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387Y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387Y1
KR200189387Y1 KR2020000004099U KR20000004099U KR200189387Y1 KR 200189387 Y1 KR200189387 Y1 KR 200189387Y1 KR 2020000004099 U KR2020000004099 U KR 2020000004099U KR 20000004099 U KR20000004099 U KR 20000004099U KR 200189387 Y1 KR200189387 Y1 KR 200189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pulling
hous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Original Assignee
한국마이크로닉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마이크로닉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마이크로닉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4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매우 단순한 구성을 이용하여 당김부재를 당김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는 동시에 도어가 개방되고 문을 가볍게 밀어줌으로써 다시 잠기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도어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면부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삽입 결합되며, 전면부가 함몰 형성되고 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자물쇠 몸체와, 자물쇠 몸체의 함몰된 전면부에 삽입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상기 전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당김부재와,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를 잠그기 위한 걸림쇠를 구비하며 내측 소정 위치에 당김부재의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대각선 가이드를 구비한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록킹부재는 도어 잠금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당김부재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당김부재를 당길 때 돌출부가 록킹부재의 대각선 가이드를 밀어냄으로써 록킹부재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당김부재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매우 단순한 구성을 이용하여 당김부재를 당김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는 동시에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물쇠라 불리며 지금까지 수많은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열쇠나 카드 등을 사용하여 잠금을 해제한 후 손잡이를 돌리거나 잠금 해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 잠금장치는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과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이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두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이에 따른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했다.
특히, 누름버튼에 의해 잠금장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당겨 도어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누름버튼이 노후하여 부드럽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 누르는 손가락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잠금 해제수단과 손잡이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자물쇠를 설치한 후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잠금장치를 스치듯 지나가는 사람의 옷이나 피부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어 구조적으로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손잡이를 잠금장치 내부에 내설하고 누름버튼을 누름으로써 손잡이가 잠금장치 외부로 돌출하게 한 후, 사용자가 돌출된 손잡이를 손으로 당겨 도어를 개방하는 장치가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는 외관이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고 손잡이를 당기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상 편리함을 추구하지는 못했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어를 잠글 때에도 도어를 닫는 과정과 잠금 레버를 눌러 도어를 잠그는 두 가지 동작을 병행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도 잠금을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을 단 한번의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문을 가볍게 밀어줌으로써 손쉽게 도어를 잠글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다양한 색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외관 또한 미려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고정하는 걸림쇠를 구비한 록킹수단과,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당김수단은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걸림쇠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동시에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면부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결합되며, 전면부가 함몰 형성되고 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자물쇠 몸체와, 상기 자물쇠 몸체의 함몰된 전면부에 삽입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상기 전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당김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를 잠그기 위한 걸림쇠를 구비하며, 내측 소정 위치에 상기 당김수단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대각선 가이드를 구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을 도어 잠금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당김수단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당김수단을 당길 때 상기 당김수단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록킹수단의 상기 대각선 가이드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록킹수단이 타측으로 이동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당김수단은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당김수단을 상기 자물쇠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키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수단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가 도어 잠금 상태에 있는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상태로 변화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하우징 부분과 자물쇠 부분으로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당김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록킹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하우징을 벗겨낸 자물쇠부분을 뒤편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자물쇠 몸체
30: 당김부재 33: 돌출부
40: 록킹부재 42: 걸림쇠
44: 대각선 가이드 46: 스프링
50: 키 메커니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가 도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와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개략적으로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면부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삽입 결합되며, 전면부가 함몰 형성되고 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자물쇠 몸체(20)와, 자물쇠 몸체(20)의 함몰된 전면부에 삽입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상기 전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에서 하우징(10)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당김부재(30)와, 하우징(10)의 개방된 후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를 잠그기 위한 걸림쇠(42)를 구비하며 내측 소정 위치에서 당김부재(30)의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대각선 가이드를 구비한 록킹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는 당김부재(30)를 자물쇠 몸체(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키 메커니즘(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2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대략 직사면체로 형성되며, 전면부가 개방되어 그 속에 자물쇠 몸체(20)가 삽입된다. 자물쇠 몸체(20) 또한 대체적으로 하우징(10)에 상응하는 직사면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0) 내에 삽입되어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 전체를 덮게 된다.
자물쇠 몸체(20)는 전면이 내부로 움푹하게 함몰된 리세스가 형성되어, 리세스 내에 당김부재(30)가 형성된다. 당김부재(30)는 평상시에 자물쇠 몸체(20)의 리세스 내에 삽입되어 전면으로 돌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자물쇠 몸체(2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당김부재(30)는 또한 손가락 등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부가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는 고리 형태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1)로 손가락을 넣은 상태에서 고리형태의 하부(32)를 당김으로써 당김부재(30)를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당김부재(30)의 고리부분은 손가락이 잘 걸릴 수 있도록 안쪽으로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 벽측에 걸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당김부재(30)는 소정 위치에서 자물쇠 몸체(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연결부(34)는 상단에서 약간 이격된 위치가 가장 적당하며, 이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당김부재(30)의 상단에는 소정 형상의 돌출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3)는 당김부재(30)를 바깥쪽으로 당길 때 연결부(34)를 중심으로 대략 호선을 그리며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돌출부(33)의 단부는 둥그런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김부재(30)는 록킹부재(40)와 연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록킹부재(4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후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하여 하우징(10) 바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록킹부재(40)의 일측에는 도어에 걸려 잠금 상태를 만들기 위한 걸림쇠(42)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당김부재(30)의 돌출부(33)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대각선 가이드(44)를 구비한다.
당김부재(30)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당김부재(30)의 돌출부(33)는 대각선 가이드(44)의 상부측과 접촉한 상태에 있으며, 당김부재(30)를 당김에 따라 돌출부(33)가 동일한 수직위치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대각선 가이드(44)가 일측으로 밀리게 된다. 대각선 가이드(44)가 일측으로 밀림에 따라서 록킹부재(40)가 전체적으로 이동하여 걸림쇠(42)는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걸림쇠(42)에 걸려있던 문과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록킹부재(40)의 대각선 가이드(44)는 당김부재(30)의 돌출부(33)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돌출부(33)의 폭을 감안하여 돌출부(33)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는 최소한의 폭을 가진 평행사변형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 대각선 가이드(44)의 경사진 한 변은 당김부재(30)를 당길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3)에 의해서 밀리게 되며, 다른 한 변은 당겨진 당김부재(30)의 당기는 힘을 제거했을 때 돌출부(33)를 밀어내어 당김부재(30)가 제자리로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를 위해서 록킹부재(4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6)에 의해서 걸림쇠(42)를 바깥측, 즉 도어를 잠그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탄성부재(46)를 설명하면, 자물쇠 몸체(20)의 후면에 설치된 탄성부재(46)는 일단부가 자물쇠 몸체(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록킹부재(40)에 고정된다. 탄성부재(46)의 일단부를 자물쇠 몸체(20)에 고정하기 위해서 자물쇠 몸체(20)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편(49)이 형성되며, 고정편(49)은 탄성부재(46)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6)의 주위에는 탄성부재(46)보다 약간 높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46)가 다른 부품에 의해 눌리거나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턱(4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탄성부재(46)는 단지 일례에 불과한 것이며, 동등한 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키 메커니즘(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키 메커니즘(50)은 당김부재(3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동일한 효과를 가진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서 구비한 키 메커니즘(50)은 당김부재(30)의 전방에 형성된 키 삽입부(51)와, 당김부재(30)의 후방에 형성되어 삽입부(51)에 삽입한 키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좌우로 회전하는 걸림편(54)으로 구성되며, 걸림편(54)은 피봇(56)에 의해 당김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편(54)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놓여 있으나, 키를 작동하여 잠금 상태로 바뀌게 되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물쇠 몸체(20)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키홀(42)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서 당김부재(3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4, 26은 하우징(10)을 자물쇠 몸체(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종래의 금속성 잠금장치가 주는 딱딱한 느낌을 없애고,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물쇠에 패션을 가미하여 미려한 외관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유행에 민감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심미적인 만족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단지 당김부재(30)를 당기게 된다. 당김부재(30)가 당겨지면 당김부재(30)에 형성된 돌출부(33)가 호선을 그리며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하부로 이동하는 돌출부(33)는 록킹부재(40)에 형성된 대각선 가이드(44)를 일측으로 밀어내며, 그에 따라 록킹부재(40)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걸림쇠(42)가 도어를 잠금 해제된다. 따라서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당김부재(30)를 당기는 힘은 지속적으로 도어 자체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취해야 할 특별한 행동은 없다.
따라서, 단 한번의 동작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되고 동시에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사람이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김부재(30)에 설치된 키 메커니즘(50)을 이용하여 당김부재(30)를 고정시키면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는 매우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단 한번의 동작으로 잠금을 해제하고 동시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잠그는 과정에서도 이전에 도어를 닫고 잠그는 두 가지 과정을 수행하는 것에서, 단지 도어를 밀어주기만 해도 도어의 닫힘 및 잠금과정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다양한 색상을 가미할 수 있으므로, 심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자물쇠에도 다양한 패션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록 여기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5)

  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고정하는 걸림쇠를 구비한 록킹수단과,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당김수단은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걸림쇠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동시에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의 움직임을 고정시켜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키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면부의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결합되며, 전면부가 함몰 형성되고 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자물쇠 몸체와,
    상기 자물쇠 몸체의 함몰된 전면부에 삽입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상기 전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당김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를 잠그기 위한 걸림쇠를 구비하며, 내측 소정 위치에 상기 당김수단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대각선 가이드를 구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을 도어 잠금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당김수단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당김수단을 당길 때 상기 당김수단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록킹수단의 상기 대각선 가이드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록킹수단이 타측으로 이동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당김수단은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을 상기 자물쇠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키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단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00004099U 2000-02-16 2000-02-16 도어 잠금장치 KR200189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099U KR200189387Y1 (ko) 2000-02-16 2000-02-16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099U KR200189387Y1 (ko) 2000-02-16 2000-02-16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387Y1 true KR200189387Y1 (ko) 2000-07-15

Family

ID=1964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099U KR200189387Y1 (ko) 2000-02-16 2000-02-16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3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835B2 (en) Object storing case of a motorcycle
US4884419A (en) Interlockable lock
US7299809B2 (en) Dishwasher having a lock with an elastic coupling
JP3229296B2 (ja) 南京錠
US6016675A (en) Retaining device provided with lock
GB2292584A (en) Fastener for a large plastic suitcase
JPS63192402A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錠装置
KR100575157B1 (ko) 컴퓨터
KR200189387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US3390556A (en) Luggage locks
US6079239A (en) Tamperproof lock
CN112049529A (zh) 一种储物柜锁具
KR10212179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CN210581343U (zh) 具有双扳钮式锁具之箱体
KR101958184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196768Y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로킹장치
KR0117533Y1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키
KR100415053B1 (ko) 도어록 장치
KR200235240Y1 (ko) 장식품 케이스의 잠금장치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200152300Y1 (ko) 튜블라형 도어록에 있어서 내부측 레바작동에 의한 잠금 해제장치
KR200367910Y1 (ko) 걸고리
KR960001231Y1 (ko) 매립형 손잡이겸 자물쇠
KR200257421Y1 (ko) 보조키가 수납되는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