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884Y1 - 화장지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지 보관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884Y1
KR0123884Y1 KR2019950034792U KR19950034792U KR0123884Y1 KR 0123884 Y1 KR0123884 Y1 KR 0123884Y1 KR 2019950034792 U KR2019950034792 U KR 2019950034792U KR 19950034792 U KR19950034792 U KR 19950034792U KR 0123884 Y1 KR0123884 Y1 KR 0123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storage container
outlet
lid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775U (ko
Inventor
한용수
Original Assignee
문국현
유한킴벌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국현, 유한킴벌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국현
Priority to KR2019950034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884Y1/ko
Publication of KR970020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화장지 보관 용기(5)는 두개의 화장지 걸이(19,22) 및 각각의 화장지 걸이에 대응하는 배출구(24,25)를 구비하는 몸체(9)와 몸체(9)를 덮는 뚜껑(11)로 구성된다. 몸체(9)의 하부에는 화장지 걸이(19,22)에 대응하는 배출구(24,2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14)가 배치된다. 화장지 사용자는 먼저 선택된 화장지 걸이에 있는 화장지를 모두 사용한 후 다른 화장지 걸이에 대응하는 배출구를 열어 다른 하나의 화장지를 사용한다.

Description

화장지 보관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용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장지 보관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장지 보관 용기의 저변도.
제4도는 제1도의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화장지 보관 용기 9 : 몸체
11 : 뚜껑 14 : 덮개
15 : 열쇠 17 : 뒷판
19 : 제1화장지 걸이 22 : 제2화장지 걸이
24 : 제1배출구 25 : 제2배출구
30 : 벽 43 : 이동 방지판
47,57 : 걸림턱 63 : 절취 수단
본 고안은 화장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화장지를 한 번에 수납하여 이를 차례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중 화장실에는 변기가 있는 위치마다 화장지 걸이가 설치되어 있어, 관리인이 수시로 화장지 걸이에 화장지가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화장지가 없는 경우 이를 보충해야 하므로 관리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1개의 대형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대형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화장지의 보충 주기만이 길어질 뿐, 관리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 관리인이 화장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대형 화장지 보관용기가 있는 곳에 도착하였을 때, 화장지 보관 용기에는 화장지가 일부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남아 있는 화장지를 제거하고 새 화장지로 교체하면, 사용하지 않은 화장지를 버려야 하므로 낭비가 발생한다. 그렇다고 남아 있는 화장지를 교체하지 않으면, 관리인이 화장지를 보충하기 위하여 다시 화장지 보관 용기가 있는 곳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남아 있던 화장지가 모두 사용되어 화장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는 관리인이 화장지 보관 용기가 있는 곳에 자주 가서 화장지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본 고안의 이러한 종래의 화장지 보관 용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화장지를 수납하고 사용자가 수납된 화장지를 하나씩 차례로 사용하게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 시간 및 관리 비용을 줄이며, 사용자의 불편을 줄이는 화장지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은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지 수용부 및 상기 화장지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는 뚜껑이 갖추어진 화장지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2개 이상의 화장지 수용부가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화장지 수용부에 대응하는 배출구를 각각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배출구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용기(5)를 밀폐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화장지 보관 용기(5)는 몸체(9)와,몸체의 한면을 덮어서 용기(5)를 밀폐하는 뚜껑(11)으로 이루어져 있다. 뚜껑(11)은 열쇠(15)를 이용하여 열 수 있다. 몸체(9)는 뒷판(17)으로부터 연장된 제1화장지 걸이(19) 및 제2화장지걸이(22)를 구비한다. 몸체(9)의 하부에는 제1화장지걸이(19) 및 제2화장지걸이(22)에 각각 대응하는 제1배출구(24)(제3도 참조) 및 제2배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9)는 또한 이들 배출구(24,25)중 선택된 하나를 닫고 동시에 다른 하나는 열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덮개(14)를 구비한다. 제1도에서는 덮개(14)가 제1배출구(24)를 폐쇄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화장지 보관 용기(5)를 뚜껑(11)을 열어 놓은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몸체(9)는 길다란 타원형의 뒷판(17)과 뒷판(17)의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벽(30)을 구비한다. 원통형 화장지 걸이(19,22)는 뒷판(17)으로부터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화장지 걸이 (19,22)는 별개의 부재로 제작되어 뒷판(17)에 부착될 수 있다. 벽과 화장지걸리(19,22) 사이의 공간은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지 수용부를 형성한다. 뒷판(17)에는 다수의 구멍(33)이 있어 몸체(9)를 화장실 내부, 화장실 입구 또는 화장지를 사용하는 장소의 벽에 못, 나사못 또는 당업자에 알려진 다른 고정 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
화장지 걸이(19,22)에 대응하여 몸체(9)의 아래쪽에는 형성된 배출구(24,25)를 둘러 싸는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5) 중 앞쪽에 있는 부분과 뒷판(17)에서 연장된 부분에는 길이 방향의 다수의 안내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4,25)를 개폐하는 덮개(14)는 판부재(39)와, 판부재(39)로부터 제1 화장지 걸이(19)의 최하단부의 아래쪽 위치까지 연장된 이동 방지판(43)을 갖는다. 한편 판부재(39)의 양 옆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각 안내 구멍(37)에 대응하는 안내 돌기(45)를 구비하는데, 이 안내 돌기(45)는 안내 구멍(37) 내에 삽입되어 덮개(14)의 이동을 안내한다. 덮개(14)는 걸림턱(47)을 갖는다. 이 걸림턱(47)은 경사면(48)과 걸림면(5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14)와 몸체(9)의 하부 우측에 있는 플랜지(35a)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어서, 외력이 없는 경우 덮개(14)는 제2 화장지 걸이(22)에 대응하는 제2배출구(25)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덮개(14)를 이와 같이 편향시키는 수단이라면 인장 스프링 외의 다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덮개(14)의 아래쪽에는 손잡이(52)가 돌출되어 있어 덮개(14)를 화장지 보관 용기(5)의 외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제3도 참조)
뚜껑(11)은 몸체(9) 하부의 좌우 양측면에 있는 플랜지(35)에 핀(5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뚜껑(11)의 내측에는 덮개(14)에 설치된 걸림턱(47)과 대응하는 걸림턱(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턱(57)은 경사면(58)과 걸림면(60)으로 구성된다. 뚜껑(11)의 걸림턱(57)은 뚜껑(11)을 닫은 상태에서 덮개(14)에 있는 걸림턱(47)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걸림턱(47,57)의 작용에 의해 덮개(14)는 제1화장지걸이(19)에 대응하는 제1배출구(24)를 닫고 제2화장지걸이(22)에 대응하는 제2배출구(25)를 열어 놓은 상태를 유지한다. 화장지가 남아 있는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뚜껑(11)은 적어도 일부분을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보관 용기의 저면도로서 가로 분리대(62)에 의해 나뉘어진 제1배출구(24)와 제2배출구(25) 중 제1배출구(24)를 덮개14)가 폐쇄하고 있다. 몸체(9)의 하부의 플랜지(35) 좌우측 하단부와, 화장지의 배출구(24,25)와 인접한 뚜껑(11)의 부분과, 배출구(24,25)와 인접한 덮개(14)의 부분에는 톱니 형태의 절취 수단(63)이 제공되어 있어 사용자가 화장지를 쉽게 자를 수 있다.
제4도는 뚜껑(11)을 닫은 후 이를 잠그는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뚜껑(11)의 상부에는 몸체(9)를 향하여 돌출한 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이 돌기(65)에는 경사면(68)과 걸림면(70)을 갖는 걸림턱(70)을 구비한다. 몸체(9)는 돌기(65)를 수용하는 구멍(73)과 돌기에 있는 걸림면(70)과 상호 작용하는 걸림면을 구비한다. 또한 몸체(9)는 열쇠(15)를 수용할 수 있는 열쇠 구멍(78)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용기의 작용을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장지 보관 용기(5)의 뚜껑(11)을 제2도와 같이 열면, 덮개(14)와 몸체(9)의 하부 우측에 있는 플랜지(35a) 사이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인장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덮개(14)가 제1화장지 걸이(19)에 대응하는 제1배출구(24)를 개방하며, 제2화장지 걸이(25)에 대응하는 제2배출구(25)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게된다. 이것이 초기 상태이다. 제2도는 이러한 초기 상태가 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초기 상태에는 덮개(14)에 있는 이동 방지판(43)이 양 화장지 걸이(19,22)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두 화장지 걸이(19,22)에 화장지를 걸 수 있다.
화장지를 걸은 후 뚜껑(11)을 위쪽으로 회전시켜 닫으면, 뚜껑(11) 상부에 있는 돌기(65)가 몸체(9)에 있는 구멍(73)을 통하여 삽입된다. 삽입되는 과정에서 경사면(68)의 작용에 의해 돌기(65)가 아래쪽으로 휜다. 완전히 닫으면, 돌기(65)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두 걸림면(70,76)이 맞닿게 된다. 이러한 걸림면(70,76)의 상호 작용에 의해 뚜껑이 완전히 닫혀서 잠긴다.
처음에는 제1화장지 걸이(19)에 대응하는 제1배출구(24)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화장지 걸이(19)에 걸려 있는 화장지를 사용한다. 제1화장지 걸이(19)에 있는 모든 화장지를 사용한 후에는 덮개(14) 하부에 있는 손잡이(52)를 잡고 덮개(14)를 이동시켜 제2화장지 걸이(22)에 대응하는 제2배출구(25)를 개방하여 제2화장지 걸이(22)에 있는 화장지를 사용한다. 이 때 덮개(14)를 제1화장지 걸이(19) 쪽으로 이동시키면, 덮개(14)에 있는 걸림턱(47)의 경사면(48)은 닫혀 있는 상태의 뚜껑(11)에 있는 걸림턱(57)의 경사면(58)과 닿게 된다. 계속 덮개(14)를 이동시키면, 경사면(48,58)의 상호작용에 의해 뚜껑(11)의 하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덮개(14)를 더 이동시켜 경사면(47)과 걸림면(50)이 이루는 모서리가 경사면(58)을 지나면 뚜껑(11)이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걸림면(50,60)이 서로 맞닿게 되고 덮개(14)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덮개(14)는 제2화장지 걸이(22)에 대응하는 제2배출구(25)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제2화장지 걸이(25)에 있는 화장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화장지 걸이(19)에 화장지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덮개(14)를 이동시키면, 덮개(14)의 이동 방지판(43)이 남아 있는 화장지에 걸리기 때문에 덮개(14)를 이동시킬 수 없다.
관리인이 새로운 화장지를 설치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쇠(15)를 열쇠 구멍(78)을 통하여 넣으면 돌기(65)가 탄성 변형되어 걸림면(70,7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뚜껑(11)이 열린다. 그러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4)와 뚜껑(11)에 있는 걸림턱(47,57)의 걸림면(50,60)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덮개(14)는 인장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간다. 이때, 제2화장지 걸이(22)에 화장지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이 화장지를 제1화장지 걸이(19)로 옮기고, 제2화장지 걸이(22)에는 새로운 화장지를 걸어 놓는다. 그러면 남아 있던 화장지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화장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화장지 보관 용기에는 초기에 항상 한 개 이상의 분량의 화장지가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화장지를 모두 사용할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관리인이 보관 용기(5)가 있는 위치에 갈 필요가 없으며, 이 시간 동안 사용자는 항상 준비된 화장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 실시예를 변경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된 실시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지 수용부 및 상기 화장지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는 뚜껑이 갖추어진 화장지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2개 이상의 화장지 수용부가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화장지 수용부에 대응하는 배출구를 각각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배출구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개폐 수단은 상기 2개 이상의 화장지 수용부 중 선택된 하나의 화장지 수용부에 보관된 화장지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상기 선택된 화장지 수용부에 대응하는 배출구는 개방하고 다른 화장지 걸이에 대응하는 배출구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개폐 수단이 상기 선택된 화장지 수용부에 보관된 화장지를 모두 사용한 후에만 상기 다른 화장지 걸이에 대응하는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벽과, 상기 뒷판에 결합된 화장지 걸이를 구비하며, 상기 화장지 배출구는 상기 화장지 걸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벽을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 형성되며:상기 배출구 개폐 수단은 상기 화장지 걸이에 대응하는 배출구 중 선택된 하나의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배출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선택된 화장지 걸이에 보관된 화장지를 모두 사용할 때까지 상기 덮개가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선택된 하나의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편향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을 여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주위에 설치된 화장지 절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보관 용기.
KR2019950034792U 1995-11-22 1995-11-22 화장지 보관 용기 KR0123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792U KR0123884Y1 (ko) 1995-11-22 1995-11-22 화장지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792U KR0123884Y1 (ko) 1995-11-22 1995-11-22 화장지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775U KR970020775U (ko) 1997-06-18
KR0123884Y1 true KR0123884Y1 (ko) 1998-10-15

Family

ID=1942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792U KR0123884Y1 (ko) 1995-11-22 1995-11-22 화장지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72B1 (ko) * 2004-08-18 2012-06-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시트 재료의 다중 롤을 위한 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72B1 (ko) * 2004-08-18 2012-06-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시트 재료의 다중 롤을 위한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775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3166B1 (en) A dispenser for separately dispensing wet and dry paper in the shape of a conventional roll of toilet paper
US7997522B2 (en) Center-pull paper towel dispenser
US7997443B2 (en) Center-pull paper towel dispenser
KR100868394B1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WO2001017412A1 (fr) Contenant de stockage de serviettes humides et corps assemble dudit contenant
US7374128B2 (en) Multiple toilet paper holder and dispenser
JPS6238130A (ja) 袋形液体分与器用の据付け用具
US4775109A (en) Toilet paper holder
EP3991618B1 (en) Dispenser for soap and sanitizer
KR0123884Y1 (ko) 화장지 보관 용기
EP0943039B1 (en) Dispensing device
KR20050120108A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기구
JP3006049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ディスペンサー
KR910004385Y1 (ko) 뚜껑개폐장치
JP2808084B2 (ja) 計量米びつ
JPH11309031A (ja) 引き出しガイド構造
US4773608A (en) Paper roll dispenser
KR200184532Y1 (ko) 위생용지 케이스
KR970006351Y1 (ko) 드럼식 세탁기 세제투입통의 손잡이구조
KR200239625Y1 (ko) 도어잠금장치가구비된냉장고
KR920004468Y1 (ko) 적층식 휴지 분배기
JPH0748561Y2 (ja) 収納ボックスの装着構造
KR0115944Y1 (ko) 프린터용 급배지트레이장치
JP2000126048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ホルダー装置
JPH03357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