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219B1 -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219B1
KR0127219B1 KR1019940027651A KR19940027651A KR0127219B1 KR 0127219 B1 KR0127219 B1 KR 0127219B1 KR 1019940027651 A KR1019940027651 A KR 1019940027651A KR 19940027651 A KR19940027651 A KR 19940027651A KR 0127219 B1 KR0127219 B1 KR 012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mpartment
cold air
freezer compartme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854A (ko
Inventor
최정명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2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219B1/ko
Publication of KR96001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열칸막이벽에 형성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고 증발기 측으로 귀환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냉동실 흡입공과, 냉장실 흡입공의 입구측에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냉기량 조절판과, 상기 냉기량 조절판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조정손잡이로 구성되는 냉기량 조절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냉장실 및 냉동실의 냉기 순환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하강시켜. 냉각 효율의 향상에 기여하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도어(door)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기 흐름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냉기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구성을 도어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 흐름을 보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단열칸막이벽 3 : 냉동실
4 : 냉장실 6 : 증발기
8a, 9a : 냉동실 흡입공 10a : 냉장실 흡입공
21 : 가이더 22 : 냉기량 조절판
23 : 조정손잡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 및 냉동실의 냉기 순환량을 조절하여보다 빠른 시간 내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박스체(1)의 내측에 단열칸막이벽(2)이 설치되어, 그 상,하부가 냉동실(3) 및 냉장실(4)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3)에는 후방에 팬장치(5) 및 증발기(6)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 일측 모서리 부위에 냉기를 냉장실(4)로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토출공(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열칸막이벽(2)에는 양측에 냉동실 흡입덕트(8)(9)가 형성되어 있고, 그 냉동실 흡입덕트(8)(9)의 단부에 냉동실(3)로 통하는 냉동실 흡입공(8)(9)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 냉장실 흡입덕트(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냉장실 흡입덕트(10)의 단부에 냉장실(4)로 통하는 냉장실 흡입공(10a)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단열칸막이벽(2)의 후방에는 냉장실 토출공(7)과 연통되는 냉장실 토출덕트(l1)가 형상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4)에는 냉장실 토출덕트(11)와 통하는 멀티 덕트(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멀티 덕트(12)에는 냉장실(4)로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수개의 멀티 덕트 토출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냉동실 도어, 15는 냉장실 도어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냉장고는, 전원이 인가되면, 팬장치(5)가 구동함에 따라 공기가 증발기(6)를 지나면서 열교환을 함으로써 차가운 냉기로 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열교환된 냉기는 냉동실(3) 및 냉장실(4)로 보내지게 된다.
먼저, 냉장실(4)로 보내지는 냉기의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단열칸막이벽(2)의 냉장실 토출공(7)으로 보내지는 냉기는 그 냉장실 토출공(7)과 연결되어 있는 냉장실 토출덕트(11)를 통하어 멀티 덕트(12)로 보내지며, 그 멀티 덕트(12)의 토출공(13)을 통하여 냉장실(4)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장실(4)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냉장실(4)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킨 후, 자체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후 온도가 상승된 냉기는 냉장실 흡입공(10a)으로 흡입된 다음, 냉장실 흡입덕트(10)를 통하여 다시 증발기(6)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냉동실(3)로 토출되는 냉기는 냉동실(3)의 내부를 냉각시킨 후, 단열칸막이벽(2)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냉동실 흡입공(8a)(9a)을 통하여 흡입되어, 냉동실 흡입덕트(8)(9)를 거쳐 다시 증발기(6)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냉장실(4) 및 냉동실(3)을 돌아 증발기(6)로 보내진 온도가 상승된 냉기는 팬장치(5)의 구동에 의하여 증발기(6)를 통과하면서 온도를 빼앗겨 다시 온도가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냉장실(4) 및 냉동실(3)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4) 및 냉동실(3)로 공급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반복되는 냉장실(4) 및 냉동실(3)의 도어(15)(14)의 개방 동작에 따라 냉장실(4) 및 냉동실(3)의 온도가 증가할 때, 보다 신속하게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실 및 냉동실의 냉기 순환량을 조절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열칸막이벽에 형성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고 증발기측으로 귀환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냉동실 흡입공과 냉장실 흡입공의 입구측에 형상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냉기량 조절판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량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량 조절판의 선단부에는 조겅손잡이가 형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냉기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구성을 도어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 흐름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기존의 냉장고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단열박스체(1)의 내측에 단열칸막이벽(2)이 설치되어, 그 상, 하부가 냉동실(3) 및 냉장실(4)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냉동실(3)에는 후방에 팬장치(5) 및 증발기(6)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 일측 모서리 부위에 냉기를 냉장실(4)로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토출공(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열칸막이벽(2)에는 양측에 냉동실 흡입덕트(8)(9)가 형성되어 있고, 그 냉동실 흡입덕트(8)(9)의 단부에 냉동실(3)로 통하는 냉동실 흡입공(8a)(9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 냉장실 흡입덕트(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냉장실 흡입덕트(10)의 단부에 냉장실(4)로 통하는 냉장실 흡입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열칸막이벽(2)의 후방에는 냉장실 토출공(7)과 연통되는 냉장실 토출덕트(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4)에는 냉장실 토출덕트(11)와 통하는 멀티 덕트(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멀티 덕트(12)에는 냉장실(4)로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수개의 멀티 덕트 토출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냉동실 도어, 15는 냉장실 도어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를 전제로 하여, 상기 냉동실 흡입공(8a)(9a)과, 냉장실 흡입공(10a)의 입구측에 냉기량 조절수단을 각각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냉기량 조절수단은, 냉동실 흡입공(8a)(9a)과, 냉장실 흡입공(10a)의 입구측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더(21)와, 상기 가이더(21)에 좌, 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냉기량 조절판(22)과, 상기 냉기량 조절판(2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조정손잡이(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더(21)에는 안내공(2la)이 형성되어, 그 안내공(21a)을 따라 냉기량 조절판(22)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 흡입공((8a)(9a)과, 냉장실 흡입공(10a)의 입구측에는 냉기량 조절판(22)의 도피를 위한 도피홈(8b),(9b),(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종래의 기술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냉기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냉동실 흡입공(8a)(9a) 및 냉장실 흡입공(10a)이 개방된 경우와, 냉기량 조절판(22)에 의하여 폐쇄된 경우에 따라서 냉기의 흐름이 달라지게되는 바, 냉동실 흡입공(8a)(9a) 및 냉장실 흡입공(10a)이 개방된 경우에는 기존의 냉장고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냉기가 이동하게 된다.
즉, 냉동실 흡입공(8a)(9a) 및 냉장실 흡입공(10a)의 도피홈(8b)(9b),(10b)에 냉기량 조절판(22)이 각각 위치하고 있는 냉동실 흡입공(8a)(9a) 및 냉장실 흡입공(10a)의 개방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팬장치(5)가 구동함에 따라 공기가 증발기(6)를 지나면서 열교환을 함으로써 차가운 냉기로 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열교환된 냉기는 냉동실(3) 및 냉장실(4)로 보내지게 된다.
먼저, 냉장실(4)로 보내지는 냉기의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단열칸막이벽(2)의 냉장실 토출공(7)으로 보내지는 냉기는 그 냉장실 토출공(7)과 연결되어 있는 냉장실 토출덕트(11)를 통하여 멀티 덕트(12)로 보내지며, 그 멀티 덕트(l2)의 토출공(13)을 통하여 냉장실(4)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장실(4)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냉장실(4)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킨 후, 자체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후, 온도가 상승된 냉기는 냉장실 흡입공(10a)으로 흡입된 다음, 냉장실 흡입덕트(10)를 통하여 다시 증발기(6)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냉동실(3)로 토출되는 냉기는 냉동실(3)의 내부를 냉각시킨 후, 단열칸막이벽(2)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냉동실 흡입공(8a)(9a)을 통하여 흡입되어, 냉동실 흡입덕트(8)(9)를 거쳐 다시 증발기(6)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냉장실(4} 및 냉동실(3)을 돌아 증발기(6)로 보내진 온도가 상승된 냉기는 팬장치(5)의 구동에 의하여 증발기(6)를 통과하면서 온도를 빼앗겨 다시 온도가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냉장실(4) 및 냉동실(3)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한편, 냉장실 흡입공(10a)은 그대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냉동실 흡입공(8a)(9a)의 입구측 도피홈(8b)(9b)에 위치하고 있는 냉기량 조절판(22)을 각각 이동시켜 냉동실 흡입공(8a)(9a)을 각각 폐쇄시키게 되면, 팬장치(5)에 의한 흡입력은 모두 냉장실(4)을 순환하는 냉기에만 작용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냉장실(4)의 냉기를 순환시키게 되며, 따라서 냉장실(4)의 온도가 그 만큼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냉동실 흡입공(8a)(9a)은 그대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냉장실 흡입공(10a)의 입구측 도피홈(10b)에 위치하고 있는 냉기량 조절판(22)을 이동시켜 냉장실 흡입공(10a)을 폐쇄시키게 되면, 냉장실(4)의 냉기 순환은 정지되는 동시에 냉동실(3)의 냉기가 보다 빠른 속도로 순환하게 됨으로써 냉동실(3)의 온도가 빠르게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는, 단열칸막이벽에 형성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고 증발기 측으로 귀환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냉동실 흡입공과, 냉장실 흡입공의 입구측에 냉기량 조절수단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강시킬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의 향상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열칸막이벽에 형성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고 증발기측으로 귀환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냉동실 흡입공과 냉장실 흡입공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냉기량 조절판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량 조절판의 선단부에는 조정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KR1019940027651A 1994-10-27 1994-10-27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KR012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651A KR0127219B1 (ko) 1994-10-27 1994-10-27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651A KR0127219B1 (ko) 1994-10-27 1994-10-27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854A KR960014854A (ko) 1996-05-22
KR0127219B1 true KR0127219B1 (ko) 1998-04-03

Family

ID=1939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651A KR0127219B1 (ko) 1994-10-27 1994-10-27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2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854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696B2 (en) Refrigerator
KR101390448B1 (ko) 냉장고
CA2365751C (en) Cooling air supplying device in refrigerator
KR20110098413A (ko) 냉장고
JPH1151536A (ja) 冷蔵庫の冷気供給システム
KR100549075B1 (ko) 냉장고
KR0127219B1 (ko)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JP3574573B2 (ja) 冷蔵庫
KR20140019596A (ko) 3도어 타입 냉장고
JPH04103984A (ja) 冷蔵庫
JPH0420782A (ja) 冷温蔵庫及びその温蔵運転方法
JPH0229581A (ja) 冷蔵庫
JPS5851180B2 (ja) 冷蔵庫
KR10038248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JP2810487B2 (ja) 貯蔵庫
JP3322495B2 (ja) 冷凍冷蔵庫
JP2001349656A (ja) 冷蔵庫
KR100479493B1 (ko) 냉장고
JPH05106958A (ja) 冷蔵庫
KR017770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2614558B2 (ja) 冷却貯蔵庫
JP2000180016A (ja) 冷蔵庫
KR19990040766U (ko) 냉장고의 냉기덕트
KR20030015643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KR20020021914A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