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699Y1 - 터널용 레일 지지대 - Google Patents

터널용 레일 지지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699Y1
KR0123699Y1 KR2019950000347U KR19950000347U KR0123699Y1 KR 0123699 Y1 KR0123699 Y1 KR 0123699Y1 KR 2019950000347 U KR2019950000347 U KR 2019950000347U KR 19950000347 U KR19950000347 U KR 19950000347U KR 0123699 Y1 KR0123699 Y1 KR 0123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bstrate
tunnel
rail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229U (ko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수 filed Critical 박문수
Priority to KR2019950000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699Y1/ko
Publication of KR960027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3/00Easily dismountable or movable tracks, e.g. temporary railways;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1B23/02Tracks for light railways, e.g. for field, colliery, or min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널의 지반과 접촉되는 호형의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사이에 'ㄷ'자형의 레일 지지구를 설치함으로써 레일의 지지구조가 견고해지고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지반(50)과 접촉되는 호형의 기판(11)과, 상측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기판(11)의 양단부에 결착되어 그 상측면에 레일이 위치되는 한쌍의 레일 지지구(20)와, 상기 레일 지지구(20)의 상측면에 위치되어 레일을 상기 레일 지지구(20)의 상측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된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레일 지지구(20)는 상면(20a)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토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양단부(20b)는 레일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상면(20a)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기판(11)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11)의 길이 방향으로는 양측이 개구(20c) (20d)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널용 레일 지지대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가 도시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가 도시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가 도시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된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터널용 레일 지지대 11 : 기판
20 : 레일 지지구 30 : 체결수단
31 : 스토퍼 32 : 고정체
33 : 볼트 35 : 나사홀
40 : 레일
본 고안은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널의 지반과 접촉되는 호형의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 사이에 'ㄷ'자형의 레일 지지구를 설치함으로써 레일을 안정성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의 기판(1) 양측에 한 쌍의 레일 지지구(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레일지지구(3)의 상측에는 레일(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기판(1)은 소정 두께의 금속 판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널의 바닥면(E)에 접하는 동시에 가운데 부분이 낮아지도록 완만하게 굽혀져 있고, 그 양단부에는 레일(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지지구(3)는 상기 기판(1)의 리브(1a)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양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기판(1)위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레일 지지구(3)는 상기 기판(1)의 길이 방향쪽으로 전후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판(1)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상면은 레일(5)이 안착될 수 있도록 레일 양측으로 복수의 리브(3a)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터널용 레일 지지대는 기판(1)의 가운데 부분이 낮게 절곡되어 터널 바닥(E)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장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기판(1)의 양측에 리브(1a) 및 레일 지지구(3)가 설치되어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며 레일(5)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기판(1)의 리브(1a) 및 레일 지지구(3)의 양단부가 레일(5) 길이 방향으로 절곡 되어 있기 때문에 광차의 이동으로 레일에 하중이 작용할 때 일정 탄성력 있게 지지할 수는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반복 하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변형이 커져서 결국, 양쪽 레일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용 광차의 이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레일 지지구(3)가 기판(1)의 길이 방향으로는 양단부가 절곡되어 막혀있고, 레일(5) 길이 방향으로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 지지구(3)의 내외측에 토사나 이물질 등이 쌓이게 되어 배수가 불량해지고 레일 지지구조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호형의 기판위에 한 쌍의 레일 지지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체결 수단으로 고정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광차 주행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 구조가 견고해짐은 물론 양쪽 레일의 균형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터널용 레일 지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는, 지반과 접촉되는 호형의 기판과, 상측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기판의 양단부에 결착되어 그 상측면에 레일이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 지지구와, 상기 레일 지지구의 상측면에 위치되어 레일을 상기 레일 지지구의 상측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레일 지지구는 상면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토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는 레일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는 양측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10)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50)과 접촉되게 호형상으로 굽혀진 기판(11)과, 상기 기판(11) 양단부에 결착되어 레일(4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 지지구(20)와, 상기 레일 지지구(20)의 상면(20a)에 위치되어 레일(40)을 레일 지지구(2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판(11)은 두께가 일정한 철판이 호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종래 기술과 같은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가운데 부분과 거의 동일한 곡률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판(11)이 터널내의 지반(50)위에 놓여 레일(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한 쌍의 레일 지지구(20)는 그 상면(20a) 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기판(11)의 양단부에 결착되어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그 상면(20a)에는 상기 체결 수단(30)이 설치되게 나사홀(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1)의 길이 방향으로는 개구(20c)(20d)되어 있고, 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는 양단부(20b)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판(11)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레일(4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레일 지지구(20)의 양단부(20b)는 기판(11)이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면(20a)이 수평을 이루도록 내측 쪽은 높고 외측 쪽은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일 지지구(20)는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이 절곡된 양단부(20b)가 상기 기판(11)의 상측에 결착 고정되고, 기판(11)의 길이 방향으로는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써 레일(40) 위로 광차가 이동될 때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안정성 있게 지지함은 물론 기판(11) 길이 방향으로 오수 및 토사 등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30)은 레일(40)의 일측 하단부가 끼워지는 스토퍼(31)와, 레일(40)의 타측 하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체(32)와, 상기 고정체(32)가 레일(40)을 압박 고정하도록 조여주는 볼트(33) 및 나사홀(35)과, 상기 고정체(32)와 볼트(33)사이에 위치된 와셔(36)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31)는 레일(40)의 외측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측이 절개되어 상기 레일 지지구(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32)는 중앙부에 장공(34)이 형성되어 그 장공(34)에 상기 나사홀(35)과 결합되는 볼트(33)가 관통되고 레일(40)의 내측 하단부를 압박하도록 하측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터널을 굴착할 경우는 지반(50)이 호형상으로 굴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터널에 기판(11), 레일 지지구(20), 체결수단(30)이 하나의 세트로 된 본 고안의 터널용 레일 지지대(10)를 일정 간격을 배치한 다음 그 위에 레일(40)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레일 지지구(20)의 상측에 레일(40)을 올려놓고, 볼트(33) 및 고정체(32)를 조립하게 되면 레일 지지대(10) 상에 레일(4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레일 지지대(10)의 기판(11)은 지반(50)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가지면서 레일(4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기판(11)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 지지구(20)는 광차 이동시 발생되는 레일(40)의 하중을 양단부(20b)를 통해 안정되게 기판(11)측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터널용 레일 지지대는 레일 지지구(20)의 상면(20a)에 설치된 체결수단(30)으로 레일(40)의 양측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지반(50)과 접촉 면적이 확대된 호형의 기판(11)위에 레일 지지구(20)가 균형 있게 설치되어 터널운반용 광차가 레일(40)을 따라 이동될 때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터널의 양측에서 발생된 토사나 이물질이 레일 지지구(20)의 개구(20c)(20d)된 방향으로 양호하게 배출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레일 지지구(20)는 양단부(20b)가 절곡되어 호형의 기판(11)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광차의 이동에 따른 반복 하중에도 펴지거나 변형됨이 없이 보다 안정성 있게 레일을 지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지반과 접촉되는 호형의 기판과, 상측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기판의 양단부에 결착되어 그 상측면에 레일이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 지지구와, 상기 레일 지지구의 상측면에 위치되어 레일을 상기 레일 지지구의 상측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터널용 레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레일 지지구(20)는 상면(20a)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토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양단부(20b)는 레일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상면(20a)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기판(11)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11)의 길이 방향으로는 양측이 개구(20c)(20d)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레일 지지대.
KR2019950000347U 1995-01-11 1995-01-11 터널용 레일 지지대 KR0123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347U KR0123699Y1 (ko) 1995-01-11 1995-01-11 터널용 레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347U KR0123699Y1 (ko) 1995-01-11 1995-01-11 터널용 레일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29U KR960027229U (ko) 1996-08-17
KR0123699Y1 true KR0123699Y1 (ko) 1998-10-15

Family

ID=1940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347U KR0123699Y1 (ko) 1995-01-11 1995-01-11 터널용 레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6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94B1 (ko) * 2007-06-19 2009-02-10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터널용 지보재
KR101399787B1 (ko) * 2012-04-27 2014-06-27 강릉건설 주식회사 세그먼트링용 저판 세그먼트
KR20220089503A (ko) * 2020-12-21 2022-06-28 김찬수 터널공사용 대차의 레일 슬리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94B1 (ko) * 2007-06-19 2009-02-10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터널용 지보재
KR101399787B1 (ko) * 2012-04-27 2014-06-27 강릉건설 주식회사 세그먼트링용 저판 세그먼트
KR20220089503A (ko) * 2020-12-21 2022-06-28 김찬수 터널공사용 대차의 레일 슬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29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6019A (ko) 포크 몸체
KR970006703A (ko) 판넬 및 판넬구조체
US20060000859A1 (en) Load-bearing bracket intended to be mounted on a longitudinal roof rail of a motor vehicle
KR970064168A (ko) 카메라 장착 조립체
KR0123699Y1 (ko) 터널용 레일 지지대
FR2800813B1 (fr) Embase de fixation d'une piece perforee a un support
US4142703A (en) Bracket assembly
US4404761A (en) Digging tooth mounting bracket
SU1579469A3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рельса к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US3927742A (en) Third rail cover board
JPH0755214Y2 (ja) 梁材ブレース取付金具
KR102097088B1 (ko) 설치가 용이한 교량의 내진강화장치
KR102565015B1 (ko) 안테나 브라켓 조립체
KR200152743Y1 (ko) 철책용 앵글 지지편
KR102316330B1 (ko) 분할 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치구조
KR200386929Y1 (ko) 차량운송용 컨테이너 쇼링 장치
SU1386545A1 (ru) Крюкова подвеска
KR100357396B1 (ko) 자동차용 루프랙 취부구조
KR200221067Y1 (ko)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JPH08218498A (ja) 柱と横部材との結合金物
KR100435859B1 (ko) 버스의 루프 설치 구조물 지지장치
KR0124509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크로스 로워 멤버 어셈블리
KR950000169Y1 (ko) 자동차의 박스형 브라켓트(Bracket) 구조
KR200166803Y1 (ko) 시설하우스자동방제장치레일의구조및체결구조
JPH04471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