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136Y1 -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 Google Patents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136Y1
KR0124136Y1 KR2019950029245U KR19950029245U KR0124136Y1 KR 0124136 Y1 KR0124136 Y1 KR 0124136Y1 KR 2019950029245 U KR2019950029245 U KR 2019950029245U KR 19950029245 U KR19950029245 U KR 19950029245U KR 0124136 Y1 KR0124136 Y1 KR 0124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lower
support
po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798U (ko
Inventor
이소일
Original Assignee
이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일 filed Critical 이소일
Priority to KR2019950029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136Y1/ko
Publication of KR970015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본인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83464호 및 제87691호처럼된 형식의 화분받침대를 구성하는데 있어 본 고안에서는 종래처럼 꽃을 직접 화분받침대 본체에 꽂아 장설하지 않고 대신 통상의 꽃바구니에 꽃을 담아 이를 걸어서 사용케하고져하는 것으로 본 원의 목적은 외관미는 종래와 동일케되지만 특히 종래의 결점이었던 화분받침대의 이동등 취급할때의 여러 문제점 해결 및 이 화분받침대를 소기의 목적대로 다 사용하고 난후의 뒷처리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져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은 화분받침대의 지주에 부착시킬 걸고리를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분해 입체도
제2도의 (a) (b)는 이 고안의 한 중요부분을 앞뒷면에서 본 입체도
제3도는 이 고안의 한 중요 부분을 부분적으로 끊어서 본 정면도
제4도는 이 고안의 한 중요 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제5도는 제3도 (a)∼(a)선을 끊어서 본 도면
제6도는 이 고안의 실시 상태를 보인 입체도
제7도는 이전것의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끼움구멍 6,6':물림용잇빨
3:걸고리 7:볼록이
4:걸림부 8:오목부분
5:물림부
이 고안은 이 출원인이 이미 등록시킨 실용신안등록 제83464호와 제87691호 등으로 제7도와 같은 외형 분위기의 화분받침대를 꾸미는 것에 있어서 이 고안에서는 이전처럼 꽃을 화분받침대 몸체에 직접 꽃아 장식케하지 않고 대신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꽃바구니에 꽃을 장식시켜 이를 화분받침대에 걸어서 사용케 하고저 하는 것으로 이의 목적은 꽃을 꾸며놓은 겉모양등은 이전것과 같지만 여러면으로 편리한 효과를 얻고 또 한번 썼던 꽃이나 부품등을 다시 쉽게 쓸 수 있도록 하고저 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앞에 말한 것처럼 꽃을 화분받침대 몸체에 직접 꽂아 장식시키도록 하고저 꽃받침판 (A) 2∼3개를 화분받침대 몸체에 움직여지지 않토록 붙여놓고 그 위에 오아시스라고 하는 흡습편(B)을 붙들어 매어서 이 흡습편(B)에 꽃을 꽂아 장식시켜 왔던 것으로 이의 결과 꽃은 화분받침대 몸체와 서로 붙여지게 되는 것이어서 따라서 이 화분받침대는 꽂아놓은 꽃의 외형 부피 때문에 키가 2m쯤, 폭도 1m쯤, 무게는 20kg이 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같이 부피가 커졌고 무겁게 된 화분받침대를 이동시키거나 운송하려할때는 특히 장식시켜 놓은 꽃이 다쳐질까봐 도리없이 필요 이상의 인원과 시간 및 경비등을 써야했던 것이고 또한 이는 한번 사용하고난 다음에는 이에 장식시켰던 꽃이나 부품의 경우 인건비등을 따질때 다시 빼내서 쓰지 못하고 그대로 내버려왔던 것으로 자원의 낭비는 물론 쓰레기 공해를 일으키는 한 원인도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이 굳이 화분받침대 몸체에 꽃을 직접 꽂아 장식시켜 왔던 까닭은 원래 화분받침대를 최초 만들어 낼때부터 시행하여온 단순 관행헤 따른 것뿐으로서, 그러나 이는 도저히 결점이 많아 이를 해결코저 하는 것인바 이 고안에 의하면 화분받침대 몸체는 단순히 길이가 길거나 짧은 기둥 하나만 세워지게 하고 꽃받침판(A)은 물론 만들지도 않으며 대신 꽃바구니를 걸 수 있는 걸고리를 만들어 이를 화분받침대의 몸체에 붙이도록하는 것이다.
다음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꽃바구니에 꽃을 담아 장식하는데 물론 꽃바구니에는 흡습편을 넣어놓고 이 흡습편에 알맞은 양의 꽃과 알맞는 분위기로 꽃을 장식케하는 것으로 일단 이 꽃바구니와 화분받침대 몸체를 사용 현장까지 각기 갖고와 이곳에서 꽃바구니를 화분받침대 몸체에 붙여놓은 걸고리에 걸면 되는 것인바 걸쳐놓은 상태를 볼 경우 원래 꽃바구니에 장식시켜 놓은 꽃잎사귀등은 아래로 쳐져 내려오게 되므로 이에 의하여 꽃바구니 몸체가 가리워져 않보이게 되는 것으로서 결코 이전것과 따져서 품위 등 면으로 전연 차이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고안은 우선 이동 또는 운송하려할시 결코 화분받침대 몸체와 꽃바구니를 따로 분리하여 각기 취급케하는 것인 이상 부피와 무게 때문에 이전 고안처럼 여러명의 인원과 시간, 그리고 경비를 쓸 필요가 없는 것이고 또 일단 사용을 마친 경우는 꽃바구니를 화분받침대 몸체로부터 벗겨 들고가서 별도의 장식용으로 쓰던가 또는 같은 용도로 다시 쓸 수 있는 한편 화분받침대 몸체도 그대로 들고갈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 또는 부품을 빼어서 부품만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분받침대의 몸체에는 이전과 같이 삼발이 또는 같은 기능의 받침을 붙이는 것이고 지주(1)는 쇠파이프 또는 목제 축이어도 상관은 없으나 단, 단면이 둥글게된 목재축은 않되는 것이다.
일단 이와같은 지주(1)로서 이전과 같이 대략 수직상태로 세워 놓는 것으로 이에는 적당한 거리마다 끼움구멍(2)를 뚫어 놓는 것이다.
다음 걸고리(3)를 만드는데 이는 합성수지재로 만들면서 걸림부(4)와 물림부(5)로 구별되게 만드는 것으로서 물림부(5)의 입구측에는 물림용 잇빨(6)(6')을 만들어서 이후 이에 물려지는 지주(1)가 쉬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한편 물림부(5)의 안쪽면에는 오목부분(8)을 가진 볼록이(7)를 만들므로 된 것이다.
다만, 물림용 잇빨(6)(6')은 아래 위쪽 두군데를 만들어도 되고 한쪽으로만 만들어도 되는 것이며 그 잇빨의 형태를 제4도 또는 제5도중 아무 형태로 해도 되는 것이다. 한편 걸고리(3)의 물림부(5) 형태는 지주(1)의 단면 상태에 따라 4각 또는 둥근모양으로 하는데 단 둥근모양으로 할때는 물림용 잇빨(6)(6')을 만들지 않는 대신 볼록이(7) 밑의 오목부분(8)은 보다 깊이 만드는 것이다. 도면중 설명이 빠진 (9)는 꽃바구니이고 (10)은 장식해 놓은 꽃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이건 고안의 움직임 상태와 그 효과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분받침대의 지주(1)에 걸고리(3)를 붙여야하는데 붙이는 방법은 지주(1)에게로 걸고리(3)의 물림부(5) 입구를 갖다대고 걸고리(3)를 밀면 이 물림부(5) 입구에 형성시킨 물림용 잇빨(6)(6')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지주(1)가 물림부(5)에 물려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그러나, 물림부(5)의 안쪽벽면에 튀어나오게 만들 볼록이(7)가 지주(1)의 끼움구멍(2)속으로 끼워져 들어가야 물림부(5)는 지주(1)를 완전히 물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걸고리(3)를 지주(1)에게로 밀면서 아래위쪽으로 이 걸고리(3)를 움직여 주어야 하는 것인바 이의 과정에서 볼록이(7)이 끼움구멍(2)에 걸려지면 걸고리(3)를 다시 더욱 지주(1)에게로 밀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볼록이(7)가 이 끼움구멍(2)속으로 끼워져 들어갈때면 이는 곧 지주(1)가 물림부(5)의 속으로 물려져 들어가는 결과가 되는 것이므로 결국 지주(1)는 제3도∼제5도처럼 물림용 잇빨(6)(6')안에 위치케 되는 것으로서 물림용 잇빨(6)(6')을 다시 서로 벌리지 않는한 지주(1)는 걸고리(3)의 물림부(5)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고 또 볼록이(7)가 끼움구멍(2)속에 끼워진 이상 걸고리(3)가 지주(1)로부터 아래 위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위와같이 구성시킨 화분받침대 몸체와 별도로 장식시킨 꽃바구니(9)를 사용 현장까지 각기 갖고가서 화분받침대 몸체의 일부인 걸고리(3)의 걸림부(4)에 꽃바구니(9)를 걸치는데 이와같이 할 경우 물론 걸고리(3)는 꽃바구니(9)로부터 무게를 받지만 물림부(5)에 붙여놓은 볼록이(7)가 지주(1)의 끼움구멍(2)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걸고리(3)가 지주(1)로부터 아래로 기어내려오지 못하게 되고 또 물림용 잇빨(6)(6')이 지주(1)를 물고 있는 한편 볼록이(7) 밑의 오목부분(8)이 지주(1)의 끼움구멍(2) 언저리를 걸고 있으므로 결코 걸고리(3)가 지주(1)로부터 빠지는등 벗겨지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상태가 제3도∼제5도인 것이다.
한편, 만약 지주(1)를 4각으로된 목재축으로 할 경우는 위 설명중 다만 볼록이(7)의 오목부분(8)만 제기능을 못할 뿐 다른 것은 모두 제 기능을 완벽히 하는 것이므로 지주(1)로부터 걸고리(3)가 빠지는등 일이 없게 되고 또 지주(1)를 둥근 쇠파이프로 하였을 경우는 위 설명에서 물림용 잇빨(6)(6')만 제기능을 못하는 대신 볼록이(7) 밑의 오목부분(8)은 지주(1)의 끼움구멍(2) 언저리를 걸 수 있기 때문에 역시 위와같이 지주(1)로부터 걸고리(3)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일단 이와같이 지주(1)에 꽃바구니(9)를 걸어놓은 상태를 보면 앞에서 말한 것처럼 꽃바구니(9)에 담아놓은 꽃 잎사귀등이 아래로 쳐져 내려와서 꽃바구니(9) 몸체를 가리워주므로 꽃바구니 몸체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고 또 꽃바구니의 경우도 아랫측의 것과 윗측의 것을 따로 알맞은 분위기로 담아 놓으면 결코 이전의 것과 품위면에서 못한 것이 없는 한편 끈으로 꽃바구니(9)를 지주(1)에 대충 붙들어 맬 경우 꽃바구니(9)가 지주(1)로부터 흔들리는 등 움직여지지도 않는 것이다. 이와같은 이 건 고안은 화분받침대 몸체와 꽃바구니를 각기 따로 취급케하는 것이어서 앞머리에서 말한 것처럼 이동 하려할때나 운송시키려 할씨 이전처럼 여러 사람을 동원하여 많은 시간과 많은 경비등을 쓸 필요가 없게되는 한편 사용을 마친후의 경우는 꽃바구니(9)를 지주(1)의 걸고리(3)로부터 벗기면 처음과 같이 화분받침대 몸체만 남게되는 것으로 꽃바구니(9)의 경우 이는 원래 그 속에 흡습편(B)를 넣어서 꽃을 담아 놓은 것이므로 그대로 들고가서 별도의 장식용으로도 쓸 수 있고 또 혹 버릴 경우도 각자 버려서 주위 환경을 지저분케하지 않는 동시에 화훼업자의 경우 다시 쉽게 가져갈 수 있어서 같은 용도로 다시 쓸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고안은 물론 걸고리(3)를 지주(1)에 붙여놓는 것으로 그칠뿐이나 혹 벗겨내려 할시는 위의 반대 방법으로 즉 걸고리(3)를 지주(1)로부터 약간 치켜 들어 볼록이(7) 밑의 오목부분(8)으로 하여금 그동안 걸고있던 지주의 끼움구멍(2) 언저리를 놓게 하고 다음 걸고리의 좌우측 물림용 잇빨(6)(6')을 서로 벌려서 역시 그동안 물고있던 지주(1)의 양측 모서리를 놓게하는 것으로서 이후 걸고리(3)를 지주(1)로부터 당기면 물림용 잇빨(6)(6')은 지주(1)의 양 측벽면으로 올라타서 슬립을 하다가 지주(1)로부터 완전히 벗겨지는 것이고 볼록이(7)는 끼움구멍(2)에서 빠져나와 결국 서로간에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이 고안은 일단 꽃을 화분받침대 몸체에 직접 꽂아 설치케하지 않고 요즘 널리 쓰이고 있는 꽃바구니(9)를 단, 걸었다 벗겼다 하도록 하므로 이에 따른 이전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케한 효과를 가진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화분받침대의 지주(1)에는 끼움구멍(2)을 뚫어놓고 별도로 걸고리(3)를 만드는데 이는 걸림부(4)와 물림부(5)로 구성되게 하면서 물림부(5)에는 오목부분(8)을 가진 볼록이(7)와 물림용잇빨(6)(6')을 만들어서 된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KR2019950029245U 1995-10-16 1995-10-16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KR0124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245U KR0124136Y1 (ko) 1995-10-16 1995-10-16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245U KR0124136Y1 (ko) 1995-10-16 1995-10-16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98U KR970015798U (ko) 1997-05-23
KR0124136Y1 true KR0124136Y1 (ko) 1999-02-01

Family

ID=1942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245U KR0124136Y1 (ko) 1995-10-16 1995-10-16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412A (ko) * 2016-04-07 2017-10-17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412A (ko) * 2016-04-07 2017-10-17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98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4136Y1 (ko) 화분받침대에 꽃바구니 체착장치
US5586409A (en) Safety vases for umbrella tables
JP3755138B2 (ja) 花卉植栽構造
CN211631513U (zh) 一种多功能花园摆件
US6748697B1 (en) Plant over-watering protective drainage article
KR20130007485U (ko) 액자화분
US3401074A (en) Faucet camouflage
JPH0521643U (ja) 壁掛けプランタ
JPH0743284Y2 (ja) ベランダ等の美観保持具
JP2524763Y2 (ja) 転倒防止装置
KR20160002513U (ko) 여닫이문 벽걸이 정원
JP3083136U (ja) フラワーポット
KR900001143Y1 (ko) 화분
KR900005447Y1 (ko)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분받침대
JP3066191U (ja) 収納式ハンガ―
JP3031245U (ja) 植木鉢支持具及び植木鉢飾り台
CA2937477C (en) Artificial tree as fruit basket
JP3005460U (ja) 立体植木竹筒及び立体花壇
JP3056274U (ja) アクセサリーの取付具
JP3041229U (ja) 押し花装飾具
JP3184811U (ja) ツリー用収納箱
RU2090127C1 (ru) Ювел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женя"
CN206518395U (zh) 户外花瓶凳
USD243808S (en) Hanging container for potted plants
JP3012673U (ja) 植物鉢受け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