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63Y1 -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63Y1
KR0126263Y1 KR2019940031217U KR19940031217U KR0126263Y1 KR 0126263 Y1 KR0126263 Y1 KR 0126263Y1 KR 2019940031217 U KR2019940031217 U KR 2019940031217U KR 19940031217 U KR19940031217 U KR 19940031217U KR 0126263 Y1 KR0126263 Y1 KR 0126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oor plate
fixed
bed
ben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683U (ko
Inventor
김형건
Original Assignee
김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건 filed Critical 김형건
Priority to KR2019940031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263Y1/ko
Publication of KR960016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6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6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건물의 사무실용문 또는 아파트용문으로 사용되는 철제방화문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정의 절단 및 천공을 행한 전,후도어판재의 상,하부를 마무리 절곡하는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문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판재와 후면도어판재의 일련절곡작업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의한 원가절감과 설비시설의 공간점유율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제공되며 도어판재의 폭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도어판재의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의 절곡방법인 상부에서 하부로의 절곡방법을 탈피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절곡하는 작업공정으로 절곡부가 상향위치된

Description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췌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절곡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작동상태도.
제6도는 제1절곡수단의 작동전 상태도.
제7도는 제1절곡수단의 작동후 상태도.
제8도는 제2절곡수단의 작동전 상태도.
제9도는 제2절곡수단의 작동후 상태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판재의 상,하부가 절곡이 끝난 상태의 참고사시도로서, (a)는 전면도어판재의 참고사시도이고, (b)는 후면도어판재의 참고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2,3 : 메인프레임
4 : 제1절곡수단 5 : 제2절곡수단
6 : 슬라이더 홀더 8 : 스트리퍼 프레임
22 : 제1스토퍼 23 : 제2스토퍼
본 고안은 일반건물의 사무실용문 또는 아파트용문으로 사용되는 철제방화문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정의 절단 및 천공을 행한 전,후도어판재의 상,하부를 마무리 절곡하는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문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판재와 후면도어판재의 일련절곡작업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의한 원가절감과 설비시설의 공간점유율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제공되며 도어판재의 폭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도어판재의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제조에 적용되는 도어판재의 전,후면도어판재로 분리구성되어 이들의 조립을 위해서 선작업으로 네모서리의 절단가공과 도어록고정공, 배달물 투입구, 힌지설치홈가공하여 상기 모서리절단부에 의한 좌,후양측을 포밍한 후 마무리작업으로서 상기 판재의 상,하부를 절곡하여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는 하니콤 충진재를 끼운후 마감처리하여 방화문을 제조해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도어판재의 상,하부를 절곡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면도어판재와 후면도어판재를 절곡하는 장치가 별개로 구성되어 부대시설의 복잡성을 가져왔고 하나의 도어판재의 절곡작업에 있어서도 도어판재의 상부를 1차적으로 절곡하고 2차적으로 그 하부를 사람이 일일이 수작업에 의한 위치를 바꾸어서 재절곡을 행하는 작업공정을 취하고 있어 번거로움 및 생산성이 극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판재의 절곡장치는 보편적으로 다이가 위에서 아래로 하강하면서 절곡하는 것으로 되어서 절곡된 도어판재가형상으로 위치되어 이송에 따른 절곡판재를 뒤집어서 이송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있어 시간과 인력의 낭비로 원가상승의 주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지적된 단점을 극복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종래의 절곡방법인 상부에서 하부로의 절곡방법을 탈피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절곡하는 작업공정으로 절곡부가 상향위치된상으로 위치되어 연속이송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하나의 절곡장치에서 상,하부분을 일련하여 연속절곡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뛰어나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종래의 각 장치별로 필요했던 인력소모를 최소화하여서 제조원가의 절감, 설비공간의 극소화에 의한 장치의 신뢰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 특징 및 이점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다음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 및 측면구성도로서 베드(1)의 좌우양측에 메인프레임(2)(3)이 구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제1절곡수단(4)과 제2절곡수단(5)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2)(3)의 상부 양측에는 슬라이더홈(7)(7)을 갖는 슬라이더홀더(6)(6)가 대향설치되어서 이에 절곡폭에 따라서 다수개의 스트리퍼(9)를 착탈가능한 스트리퍼 프레임(8)이 상기 메인프레임(2)(3)에 내장된 실린더(2a)(3a)의 로드단과 연결되어 승강가능케 구성된다.
상기 제1,2절곡수단(4,5)은 전후방에 대향된 상태의 동일구성으로 좌,우양측에 실린더(10a,11a)를 내장한 몸체(10)(1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0)(11)에는 각각 래크(13,13)를 형성한 지지대(12,12)가 고정설치되어서 상기 실린더(10a)(11a)의 로드단에 고정된 이송브라켓(15,16)에 축(17)으로 양측에 축착된 피니언(18,18)과 상기 래크(13,13)가 상호 치합되고, 상기 이송브라켓(15)(16)의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바(19,19)가 고정되어서 상기 몸체(10)(11)에 돌출고정된 가이드링(10b)(11b)에 승강가능케 유설되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브라켓(15)(16)의 내측에는 이송되는 도어판재의 절곡부위가 상기 베드(1)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제1,2감지센서(20)(21)에 의하여 각각 승,하강 작동하는 제1스토퍼(22)와 제2스토퍼(23)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브라켓(15)(16)의 전방에는 지지편(15a)(16a)이 고정되어 상기 베드(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절곡간(24)을 고정한 스크류봉(15b)(16b)이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의 절곡간(24)(24)의 하단에는 지지로울러(25)(25)가 상기 이송브라켓(15)(16)에 축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스토퍼(22)(23)는 제1,2절곡수단(4)(5)에 구성된 감지센서(20)(21)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실린더(22a)(23a)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22a)(23a)의 로드단에는 스톱구(22b)(23b)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는 101,102는 이송콘베이어를, A,B는 전,후면도어판재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브라켓(15)(16)의 지지편(15a)(16a)에 의하여 나사결합된 스크류봉(15b)(16b)를 조정하여, 전,후방의 절곡간(24)(24)과 베드(1)와의 간격을 조정한 후 제5도에서와 같이 전,후도어판재(A,B)가 제1절곡수단(4)의 제1스토퍼(22)가 작동하여 상기 전,후면도어판재(A)(B)의 절곡부위를 상기 베드(1)와 후방의 절곡간(24) 사이에 위치되도록 정지시킨다.
이와같은 작동과 연계되어서 다수의 스트리퍼(9)를 착설한 스트리퍼프레임(8)이 메인프레임(2)(3)의 실린더(2a)(3a) 하강작동으로 양측의 슬라이더 홀더(6)(6)의 슬라이더홈(7)(7)을 따라 하강하면서 베드(1)상에서 전,후면도어판재(A)(B)의 절곡부위를 압압고정하고 동시에 통상의 제어부에 의한 제1절곡수단(4)의 몸체(10,11)에 내장된 실린더(10a,11a)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10a,11a)의 로드에 고정된 이송브라켓(15)이 상기 몸체(10a,11a)의 가이드링(10b,11b)에 유설된 가이드바(19,19)와 지지대(12,12)의 래크(13,13)에 치합된 피니언(18,18)에 의하여 안내지지되면서 상승작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로울러(25)가 상기 베드(1)의 일측면을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그 상단의 이송브라켓(15,16)내측에 설치된 절곡간(24)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전,후도어판재(A)(B)의 절곡부위를 상부로 직각절곡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과 동시에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해서 연계되어 제1절곡수단(4)의 몸체(10,11)에 내장된 실린더(10a,11a)가 하강작동하게 되고 동시에 메인프레임(2,3)의 실린더(2a,3a) 또한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되어서 전방의 이송컨베이어(102)에 의하여 일측부가 절곡된 전,후도어판재(A,B)가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일측이 절곡된 전,후면도어판재(A)(B)의 타측면이 정이송하여 제2절곡수단(5)에 구성된 제2감지센서(21)를 지나치면서 통상의 제어부에 의한 제1절곡수단(4)의 후방 이송콘베이어(101)가 역작동하여 상기 일측이 절곡된 전,후도어판재(A)(B)를 역이송하게 되고 상기 역이송되는 전,후면도어판재(A)(B)는 제2감지센서(21)에 의하여 감지되면서 제2절곡수단(5)의 제2스토퍼(23)가 작동하여 타측의 절곡부위를 상기 베드와 절곡간(24) 사이에 위치되도록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절곡수단(4)에 의한 일측의 절곡작동과 동일하게 제2절곡수단(5)에서도 절곡작동이 행해져서 타측면의 절곡이 끝나게 되면 상기 이송콘베이어(101)의 정이송작동의 전환으로 상,하부가 절곡된 전,후면도어판재(A,B)를 이송하게 되어 절곡작업을 마치게 되어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도어판재(A)와 후면도어판재(B)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리퍼(9)는 상기 절곡되는 전,후도어판재(A)(B)의 절곡부의 폭에 따라서 조정하여 착설토록 구성됨은 당연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장치에서 전,후도어판재의 폭이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상,하부를 일련의 연속작업으로 절곡을 행할 수 있어 여러개의 절곡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괄하여 수행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인력절감, 부대공간점유율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신뢰성이 극대화된 장치로서 매우 유용한 기술임이 명백한 것이다.

Claims (3)

  1. 베드(1)와 상기 베드의 양측에 구성되는 메인프레임(2,3)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각각 구성되는 슬라이더홀더(6,6)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하며 도어판재 절곡부위의 절곡폭에 따라 다수개의 스트리퍼(9)를 착탈가능으로 구성한 스트리퍼 프레임(8)과, 상기 베드의 양측에 대향구성되는 제1절곡수단(4)과 제2절곡수단(5)으로 구성되어서 이송되는 도어판재의 앞쪽과 뒤쪽의 전진방향을 바꾸어가며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수단(4) 또는 제2절곡수단(5)은 좌,우양측에 실린더(10a,11a)를 내장한 몸체(10)(1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래크(13)(13)를 형성한 지지대(12)(12)가 고정설치되어서 상기 실린더(10a,11a)의 로드단에 고정된 이송브라켓(15,16)에 축(17)으로 축착된 피니언(18,18)과 상기 래크(13,13)가 상호 치합되며, 상기 이송브라켓(15,16)의 하단에는 가이드바(19,19)가 고정되어서 상기 몸체(10,11)에 돌출고정된 가이드링(10b,11b)에 승강가능케 유설되고, 상기 이송브라켓(15,16)에는 지지편(15a,16a)이 고정되어 이에 상기 베드(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절곡간(24,24)을 고정한 스크류봉(15b,16b)이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절곡간의 하단에는 지지로울러(25,25)가 상기 이송브라켓(15,16)에 축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수단(4)과 제2절곡수단(5)의 이송브라켓(15,16)의 내측에는 이송되는 도어판재의 절곡부위가 상기 베드(1)와 절곡간(24,2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2감지센서(20)(21)에 의하여 각각 작동하는 제1,2스토퍼(22)(2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KR2019940031217U 1994-11-24 1994-11-24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KR0126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217U KR0126263Y1 (ko) 1994-11-24 1994-11-24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217U KR0126263Y1 (ko) 1994-11-24 1994-11-24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683U KR960016683U (ko) 1996-06-17
KR0126263Y1 true KR0126263Y1 (ko) 1998-11-02

Family

ID=1939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217U KR0126263Y1 (ko) 1994-11-24 1994-11-24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26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634B1 (ko) * 2002-08-05 2005-02-05 장성만 방화문 제조 공정용 벤딩장치
KR101468025B1 (ko) * 2014-05-08 2014-12-02 주식회사 디에이치아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장치
KR102192095B1 (ko) * 2020-06-26 2020-12-16 권기준 금속판 절곡장치
KR20220111932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20220111933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20220111934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50B1 (ko) * 2000-07-19 2003-07-16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내외장식용 금속판넬의 자동성형기
KR100457682B1 (ko) * 2001-07-06 2004-11-17 함소영 금속재 도어 판넬의 걸림턱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10449491B (zh) * 2019-08-20 2024-05-03 洛阳市优能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折边机折弯单元及金属板材折边机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634B1 (ko) * 2002-08-05 2005-02-05 장성만 방화문 제조 공정용 벤딩장치
KR101468025B1 (ko) * 2014-05-08 2014-12-02 주식회사 디에이치아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장치
KR102192095B1 (ko) * 2020-06-26 2020-12-16 권기준 금속판 절곡장치
KR20220111932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20220111933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20220111934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683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63Y1 (ko) 도어판재의 절곡장치
DE3122736C2 (de) Vorrichtung zum Zusammenstellen von Isolierglasscheiben
EP06979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es in thermoforming presses
CA2491289A1 (en) Automatic truss jig system
IT8883352A0 (it) Uno stampo per rulli di pane.
IT9003397A1 (it) Apparecchiatura per la movimentazione di unita' di lavoro secondo traiettorie a piu' gradi di liberta'.
CN114179215A (zh) 一种用于混凝土板生产的高自动化成型装置
IT9021419A1 (it) Pressa parziale per la curvatura di lastre di vetro.
CN218873369U (zh) 一种踏板生产用折弯模具
EP0899031B1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metal sheet panels with bent edges
CN215477980U (zh) 一种防火板用输送机的定位装置
KR100319902B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H1157899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ワーク搬送装置
CN117884532B (zh) 一种用于装配式隔墙与吊顶的方型轻钢龙骨及其加工设备
KR200178788Y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CN111263843A (zh) 用除空气以外的气体填充由至少两个玻璃窗格和至少一个间隔框架构成的绝缘玻璃窗单元的自动设备和自动方法
CN110654847A (zh) 一种自动限位工装
CN212291822U (zh) 一种用于led生产设备的旋转送料机构
CN212711154U (zh) 一种保温板输送装置
CN215625136U (zh) 一种板材在流水线上上料阻挡机构
KR960016991A (ko) 도어판재의 포밍방법 및 그 장치
CN220723020U (zh) 一种复合机的纠偏装置
CN117884532A (zh) 一种用于装配式隔墙与吊顶的方型轻钢龙骨及其加工设备
CN216334958U (zh) 一种电梯轿底翻转机的对中机构
CN216154852U (zh) 一种板材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