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743Y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743Y1
KR0126743Y1 KR2019940014073U KR19940014073U KR0126743Y1 KR 0126743 Y1 KR0126743 Y1 KR 0126743Y1 KR 2019940014073 U KR2019940014073 U KR 2019940014073U KR 19940014073 U KR19940014073 U KR 19940014073U KR 0126743 Y1 KR0126743 Y1 KR 0126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shing
water
water supp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769U (ko
Inventor
임재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4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743Y1/ko
Publication of KR960001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1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수에 오존을 용존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탈수행정 시에 회전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설치되어서 세탁행정 시에 정역 회전되는 교반기와, 상기 수조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구의 연장선상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안내부와, 상기 급수안내부가 설치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오존을 발생시키며 오존안내관이 돌출된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이 상기 급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에 교반되도록 일단이 상기 급수구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급수안내부에 접속되며 일측에 상기 오존발생기의 오존안내관이 접속된 통상부재와, 상기 통상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와 오존이 서로 교반되어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이 증대되도록 나선형상의 제1교반부와 나선형상의 제2교반부가 접속부에서 90°의 위상차를 갖고 상기 통상부재의 내부에 다수개 배설된 교반부재로 이루어진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오존액화수단에 의해서 오존용존율이 증대된 상태에서 공급되므로써 세탁행정 시에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및 표백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고안은 세탁수에 오존을 용존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오존이 용존되는 오존용존율을 증대시켜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표백 및 살균시킬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이 발생되는 세탁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존이 발생되는 세탁기의 일예로서는 일본국에서 특허 공개된 일본국 특개소 63-281689호가 있다.
일본국 특개소 63-281689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조(2)가 설치된 본체(1)가 마련되고, 수조(2)의 외측면과 하방에는 오존발생기(3)와 초음파발진기(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2)에는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발진자(6)와 오존수를 상기 수조(2) 내로 유입하는 흡입노즐(4)이 다수개 설치되고, 오존과 세탁수를 혼합하여 오존수를 생성시키는 순환펌프(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오존발생기(3)에서 생성된 오존을 순환펌프(7)가 세탁수와 혼합하여 흡입노즐(4)을 통해서 수조(2) 내로 공급하게 되고, 동시에 초음파발진기(5)에서 초음파가 발생되어 초음파발진자(6)를 통해 수조(2) 내로 공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세탁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조(10a)가 설치된 본체(10)가 마련되고, 상기 수조(10a)의 내부에는 세탁조(10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10b)의 저부에는 교반기(10c)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10a)의 하부에는, 세탁행정 시에 상기 교반기(10c)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탈수행정 시 상기 세탁조(10b) 및 상기 교반기(10c)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2)와 변속장치(1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10a)에는 배수행정 시에 상기 수조(10a)의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호스(11)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배수호스(11)에는 세탁수의 배수를 제어하도록 배수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수조(10a)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부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소정 길이 연장 설치된 급수관(14)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급수관(14)의 일측에는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오존발생실(16)이 구비된 오존발생기(15)가 설치되고, 이 오존발생기(15)의 일 측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17)가 형성됨과 동시에 오존이 상기 급수관(14)을 통해서 상기 수조(10a)로 공급되도록 오존안내구(1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존토출관(19)에 대응되는 상기 급수관(14)의 단부에는, 상기 오존안내구(19)를 통해서 토출되는 오존이 세탁수에 용존되도록 상기 급수관(14)을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8)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행정이 수행되면 상기 급수관(14)을 통하여 상기 수조(10a)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14)에 장착된 상기 분사노즐(18)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속에 의하여 상기 공기유입구(17)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오존발생기(15)로 유입되고, 상기 오존발생기(15)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오존발생실(16)에서 오존으로 변환되어 상기 오존안내구(19)를 통해서 상기 급수관(14)으로 유입된다.
또, 상기 급수관(14)으로 유입된 오존은 상기 분사노즐(18)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에 용존되어서 오존수로 변환되고, 이 오존수가 상기 수조(10a)로 공급되므로써 상기 수조(10a)에 수납된 세탁물을 살균 및 표백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세탁기는, 세탁수에 오존이 용해되어 수조로 공급되나, 수조 내로 공급되는 오존이 세탁수에 완전하게 용존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조의 내부로 공급되게됨으로써 오존이 세탁수에 계속 용존되어 있지 못하고 공기 중으로 배출되어 세탁물의 표백 및 살균효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오존의 일부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세탁행정을 수행할 경우 수조로 공급되는 오존이 용존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을 증대시켜 세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백 및 살균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탈수행정 시에 회전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설치되어서 세탁행정 시에 정역회전되는 교반기와, 상기 수조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구의 연장선상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안내부와, 상기 급수안내부가 설치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오존을 발생시키며 오존안내관이 돌출된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이 상기 급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에 교반되도록 일단이 상기 급수구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급수안내부에 접속되며 일측에 상기 오존발생기의 오존안내관이 접속된 통상부재와, 상기 통상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와 오존이 서로 교반되어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이 증대되도록 나선형상의 제1교반부와 나선형상의 제2교반부가 접속부에서 90°의 위상차를 갖고 상기 통상부재의 내부에 다수개 배설된 교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에 의하면,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오존액화수단에 의해서 오존용존율이 증대된 상태에서 공급되므로써 세탁행정 시에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및 표백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오존이 발생되는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존이 발생되는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존액화수단이 장착된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존액화수단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5도(a)는 제4도의 A-A'선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5도(b)는 제4도의 B-B'선을 절결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수조
22 : 세탁조 23 : 교반기
24 : 모터 25 : 변속장치
26 : 배수호스 31 : 급수구
32 : 급수안내부 40 : 오존발생기
41 : 오존안내관 50 : 오존액화수단
51 : 교반부재 51a : 제1교반부
51b : 제2교반 52 : 통상부재
53 : 접속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존액화수단이 장착된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존액화수단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5도(a)는 제4도의 A-A'선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5도(b)는 제4도의 B-B'선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20)의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로써, 그 내부에는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21)가 설치되고, 이 수조(21)의 내부에는 탈수행정 시에 회전되는 세탁조(22)가 설치되며, 이 세탁조(22)의 저부에는 세탁행정 시에 정역 회전되는 교반기(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21)의 하부에는 세탁행정 시 상기 교반기(23)를 회전시키고 탈수행정 시 상기 세탁조(22)와 상기 교반기(23)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4) 및 변속장치(25)가 장착됨과 동시에, 배수행정 시에 상기 수조(21)의 물이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호스(2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상기 수조(21)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부가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 설치된 급수구(31)가 구비되고, 이 급수구(31)의 연장선상의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급수안내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급수구(31)의 하측에는 상기 급수구(31)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존안내관(41)이 돌출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급수구(31)와 상기 급수안내부(32)의 사이에는, 상기 오존발생기(40)에서 생성된 오존이 상기 급수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에 교반되어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이 증대되도록 세탁수와 오존을 교반 시키는 오존액화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오존액화수단(50)은, 일단이 상기 급수구(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급수안내부(32)에 접속되며 일측에 상기 오존발생기(40)의 오존안내관(41)이 접속된 통상부재(52)와, 상기 통상부재(52)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와 오존이 서로 교반되어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이 증대되도록 나선형상의 제1교반부(51a)와 나선형상의 제2교반부(52a)가 접속부(53)에서 90°의 위상차를 갖고 상기 통상부재(52)의 내부에 다수개 배설된 교반부재(51)로 이루어져, 상기 오존발생기(40)에서 생성된 오존과 상기 급수구(31)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다수번 교반 시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세탁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급수구(31)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고, 상기 급수구(31)를 통해서 상기 수조(21)의 내부로 세탁수가 일정수위만큼 급수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기(40)가 작동되어서 오존이 발생되게 된다.
또, 상기 오존발생기(40)에서 발생된 오존은 상기 오존안내관(41)을 통해서 상기 통상부재(52)로 유입되고, 상기 통상부재(52)로 유입된 오존은 상기 급수구(31)를 통해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용존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상부재(52)의 내부에는 나선형상의 제1교반부(51a)와 나선형상의 제2교반부(52a)가 접속부(53)에서 90°의 위상차를 갖고 교반부재(51)가 다수개 배설되므로써, 세탁수와 오존은 상기 통상부재(52)의 내부에서 좌우역회전되어 교반되므로 세탁수에 오존용존율이 증대되게 된다.
또, 상기 오존액화수단(50)에 의해 오존용존율이 증대된 세탁수는 상기 수조(21)로 공급되어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조(21)로 오존용존율이 증대된 세탁수가 공급되므로써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및 표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대기로 오존이 배출되지 않게 되어 대기환경의 개선으로 인체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에 의하면,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오존액화수단에 의해서 오존용존율이 증대된 상태에서 공급되므로써 세탁행정 시에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및 표백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21)와, 상기 수조(2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탈수행정 시에 회전되는 세탁조(22)와, 상기 세탁조(22)의 저부에 설치되어서 세탁행정 시에 정역 회전되는 교반기(23)와, 상기 수조(21)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부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구(31)와, 상기 급수구(31)의 연장선사의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안내부(32)와, 상기 급수안내부(32)가 설치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오존을 발생시키며 오존안내관(41)이 돌출된 오존발생기(40)로 이루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40)에서 생성된 오존이 상기 급수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에 교반되도록 일단이 상기 급수구(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급수안내부(32)에 접속되며 일측에 상기 오존발생기(40)의 오존안내관(41)이 접속된 통상부재(52)와, 상기 통상부재(52)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와 오존이 서로 교반되어서 세탁수의 오존용존율이 증대되도록 나선형상의 제1교반부(51a)와 나선형상의 제2교반부(52a)가 접속부(53)에서 90°의 위상차를 갖고 상기 통상부재(52)의 내부에 다수개 배설된 교반부재(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9940014073U 1994-06-16 1994-06-16 세탁기 KR0126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073U KR0126743Y1 (ko) 1994-06-16 1994-06-16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073U KR0126743Y1 (ko) 1994-06-16 1994-06-1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769U KR960001769U (ko) 1996-01-19
KR0126743Y1 true KR0126743Y1 (ko) 1998-12-15

Family

ID=1938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073U KR0126743Y1 (ko) 1994-06-16 1994-06-1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7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769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072A (en) Water current form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US7444842B2 (en)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937677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US5823018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JP317016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H1057675A (ja) 洗濯機及びその中央水流発生装置
KR0126743Y1 (ko) 세탁기
JP5320113B2 (ja) 洗濯機
BRPI0905459A2 (pt) método e máquina de lavar roupa provida de recirculação com vazão controlada
KR20000045029A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JPH09299684A (ja) 洗濯機
KR200150797Y1 (ko) 오존세탁기
CN113748239B (zh) 滚筒洗衣机
ITMI991403A1 (it) Apparecchio per uso domestico a circolazione d'acqua
JPH09234293A (ja) 洗濯機の中央水流噴射装置
WO2020011442A1 (en)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dissolving efficiency
JPH0461893A (ja) 噴流自動反転式洗濯機
JP3068751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S63139597A (ja) 洗濯機
JP2003236287A (ja) 洗濯機
KR200149055Y1 (ko) 오존발생기를 갖춘 세탁기
CN217251319U (zh) 一种混凝土搅拌箱内部清洁装置
KR0169329B1 (ko) 초음파 세탁기
KR20010010616A (ko) 샤워급수와 밸런싱 기능을 갖는 세탁기 급수장치
KR0151206B1 (ko) 세탁기의 오존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