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617B1 - 자동차의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617B1
KR0125617B1 KR1019950007379A KR19950007379A KR0125617B1 KR 0125617 B1 KR0125617 B1 KR 0125617B1 KR 1019950007379 A KR1019950007379 A KR 1019950007379A KR 19950007379 A KR19950007379 A KR 19950007379A KR 0125617 B1 KR0125617 B1 KR 012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ner panel
panel
vehicle
wiring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830A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0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617B1/ko
Publication of KR96003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617B1/ko

Link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에 배선되는 와이어링 하니스와 도어의 글라스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의 사이에 도어 그로멧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도어 그로멧에 연결되어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로 와이어링 하니스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패널(52)의 끝단일부를 성형시켜 소정의 공간부(54)를 마련하고, 상기 공간부(54)에 '삼각형'형상을 갖는 도어 그로멧(58)을 체결하며, 상기 도어 그로멧(58)에 와이어링 하니스(60)가 연결되어 도어 인너패널(52)의 외접면에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평단면도,
b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평단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도어52 : 도어 인너패널
54 : 공간부56 : 볼트
58 : 도어 그로멧60 : 와이어링 하니스
62 : 글라스64 : 도어 아웃트패널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도어의 글라스 사이로 물이 들어가더라도 도어에 설치되는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상부에는 글라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글라스는 자동차의 내부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나 다른 목적으로 글라스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글라스가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에 들어가게 되면 자동차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글라스가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되면 자동차의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 글라스가 동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려면 글라스와 도어 아웃트패널, 도어 인너패널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자동차의 글라스에 접촉하게되어 접촉된 빗물이 상기 글라스와 도어 아웃트패널, 도어 인너패널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어진다.
종래에는 제1도와 제2도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아웃패널(10)과 도어 인너패널(12)이 체결된 구조에서 와이어링 하니스(14)를 설치하기 위한 도어 그로멧(Door Grommnet, 16)을 도어 아웃트패널(10)과 도어 인너패널(12)의 사이에 관통하여 삽입설치하였다.
그런데, 우천시 자동차 도어(18)의 글라스(20)에 빗물이 떨어지게 되면 글라스(20)에 떨어진 미세한 빗물이 하부로 낙하하여 도어(18)의 도어 아웃트패널(10)과 도어 언너패널(12)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도어(18)의 내부에 유입된 미세한 빗물이 고이게 되면 결국 와이어링 하니스(14)에 빗물이 접촉되어 쇼트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에 배선되는 와이어링 하니스와 도어의 글라스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도어 인너패널의 끝단일부를 성형시키고 성형된 부위에 도어 그로멧을 설치한 자동차의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의 사이에 도어 그로멧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도어 그로멧에 연결되어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로 와이어링 하니스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패널의 끝단일부를 성형시켜 소정의 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공간부에 '삼각형'형상을 갖는 도어 그로멧을 체결하며, 상기 도어 그로멧에 와이어링 하니스가 연결되어 도어 인너페널의 외접면에 설치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3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의 a와 b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평단면도와 측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의 사이에 도어 그로멧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도어 그로멧에 연결되어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로 와이어링 하니스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패널(52)의 끝단일부를 성형시켜 소정의 공간부(54)를 마련하고, 상기 공간부(54)에 '삼각형'현상을 갖는 도어 그로멧(58)을 체결하며, 상기 도어 그로멧(58)에 와이어링 하니스(60)가 연결되어 도어 인너패널(52)의 외접면에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도어(50)의 글라스(62) 사이로 미세한 빗물이 유입되어 도어 아웃트패널(64)과 도어 인너패널(52) 사이에 고이게 되더라도 와이어링 하니스(60)가 도어 인너패널(52)의 외접면에 배선되어 있으므로 빗물과 접촉되지 않게 됨으로써 쇼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의 도어에 따르면, 자동차의 도어 인너패널(52)의 끝단일부의 성형시키고 성형된 부위에 도어 그로멧(58)을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도어(50)에 배선되는 와이어링 하니스(60)와 도어(50)의 글라스(62)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빗물이 도어 인너패널(52)의 외접면에 설치된 와이어링 하니스(60)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쇼프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의 사이에 도어 그로멧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도어 그로멧에 연결되어 도어 아웃트패널과 도어 인너패널 사이로 와이어링 하니스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패널(52)의 끝단일부를 성형시켜 소정의 공간부(54)를 마련하고, 상기 공간부(54)에 '삼각형'형상을 갖는 도어 그로멧(58)을 체결하며, 상기 도어 그로멧(58)에 와이어링 하니스(60)가 연결되어 도어 인너페널(52)의 외접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KR1019950007379A 1995-03-31 1995-03-31 자동차의 도어 KR012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379A KR0125617B1 (ko) 1995-03-31 1995-03-31 자동차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379A KR0125617B1 (ko) 1995-03-31 1995-03-31 자동차의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830A KR960033830A (ko) 1996-10-22
KR0125617B1 true KR0125617B1 (ko) 1998-07-01

Family

ID=6655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379A KR0125617B1 (ko) 1995-03-31 1995-03-31 자동차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6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830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5617B1 (ko) 자동차의 도어
JP2000013957A (ja)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KR200160765Y1 (ko) 차량용 콤파트먼트 설치구조
KR0137684Y1 (ko) 자동차의 도어바이저
KR200202459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가니쉬 설치구조
KR200329502Y1 (ko) 야광기능을 갖는 전주용 지선 카바
KR970001974Y1 (ko) 자동차 속도 표시장치
KR200164790Y1 (ko) 자동차용 바이저의 구조
KR100239328B1 (ko) 자동차의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 지지구조
KR0136698Y1 (ko) 차량의 설치하는 화물선반의 부라켓구조
KR19980062810A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19980038583U (ko)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KR20014956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와 범퍼사이의 시일링구조
KR970006812Y1 (ko) 자동차의 방풍유리 몰딩구조
KR980007258U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KR19990016736U (ko) 빗물 막이를 가지는 자동차 루프
KR19980036914U (ko)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9980021101U (ko) 도어 윈도우샤시의 빗물 드레인 홀 구조
KR19980019888A (ko) 웨더 스트립
KR19980037468U (ko) 메인 와이어링 루트 설정을 위한 차체판넬 및 클립구조
KR19980012571U (ko) 버스용 와셔탱크의 장착구조
KR19980015553U (ko) 차량의 도어용 웨더스트립의 취부구조
KR970039040A (ko) 자동차의 위터 드레인 플러그 연장구조
KR19980062466A (ko) 자동차의 후드스테이 취부구조
KR19980040777U (ko) 자동차 도어의 인너 웨더스트립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