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624Y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624Y1
KR0125624Y1 KR2019950013863U KR19950013863U KR0125624Y1 KR 0125624 Y1 KR0125624 Y1 KR 0125624Y1 KR 2019950013863 U KR2019950013863 U KR 2019950013863U KR 19950013863 U KR19950013863 U KR 19950013863U KR 0125624 Y1 KR0125624 Y1 KR 0125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oling air
suction
electric element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539U (ko
Inventor
정의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624Y1/ko
Publication of KR970002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부와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부의 내측에 배설된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배설된 팬과,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별도의 케이스가 구비된 제어부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상면에 결합 설치된 회로기판과, 방열핀이 하면에 고착된 전원트랜지스터 및 콘덴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된 전기소자와, 상기 전기소자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일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냉각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흡입구의 전면에 설치된 흡입 가이드와, 상기 흡입가이드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전기소자를 냉각시킨 냉각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토출구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의 제어부의 케이스의 상면내측에 회로기판을 장악하고 이 회로기판에 전기소자를 장착하여 그 구조를 콤팩트화시킴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전기소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수분이 전기소자로 접촉될 경우 케이스의 바닥으로 낙하되도록하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본 고안은 압축기와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설되어서 실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기의 제어부의 케이스의 상면내측에 회로기판을 장착하고 이 회로기판에 전기소자를 장착하여 그 구조를 콤팩트화시킴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전기소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수분이 전기소자로 접촉될 경우 케이스의 바닥으로 낙하되도록하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와 열교환기가 장착되어 실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후면과 일측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1)의 내측에는 L자 형상의 열교환기(21)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21)와 상기 토출부(12) 사이에는 상기 흡입부(11)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부(12)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23)이 설치되며, 상기 팬(23)과 상기 열교환기(21)의 사이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실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가 함체상의 케이스(7)내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또, 상기 제어부(1)는 회로기판(6)과 다수개의 전기소자(4)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케이스(7)내에 분산되어 설치되며,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전선(5)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케이스(7)의 내부의 좌측면에는 특히 많은 열을 발생하는 전기소자인 전원트랜지스터(3)가 밀착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7)의 좌측 외측면에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핀(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팬(23)이 작동하여 외부공기를 열교환기(21)를 통하여 흡입한 후 상기 토출부(12)를 통하여 배기된다.
또, 상기 팬(23)에 의해서 흡입되는 일부의 공기는 상기 방열핀(2)을 통과하면서 발열체인 상기 전원트랜지스터(3)등과 열교환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어부의 구조는 전기소자들의 발열 때문에 소자들이 서로 나누어져 설치되는 관계로 이들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길고 복잡한 전선을 설치하므로서 구조가 복잡하였으며, 접속불량 및 누전이 발생될 소지가 많아 제어부의 작동에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제어부(1)의 내부로는 공기가 유입됨이 없이 방열핀에 의해서만 상기 제어부(1)를 냉각시키므로서 상기 제어부(1)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되지 못했다.
또한, 상기 제어부(1)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경우 상기 케이스(7)의 내부 바닥으로 수분이 고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의 위험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다른 실시예로써는 대한민국에서 1991년 6월 29일자로 특허 공개된 공개특허 91-10129호가 있다.
특허공개 91-10129호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유닛본체내에 배치된 압축기와 본체내의 주위에 외부공기와 연이어 통하도록 배치된 열교환기와 본체의 한측면에 외부공기와 맞닿는 위치로하여 외부공기를 본체내로 유통시키는 송풍기와, 본체내에 배치된 전장품을 수용한 전기부품상자(4)와 그 전기부품상자의 한쪽에 방열면(7a)을 실외유닛본체내로 노출시켜서 설치한 방열체(7)와 그 방열체의 방열면 및 상부단면을 덮는 동시에 전기부품상자의 내부에서 방열체의 상부단면, 방열면을 통해서 실내유닛본체내로 연이어 통하는 공기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커버 (90)를 가진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닛에 있어서, 전술한 방열체의 상부 단면에서 일단부를 방열체의 방열면측으로 소정거리 돌출시킨 조절판(21)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공개 91-10129호는 방열체(7)로 보다 많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커버(90)의 내부에 조절판(21)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전기부품상자의 외측에 장착된 방열체에 의해 전기부품상자를 냉각시키므로써 전기부품상자의 내부에 배설된 전기소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기부품상자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경우 수분이 전기부품상자의 바닥에 고이게 되어 전기소자의 누전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외기의 제어부의 케이스의 상면내측에 회로기판을 장착하고 이 회로기판에 전기소자를 장착하여 그 구조를 콤팩트화시킴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전기소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수분이 전기소자로 접촉될 경우 바닥으로 낙하되도록하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후면 및 일측에 냉각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냉각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어서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흡입부로 흡입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열교환되며 상기 흡입부의 내측에 배설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공기가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배설된 팬과, 상기 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등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의 우상측에 장착되며 별도의 케이스가 구비된 제어부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상면에 결합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경우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방열핀이 하면에 고착된 전원트랜지스터 및 콘덴서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된 전기소자와, 상기 전기소자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일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냉각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흡입구의 전면에 설치된 흡입가이드와, 상기 흡입가이드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전기 소자를 냉각시킨 냉각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토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실외기의 제어부의 케이스의 상면내측에 회로기판을 장착하고 이 회로기단에 전기소자를 장착하여 그 구조를 콤팩트화시킴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전기소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수분이 전기소자로 접촉될 경우 케이스의 바닥으로 낙하되도록하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예에 의한 공개특허 91-10129호의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닛의 주요부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실외기의 제어부를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흡입부
12 : 토출부 21 : 열교환기
22 : 압축기 23 : 팬
30 : 제어부 31 : 케이스
32 : 회로기판 33 : 전기소자
34 : 흡입구 35 : 토출구
36 : 흡입가이드 37 : 방열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실외기의 제어부를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10)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로써, 그 후면 및 일측에는 냉각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냉각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1)의 내측에는 냉매를 응축시키며 L자 형으로 벤딩된 열교환기(21)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토출부(12)의 내측에는 상기 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각공기가 상기 토출부(12)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23)이 설치되며, 상기 팬(23)과 상기 열교환기(21)의 사이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우상측에는 실외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어부(30)는 사각통상의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상면에 결합 설치된 회로기판(32)과, 상기 회로기판(32)의 하면에 탑재된 다수개의 전기소자(33)들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전기소자(33)는 고열을 발산하는 전원트랜지스터(33')와 콘덴서(33')등이 있는데, 전원트랜지스터(33')의 하측에는 방열핀(37)이 설치되어있다.
즉, 상기 제어부(30)의 내부에 배설되는 상기 전기소자(33)는, 그 구조가 콤팩트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침투되어 상기 전기소자(33)로 접촉될 경우 수분이 자중에 의해 상기 케이스(31)의 바닥면으로 낙하되도록하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31)의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의 케이스(31)의 좌측면의 하단에는 상기 팬(23)의 송풍력에 의해 일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구(34)가 형성되고, 우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4)를 통과하여 상기 전기소자(33)를 냉각시킨 냉각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된 토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31)의 흡입구(34)의 전면에는 상기 팬(23)의 송풍력에 의해 냉각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흡입구(34)로 유입되도록 판상의 흡입가이드(36)가 상기 열교환기(21)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일반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22)와 상기 팬(23)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압축기(22)는 작동하여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킨 후 상기 열교환기(21)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팬(23)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의 냉각공기는 상기 열교환기(21)를 거쳐 상기 토출부(12)로 토출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열교환기(21)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어 실내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의 냉각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팬(23)의 송풍력에 의하여 냉각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31)의 흡입가이드(36)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입구(34)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고, 상기 흡입구(34)를 통해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공기는 상기 전기소자(33)들과 접촉하여 열교환한후 상기 토출구(35)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전기소자(33)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31)의 바닥에 수분이 고일 경우 상기 전기소자(33)는 상기 회로기판(32)을 매개로 상기 케이스(31)의 상면에 고착되므로써 상기 전기소자(33)는 수분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31)로 유입된 냉각공기에 수분이 함유되어 상기 전기소자(33)에 수분이 접촉될 경우 상기 전기소자(33)에 접촉된 수분은 자중에 의해 상기 케이스(31)의 바닥으로 낙하되어 누전으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실외기의 제어부의 케이스의 상면내측에 회로기판을 장착하고 이 회로기판에 전기소자를 장착하여 그 구조를 콤팩트화시킴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전기소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수분이 전기소자로 접촉될 경우 케이스의 바닥으로 낙하되도록하여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 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후면 및 일측에 냉각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가 형성되고 전면에 냉각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2)가 형성되어서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1)로 흡입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열교환되며 상기 흡입부(11)의 내측에 배설된 열교환기(21)와, 상기 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각공기가 상기 토출부(12)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토출부(12)의 내측에 배설된 팬(23)과, 상기 팬(23)과 상기 열교환기(21)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2)와, 상기 압축기(22) 등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우상측에 장착되며 별도의 케이스(31)가 구비된 제어부(30)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상면에 결합 설치된 회로기판(32)과, 상기 회로기판(32)이 장착된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경우 누전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방열핀(37)이 하면에 고착된 전원 트랜지스터(33') 및 콘덴서(33)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32)에 장착된 전기소자(33)와, 상기 전기소자(33)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팬(23)의 송풍력에 의해 일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냉각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31)의 좌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34)와, 상기 흡입구(34)로 상기 팬(23)의 송풍력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21)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흡입구(34)의 전면에 설치된 흡입가이드(36)와, 상기 흡입가이드(36)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입구(34)로 흡입되어 상기 전기소자(33)를 냉각시킨 냉각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케이스(31)의 외측면에 형성된 토출구(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950013863U 1995-06-19 1995-06-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25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863U KR0125624Y1 (ko) 1995-06-19 1995-06-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863U KR0125624Y1 (ko) 1995-06-19 1995-06-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539U KR970002539U (ko) 1997-01-24
KR0125624Y1 true KR0125624Y1 (ko) 1998-11-02

Family

ID=1941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863U KR0125624Y1 (ko) 1995-06-19 1995-06-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539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7106B2 (ja) 空気圧縮機の冷却装置
WO2015053554A1 (ko) 컨트롤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305686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19178802A (ja) 空気調和機
KR012562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16638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310656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EP1500882B1 (en) Outdoor unit for use in air conditioner
CN107588478B (zh) 一种便于散热的空调器
JP319804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214223263U (zh) 一种空调驱动散热结构及其空调器
CN112432250B (zh) 电控盒及空调室外机
JP2771620B2 (ja) 熱交換ユニット
JP3423190B2 (ja) 空気調和機
JP3047810B2 (ja) 電装品集約ボード構造
KR0125625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7147224B2 (ja) 空気調和機
JP3619651B2 (ja) ポンプ装置
KR10067580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62044A (ko) 공기조화기
CN217183714U (zh) 一种新型污水处理控制柜
CN213931204U (zh) 一种电控盒及空调
CN220017535U (zh) 空调
CN219514465U (zh) 电器盒及空调
KR0115232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