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910Y1 - 걸고리 - Google Patents

걸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910Y1
KR200367910Y1 KR20-2004-0023025U KR20040023025U KR200367910Y1 KR 200367910 Y1 KR200367910 Y1 KR 200367910Y1 KR 20040023025 U KR20040023025 U KR 20040023025U KR 200367910 Y1 KR200367910 Y1 KR 200367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ook
ring
open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만호
Original Assignee
경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만호 filed Critical 경만호
Priority to KR20-2004-0023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 끈이나 기타 끈, 고리와의 연결을 위한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갈고리형상의 선단부와 안내홈이 형성되는 후단부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안내홈에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전후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방에 개폐부, 중간에 손잡이부, 후방에 꼬리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된 몸체의 후단부 안내홈에 핀으로 결합되는 고정마개; 상기 고정마개와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고정마개의 외주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와 연결되어 가방 끈이나 띠나 장식물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회전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직선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 등을 이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가 벌어지거나 회동하면서 자연 분리되어 끈이나 기타 장식물 등을 분실하게 되거나, 절도범의 손쉬운 조작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걸고리{Hook}
본 고안은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 끈이나 기타 끈, 고리와의 연결을 위한 걸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이나 의류나 지갑이나 열쇠고리나 등산용품, 장신구 등에는 끈과 고리를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걸고리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걸고리는, 갈고리모양의 선단부를 갖고, 그 선단부에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걸림쇠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였다.
즉, 사용자는 가방 등에 형성된 고리에 상기 갈고리모양의 선단부를 걸고, 상기 걸림쇠를 이용하여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끈이나 기타 걸고리에 연결된 장식물 등이 상기 고리에 걸려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걸림쇠를 이동시켜서 개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고리로부터 끈이나 기타 걸고리에 연결된 장식물을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걸고리는, 그 걸림쇠의 구조가 단순 스프링에 의한 회전방식이거나 상기 걸림쇠에 손잡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엄지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동작 등의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걸고리에 회전형 스프링을 걸어 넣는 조립방식 등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서 매우 번거롭고, 구조적으로 금속물림방법을 사용하는 등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걸고리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리의 움직임에 의한 자연 간섭이나 기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걸림쇠가 벌어지거나 회동하면서 자연 분리되어 끈이나 기타 장식물 등을 분실하게 되거나, 절도범의 손쉬운 조작에 의하여 쉽게 도난 당하는 등 안전장치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직선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 등을 이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걸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가 벌어지거나 회동하면서 자연 분리되어 끈이나 기타 장식물 등을 분실하게 되거나, 절도범의 손쉬운 조작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걸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잠금 상태이다.
도 5는 도 3의 열림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0: 몸체 101: 선단부
102: 후단부 103: 안내홈
104: 개구 12: 슬라이더
121: 삽입부 122: 개폐부
123: 손잡이부 124: 꼬리부
14: 고정마개 141: 핀
16: 탄성스프링 18: 회전고리
181: 링부 182: 고리부
183: 돌기 184: 홈
185: 요철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걸고리는, 가방 끈이나 기타 끈, 고리와의 연결을 위한 걸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갈고리형상의 선단부와 안내홈이 형성되는 후단부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안내홈에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전후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방에 개폐부, 중간에 손잡이부, 후방에 꼬리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된 몸체의 후단부 안내홈에 핀으로 결합되는 고정마개; 상기 고정마개와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고정마개의 외주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와 연결되어 가방 끈이나 띠나 장식물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회전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슬라이더의 꼬리부가 상기 회전고리의 회전각도에 의해 특정 각도에서는 후진이 불가능하여 상기 몸체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의 개구를 개방할 수 없고, 다른 특정 각도에서는 후진이 가능하여 상기 몸체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고리의 링부의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꼬리부와 각도에 따라 간섭되는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는, 가방이나 의류나 지갑이나 열쇠고리나 등산용품, 장신구 등에는 끈과 고리를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걸고리로서, 크게 몸체(10)와, 슬라이더(12)와, 고정마개(14)와, 탄성스프링(16) 및 회전고리(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와 안내홈(103)이 형성되는 후단부(10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일측에는 가방의 고리(도시하지 않음)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104)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2)는, 상기 몸체(10)의 안내홈(103)에 삽입부(121)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10)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전후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방에 개폐부(122), 중간에 손잡이부(123), 후방에 꼬리부(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안내홈(10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10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폐부(122)는, 상기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가로지르는 기둥 형상이며, 상기 손잡이부(123)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기 용이하도록 줄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꼬리부(124)는 상기 슬라이더(12)의 전후진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더(12)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마개(14)는, 상기 슬라이더(12)가 삽입된 몸체(10)의 후단부(102) 안내홈(103)에 관통홀(142)을 관통하는 핀(141)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탄성스프링(16)은, 상기 고정마개(14)와 슬라이더(1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2)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고리(18)는, 링부(181)와 고리부(18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링부(181)는, 상기 고정마개(14)의 외주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182)는, 상기 링부(181)와 연결되어 가방 끈이나 띠나 장식물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걸고리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슬라이더(12)의 손잡이부(123)를 후진시키면, 상기 몸체(10)의 개구(104)가 개방되고, 개방된 개구(104)로 가방의 고리 등을 삽입한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23)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2)가 상기 탄성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몸체(10)의 개구(104)를 폐쇄하여 본 고안의 걸고리를 가방 고리 등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고, 다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슬라이더(12)의 손잡이부(123)를 후진시키면, 상기 몸체(10)의 개구(104)가 개방되어 가방의 고리로부터 본 고안의 걸고리를 해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고리(18)는 회전이 자유로워서 가방 끈이 얽히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직선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 등을 이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2)의 꼬리부(124)가 상기 회전고리(18)의 회전각도에 의해 특정 각도에서는 후진이 불가능하여 상기 몸체(10)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개방할 수 없고, 다른 특정 각도에서는 후진이 가능하여 상기 몸체(10)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고리(18)의 링부(181)의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더(12)의 꼬리부(124)와 상기 회전고리(18)의 각도에 따라 간섭되는 돌기(183)와 홈(184)으로 이루어지는 요철면(18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고리(18)가 특정 각도인 경우, 상기 요철면(185)의 돌기(183)가 상기 꼬리부(124)의 진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12)의 후진을 방해하여 상기 몸체(10)의 개구(104)가 폐쇄되도록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고리(18)가 다른 특정 각도인 경우, 상기 요철면(185)의 홈(184)이 상기 꼬리부(124)의 진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12)의 후진을 방해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상기 몸체(10)의 개구(104)를 개방할 수 있게 하는 등 상기 회전고리(18)의 요철면(185)이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가 후진되기 어려워서 걸고리가 자연 분리되거나 끈이나 기타 장식물 등을 분실이나 절도범의 손쉬운 조작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걸고리에 의하면, 직선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 등을 이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가 벌어지거나 회동하면서 자연 분리되어 끈이나 기타 장식물 등을 분실하게 되거나, 절도범의 손쉬운 조작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가방 끈이나 기타 끈, 고리와의 연결을 위한 걸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와 안내홈(103)이 형성되는 후단부(102)로 이루어지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안내홈(103)에 삽입부(121)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10)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전후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방에 개폐부(122), 중간에 손잡이부(123), 후방에 꼬리부(124)가 형성되는 슬라이더(12);
    상기 슬라이더(12)가 삽입된 몸체(10)의 후단부(102) 안내홈(103)에 핀(141)으로 결합되는 고정마개(14);
    상기 고정마개(14)와 슬라이더(1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2)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6); 및
    상기 고정마개(14)의 외주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링부(181)와, 상기 링부(181)와 연결되어 가방 끈이나 띠나 장식물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부(182)로 이루어지는 회전고리(1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2)의 꼬리부(124)가 상기 회전고리(18)의 회전각도에 의해특정 각도에서는 후진이 불가능하여 상기 몸체(10)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개방할 수 없고, 다른 특정 각도에서는 후진이 가능하여 상기 몸체(10)의 갈고리형상의 선단부(101)의 개구(104)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고리(18)의 링부(181)의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더(12)의 꼬리부(124)와 회전각도에 따라 간섭되는 요철면(18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
KR20-2004-0023025U 2004-08-12 2004-08-12 걸고리 KR200367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25U KR200367910Y1 (ko) 2004-08-12 2004-08-12 걸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25U KR200367910Y1 (ko) 2004-08-12 2004-08-12 걸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910Y1 true KR200367910Y1 (ko) 2004-11-17

Family

ID=4944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025U KR200367910Y1 (ko) 2004-08-12 2004-08-12 걸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9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18B1 (ko) 2015-12-15 2016-03-31 강진호 고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18B1 (ko) 2015-12-15 2016-03-31 강진호 고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96619B2 (en) Interlocking zipper pull tabs and fastening system
JP5782047B2 (ja) 解放可能な取付け装置
US6237756B1 (en) Key storage device
US5586374A (en) Clasp mechanism
TW201238518A (en) Lockable carrying bag strap buckle
US20100206017A1 (en) Safety handcuffs designed to facilitate the handcuffing of an individual
US20150101364A1 (en) Jewel Shall Clasp Protector
US3465543A (en) Openable finger ring with pivoted locking element
US3956805A (en) Strap clip
US6553636B1 (en) Jewelry clamp
KR200367910Y1 (ko) 걸고리
CN107485130B (zh) 用于拉链的灵动拉头及其应用的拉链
US4193278A (en) Locked key ring
US4932230A (en) Key holder
US5642558A (en) Jewelry clasp
CN107874390B (zh) 一种方便佩戴手镯且防止掉落的装置
JP2514755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用スライダ―
CN107811360B (zh) 一种防止手腕饰品掉落的手环
KR101048183B1 (ko) 걸이형 체결구
CN107811361B (zh) 一种帮助佩戴饰品的工具
CN113677234B (zh) 系绳紧固件
KR200214381Y1 (ko) 스틱 홀더
KR200201877Y1 (ko) 장식구 체결용 회전버클
KR200189387Y1 (ko) 도어 잠금장치
KR970005447Y1 (ko) 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