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601Y1 -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601Y1
KR0125601Y1 KR92014737U KR920014737U KR0125601Y1 KR 0125601 Y1 KR0125601 Y1 KR 0125601Y1 KR 92014737 U KR92014737 U KR 92014737U KR 920014737 U KR920014737 U KR 920014737U KR 0125601 Y1 KR0125601 Y1 KR 012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cking
stop
remote control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744U (ko
Inventor
구병기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9201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601Y1/ko
Publication of KR940006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해,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분해시 케이스에 손상을 주지않고 간단히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하부케이스 측벽에 자체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이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벽에 상기 걸이부를 착탈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케이스의 분해시 걸림부로 부터 이탈되는 걸이부를 정지시키는 멈춤부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제1도는 종래의 케이스 착탈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케이스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리모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중 걸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7도는 제6도중 A-A선 부분 확대 평단면도로서,
(a)는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b)는 분해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케이스 11 : 결합면
20 : 하부케이스 50 : 걸이부
51 : 걸이편 52 : 걸림돌기
53 : 경사요홈 60 : 걸림부
61 : 안내면 62 : 걸림공
63 : 개방부 70 : 멈춤부
71 : 멈춤편 72 : 멈춤돌기
본 고안은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해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분해시 케이스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히 케이스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텔레비젼수상기 또는 VTR 등의 각종 가전제품을 원격조정으로 모든 기능을 조작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리모콘은 제1도와 2도에서와 같이 모든 기능을 회로 구성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될 수 있도록 동일크기의 직사각형상을 갖는 상.하부케이스(10)(20)로 분리시켜 이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의 케이스(10)(20)중 상부케이스(10)하부에는 이와 일체로 구비되어 하부케이스(20) 내주면과 긴밀히 면접촉되면서 내삽되도록 결합면(11)을 구비하고, 이의 결합면(11)상단에는 하나이상 수개의 걸림공(12)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스(20) 내면 상단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0)의 결합면(11)이 내삽되어 이에 구비된 걸림공(12)에 끼워져 걸리도록 내측하부로 경사진 걸림돌기(21)가 상기의 걸림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하부케이스(10)(20)를 서로 맞대로 이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상부케이스(10)의 결합면(11)이 하부케이스(20)내면에 구비된 걸림돌기(21)의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면서 내삽되다가 결합면(11)의 걸림공(12)에 걸림돌기(21)가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서 상.하부케이스(10)(20)가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한 종래의 리모콘을 사용도중 상.하부케이스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부의 고장시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하부케이스를 분해시켜 제어부를 수리하게 되는데, 상.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걸림돌기와 걸림공이 케이스내에 내장되어 있어 상.하부케이스를 분해하기가 매우 어려워 이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사용하여 케이스를 강제로 분해시켜 주게된다.
즉, 드라이버 또는 얇은 철판 등의 공구를 상.하부케이스의 경계부에 강제로 삽입시켜 상부케이스의 결합면을 밀어주어 걸림공으로부터 걸림돌기가 이격되도록 하여 상.하부케이스를 분해시켜주게 되는데 이때 공구가 접촉되는 부위의 케이스 외면이 그을리거나 또는 파손되는 결함이 있으며, 또한 걸림돌기가 걸림공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스를 강제로 분해하게 되면 걸림돌기가 파손되는 등의 제반 결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분해된 케이스를 다시 조립할 경우에는 걸림돌기가 파손되어 있어 상.하부케이스가 결합되지 않아 리모콘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제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부케이스의 결합상태가 견고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분해시 케이스에 손상을 주지않고 간단히 분해가 되도록한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부케이스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고, 이를 분해시 간단히 분해가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는 하부케이스 상단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고, 자체탄성력을 갖는 걸이편과,
이의 걸이편 상단외측에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와,
상기의 걸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상부케이스 내면에 걸이편이 안내되고 끼워지는 안내홈과 이의 소정위치에 걸림돌기가 끼워져 케이스가 결합되는 걸림공과, 하단에는 결합면이 하부케이스내에 내삽되도록 개방부로 구성되는 걸림부와,
상기의 안내홈 양측에 케이스를 분해시 걸림돌기가 걸림공과 이격된 상태에서 걸림편이 정지되도록 전방에 내측으로 멈춤돌기가 구비되는 멈춤편으로 구성되는 멈춤부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일반적인 리모콘의 구성을 보인 전체사시도로서,
리모콘(1)은 모든 기능을 회로구성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될 수 있도록 동일크기의 직사각형상을 갖는 상.하부케이스(10)(20)로 분리시켜 이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0)전면에는 제어부를 조작하는 조작버튼부(30)가 구성되며, 상기의 케이스(10)(20)상면에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가전제품에 구성된 수신부에 신호를 전파하는 발신부(40)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케이스(20) 일면내측상단에 걸림돌기(21)가 소정간격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0)내측에 끼워지도록 상부케이스(10)하부에 구비된 결합면(11)에 걸림돌기(21)가 끼워져 케이스(10)(20)가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공(12)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리모콘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제4도와 제5도에서와 같이 결합된 케이스(10)(20)를 간편히 분해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20)의 걸림돌기(21)가 구비된 일면을 제외한 타측면에 자체탄성력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이부(50)와,
상부케이스(10)측벽에 상기 걸이부(50)의 대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부(50)가 착탈되도록 하는 걸림부(60)와,
상기 걸림부 양측 적당한 지점에 케이스의 분해시 걸림부로 부터 이탈되는 걸이부를 정지시키는 멈춤부(70)로 구성된다.
상기의 걸이부(50)는 제4도에서와 같이 자체탄성력을 갖는 걸이편(51)이 하부케이스(20)내측에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편(51)은 하부케이스(20)상단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고, 이 걸이편(51) 상부전면에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걸림돌기(52)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후에 설명할 멈춤편으로 부터 걸이편(51)이 쉽게 이탈되도록 경사요홈(53)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부(60)는 제5도에서와 같이 케이스(10)(20)를 조립시 상기의 걸이편(51)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홈(61)이 구비되고, 이 안내홈(61)상단 소정위치에 걸림돌기(52)가 끼워지는 걸림공(62)이 관통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소정크기의 개방부(63)를 구비하여 케이스(10)(20)를 결합시 상부케이스(10)의 결합면(11)의 하단이 하부케이스(20)의 걸이편(51)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케이스(10)(2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멈춤부(70)는 안내홈(61)양측 소정의 지점에 자체탄성력을 갖는 멈춤편(71)이 상부케이스(10)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멈춤편(71)선단에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멈춤돌기(72)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20)를 결합시에는 케이스(10)(20)를 서로 맞대고 이들에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부케이스(10)의 결합면(11)하단이 걸이편(51)에 구비된 걸림돌기(52)를 누르게 되어 걸이편(51)이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휘어져 결합면(11)이 하부케이스(20)내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내삽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에 구비된 걸림공(62)이 걸이편(51)의 걸림돌기(52)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후방으로 휘어진 걸이편(51)이 자체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걸림돌기(52)가 걸림공(62)에 끼워지므로 상.하부케이스(10)(20)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된 상.하부케이스(10)(20)를 분해시에는 제6도와 7도에서와 같이 걸림공(62)내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이를 걸림공(62)에 삽입시켜 외부로부터 밀어주게 되면 이 공구에 의해 탄성력이 있는 걸이편(51)이 후방으로 휘어지면서 걸이편(51)의 걸림돌기(52)가 걸림공(62)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상기 걸이편(51)은 공구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휘어지면서 멈춤편(71)의 멈춤돌기(72)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이편(51)을 계속 밀어주게 되면 걸이편(51)의 후면에 구비된 경사요홈(53)과 멈춤편(71)의 멈춤돌기(7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진 멈춤편(71)이 외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걸이편(51)이 멈춤편(71)에서 이탈되면 상기 외측으로 휘어진 멈춤편(71)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게 되어 걸이편(51)이 멈춤편(71)의 외부로부터 멈춤돌기(72)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이상 수개의 걸림돌기(52)를 걸림공(62)과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하부케이스(10)(20)를 분리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고 케이스내에 내장된 제어부의 고장으로 인해 이를 수리시 케이스에 손상을 주지않는 상태에서 간단히 케이스를 분해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면에 조작버튼(30)가 구비되며 외곽에 결합면(11)이 형성되고 일측내면에 걸림공(1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와 조립되며 일측 내면에 상기 걸림공(12)와 계합되는 걸림돌기(21)가 돌출된 하부케이스(20)로 이루어진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21)와 대향되는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일면에 탄성력을 갖고 돌출되며 걸이편(51)과 걸림돌기(52)가 구비된 걸이부(50)와, 상기 걸이부(50)가 형성된 상기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10)를 분해할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10)와 상기 하부케이스(2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되며, 공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52)가 수용되는 걸림공(6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안내홈(61)과 개방부(63)가 형성된 걸림부(60)와, 상기 걸림부(60)가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면에 형성된 멈춤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50)의 후면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경사요홈(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70)는,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면에 탄성력을 갖고 돌출된 멈춤편(71)과, 상기 멈춤편(71)으로부터 절곡되며 선단에 내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멈춤돌기(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KR92014737U 1992-08-06 1992-08-06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KR012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737U KR0125601Y1 (ko) 1992-08-06 1992-08-06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737U KR0125601Y1 (ko) 1992-08-06 1992-08-06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744U KR940006744U (ko) 1994-03-25
KR0125601Y1 true KR0125601Y1 (ko) 1998-10-01

Family

ID=1933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737U KR0125601Y1 (ko) 1992-08-06 1992-08-06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364A (ko) 2019-08-09 2020-03-03 한상관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364A (ko) 2019-08-09 2020-03-03 한상관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744U (ko) 199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4201A1 (en)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two housing sections
US5385257A (en) Pot with improved configuration
US4506120A (en) Arrangement for preventing operation of an electric switch
KR0125601Y1 (ko)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JP2818584B2 (ja) 携帯用電子機器のケース
JP4659426B2 (ja) 電子機器ケースの電源部着脱構造
JPH08250089A (ja) 電子機器のロック構造
US9991659B2 (en) Hand-operated tool, ground contact mounting set and method for mounting a terminal onto a ground stud contact, in particular for a car body
US5683158A (en) Casing structure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GB2105922A (en) Mounting a wiring appliance in an aperture
KR0116654Y1 (ko) 텔레비젼 케이스 체결장치
JPH0614336Y2 (ja) スイッチ
JP250849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筐体
KR19990009223U (ko) 리모콘 하우징
KR19980050204U (ko) 카오디오의 택트노브 결합구조
JPS5832374Y2 (ja) ウラブタトリツケソウチ
KR930008441Y1 (ko) 원격제어용 송신기의 수납장치
KR960010723Y1 (ko) 분리형 카 오디오의 착탈장치
JPH07245152A (ja) インレットとアウトレットとの組合わせ
KR200181934Y1 (ko) 김치냉장고
JPH08191804A (ja) 血圧計
JPH0637808U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ネクタ
JPH0945170A (ja) 操作ボタン装置
JPH05242307A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KR200281704Y1 (ko) 사무용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