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182Y1 -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182Y1
KR0125182Y1 KR2019950006508U KR19950006508U KR0125182Y1 KR 0125182 Y1 KR0125182 Y1 KR 0125182Y1 KR 2019950006508 U KR2019950006508 U KR 2019950006508U KR 19950006508 U KR19950006508 U KR 19950006508U KR 0125182 Y1 KR0125182 Y1 KR 0125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astened
door
lock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801U (ko
Inventor
유병권
Original Assignee
유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권 filed Critical 유병권
Priority to KR2019950006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182Y1/ko
Publication of KR960034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8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 통신 등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물쇠 본체(1)를 개폐장치부(2) 및 잠금장치부(3)로 분리 구성하되 본체(1)의 정면 상,하부에는 손잡이 체결홈(4)과 자물쇠 체결홈(5)을 형성하고 본체(1)의 배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6)(7)를 형성하여 고정너트(21)로서 문에 고정되게 하고, 상부 돌출부(6)의 중간부에는 수직의 고정공(8)을 형성하며 그 하단 일측에는 장공(9)을 형성하여 손잡이(10)를 체결하고, 손잡이(10)의 정면에는 수직으로 직사각의 장공(11)을 형성하여 작동판(12)이 형성되어 있는 보턴(13)을 삽입 체결하고 후미에는 수평으로 장공(14)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스프링(15)이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16)를 삽입 체결하되 손잡이(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8')에서 스프링(17)이 체결되어 있는 고정핀(18)을 삽입 체결하고, 손잡이(10)의 중간부에는 고정홈(19)을 형성하며 손잡이(10)의 타측에는 고정 회동판(20)을 체결한 다음 너트로서 고정하며, 본체(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장치부(3)에는 자물쇠(22)를 삽입한 다음 본체(1)의 배면에서 고정회동판(23)을 삽입체결하고 다시 너트로서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손쉽게 손잡이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하여 제품의 품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체결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개폐장치부
3 : 잠금장치부 4 : 손잡이 체결홈
5 : 자물쇠체결홈 6,7 : 돌출부
8 : 고정공 9,11,14 : 장공
10 : 손잡이 12 : 작동판
13 : 보턴 15,17 : 스프링
16 : 고정구 18 : 고정핀
19 : 고정홈 20,23 : 고정회동판
21 : 고정너트 22 : 자물쇠
24 : 단턱부 25 : 유동홈
26 : 돌기
본 고안은 소방, 통신 등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물쇠 본체를 손잡이와 자물쇠로 분리 구성하고 손잡이는 스프링의 탄발력과 보턴 및 고정핀에 의하여 본체의 내·외부로 유동되게 하며 본체의 하단부에는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자물쇠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손잡이가 유동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는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와 문을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어 온 손잡이는 손잡이의 상단부를 누르면 손잡이의 내부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하여 손잡이의 하단부가 외부로 튀어나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손잡이의 상부가 누르고 있던 고정 회동판이 하단으로 유동되어 문틀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문이 개폐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손잡이는 문과 문틀이 헐거운 상태에서는 작동이 가능하나 문과 문틀이 밀착되어 있거나 억지로 눌러 닫을 때에는 손잡이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 회동판이 문과 문틀 사이에서 외부로 미는 힘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되는 힘으로는 작동이 어려워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손잡이의 몸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안출되었으나, 상기의 고안은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을 포장할 때 손잡이로 인하여 포장지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고, 운송도중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벽면이나 타 물건에 부딪쳐 파손되므로서 제품에 손상을 끼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물쇠 본체에 손잡이와 돌출용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실용신안공보 제88-16377호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4-20852호)가 안출되었으나 상기의 고안은 손잡이를 자물쇠 본체에 반원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을 고정핀으로 고정하고 그 상부에는 손잡이를 압착하고 있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버튼을 설치하여서 된 구성으로서, 상기의 고안은 소형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는 가능하나 대형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는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고안은 손잡이를 돌출시킨 다음 손잡이를 잡아당겨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손잡이 자체가 자물쇠 몸체에서 반원형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전체를 이용하여 잡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물쇠를 해제하여 도어가 돌출되게 한 것은 가능하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고 닫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손잡이가 전, 후로 작동되고 회전하여 개폐되는 배전반용 터치식 쿠바클 핸들 자물쇠장치(1998년 특허공보 제4105호)가 안출되었으나 상기의 발명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힘들고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제작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손잡이와 자물쇠를 일체로 설치하되 자물쇠를 풀 경우 손잡이가 전면으로 수평돌출되며 이 돌출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문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 회동판이 회전되면서 문이 열리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물쇠 본체(1)를 개폐장치부(2) 및 잠금장치부(3)로 분리 구성하되 본체(1)의 정면 상,하부에는 손잡이 체결홈(4)과 자물쇠 체결홈(5)을 형성하고 본체(1)의 배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6)(7)를 형성하여 고정너트(21)로서 문에 고정되게 하고, 상부 돌출부(6)의 중간부에는 수직의 고정공(8)을 형성하며 그 하단 일측에는 장공(9)을 형성하여 손잡이(10)을 체결한다.
손잡이(10)의 정면에는 수직으로 직사각의 장공(11)을 형성하여 작동판(12)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13)을 삽입 체결하고 후미에는 수평으로 장공(14)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스프링(15)이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16)를 삽입 체결하되 손잡이(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8')에서 스프링(17)이 체결되어 있는 고정핀(18)을 삽입 체결하고, 손잡이(10)의 중간부에는 고정홈(19)을 형성하며 손잡이(10)의 타측에는 고정회동판(20)을 체결한 다음 너트로서 고정한다.
본체(1)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의 끝단부에는 단턱부(24)가 형성된 90˚ 의 반원형 유동홈(25)을 형성하고 손잡이(10)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16)의 후미에는 돌기(26)를 형성하여 반원형의 유동홈(25)에 체결한다.
본체(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장치부(3)에는 자물쇠(22)를 삽입한 다음 본체(1)의 배면에서 고정회동판(23)을 삽입 체결하고 다시 너트로서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설명부호 27은 문, 28은 커버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문을 열고자 할 때에는 본체(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물쇠(22)를 열고 손잡이(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13)의 상부를 누르면 손잡이(10)와 고정구(16)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15)의 힘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손잡이(10)를 잡아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본체(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물쇠(22)를 회전시켜 열면 자물쇠(22)의 배면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회동판(23)이 본체(1) 배면 상부의 돌출부(6)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에서 손잡이(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9)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13)의 상부를 누르면 버튼(13)은 축을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판(12)이 고정핀(18)을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18)이 작동판(12)에 의하여 스프링(17)을 압착하면서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고정핀(18)이 돌출부(6)에 형성된 고정공(8)에서 이탈하게 되면 손잡이(10)와 고정구(16)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하여 고정구(16)의 장공(14) 길이만큼 손잡이(10)가 전면으로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0)가 돌출하게 되면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10)를 잡고 회전시켜 손잡이(10)의 후미에 체결되어 있는 회동고정판(20)이 문틀에서 이탈되면서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돌출부(6)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홈(25)에 고정구(16)의 돌기(26)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10)가 90˚까지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문을 닫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10)를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체결홈(4)과 일직선상이 되게 회전시켜 문을 잠근 다음 손잡이(10)를 밀면 손잡이(10)는 고정구(16)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15)을 압착하면서 본체(1)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핀(18)이 돌출부(6)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8)에 이르게 되면 고정핀(18)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17)에 의하여 고정핀(18)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어 손잡이(10)가 고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고정핀(18)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면 고정핀(18)에 체결되어 있는 버튼(13)의 작동판(12)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버튼(13)이 손잡이(10)의 외부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잠금장치부(3)에 체결되어 있는 자물쇠(22)를 잠그면 자물쇠(22)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고정구(23)가 상부로 회전하면서 돌출부(6)의 장공(9)을 통하여 손잡이(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9)에 고정되므로서 버튼(13)을 잘못 눌렀을때 손잡이(1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와 자물쇠를 일체로 설치하고 자물쇠를 풀 경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문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구가 회전되면서 문이 열리도록 구성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손쉽고 손잡이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하여 제품의 품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자물쇠 본체에 손잡이가 전면으로 수평 이동되어 돌출되고 이 손잡이를 회전시켜 개폐되는 개폐장치부를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본체(1)의 배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6)(7)를 형성하여 고정너트(21)로서 문에 고정되게 하되 돌출부(6)의 중간부에는 수직의 고정공(8)을 형성하며 그 하단 일측에는 장공(9)을 형성하여 손잡이(10)를 체결하고, 손잡이(10)의 정면에는 수직으로 직사각의 장공(11)을 형성하여 작동판(12)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13)을 삽입 체결하며, 후미에는 수평으로 장공(14)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스프링(15)이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16)를 삽입 체결하되 손잡이(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8')에서 스프링(17)이 체결되어 있는 고정핀(18)을 삽입 체결하고, 손잡이(10)의 중간부에는 고정홈(19)을 형성하며 손잡이(10)의 타측에는 고정 회동판(20)을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의 끝단부에는 단턱부(24)가 형성된 90˚의 반원형 유동홈(25)을 형성하고 손잡이(10)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16)의 후미에는 돌기(26)를 형성하여 반원형의 유동홈(25)에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KR2019950006508U 1995-04-01 1995-04-01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KR0125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508U KR0125182Y1 (ko) 1995-04-01 1995-04-01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508U KR0125182Y1 (ko) 1995-04-01 1995-04-01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01U KR960034801U (ko) 1996-11-21
KR0125182Y1 true KR0125182Y1 (ko) 1998-12-01

Family

ID=1941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508U KR0125182Y1 (ko) 1995-04-01 1995-04-01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1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01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9879Y2 (ja) 引き出し付収納庫
KR0125182Y1 (ko) 손잡이가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문 개폐장치
KR200181526Y1 (ko) 배전반용 핸들의 걸림구조
KR900002189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에 장착한 보턴(Button) 장치
CN218893858U (zh) 洗衣机主控板模块及洗衣机
JPH074768Y2 (ja) 容器の蓋体止着装置
JPH07305945A (ja) 貯蔵庫の扉開閉装置
JPH0131112Y2 (ko)
JP4288867B2 (ja) 回路しゃ断器
KR200176782Y1 (ko) 일체형 콤팩트 용기
KR200189387Y1 (ko) 도어 잠금장치
KR940006488Y1 (ko) 잠금 장치의 푸시버튼 결합구조
KR950005204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 도어 수납장치
JP3252143B2 (ja) 引扉用ラッチ装置
JPH08107809A (ja) 化粧品容器
JPH08191713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152268Y1 (ko) 자물쇠 겸용 손잡이
KR910002923Y1 (ko) 케비넷 도어의 개페장치
JPS6448074U (ko)
KR0120868Y1 (ko) 레이저 프린터의 커버개폐장치
KR890001953Y1 (ko) 다기능 풋쉬 노브
KR940004118Y1 (ko) 중, 대형 컴퓨터의 후면판넬 개폐장치
KR960004856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200150793Y1 (ko) 도어 록 장치
KR940001726Y1 (ko) 콤팩트 뚜껑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