARDISC 메세지는 차례로 모델 PFM, SCM로 각각 전송된다. 프로세스(OTPI)는 DISC 메세지를 단자(181)로 보내며, MGZDICS 메세지는 다른 각 제어 장치의 SCSP으로 전송한다. 제12도는 MGZDISC 메세지를 제어 장치(121)의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프로세스(SCSP121)는 DISC 메세지 관련단자(182),(183)에 연속으로 전송한다. 그룹(181),(182),(183)의 각 단자는 RELEASE 메세지(제13도)를 프로세스(OTPI)로 되돌린다. 프로세스(OTPI)는 REL-CMP 메세지를 단자(181)으로 복귀시키고, 블럭 DALB181, BRCS181은 해제된다. 주어진 모듈에 있는 관련 단자가 응답했을 때, 프로세스(OTPI)는 MGZRELCMP 메세지를 상기 모듈의 제어 장치(SCSP)로 복귀시킨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82),(183)가 RELEASE 메세지를 되돌렸을때, 프로세스(OTPI)는 MGZREL-CMP 메세지를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한다. 이때 (SCSP121)은 REL-CMP 메세지(제 4 도)를 단자(182),(183)로 전송하고 블럭(DALB182,BRCS182,BECS183)은 해제된다. 프로세스(SCSP121)는 MGZIDLED 메세지를 프로세스(OTPI)로 되돌린다. 프로세스(OTPI)가 그룹의 모든 다른 제어 장치의 SCSP로부터, MGZIDLE 메세지를 수신했을 때, 프로세스(OTPI)는 MGZITMID 메세지를 단지 선두 제어 장치의 SCSP와, 제어 장치(121)의 프로세스(SCSP121)로 되돌린다. 이때 busy/idle 표(126,제 1 도)내의 DN2, CA1 상태는 아이들로 복귀한다. 프로세스(SCSP121)는 MGZFIN 메세지를 프로세스(OTPI)로 되돌리고, 프로세스(OTPI)는 종결된다(제15도).
키 시스템 그룹에 대한 호출 종료와 관련된 호출 프로세스 작업은, DN11에 대한 대표적인 호출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호출된 디렉토리 번호 DN11를 해독하면, 단자(191)에 접속된 시스템(100) 포트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왜냐하면 단자(191)가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 DN11를 해독하면, 단자(191)에 접속된 시스템(100) 포트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왜냐하면 단자(191)가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 DN11를 갖는 키 시스템 그룹(190,제 1 도)에 대한 선두 단자이기 때문이다. 해독 결과에 따라 MGLN-TERM(제16도)는, 제어 장치(111)에서 수행되는 라우팅 및 단자 할당(RTA) 시스템 프로세스(PTASP111)에 의해 수신된다. 시스템(100,제 1 도)은, 단자(191)가 호출에 응답할 것이며, 초기 시스템(100)의 접속은, 발생 및 종결 스위치 모듈의 타임-슬롯 교환 장치와, 발생 단자에서 단자(191)까지는 통신 모듈(150)에 의해서 제어된다고 가정하고 있다(만일 호출이 내부 모듈 호출(intra-module call)이면, 모듈의 타임-슬롯 교환 장치(interchange unit)를 통한 접속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ISLU112에서 단자(191)까지의 최종 접속은 응답이 발생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는다. 프로세스(RTASP111)는, 아이들 호출 상태가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busy/idle 표(116,제 1 도)의 판독을 수행한다. 호출 상태(CA1)가 이용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자. 호출 상태 CA1의 상태는 busy/idle 표(116)에서 아이들(idle)에서 비지(busy)로 변하고, 종료 단자 프로세스(terminating terminal process)TTPI(제16도)는 제어 장치(111)에서 생성된다. 또한 데이타 블럭 DALB, BRCS131도 생성된다. 호출 상태가 공유될 때에(블럭 BRCS191에서 변수 shar으로 정의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TTP1)는 모델 RFM, NEAR, CC과 더불어 공유된 호출 모델 SCM(제17도)을 포함된다. 모델 SCM은, 모델 PFM. NEAR을 통해 단자(191)에 SETUP 메세지를 전송한다. 모델 NEAR은, 모델 PFM을 통해, MCGSNDSETUP 메세지를 모델 SCM로 되돌려준다. 이에 응답하여, 모델 SCM은, 키 시스템 그룹(190)의 관련된 단자와 관련된 각 제어 장치에서, MGZSETUP 메세지를 공유된 호출 시스템 프로세스로 전송한다. 제17도에서는 MGZSETUP 메세지가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MGZSETUP 메세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관련단자(192),(193)에 대해, 블럭 BALB(192), (BRCS192,DALB193,BRCS193)(제18도)을 할당하고, 연결하며, 초기화한다. 또한 프로세스(SCSP121)는, SETUP 메세지를 단자(192),(193)로 전송한다. 단자(191),(192),(193)는, CALL PROC 또는 ALERTING 메세지를 프로세스(TTPI)로 얼러팅 하고 및 되돌려줌으로써, SETUP 메세지에 응답한다.
프로세스(TTP1)가 MGZSETUP 메세지를 프로세스(SCSP121)(제17도)로 전송하는 순간에, 프로세스(TTP1)는 타이머를 초기화한다. 그룹의 관련된 단자들 중의 어느 단자가 소정의 시간, 즉 4초내에 인식 메시지(CALL_PROC 또는 ALERTING)를 돌려보내지 않았다면, 프로세스(TTP1)는 제 2 의 MGZSETUP 메세지들을 비인식 단자들의 SCSP들에 전송하며, 타이머를 재초기화한다. 제 2 의 MGZSETUP 메세지들은 비인식 단자들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제 2 의 SETUP 메세지들은 단지 명시된(specified) 단자들로만 전송된다. 소정의 시간내에 응답하지 못하는 단자들은(acknowledging mesages)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선두 단자(191)가 호출에 대해 처음으로 응답한다고 가정하자. 단자(191)는 CONNECT 메시지를(도 19) 프로세스(TTP1)에 전달한다. 이에 응답하여 CONN-ACK 메세지는 단자(191)로 복귀하고, ISLU(112)를 통해 단자(191)와의 접속이 완결되며, 음성 통신이 시작된다. 모델 SCM은 MGZACONN 메세지를 다른 제어 장치의 SCSP으로 전송한다. 제19도는 제어 장치(121)에서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된 MGZACONN 메세지를 도시하고 있다. MGZACONN 메세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ASSOC(conn) 메세지를 관련된 단자(192),(193)로 전송하여, 새로운 호출의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두번째 상황에서는, 비선두 단자(192)가 첫번째로 호출에 응답한다고 가정하자. 단자(192)는, 제어 장치내의 메세지 통신 프로세스과정에 의해, CONNECT 메세지(제20도)를 프로세스(TTPI)에 전송한다. CONNECT 메세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스(TTP1)는 라우팅 과정을 초기함으로써, 단부 단차 프로세스(TTP2) 내에 있는 변수 assoc는, 단자(192)가 더이상 호출과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정의하기 위해, 그리고 블럭 DALB192내의 변수 pcbla 키는, 프로세스(TTP2)가 단자(192)와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한정하기 위해 변경된다. 프로세스(TTP2)의 모델 NEAR은 CONN-ACK 메세지를 단자(192)에 전송한다. 단자(192)에 시스템(100)의 접속이 이루어진후, 프로세스(TTP2)의 모델 CC는 MGPAS-CMP 메세지를 프로세스(TTP1)의 모델 SCM으로 복귀시킨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스(TTP1)의 모델 SCM은 MGZACONN 메세지를, 호출과 관련된 단자를 갖는 각 제어 장치의 SCSP에 전송한다. 제21도는 제어 장치(111)내의 프로세스(SCSP111)와 제어 장치(121)내의 프로세스 S(CSP121)에 전송된 MGZACONN 메세지를 도시하고 있다. MGZACONN 메세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스(SCSP121)는 ASSOC(conn) 메세지를 단자(193)에 전송하고, 프로세스 S(CSP111)는 ASSOC(conn) 메세지를 단자(191)에 전송한다. 블럭(191)내의 변수 assoc는, 단자(191)가 호출에 관련된 단자라는 것을 한정하기 위해 변경된다.
제 2 단자가,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에 대해 브릿지 될 수 있지만, 단부 단자 프로세스의 공유된 호출 모델 SCM 내의 호출 제어 과정을 통해, 오직 한 단자만이 호출에 최초로 응답한다. 호출에 응답을 할 수 있게끔 키 시스템 그룹에 대한 호출이 한 단자에서 HOLD 상태로 있을 때, HOLD로부터의 복구(retrieval)는 다른 단자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것이 발생할 때, 시스템(100)의 접속은 제 2 단자로 이동한다. 이동방식은 비선두 단자가 유입 호출(incoming call)에 첫번째로 응답했을 경우와 비슷하다. 키 시스템 그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탈, ISDN 단자와 하나의 아날로그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키 시스템 그룹들에서는 아날로그 단자가 그룹에 대한 선두 단자가 된다. 아날로그 단자는 오직 하나의 호출 상태를 갖는다. 선두 단자는 키 시스템 그룹에 대해 최대 번호의 호출 상태를 갖기 때문에, 아날로그 키 시스템 그룹의 번호는 공유된 DN의 하나의 호출 상태만을 갖는다. 물론, 아날로그 단자와 시스템(100)과의 통신은, 디지탈 메세지 교환보다는, 온-후크/오프-후크(on-hook/off-hook) 검출과, 스티뮤러스(stimulus) 신호프로세스를 사용해서 실행된다. 아날로그 키-시스템 그룹내의 ISDN 단자가 호출을 발생할 때, 아날로그 데이타 블럭(ADB)은 아날로그 단자와 관련된 제어 장치내에 할당된다. 상기 ADB는 아날로그 단자와 관련된 최초의 단자 프로세스의 통신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분리 타이밍(disconnect timing)은 아날로그 단자에 대해 일반적으로 행해지므로, 호출된 아날로그 단자가 끊겨질 수 있고, 단자가 다시 10초 이내에 오프-후크가 되면 여전히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아날로그 단자가 키 시스템 그룹의 한 구성요소일때, 상기 그룹내에서 ISDN 단자들로부터 나온 브릿징 요청들은 분리 타이밍 구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다.
키 시스템 그룹의 단자가 호출중에 있는 임의의 시간에서, 그룹에 있는 한개의 추가 단자는 호출에 대해 브릿지 한다. 만일 두개의 단자가 동시에 브릿지되면, 첫번째 단자의 RECONNECT 메세지가 수신되며, 두번째 단자의 RECONNRET 메세지는 전송된다. 브릿징(Bridging)은 발생 단자와 종료단자 모두에서 가능하다. 키 시스템 그룹 단자에 있는 사용자가 안정된 호출(stable call), 울림(ringing) 또는 대화(talking)를 지원하는 선택된 호출 상태를 가지고 있는 오프-후크(off-hook) 상태에서, 상기 단자는 다음의 조건일 때 상기 호출에 대해 브릿지 된다.
1) 수동적 배제(manual exclusion)가 상기 호출 단부상(end)에 이미 존재하지 않을 경우, 2) 수동적 배제(manual exclusion) 즉 사적 비밀 정도(a degree of privacy)를 그룹 번호에 부여하는 단자의 특정 버튼 또는 작동 코드를 사용하여 동작 가능한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것이 모든 호출에 대해 작동하지 않았을 경우, 3) 컨퍼런스 회로(conference circuit)가 이용가능한 경우, 4) 컨퍼런스 회로의 제한, 예컨데 한 호출에 대해 세 명만이 사용가능한 경우.
또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 키 시스템 그룹의 사용자가 공유된 DN의 선택된 호출 상태에 대해 오프-후크하는 것으로 한다. 브릿징 사용자 단자는 RECONN 메세지(호출 상태와 관련된 호출 참조값에 대한)를 시스템(100)으로 보낸다. 상기 단자는 호출 상태에 대해 ASSOC(setup 또는 conn) 메세지를 미리 수신한다. 만약 호출이 안정 상태(stable state)이거나 상기 언급된 4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시스템(100)은, 호출에 대해서는 B-채널을 선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RECONN-ACK 메세지로 응답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시스템(100)의 적절한 요인 소자(cause element)를 갖고 있는 단자에 RECONN-REJ 메세지를 전송한다. 시스템(100)은 컨퍼런스 회로(도시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브릿징 쪽(bridging party)을 통화쪽에 연결시켜준다.
브릿징은 키-시스템 그룹의 아날로그 단자와 ISDN 단자 사이에서 가능하다. 절차는 두개의 ISDN 단자들 사이에서의 과정과 동일하다. 한가지 차이점이 있다. 즉 아날로그 단자는 시스템(100)에 ISDN 단자에서 작동하는 DN에서 오프-후크 과정을 수행할 때 브릿징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한 브릿징이 아날로그 단자에서 사용이 안될 경우, 비지톤(busy tone)이 되돌아 온다.
키-시스템 그룹의 최소한 한 개의 단자가 한 호출에서 동작 상태로 있는 한, 상기 호출은 중단된다. 브릿지된 단자가 비접속되었을 때(DROP 메세지 또는 DISC 메세지를 시스템(100)으로서), 비접속 당사자(disconnecting party)에 대한 경로의 클리어링(clearing)은 다른 통화 당사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킵-얼라이브(keep-alive) 메카니즘으로 언급되는 교차 프로세서(cross-processor) 또는 교차 모듈 오디트(cross-module audit) 메카니즘은, 다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1) 해제되지 않는 DALB, BRCS 블럭은 호출(active call)과 관련이 없도록 한다. 2) 호출의 반(call half)을 제어하는 공유된 호출 모델에서 볼때 동작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그룹 ISDN 단자가, 그와 관련된 DALB, BRCS 블럭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제16도 내지 제21도와 관련된 호출 종결(call termination)을 살펴본다. 제18도에 도시된 구성도가 제22도에서 반복된다. 킵-얼라이브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매 5분마다 프로세스(TTP1)는 MGZKA 메세지를 키 시스템 그룹의 각 SCSP에 전송한다. 제22도는 MGZKA 메세지를, 제어 장치(111)내의 프로세스(SCSP)(111)와, 제어 장치(121)내의 프로세스(SCSP121)로 전송한다. MGZKA 메세지에 응답하여, SCSP 프로세스는, 그룹의 각 단자에 대한 DALB 블럭내에, 변수 KA1을 설정한다. 또한 각 SCSP는, 상기 제어 장치의 모든 BALB, BRCS 블럭에 대해, 5분마다 오디트 프로그램(제23도)을 실행시키는 킵-얼라이브 단자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예컨데, 프로세스(SCSP121)는 제어장치(121)의 모든 DALB, BRCS, 특히 제22도에 도시된 블럭(DALB192,BRCS192,DALB193,BRCS193), 그리고 다른 키-시스템 그룹과 관련된 DALB, BRCS 블럭에 대해 오디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스(KATP121)를 생성한다.
제23도는 프로세스(KATP121)에 의해 실행되는 오디트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블럭(310)에서 시작되며, 모든 DALB, BRCS 블럭이 체크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치 않을 경우, 블럭(320)으로 진행하여, 주어진 DALB 블럭, 예컨데 DALB192의 변수 KA1가 설정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체크된다. 만일 변수 KA1이 세트되면, 블럭(330)으로 진행되어 변수 KA1, KA2 모두 클리어된다(cleared). 한편 KA1이 세트되지 않으면 블럭(320)에서 블럭(340)으로 실행되며, 변수 KA2가 세트되었는지의 여부의 결정을 체크한다. 만일 변수 KA2가 세트가 된 것을 체크한다면, 이때에는 블럭(DALB192)내의 변수 KA1가 TTP1에서 나온 MGZKA 메세지에 응답하여 설정되었기 때문에, 검사가 5분이상 걸리며, 블럭(350)으로 진행되며, 블럭(DALB191,BRCS191)은 해제된다. 제어 장치(121)의 DALB, BRCS 블럭 각각에 대해 오디트는 반복된다. 두개의 변수 KA1, KA2를 이용하는 2-패스 체크(two-path check) 메카니즘은, 프로세스(TTP1,SCSP212)내에 있는 5분 타이머들간의 차이들이(DALB,BRCS) 블럭의 부주의한 해제(indvertent release)를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만일, 프로세스(TTP1)에서 나온 MGZAK 메세지에 응답하여, 비록 이 단자들이 서비스중에 있더라도, 프로세스(SCSP121)가, 그룹의 단자에 대한 DALB, BRCS 블럭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판별한다면, 프로세스(SCSP121)는 MGZDEAD 메세지를 프로세스(TTP1)로 돌려보낸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스(TTP1)의 모델 SCM은 상기 단자에 대한 DALB, BRCS의 재할당(reallocation)을 제어하고, 단자 상태를 현재 호출 상태로 유도하기 때문에, 브릿징이 다시 가능해진다.

Claims (24)

  1. 다수의 단자들(171-186,191-19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들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subset)들과 관련된 다수의 제어 장치들(111,121,131,14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들의 관련된 서브세트의 접속을 제어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100)내에서 디렉토리 번호로 출입하는 호출 프로세스 방법에 있어서, 디렉토리 번호는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들(111,121,131,141)과 관련된 상기 단자들의 키 시스템 그룹(180)에 의해 공유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들중 선두 제어 장치(121)는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해 비지/아이들(busy/idle) 데이타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타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호출을 프로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는 상기 각 호출되는 동안에, 상기 각 호출에 대한 상기 그룹단자의 상태를 통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상기 단자들중 발생 단자와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로부터 나온 호출발생에 대해서는 상기 발생 단자와 관련된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들중 발생 단자에 의해 상기 발생 호출의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자로부터 상기 다수 단자들중의 종료단자까지 상기 시스템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이루어진후, 상기 발생 단자 이외의 다른 상기 그룹의 단자로부터 나온 신호에 응답하여, 컨퍼런스(conference) 연결을 위해 상기 다른 단자와 발생단자를 상기 종료단자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발생 제어 장치가, 상기 발생 호출의 수신 데이타를 상기 발생 단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 제어 장치가 상기 발생 호출을 한정하는 설정 메세지를,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들중 다른 하나의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제어 장치가 상기 발생 호출에 대한 응답을, 상기 그룹내에 포함된 단자들의 관련된 서브세트(subset)의 임의의 서브세트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제어 장치는 상기 설정 메세지의 전송과 동시에, 타이머를 초기화하며, 상기 발생 제어 장치는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그룹내에 포함되고 상기 다른 제어 장치와 관련된 상기 각 단자로부터 수신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했을 때에, 각각의 비인식 단자를 명시한 제 2 설정 메세지를, 상기 다른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다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설정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발생 호출에 대한 제 2 신호를 상기 각 명시된 단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설정 메세지의 전송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하며,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하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명시된 각 단자로부터 수신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에, 상기 명시된 단자의 각 비인식 단자를 비동작 상태(out-of-service)로 한정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다수 단자로부터 나온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의 상기 다수 단자들중 오직 하나의 단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한 종료 호출에 대해서는,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들이 상기 종료 호출을 상기 그룹의 단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단계 이전에 상기 종료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 단자와, 상기 단자들중 선두 제어 장치와 연결된 선두 단자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의 해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1. 다수의 단자들(181-186,191-19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들의 서로 다른 서브세트들과 관련된 다수의 제어 장치들(111,121,131,14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들의 관련된 서브세트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들은 상기 제어 장치들중의 몇개(111,121,131,141)와 관련된 단자들의 그룹(180)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를 갖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들 중 선두제어장치(121)는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한 busy/idle 데이타를 보존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로 출입하는 호출에 응답하며,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을 종합적으로 프로세스하기 위해 상기 판독 데이타에 응답하고, 상기 각 호출들이 발생하는 동안에, 상기 단자들의 그룹에 상기 각 호출의 상태를 알려 주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부터 나온 호출을 발생하는 상기 그룹의 단자와 관련된 상기 다수의 제어 수단의 발생 장치는, 상기 발생 호출의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발생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선두 제어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busy/idle 데이타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 호출을 단자들의 상기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에 대한 종료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선두 제어 장치에 의해 판독된, 상기 busy/idle 데이타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호출은 상기 다수의 단자들중 발생 단자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해독에 응답하여, 상기 발생 단자에서 상기 선두 단자까지 상기 시스템을 연결하는 초기 접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나온 접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두 단자에 상기 초기적인 접속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적인 접속을 한 후에, 상기 선두 단자 이외의 상기 그룹의 단자로부터 나온 신호에 응답하여, 컨퍼런스 접속을 위해 상기 발생 단자에, 상기 다른 단자와 상기 선두 단자를 브릿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단자중 비선두 단자로부터 나온 접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생 단자에서 상기 비선두 단자까지의 상기 시스템에 대한 제 2 접속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을 한 후에 그리고, 상기 비선두 단자 이외의 상기 그룹의 단자로부터 나온 신호에 응답하여, 컨퍼런스 접속을 위하여, 상기 다른 단자 및 비선두 단자를 상기 발생 단자에 브릿징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 호출에 대한 설정 신호를, 상기 그룹내의 단자들의 관련된 서브세트들 중 임의의 서브세트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 호출을 한정하는 설정 메세지를,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중 비선두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부 호출에 대한 설정 신호를, 상기 그룹내에 있는 단자들의 관련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서브세트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메세지 전송과 동시에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비선두 제어 장치와, 관련되고, 그룹내에 포함된 상기 각 단자로부터 수신 데이타를 수신하는데 실패했을 때,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제 2 설정 메세지를, 상기 타이머를 개시시키는 소정의 시간내에 각 비인식 단자를 명시한 상기 비선두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 2 설정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 호출에 대한 제 2 설정 신호를 상기 명시된 각 단자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메세지의 전송과 동시에,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하고, 상기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하는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각 명시된 단자로부터 수신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했을 때,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명시된 단자중 각 비인식 단자를 비동작 상태(out-of-service)로 한정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두 제어 장치가, 상기 종료 호출에 대한 아날로그 울림 신호를, 상기 그룹에 포함된 아날로그 단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 호출을 한정하는 설정 메세지를,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의 비선두 단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선두 제어 장치는 상기 종료 호출에 대한 디지탈 설정 신호를 상기 그룹내에 포함된 디지탈 단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2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상기 단자들은 상기 공유된 디렉토리 번호의 다수개의 호출 상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판독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선두 제어 장치가, 상기 다수의 호출 상태중 하나의 아이들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제어 장치가 상기 종료 호출을, 상기 식별된 호출 상태를 갖는 상기 단자들의 그룹들중 어느 그룹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2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다수의 단자로부터 나온 접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을 상기 그룹의 다수 단자중 오직 한개의 단자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제어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프로세스 방법.
KR1019890700505A 1987-07-23 1988-01-15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KR0127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77,531 US4791662A (en) 1987-07-23 1987-07-23 Controlling key-system groups from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US077,531 1987-07-23
PCT/US1988/000096 WO1989001277A1 (en) 1987-07-23 1988-01-15 Controlling key-system groups from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396A KR890702396A (ko) 1989-12-23
KR0127341B1 true KR0127341B1 (ko) 1998-04-01

Family

ID=2213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505A KR0127341B1 (ko) 1987-07-23 1988-01-15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91662A (ko)
EP (1) EP0368845B1 (ko)
JP (1) JPH0738664B2 (ko)
KR (1) KR0127341B1 (ko)
CA (1) CA1287679C (ko)
DE (1) DE3888835T2 (ko)
WO (1) WO1989001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3717A (en) * 1988-06-14 1989-10-1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all coverage arrangement
US4958343A (en) * 1988-11-30 1990-09-18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channel reservation
US4873716A (en) * 1988-12-27 1989-10-1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Path allocation arrangement for multi-terminal groups
EP0427871B1 (en) * 1989-05-30 1996-03-20 Fujitsu Limited Inter-network connection system
JPH06291849A (ja) * 1993-04-02 1994-10-18 N T T Idou Tsuushinmou Kk 通信システムの発番号伝達方法
CA2107982C (en) * 1992-10-16 1999-03-30 Akihisa Nakajima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personal communications
US5568543A (en) * 1993-07-19 1996-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tored program controlled digital public exchange
US5579380A (en) * 1994-10-25 1996-11-26 Connection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elephone calls from one line to another
JP3582023B2 (ja) * 1994-10-25 2004-10-27 富士通株式会社 代表グループ着信端末集約方式
US5644632A (en) * 1995-06-07 1997-07-01 Lucent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key telephone station network
US5583929A (en) * 1995-06-07 1996-12-10 Lucent Technologies Inc. Customer orien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608790A (en) * 1995-06-07 1997-03-04 Lucent Technologies Inc. Trunk utiliz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828746A (en) * 1995-06-07 1998-10-27 Lucent Technologies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883944A (en) * 1997-02-28 1999-03-16 Lucent Technologies Inc. "Plug and play" telephone system
US5887054A (en) * 1997-02-28 1999-03-23 Lucent Technologies Inc. Play and plug telephone system
US6787939B2 (en) * 2001-09-27 2004-09-07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 system
US10536491B2 (en) * 2013-07-26 2020-01-14 Apple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s to multip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6180A (fr) * 1969-09-19 1971-02-15 Western Electric Co Central de commutation de communications
US3860761A (en) * 1973-06-14 1975-01-14 Bell Telephone Labor Inc Digital progressively controlled switching system
US4256926A (en) * 1976-10-21 1981-03-17 Wescom Switching, Inc. Microprocessor control complex for a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4259549A (en) * 1976-10-21 1981-03-31 Wescom Switching, Inc. Dialed number to function translator for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control complex
US4317962A (en) * 1977-03-02 1982-03-02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for digital switching system
JPS5616355A (en) * 1979-07-20 1981-02-17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Dispersion-type switchboard
US4322843A (en) * 1979-12-26 1982-03-3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4339633A (en) * 1980-10-06 1982-07-13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Mod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US4340776A (en) * 1980-10-29 1982-07-20 Siemens Corporatio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4442321A (en) * 1981-06-08 1984-04-1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arent dialing between interconnected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s
US4550404A (en) * 1983-05-11 1985-10-29 At&T Bell Laboratories Switching system having remote switching capability
US4607144A (en) * 1984-01-20 1986-08-19 Telecomputer Corporation, Lt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use of electromechanical key telephone systems
US4588864A (en) * 1984-09-21 1986-05-13 Itt Corporation Small key telephone system
US4694487A (en) * 1985-02-07 1987-09-15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ontrolling multi-fort hunt groups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US4644528A (en) * 1985-02-07 1987-02-17 At&T Bell Laboratories Terminating port determination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using a distributed data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87679C (en) 1991-08-13
DE3888835D1 (de) 1994-05-05
JPH0738664B2 (ja) 1995-04-26
EP0368845A1 (en) 1990-05-23
JPH02504576A (ja) 1990-12-20
EP0368845B1 (en) 1994-03-30
US4791662A (en) 1988-12-13
KR890702396A (ko) 1989-12-23
WO1989001277A1 (en) 1989-02-09
DE3888835T2 (de) 199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341B1 (ko)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
CA1252864A (en) Discretionary call forwarding
US60470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bandwidth to independent data and audio devices
US4741026A (en) Message signaling arrangement between a switching system and user terminals
CA2191155C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call pick-up capabilities
US4873716A (en) Path allocation arrangement for multi-terminal groups
KR100248660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삭제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48662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이밍 탐색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29547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호 동기 지시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JPH02216953A (ja) 被呼端末話中時のサービス選択方式
KR100229549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접속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48663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이밍 지연보상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09812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추가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48661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추가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09810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48664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 채널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09434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절단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37488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37487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추가 타이머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H05244197A (ja) サービス総合ディジタル網を用い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の回線交換制御方法
JPH03183241A (ja) 通話中応答方式
JPH01254093A (ja) 通信方式
JPH02206269A (ja) 効率化予約通話方式
KR19990032814A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절단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S6179398A (ja) 加入者呼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