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364A -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364A
KR20200022364A KR1020190149307A KR20190149307A KR20200022364A KR 20200022364 A KR20200022364 A KR 20200022364A KR 1020190149307 A KR1020190149307 A KR 1020190149307A KR 20190149307 A KR20190149307 A KR 20190149307A KR 20200022364 A KR20200022364 A KR 2020002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air
washing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71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00898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PCT/KR2019/0159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06063A1/ko
Publication of KR2020002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과 같은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절전과 절수가 가능하면서 세탁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세탁기는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유닛과, 분리처리유닛과, 배출처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Washing machine with laundry residue removal}
본 발명은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과 같은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절전과 절수가 가능하면서 세탁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한 자동 세탁기로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가전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드럼(회전조)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드럼(회전조)이 회전할 때 펄세이터(세탁판)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가 있다.
일 예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세탁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이 수용되는 터브(110)와 터브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0)을 포함한 장치로 터브(110) 내부에서 세탁물이 담긴 드럼(120)이 회전하여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세탁된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행정,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행정 및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세탁기는 세탁 시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에 대하여 보다 깨끗한 세탁을 하기 위하여 적정한 수위로 급수하기 위해 급수수위를 결정한 후 이 결정된 수위로 급수하되 급수되는 수위를 감지하면서 급수하고, 급수완료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와같이 결정된 수위로 급수를 할 때 상기 세탁수는 세탁물을 세탁하고 헹굼하며 탈수하는 세탁조에만 급수되는 것이 아니라 저수조까지 상기 결정된 수위로 급수하게 되므로 결정된 수위가 고수위일 경우 상당히 많은 양의 급수가 되면서 세탁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세탁 완료후 헹굼시에도 세탁시와 마찬가지로 세탁시에 결정된 급수수위로 급수하되, 소정의 횟수로 급,배수하면서 헹굼을 하게 되므로 일련의 세탁행정인 세탁 부터 헹굼 완료시까지 상당히 많은 양의 급수가 이루어지면서 세탁 및 헹굼을 하게 되어 물의 소비가 대단히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의 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세탁수와 전기료 등이 낭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세탁과정 후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에는 세탁물의 상부에 세제류(잔존세제)와 세탁물에서 분리되어 이탈한 세탁협작물들이 잔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세탁기로 세탁시 세탁물의 세탁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세제를 넣고 세탁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세탁수에는 금속이온 Ca2+, Mg2+, Fe2+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세척수에 함유된 금속이온 Ca2+, Mg2+, Fe2+은 투입되는 세제와 결합하여 산화칼슘(Ca0) 또는 탄산칼슘(CaCO3)을 만들어 용해도를 감소시켜 세탁효과를 방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이온 Ca2+, Mg2+, Fe2+은 세탁시 분리되어 수중에서 음전하(-)를 가지게 되는 오염과의 결합은 물론, 상기 투입된 세제의 유지성분과 결합하게 되는바, 즉 상기 세탁시 투입되는 세제는 유지성분이 60% 정도로 이 유지성분은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이고, 상기 세탁세제중 유지성분(RC00Na)은 음이온계면활성제중 하나로서, 세탁후 거품을 잘 일으키는 특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성분은 RCOONa(여기서 R=알킬기)인데, 상기 RC00Na는 물속에서 RCOO-+ Na+로 분리되며, 상기 Na+(무기물)이온은 물에 용해되지만, 유기물 RCOO-이온은 용해가 되지 않고 존재하는바, 특히 칼슘이온 Ca2+인 경우,
즉 2RC00Na + Ca2+----- (RC0O)2Ca ↓ + 2 Na+로 되고,
(유지성분) ( 금속이온) (불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Mg2+인 경우, 불용성 마그네슘(RCOO)2Mg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불용성 칼슘염(RC0O)2Ca, 불용성 마그네슘(RCOO)2Mg 은 세탁행정 종료후 물에 녹지 않지 않게 되므로 세탁시 옷감에 부착 또는 세탁후 세탁조 내부면에 잔류되면서 고착되고, 상기 고착된 불용성 칼슘염은 세탁을 하지 않을 때 공기중의 산소(02)와 접촉되면서 산패되어 찌꺼기로 잔존하게 되므로, 세탁시 세탁물에 묻어나오거나 혹은 산패로 인한 악취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잔존세제류와 세탁협작물을 조금이라도 더 제거하기 위해 선택에 따라 세탁과정을 다수번 수행할 수 밖에 없었고, 이는 결국 세탁수와 전기료 등이 소모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8-0085166(1998.12.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6-0018021(1996.06.1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43388(2000.07.15.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50315(1999.07.01. 공고) (실용신안 5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20-01256015(1998.12.15 공고) 공개 특허공보 10-2010-0056005(2010-5.27 공고) 공개 특허공보 특1998-0078758 (1998.11.25 공개) 공개 특허공보 10-2008-0002464 (2008.1.04 공개) 특허등록 번호 10-0494983 (2005.06.02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세탁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과 같은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절전과 절수가 가능하면서 세탁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특허문헌6 1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10-0056005(2010-5.27 공고)와 (특허문헌7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특1998-0078758 (1998.11.25 공개)에 도시한 기술과 같이 버블을 발생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들이 있으나 이 기술들은 기술적 구조로 인하여 세제류성 물질분자들과 세탁잔존물들을 제거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9 대한민국 특허등록 번호 10-0494983 (2005.06.02 등록)드럼의 하단부에 공기 분출구를 구성하여 세탁후에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술이 있으나 이들 기술 모두가 본 발명에 제시하는 이론적 사상들과 전혀 다른 종래의 기술들이다.
그러므로 이들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특허기술이 등록된지 못한다고 하는 것은 이유가 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에 따라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을 포함하고,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하여 투입된 세탁수 및 세제를 이용해 제어에 따라 세탁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공기주입유닛과 분리처리유닛과 배출처리유닛을 구비한다.
공기주입유닛은, 터브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설정의 제어에 따라 드럼의 내부 공간상에 위치한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한다.
분리처리유닛은, 공기주입유닛의 공기 주입에 따라 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상부로 상승한 세탁 잔존물을 상층수와 함께 드럼에서 터브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배출처리유닛은, 터브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분리처리유닛에 의해 이동 분리된 세탁 잔존물과 상층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출 처리한다.
일 실시예로, 공기주입유닛은, 터브의 외측 하부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와, 공기펌프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관과 연통되어 드럼의 내부 일측까지 연장한 공기주입관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공기주입관은, 회전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중심을 관통하면서 위치한다.
한편, 공기주입관은 설정의 길이를 가지며, 드럼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 또는 터브와 드럼 사이 공간에 위치한 부분의 측방에 다수개의 측공을 더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기주입유닛은, 드럼의 내부에서 공기주입관의 일측에 결합하여 하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드럼 내부로 확산 분배하는 공기확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 공기확장부는, 공기주입관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간격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결합한 바 형상, 또는 공기주입관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결합하되 상부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판 형상, 또는 공기주입관의 일측에 연통되게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상부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관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브는 일측에 드럼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을 형성한다.
그리고, 분리처리유닛은, 수문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개폐도어를 이동시켜 수문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작동부는, 일 실시예로 개폐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샤프트와, 제어에 따라 구동샤프트를 직선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터브는, 개폐도어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문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수문이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수문레일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일 실시예로, 배출처리유닛은,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터브를 감싸 하부에 위치한 수용조와, 일단이 수용조의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세탁기 외부로 연장된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통한 드레인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터브 및 드럼은 개구된 상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세로 배치형으로 구성하다.
이때, 터브는, 배출처리유닛을 구비하면서 드럼의 하부측을 감싸도록 형성한 고정 터브와, 드럼의 상부측을 감싸며 고정 터브와 분리착탈되게 구성한 높이조절 터브로 구성한다.
그리고, 분리처리유닛은, 설정의 제어에 따라 높이조절 터브를 고정 터브에서 이탈시켜 승하강시킴으로 높이조절 터브가 감싸던 드럼 측방을 오픈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작동부는, 높이조절 터브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샤프트와, 제어에 따라 구동샤프트를 직선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터브 및 드럼은 개구된 측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가로 배치형으로 구성한다.
이때, 터브는 일측에 드럼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을 형성한다.
또한, 분리처리유닛은, 수문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개폐도어를 이동시켜 수문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배출처리유닛은, 터브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부 수용공간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세탁기 외부로 연장된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통한 드레인관을 포함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공기주입유닛은, 터브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와, 공기펌프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관과 연통되어 드럼의 내부 일측까지 연장한 공기주입관을 포함하는데, 이때, 공기주입관은 회전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중심에 관통되게 포함하여 동축상에 구비된다.
또다른 구체적인 구조로, 공기주입유닛은, 터브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와, 공기펌프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관과 연통되어 터브와 드럼의 사이 공간 상에 위치하되 상부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길이를 가지는 관 또는 판 형상의 공기주입관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분리처리유닛은, 길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관 형태로 드럼의 상부 일측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일단부가 드럼의 내측까지 연장한 길이조절 흡입관과; 길이조절 흡입관의 타단부와 연결된 연결파이프와; 연결파이프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와; 연결파이프의 일측과 연결되어 배출처리유닛 또는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결된 배출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분리처리유닛은, 길이조절 흡입관의 일측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제어에 따라 길이조절 흡입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길이조절 흡입관의 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작물 등의 세탁잔존물을 부상시키고 이들을 세탁기 외부로 배출 처리함으로 세탁잔존물들이 세탁물에 남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탁물의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상대적으로 1회의 탈수 또는 헹굼 과정을 통해서도 세탁물에 대한 세탁과정을 마칠 수 있어 절전과 절수 효율을 높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공기주입유닛과 분리처리유닛 및 배출처리유닛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세탁수에 포함된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일 실시예와 세탁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도면이다.
도 5(a)(b)는 도 3에 적용한 공기주입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적용한 분리처리유닛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처리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모든 도면에 대해 세탁기가 놓여진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구비한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세탁기가 세탁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세탁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과 같은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절전과 절수가 가능하면서 세탁을 보다 확실하게 한다.
본 발명의 도시에서 실시예의 세탁기는 터브(110)와 드럼(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드럼(120)은 터브(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에 따라 회전구동수단(122)에 의해 회전하면서 내부에 포함한 세탁물에 대한 세탁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122)은 종래에 사용되오던 방식을 그대로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세탁기를 표현함에 있어서, 터브(110)와 드럼(120)을 내부에 포함하는 세탁기 본체(미도시.) 및 세탁물을 넣거나 뺄 수 있는 입구도어(미도시.) 등은 표현하지 않았으나 이는 세탁기의 당연한 구성요소로 도시에서 제외한다고 하여 없는 구성요소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세탁기에 있어서 드럼(120)과 터브(110)의 구성 및 기능은 관련된 공지의 구성 및 기능으로 공지된 기술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세탁기는 일측에 세탁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며, 터브(110)와, 터브(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에 따라 회전구동수단(122)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120)을 포함하고,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하여 투입된 세탁수 및 세제를 이용해 제어에 따라 세탁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122)은 종래의 방식을 이용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 할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공기주입유닛(130)과 분리처리유닛(140) 및 배출처리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공기주입유닛(130)은, 터브(1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설정의 제어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공간(S1) 상에 위치한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한다.
그리고, 분리처리유닛(140)은,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주입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상부로 상승한 세탁잔존물을 상층수와 함께 드럼(120)에서 터브(110)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또한, 배출처리유닛(150)은, 터브(11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수용공간(S2)을 가지며, 분리처리유닛(140)에 의해 이동 분리된 세탁잔존물과 상층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출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공기주입유닛(130)과 분리처리유닛(140) 및 배출처리유닛(150)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유입된 공기를 이용해 세탁수에서 비중이 가벼운 잔존세제류와 세탁협작물을 포함한 세탁 잔존물을 부상시키고, 드럼(120)의 외부로 이동 분리시켜 배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공기주입유닛(130)은, 터브(110)의 외측 하부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설정의 공간으로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드럼(120)의 내부 일측까지 연장한 공기주입관(133) 또는 공기공급판(55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에 따라 공기펌프(131)에서 발생한 공기는 압력에 따라 공기공급관(132)을 통해 공기주입관(133) 또는 공기주입판(555)으로 이송되고, 공기주입관(133) 또는 공기주입판(555)을 통해 드럼(1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주입판(555에서 분출시키는 공기는 드럼 내부측 하단부를 통해 세탁판이 형성되는 드럼의 하단부와 통공이 구성되어 있는 드럼의 외부면을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공기주입판(555)은 드럼(12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도 11에서와 같이 별개의 구성요소로 세탁기에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주입판(5558)은 드럼(120)을 설정에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122)을 내부에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구체적으로 공기주입판(555)은 회전구동수단(122)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22a)의 구동축(122b)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동축상에 위치하고, 구동축(122b)과의 사이공간을 통해 공기를 이송시키도록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기주입판(555)은 필요에 따라 설정의 길이를 가지며, 드럼(120)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 또는 터브(110)와 드럼(120) 사이 공간에 위치한 부분의 측방에 다수개의 측공(133a)을 도 5에서와 같이 변형하여 형성 시킬수가 있다.
이에 따라, 드럼(120)의 하단부에 위치한 부분의 공기주입판(555)은 직접적으로 드럼(12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고, 터브(110)와 드럼(120) 사이 공간에 위치한 부분은 상술의 사이 공간을 통해 공기를 뿜어내고 사이 공간의 공기는 드럼(120)의 외측에서 드럼(120)의 하단부에 위치한 배출공(121,121a)을 통과해 내측으로 주입된다.
한편, 재차 도 4와 도 5(a)(b)를 참조하면, 지시부호 8888은 드럼과 터브의 사이에 다수개 구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판(555)에서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공기들이 드럼의 내부로만 방출되도록 작용하여 주는 지수링을 지칭한다
상기 지수링의 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 터브와 드럼의 사이에 ㄷ자 형태 또는 ㄹ자 형태로 요철홈을 구성하고 그 요철홈 사이에 ㅁ자형 또는 ㅇ자형 지수링을 삽입 구성하여 상기 공기주입판(555)에서 공급하여 주는 공기들이 드럼의 내부로만 방출되도록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한 공기주입유닛(130)은, 드럼(12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공기를 확산시키면서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판(555)과 연통한 공기확장부(134)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 공기 주입펌프와 공기 주입관의 위치를 다른 방향이나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공기가 확산되도록 작용하여 주는 통공(121a)은 드럼(120)의 바닥부 자체일수 있으며, 또는 통상의 세탁기를 구성하는 펄세이터(세탁판) 일 수 있다.
그러나, 하기에서는 공기확장부(134)가 이러한 드럼(120)의 바닥부 또는 세탁판과 구분된 별도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술의 공기확장부(134)는 도 4에서와 같이, 공기주입관(133)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방사상으로 간격을 가지며 결합한 바 형태를 갖는다.
도시에서는 일 예로 2개의 공기확장부(134) 만을 도시하였으나 다수개로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통공(121a)를 거쳐 지나가 세탁물을 타고넘어가면서 확산 분배되어 드럼(120)의 내부 상측으로 퍼지게 된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 도 5(a)에서와 같이, 공기확장부(134)는 다수개의 통공(134a)을 형성한 단일 판 형상으로 공기주입관(133)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하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통공(134a)을 통해 드럼(120) 내부로 확산 분배하도록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공기주입판(555)는 드럼(120)의 하부 형태에 맞도록 단일의 원판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다수개의 판이 공기주입판(555)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또다른 실시예로, 공기확장부(134)는 도 5(b)에서와 같이, 상부에 통공(134a)을 가진 관 형태로 공기주입관(133)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술의 공기확장부(134)는 다수개의 관으로 공기주입관(133)에 방사상으로 간격을 가지며 연통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확장부(134)는, 주입된 공기를 보다 분산시키고 확산 분해하여 드럼(1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 판 또는 다수의 판, 단일 관 또는 다수의 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 주입판(555)의 기능은 오직 세탁시에 주입되는 세제류류성 물질분자들과 세탁잔존물들을 상측으로 부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의 분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성되는 구조로서 당해 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세히는 종래의 공기방울세탁기의 기능과는 전혀 다르게 사용되는 구조인 것이다
이어서, 재차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한 분리처리유닛(140)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처리유닛(140)은,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주입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상부로 상승한 세탁 잔존물을 상층수와 함께 드럼(120)에서 터브(110)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이를 위해 터브(110)는 일측에 드럼(120)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111)을 형성한다.
상술의 수문(111)은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설정에 따라 형성하며, 드럼(120)의 배출공(121)을 통해 외측으로 세탁 잔존물을 포함한 세탁수 상층수를 배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분리처리유닛(140)은, 수문(111)을 설정의 제어에 따라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141)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개폐도어(141)를 선형 이동시켜 수문(111)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14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작동부(142)의 위치에 따라 개폐도어(141)는 상하 수직운동으로 이동하거나, 좌우 수평운동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러한 분리처리유닛(140)의 작동부(142)는, 개폐도어(141)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샤프트(142b)와, 제어에 따라 구동샤프트(142b)를 직선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142a)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개폐도어(141)를 상하 작동하여 주거나 좌우로 작동시키도록 변경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개폐도어(141)를 작동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작동장치의 변경 구성은 매우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개폐도어(141)는 제어에 따라 리니어모터(142a)가 구동하면 구동샤프트(142b)에 결합된 개폐도어(141)는 선형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수문을 열거나 닫게 된다.
수문이 열렸을 때, 드럼(120) 내부의 상층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성 물질분자들과 세탁잔존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터브(110)의 수문(111)에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120)에 형성한 배출공(121)은, 상층수와 세탁잔존물의 수문(111)으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크기가 이웃하는 배출공의 크기보다 다르게 즉, 크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터브(110)는 개폐도어(141)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문(111)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수문(111)이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수문레일(112)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수문레일(112)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재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분리처리유닛(140)을 통해 배출된 상층수와 세탁잔존물은 배출처리유닛(150)을 통해 외부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재차 도 4를 참조하면, 배출처리유닛(150)은, 내부 수용공간(S2)을 형성하면서 터브(110)를 감싸 하부에 위치한 수용조(151)와, 일단이 수용조(151)의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세탁기 외부로연장된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통한 드레인관(15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드레인관과 종래에 사용되오던 드레인관 과의 기능은 전혀달리하는 기술적 사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분리처리유닛(140)을 통해 배출된 상층수와 세탁잔존물은 수용조(151)의 내부 수용공간(S2)에 모아졌다가 드레인관(152)을 통해 외부 배출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세탁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과 같은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세탁기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아래 동작 설명에서 공지의 세탁기를 통한 세탁 과정과 동일하게 제어되는, 예를 들면 물의 투입이나 세제 투입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세탁 제어되는 동작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세탁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드럼(120)에 세탁수와 세탁물과 세제를 같이 투입시킨 후, 세탁기를 20분~40분 정도의 설정에 따른 시간 동안 회전(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700rpm~25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서 세탁을 하지만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시켜서 세탁물을 세탁시킨다.
이어서, 드럼(12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공기주입유닛(130)을 구성하는 공기 펌프(131)를 설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에서 5분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하여 드럼(120) 내부로 공기주입판(555)을 통해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드럼(120) 내부로 주입된 공기는 세탁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면서 세탁 할 때에 같이 주입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들을 드럼(120)의 상층부로 부상시키는 작용을 발휘한다.
한편, 설정의 제어에 따라 드럼(120)으로 공기가 주입되면서 세탁수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세탁 잔존물들과 세제류들을 상부로 부상시킴과 동시에, 세탁기에 주입되어 있는 세탁수의 총량보다도 1~15% 정도의 세탁수를 드럼(120)에 추가 투입한다.
그리고, 설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5분 정도)이 지난 후에 재차 공기 펌프(131)를 작동시켜 드럼(120)의 내부에 10초~5분 정도의 시간동안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시킨다.
이어서, 분리처리유닛(140)을 구성하는 리니어모터(142a)를 가동하여 리니어 모터(142a)의 구동샤프트(142b)와 결합되어 있는 개폐도어(141)를 개방시켜 수문(111)을 연다.
이에 따라, 드럼(120)과 터브(110)의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수 중에서 비중이 가벼운 상층수 1%~10% 정도는 수문(111)을 통과해 배출되어 배출처리유닛(150)을 통해 드레인 관(1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분리처리유닛(140)의 작동부(142)를 구성하는 리니어모터(142a)를 작동시켜 개폐도어(141)를 상승시키고, 수문(111)를 폐쇄시킨 후 배출시킨 세탁수의 상층수 양 만큼 세탁수를 재투입한다. 그러나 운전방법을 달리하여 세탁작업을 수행 할수가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수단(122)의 구동모터(122a)를 작동시켜 드럼(120)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물들을 설정의 시간(예를 들어, 1분~5분 정도) 동안 더 세탁한다.
그런 다음, 구동모터(122a)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작동부(142)의 리니어 모터(142a)를 가동하여 개폐 도어(140)를 하강시키고, 드럼(120)과 터브(110)에 투입되어 있는 100% 비율 세탁수 중에서 비중이 가벼운 상층수 10~30% 정도를 추가적으로 배출수 수용조(151)로 배출시켜 버림과 동시에 다시 개폐도어(141)를 상승시켜서 수문(111)을 폐쇄시킨다.
이후 회전구동수단(122)을 재가동하여 드럼(120)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물들을 설정의 시간(예들 들어, 2~10분) 정도 동안 또 다시 세탁하고 탈수 시킨 다음, 드럼(120)과 터브(110)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수들을 외부로 완전 배출시킨 후 탈수시켜 최종 세탁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전기료와 수돗물을 절약하고, 세탁물에 잔존할 수 있는 세제류들(비중이 가벼운 세제류 포함) 및 세탁물에 함유된 이물질들(비중이 가벼운 세탁협작물 포함)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에서는 터브(110) 및 드럼(120)이 개구된 상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세로 배치형으로 구성한 세탁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후술에서 설명한 제3실시예서와 같이, 터브(110) 및 드럼(120)이 개구된 측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가로 배치형으로 구성한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로 배치형의 세탁기의 구성은 후술에서 재차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상술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주입유닛(130)과 분리처리유닛(140) 및 배출처리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공기주입유닛(130)과 배출처리유닛(150)은 상술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터브(110) 및 드럼(120)이 개구된 상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세로 배치형으로 구성한다.
이때, 터브(110)는, 배출처리유닛(150)을 구비하면서 드럼(120)의 하부측을 감싸도록 형성한 고정 터브(110a)와, 드럼(120)의 상부측을 감싸며 고정 터브(110a)와 필요에 따라 분리착탈되게 구성한 높이조절 터브(110b)로 구분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술의 분리처리유닛(140)은, 설정의 제어에 따라 높이조절 터브(110b)를 고정 터브(110a)에서 이탈시켜 승하강시킴으로 높이조절 터브(110b)가 감싸던 드럼(120)의 측방을 오픈시키는 작동부(14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의 작동부(142)는 일 실시예로, 높이조절 터브(110b)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샤프트(142b)와,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142b)를 상하 직선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142a)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 터브(110b)를 상하 작동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상기 구동샤프트(142b)를 상하 직선운동시키도록 변경 구성하는 것은 매우간단하기 때문에 일시예만 설명한다
이에 따라 제어에 따른 리니어모터(142a)의 작동 유무에 따라 높이조절 터브(110b)는 고정 터브(110a)를 타고 승하강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고정 터브(110a)는 드럼(120)의 높이보다 30∼70% 정도 낮게 구성한다.
또한, 도시에서 높이조절 터브(110b)는 고정 터브(110a)의 외측을 타고 승하강하도록 도시하였으나, 내측에서 승하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고정 터브(110a)와 높이조절 터브(110b) 간에는 높이조절 터브(110b)의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하여 대응하는 돌기와 레일을 포함한 가이드 레일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드럼(120)의 하단부에는 공기주입유닛(130)을 통해 공급된공기가 측면과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가로형으로 구성되는 드럼의 상측 방향으로만 방출되도록 공기 차단링(888)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의 공기 차단링(888)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층으로 구성하거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드럼(120) 또는 터브(110)를'ㄷ'자 또는 '
Figure pat00001
자 형태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공기 차단링(888)을 끼우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드럼(120)과 터브(110)사이에 ㄷ자 형태 또는 ㄹ자 형태로 요철홈을 구성시키고 그 사이에 공기 차단링(888)을 끼우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차단링(888)은 공기주입유닛(130)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드럼(120)의 상측과 측방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만 공기가 유입되어 드럼(120)에 주입되게 한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세탁과정을 수행한다.
다만, 터브(110)가 고정 터브(110a)와 높이조절 터브(110b)로 구성됨에 따라 분리처리유닛(140)의 작동부(142)에 의한 상층수 이동분리 과정이 하기와 같다.
다시 말해,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펌프(131)를 설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에서 10분 정도) 동안 가동하여 드럼(120)의 내부에 공기를 연속 주입시켜서 세탁수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들을 높이조절 터브(110b)와 드럼(120)의 상부로 부상시킨다.
이때, 분리처리유닛(140)의 작동부(142)를 구성하는 리니어 모터(142a)를 작동시켜 높이조절 터브(110b)의 높이를 드럼(120)의 높이보다도 1∼20% 정도로 낮은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높이조절 터브(110b)와 드럼(120)의 상층부에 부상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성 세탁수 1%~20% 정도가 드럼(120)의 배출공(121)을 통과하고 배출처리유닛(150)의 수용조(151)에 모인다.
그리고, 수용조(151)의 일측에 구비된 드레인 관(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재차 작동부(142)의 리니어 모터(142a)를 작동시켜 높이조절 터브(110b)를 원 위치로 이동시킨 후, 탈수 세탁과정을 통하여 세탁을 마무리 하거나 배출시켜 버린 세탁수의 양 만큼 재 급수 시킨 후 탈수 세탁과정을 통하여 세탁물과 세탁수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협잡물들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구성을 터브(110) 및 드럼(120)이 개구된 측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가로 배치형으로 구성한 세탁기에 적용하고 이를 제3실시예로 칭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는 드럼(회전조)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공기주입유닛(130)과 분리처리유닛(140) 및 배출처리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공기주입유닛(130)은, 터브(1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설정의 제어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공간(S1) 상에 위치한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를 위해, 제3실시예에 적용한 공기주입유닛(130)은, 도 10을 참조하면, 일실시예로, 터브(1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드럼(120)의 내부 일측까지 연장한 공기주입관(1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술의 공기주입관(133)은 회전구동수단(122)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22a)의 구동축(122b)이 중심에 관통되게 포함하여 동축상에 구비한다.
이에 따라 공기주입관(133)은 구동축(122b)과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적용한 공기주입유닛(130)은, 터브(1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터브(110)와 드럼(120)의 사이 공간 상에 위치하되 상부로 다수개의 통공(133a')을 형성한 길이를 가지는 관 또는 판 형상의 공기주입관(1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공기주입관(133')은 제1실시예의 공기확산부 역할을 수행하는 통공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데, 공기공급관(132)을 통해 이송된 공기를 확산 분배하여 드럼(120)의 내부로 공기가 확산 분포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의 공기주입관(133')은 드럼(120)의 하부 측에 위치하지만 드럼의 측면에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제3실시예의 세탁기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터브(110)는 일측에 드럼(120)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111)을 형성한다.
그리고, 분리처리유닛(140)은,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주입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상부로 상승한 세탁잔존물을 상층수와 함께 드럼(120)에서 터브(110)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이를 위해 분리처리유닛(140)은, 수문(111)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141)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개폐도어(141)를 이동시켜 수문(111)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14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작동부(142)는 리니어모터(142a)와 구동샤프트(142b)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한 바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3실시예서의 수문(111)은 도시에서는 터브(110)의 상부측에 위치함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정에 따라 드럼(120)에 투입되어 사용하는 세탁수의 양에 따라 드럼(120) 내에 차는 세탁수의 상단부 위치가 다른 바, 수문(111)의 위치가 터브(110)의 하부 또는 중앙측에 위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한편, 배출처리유닛(150)은, 터브(110)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수용공간(S2')을 가지며, 분리처리유닛(140)에 의해 이동 분리된 세탁잔존물과 상층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출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배출처리유닛(150)은 내부 수용공간(S2')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세탁기 외부로 연장된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통한 드레인관(15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필요에 따라 공기주입유닛(130)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외부 분산되어 세탁기 외측으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1에서와 같이, 공기가 외부 즉 측면이나 상측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오직 드럼의 내부로만 분출되도록 공기 차단링(88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공기 차단링(888)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층으로 구성하거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드럼(120) 또는 터브(110)를'ㄷ'자 또는 '
Figure pat00002
자 형태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공기 차단링(888)을 끼우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세탁 과정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유사의 과정을 가지며,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가로 배치형의 드럼(120) 내부에 세탁물과 세탁수와 세제들을 투입한 후 설정의 시간동안 드럼(120)을 회전시켜서 세탁 작업을 실행한다.
그리고,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펌프(131)를 작동하여 가로 배치형 드럼(120)의 내부에 설정의 시간(예를 들면, 1∼5분) 동안 공기를 주입시켜서 세탁수와 세탁물에 함유된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들을 가로 배치형 드럼(120)과 가로 배치형 터브(110)의 상층부로 연속 부상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배출유닛(140)의 리니어 모터(142a)를 작동시켜 개폐 도어(141)를 하강이동시키면서 수문(111)을 개방시킨 후, 가로 배치형 드럼(120)과 가로 배치형 터브(11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100% 비율 세탁수 중에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로 배치형 드럼(120)과 가로 배치형 터브(110)의 상층부에 부상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성 성분들과 비중이 가벼운 세탁 협잡물로 추정되는 상층수 1%~30% 정도를 수문(111)을 통과시켜 배출처리유닛(150)의 내부수용공간(S2')상에 수용하고 드레인 관(15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개폐 도어(141)를 원 위치로 이동시켜 수문(111)을 닫은 후, 배출시킨 양 만큼 세탁수를 재 투입한 후 세탁과 탈수 과정을 통하여 세탁을 마무리 하거나 또는 탈수 세탁 과정을 통하여 세탁을 마무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세탁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잡물과 같은 세탁잔존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재차 도 3과 함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터브(1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설정의 제어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 공간(S1)상에 위치한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유닛(130)을 포함한다. (도 13에는 미도시하였다.)상술의 공기주입유닛(130)은 회전구동수단(122)과 동일 축상에 위치하거나 별도의 구분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또한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주입에 따라 드럼(120)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상부로 상승한 세탁 잔존물을 상층수와 함께 드럼(120)에서 터브(110)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분리처리유닛(140)을 구비한다.
이때, 제4실시예에서의 분리처리유닛(140)은 드럼(120)의 상부측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실시예에 적용한, 분리처리유닛(140)은, 길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관 형태로 드럼(120)의 상부 일측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일단부가 드럼(120)의 내측까지 연장한 길이조절 흡입관(145)과,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타단부와 연결된 연결파이프(144)와, 연결파이프(144)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143)와, 연결파이프(144)의 일측과 연결되어 배출처리유닛(150) 또는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결된 배출관(14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일단부는 드럼(120)의 상층수를 빨아들일 수 있는 위치까지 길이조절되며, 일 실시예로 길이조절 흡입관(145)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길이조절 흡입관(145)은, 자바라 관 형태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태의 관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드럼 내부에 위치한 일단부는 다수개의 통공(145b)을 가지며, 흡입펌프(143)의 펌핑력을 이용해 드럼 내부의 상층수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 흡입관(145)은 일단부에 연장되게 다수개의 통공(145b)을 형성한 연장관(145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리처리유닛(140)은,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일측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제어에 따라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일단부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부(14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부(147)는 상술의 리니어모터(147a)과 구동샤프트(147b)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동샤프트(147b)는 길이조절 흡입관(145)의 일측 또는 상술의 연장관(145a)에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상술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세탁기와 유사의 작동구조를 가지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는,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세탁협작물 등의 세탁잔존물을 부상시키고 이들을 세탁기 외부로 배출 처리함으로 세탁잔존물들이 세탁물에 남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효율을 극대화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1회의 탈수 또는 헹굼 과정을 통해 절전과 절수가 가능하면서도 세탁물의 세탁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나 세탁시에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세탁물에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한 세탁물을 생산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는 종래의 공기방 울세탁기의 기능과는 전혀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세탁시에 투입하는 세제류성 물질분자들과 세탁시에 발생되는 미립자성 세탁잔존물들 용이하고 손쉬운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임으로 종래의 공기방세탁기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불성설이다.
110 : 터브 110a : 고정 터브
110b : 높이조절 터브 111 : 수문
120 : 드럼 121 : 배출공
122 : 회전구동수단 122a : 구동모터
122b : 구동축 130 : 공기주입유닛
131 : 공기펌프 132 : 공기공급관
133 : 공기주입관 134 : 공기확산부
140 : 분리처리유닛 141 : 개폐도어
142, 147 : 작동부 143 : 흡입펌프
144 : 연결파이프 145 : 흡입관
150 : 배출처리유닛 151 : 수용조
152 : 드레인 관 555: 공기 공급판

Claims (7)

  1. 터브(110)와, 상기 터브(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에 따라 회전구동수단(122)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120)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하여 투입된 세탁수 및 세제를 이용해 제어에 따라 세탁작업을 수행한후 세탁수를 배출하여주는 드레인 관이 구성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1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설정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럼(120)의 내부 공간(S1)상에 위치한 세탁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유닛(130)과; 상기 공기주입유닛(130)의 공기 주입에 따라 상기 드럼(120)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상부로 상승한 세탁 잔존물을 상층수와 함께 상기 드럼(120)에서 터브(110)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분리처리유닛(140)과; 상기 공기주입유닛(130)은, 상기 터브(110)의 외측 하부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상기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구성되는 공기 공급판(555)을 구성하여 상기 드럼(12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구조;
    상기 상기 터브(110)와 상기 드럼(120)의 하단부에 상기 공기 공급판(555)에서 발생시키는 공기들이 외부로 확산되지 못하고 드럼의 내부로 상승되도록 작용하여 주는 다수개의 지수링(8888)을 구성시킨 구조;상기 터브(110)는 일측에 상기 드럼(120)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111)을 형성하고, 상기 수문(111)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141)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141)를 이동시켜 상기 수문(111)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리처리유닛(140)의 구조;상기 작동부(142)는, 상기 개폐도어(141)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샤프트(142b)와,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142b)를 직선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142a)를 포함하여 구성한 구조; 상기 터브(11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수용공간(S2)을 가진 배출처리유닛(150)의 구조;상기 터브(110)는, 상기 개폐도어(141)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문(111)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수문(111)이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수문레일(112)과 상기 수문레일에 개폐도어(141)를 형성한 구조;상기 배출처리유닛(150)은 내부 수용공간(S2)을 형성하면서 상기 터브(110)를 감싸 하부에 위치한 수용조(151)와, 일단이 상기 수용조(151)의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세탁기 외부로연장된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통한 드레인관(152)으로 구성되는 상기 분리처리유닛(140)에 의해 상기 드럼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분리된 세탁 잔존물과 상층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배출처리유닛(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110) 및 드럼(120)은 개구된 상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세로 배치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터브(110)는,상기 배출처리유닛(150)을 구비하면서 상기 드럼(120)의 하부측을 감싸도록 형성한 고정 터브(110a)와, 상기 드럼(120)의 상부측을 감싸며 상기 고정 터브(110a)와 분리착탈되게 구성한 높이조절 터브(110b)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처리유닛(140)은, 설정의 제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 터브(110b)를 상기 고정 터브(110a)에서 이탈시켜 승하강시킴으로 상기 높이조절 터브(110b)가 감싸던 드럼(120) 측방을 오픈시키는 작동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142)는, 상기 높이조절 터브(110b)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샤프트(142b)와,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142b)를 직선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142a)를 포함하여 구성한 구조;상기 터브(110) 및 드럼(120)의 하단부 외주면 사이에 공기가 상측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드럼의 내부로만 공기가 방출되도록 작용하여 주는 다수개의 지수링(8888)이 유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110) 및 드럼(120)은 개구된 측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가로 배치형으로 구성하되;상기 터브(110)는 일측에 상기 드럼(120)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111)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처리유닛(140)은, 상기 수문(111)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141)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141)를 이동시켜 상기 수문(111)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터브(11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공기주입유닛(130)은, 상기 터브(1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상기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상기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상기 터브(110)와 드럼(120)의 사이 공간 상에 위치하되 상부로 다수개의 통공(133a')을 형성한 길이를 가지는 관 또는 판 형상의 공기주입관(133')을 포함하여 구성한 구조;상기 터브(110) 및 드럼(120)의 사이에 측면 또는 상측과 측면의 방향으로 공기가 누출되지 못하고 드럼의 내부로만 공기가 상승되도록 '
    Figure pat00003
    자 형태로 공기 차단링(888)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유닛(130)은, 상기 터브(1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상기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상기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120)의 내부 일측까지 연장한 공기주입관(1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110) 및 드럼(120)은 개구된 측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가로 배치형으로 구성하되;상기 터브(110)는 일측에 상기 드럼(120)과 연통하여 설정의 크기로 개구된 수문(111)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처리유닛(140)은, 상기 수문(111)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개폐도어(141)와, 설정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141)를 이동시켜 상기 수문(111)을 열거나 닫는 작동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처리유닛(150)은, 상기 터브(110)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수용공간(S2')을 가지며, 상기 내부 수용공간(S2')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세탁기 외부로 연장된 세탁수 배출라인과 연통한 드레인관(15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6. 제1항,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유닛(130)은, 상기 터브(1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상기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상기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120)의 내부 일측까지 연장한 공기주입관(133)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주입관(133)은 회전구동수단(122)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22a)의 구동축(122b)이 중심에 관통되게 포함하여 동축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7. 제1항,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유닛(130)은, 상기 터브(1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펌프(131)와, 상기 공기펌프(131)와 연통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공급관(132)과, 상기 공기공급관(132)과 연통되어 상기 터브(110)와 드럼(120)의 사이 공간 상에 위치하되 상부로 다수개의 통공(133a')을 형성한 길이를 가지는 관 또는 판 형상의 공기주입관(13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잔존물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KR1020190149307A 2018-11-20 2019-11-20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KR20200022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5979 WO2020106063A1 (ko) 2018-11-20 2019-11-20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185A KR20190100898A (ko) 2019-08-09 2019-08-09 전기료와 수돗물 값을 절약 하여 주면서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제류성 물질들과 비중이 가벼운 세탁잔존물들이 세탁물에 잔존하지 못하도록 세탁하는 친환경 세탁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세탁기
KR1020190097185 2019-08-09
KR1020190130323 2019-10-21
KR20190130323 2019-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364A true KR20200022364A (ko) 2020-03-03

Family

ID=6993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07A KR20200022364A (ko) 2018-11-20 2019-11-20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364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21A (ko) 1994-11-30 1996-06-17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방법
KR0125601Y1 (ko) 1992-08-06 1998-10-01 강진구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KR19980078758A (ko) 1997-04-22 1998-11-25 남희철 세탁기의 세탁수 배수방법 및 그장치
KR19980085166A (ko) 1997-05-28 1998-12-05 배순훈 세탁기의 찌꺼기 제거 세제
KR200150315Y1 (ko) 1996-11-15 1999-07-01 전주범 절수형 세탁기
KR20000043388A (ko) 1998-12-29 2000-07-15 전주범 전자동 세탁기의 수위결정방법
KR100494983B1 (ko) 2003-06-27 2005-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건조장치
KR20080002464A (ko)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거품배출장치
KR20100056005A (ko)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601Y1 (ko) 1992-08-06 1998-10-01 강진구 리모콘케이스의 착탈장치
KR960018021A (ko) 1994-11-30 1996-06-17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150315Y1 (ko) 1996-11-15 1999-07-01 전주범 절수형 세탁기
KR19980078758A (ko) 1997-04-22 1998-11-25 남희철 세탁기의 세탁수 배수방법 및 그장치
KR19980085166A (ko) 1997-05-28 1998-12-05 배순훈 세탁기의 찌꺼기 제거 세제
KR20000043388A (ko) 1998-12-29 2000-07-15 전주범 전자동 세탁기의 수위결정방법
KR100494983B1 (ko) 2003-06-27 2005-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건조장치
KR20080002464A (ko)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거품배출장치
KR20100056005A (ko)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664B1 (ko) 드럼세탁기
US8844324B2 (en) Washing machine
KR20050018183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20150073517A (ko) 세탁기
JP6799027B2 (ja) 洗濯機
JP2007195865A (ja)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KR20010094413A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
JP2007029205A (ja) 洗濯機
KR20200022364A (ko) 세탁잔존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US20150275415A1 (en) Pulsed hydraulic clothes washer
JP2006247013A (ja) 食器洗浄機
KR100751408B1 (ko)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세척방법
CN208524788U (zh) 滚筒拖把清洗盆
KR20190012237A (ko) 비중이 가벼운 세제류들과 비중이 가벼운 세탁협잡물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기능이 향상된 세탁기 및 이의 세탁 제어 방법
KR200256885Y1 (ko) 대두 세척장치
JP2011062551A (ja) 洗濯機
KR200358180Y1 (ko) 세탁수 재활용 드럼세탁기
JP2010207562A (ja) 洗濯機の洗濯水の再使用すヽぎ水の再利用を可能とし回転翼の空転の減少を図る
KR200333529Y1 (ko) 용량이 다른 두 개의 세탁실로 구성된 드럼세탁기
KR200322167Y1 (ko) 용량이 다른 두 개의 세탁실로 구성된 드럼세탁기
KR19990028228U (ko) 세탁기의 세탁부유물배수장치
KR2007008188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CN215561196U (zh) 一种氯漂机
KR200148968Y1 (ko) 절수형 세탁기
KR101082882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