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155Y1 -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155Y1
KR0126155Y1 KR2019950030766U KR19950030766U KR0126155Y1 KR 0126155 Y1 KR0126155 Y1 KR 0126155Y1 KR 2019950030766 U KR2019950030766 U KR 2019950030766U KR 19950030766 U KR19950030766 U KR 19950030766U KR 0126155 Y1 KR0126155 Y1 KR 0126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uide
door
welding
glass
w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463U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0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155Y1/ko
Publication of KR970016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4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를 수작업으로 안착부에 안착시킬 때 글래스 가이드의 상하 구분이 매우 어려워 안착시 글래스 가이드의 상하가 뒤바뀌어 용접됨으로써 품질 불량이 발생됨과 아울러 이를 다시 재조립하는 데 따른 작업 손실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래스 가이드의 제1,2지지부중 한 부분만을 감지하도록 용접부의 중간에 센서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글래스 가이드의 위치 감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일반적인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설치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바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등 차량의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는 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차량의 외관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차체는 통상적으로 일체형 프레임을 사용함과 아울러 차체의 하부를 프론트 멤버, 크로스 멤버 등으로 보강하게 되고, 상기한 일체형 프레임에 도어를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도어는 차체의 프론트 휀더 부분에 도어 힌지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한 도어 힌지와 대응되는 도어 힌지를 도어에 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51)와, 상기한 도어 본체(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지지부(52)와, 상기한 도어 본체(51)에 설치되어 글래스를 지지하는 가이드 채널(53)과, 상기한 가이드 채널(53)에 양측이 지지됨과 아울러 도시되지 않은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있는 글래스(5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글래스(54)의 수직 이동시 도면에서 글래스(54)의 좌우측 유동을 차단하도록 글래스 가이드(55)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글래스 가이드(55)는 도어 본체(51)에 고정되는 본체(56)와, 상기한 본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지지부(57)와, 제2지지부(58)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두 지지부는 도어 본체의 곡률에 따라 제1지지부(57)가 짧고 제2지지부(58)가 긴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즉, 도어 및 글래스(54)의 곡률에 의해 글래스(54)의 수직 이동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글래스 가이드의 지지부 길이가 상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글래스 가이드(55)는 도어 본체에 용접되는 바, 상기한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 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59)와, 상기한 베이스(59)에 설치되어 글래스 가이드(55)가 안착되어 위치 조정되는 안착부(60)와, 상기한 안착부(60)에 대향되도록 베이스(59)에 설치되어 있는 용접부(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접 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글래스 가이드(55)를 안착부(6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되면 용접부(61)가 수평 이동하면서 글래스 가이드(55)의 양측면을 도어 본체(51)에 용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글래스 가이드(55)의 배면에는 도어 본체(51)가 위치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글래스 가이드(55)를 수작업으로 안착부(60)에 안착시킬 때 글래스 가이드(55)의 상하 구분이 매우 어려워 안착시 글래스 가이드(55)의 상하가 뒤바뀌어 용접됨으로써 품질 불량이 발생됨과 아울러 이를 다시 재조립하는데 따른 작업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1,2지지부(57,58)의 길이 차이가 매우 근소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를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렵게 되어 뒤집혀 조립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육안에 의지하지 않고 글래스 가이드의 상하를 구분 판별함으로써 조립 불량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글래스 가이드의 제1,2지지부중 한 부분만을 감지하도록 용접부의 중간에 센서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베이스(59) 상면에 안착부(60)와 대향 설치되어 있는 용접부(61)의 사이에 상기한 안착부(60)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도록 센서(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센서(1)는 통상적인 근접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안착부(60)에 안착되는 글래스 가이드의 지지부를 감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센서(1)의 위치는 안착부(60)의 중앙 즉, 안착부(60)에 안착되는 글래스 가이드(55)의 지지부가 위치되는 부분이지만, 특히, 제2지지부(58)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글래스 가이드(55)의 지지부가 용접부(61)로 위치되도록 글래스 가이드를 안착부(60)에 안착시키고, 안착부(60)에 글래스 가이드(55)가 안착되면 작업자가 스위치를 동작시켜 용접부(61)를 이동시키면서 글래스 가이드(55)를 도어 본체(51)에 용접시키게 된다.
이때, 안착부(60)에 글래스 가이드(55)가 안착되면 센서(1)가 글래스 가이드의 제2지지부(58)를 감지하게 되는 바,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가 제2지지부(58)와의 거리 d2를 인식하여 제2지지부(58)가 감지되면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
특히, 작업자가 안착부(60)에 글래스 가이드(55)를 안착시킬 때 뒤집어 안착시키게 되면 센서(1)와 제1지지부(57)와의 거리 d1이 제2지지부(58)와의 거리 d2보다 멀기 때문에 센서(1)가 제1지지부(57)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즉, 제2지지부(58)보다 작은 제1지지부(57)가 센서(1)에 위치되면 센서(1)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스위치를 동작시켜 용접작업을 실시하여도 동작되지 않게 됨으로써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용접 장치의 용접부 중간에 안착부에 안착되는 글래스 가이드의 제2지지부를 감지하도록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판별 오류에 의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에 있어서, 글래스 가이드(55)의 제1,2지지부(57,58)중 한 부분만을 감지하도록 용접부(61)의 중간에 센서(1)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KR2019950030766U 1995-10-27 1995-10-27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KR0126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766U KR0126155Y1 (ko) 1995-10-27 1995-10-27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766U KR0126155Y1 (ko) 1995-10-27 1995-10-27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63U KR970016463U (ko) 1997-05-23
KR0126155Y1 true KR0126155Y1 (ko) 1998-11-02

Family

ID=1942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766U KR0126155Y1 (ko) 1995-10-27 1995-10-27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1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63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9149C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4811979A (en) Bumper for vehicles
US6196752B1 (en) Pivot structure for vehicle wiper device
KR0126155Y1 (ko) 도어 글래스 가이드 용접 장치
US5956833A (en) Windshield locating cam
JP2743246B2 (ja)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の組付方法
KR200158374Y1 (ko) 자동차의 트림 마운팅 브라켓트 위치고정용 홈
KR0171799B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판넬 검사용지그
KR200474369Y1 (ko) 도어트림 고정장치
KR100462728B1 (ko) 자동차용 러기지램프의 접지 터미널 구조
KR100252295B1 (ko) 차량 실내소음 측정용 마이크로폰 설치장치
JPH0418172Y2 (ko)
KR100357582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사양 감지용 지그
KR100192811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설치구조
KR19990021616A (ko) 글래스 곡면 검사용 지그
JPH11240391A (ja) 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192763B1 (ko) 차량용 시트의 취부구조
KR0126163Y1 (ko) 리저버 브라켓 용접 지그
KR970005412Y1 (ko) 차량의 도어 웨더스티립 브라켓트 취부구조
KR100188637B1 (ko) 자동화 라인의 판재 로케이팅 및 클램핑 장치
JPH0585174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0129083Y1 (ko) 자동차에 사용되는 용접용 너트
JPH0761238A (ja) 車両用サンルーフのデフレクタ装置
JPH08192638A (ja) 車両用ドアのグラスラン取付構造
KR0140356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