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07Y1 -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07Y1
KR0123507Y1 KR2019950021560U KR19950021560U KR0123507Y1 KR 0123507 Y1 KR0123507 Y1 KR 0123507Y1 KR 2019950021560 U KR2019950021560 U KR 2019950021560U KR 19950021560 U KR19950021560 U KR 19950021560U KR 0123507 Y1 KR0123507 Y1 KR 0123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vot
underframe
mounting structure
nut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301U (ko
Inventor
김철근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50021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507Y1/ko
Publication of KR970009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6Centre bearings or other swivel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lsters or bog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 차체의 언더 프레임과 센터피봇의 취부에 사용되는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차체의 언더 프레임과 센터피봇를 볼트와 너트로 취부하도록 된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가 언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언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너트는 그 외형이 삼각형의 형태이고, 언더 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된 보강판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의 센터피봇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언더프레임 2:센터피봇
3:구멍 4:너트
5:볼트 21:언더프레임
22:센터피봇 23:보강판
24:특수너트 25:볼트
본 고안은 철도차량 차체의 언더 프레임과 센터피봇의 취부에 사용되는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에 있어서 센터피봇은 차량의 견인력과 제동력을 차체와 대차간에 전달하는 것으로 차체와 대차의 조립전 차체의 언더 프레임과 먼저 취부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체의 언더 프레임(1)에 센터피봇(2)이 볼트(5)와 너트(4)로 취부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센터피봇(2)과 언더 프레임(1)의 조립시 볼트(5)를 아래에서 삽입하고 너트(4)는 언더 프레임(1)의 뚫린 구멍(3)을 통해 스패너(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 후 볼트(5)를 조이는 방법에 의해 취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시 구체의 언처 프레임(1)의 구멍(3)을 통해 너트(4)를 스패너로 잡아주는 작업자와 볼트(5)를 조이는 작업자가 동시에 필요하여 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는 센터피봇(2) 주위로 통과해야 할 각종 배관류 및 전선관등이 언더 프레임(1)의 구멍(3)으로 우회하여 취부해야 하는 등 공간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설치된 센터피봇 주위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는 철도차량의 차체의 언처 프레임과 센터피봇을 볼트와 너트로 취부하도록 된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가 언더 프레임에 고정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언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나사는 그 외형이 삼각형의 형태이고, 언더 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된 보강판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는 그 취부작업시 작업자가 언더 프레임에 뚫린 구멍을 통해 고정용 너트를 잡아줄 필요가 없게 됨으로 센터피봇의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센터피봇의 주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체의 언처 프레임(21) 내부의 센터피봇(22)취부 부위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보강판(23)을 설치하였고, 이 보강판(23)을 이용하여 특수한 형태의 특수너트(24)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특수한 형태의 특수너트(24)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형태에 의해 보강판(23)에 의해 언더 프레임(21)에 고정설치되어 센터피봇(22)의 취부시 특수너트(24)를 작업자가 잡아주지 않아도 센터피봇(22)을 볼트(25)로 취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터피봇(22) 취부시 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센터피봇 주위의 공간을 보다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철도차량의 차체의 언더 프레임(1)과 센터피봇(2)를 볼트(5)와 너트(4)로 취부하도록 된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가 삼각형 형태의 특수너트(24)로 되어 언더 프레임(21)의 안쪽에 고정설치되고, 그 언더 프레임(21)의 안쪽에 설치된 보강판(2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KR2019950021560U 1995-08-21 1995-08-21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KR0123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560U KR0123507Y1 (ko) 1995-08-21 1995-08-21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560U KR0123507Y1 (ko) 1995-08-21 1995-08-21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01U KR970009301U (ko) 1997-03-27
KR0123507Y1 true KR0123507Y1 (ko) 1998-08-17

Family

ID=1942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560U KR0123507Y1 (ko) 1995-08-21 1995-08-21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5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21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윤중감소 저감을 위한 철도차량용 대차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36B1 (ko) * 2011-02-14 2013-02-28 주식회사 우진산전 객차 분리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노레일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21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윤중감소 저감을 위한 철도차량용 대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01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85755A (ja) ブレ−キ・ブ−スタを車輌に取り付ける方法
US4586580A (en) Mounting for power-assisted master brake cylinder in an automotive vehicle
US4180228A (en) Pipe clamp
KR0123507Y1 (ko) 철도차량의 센터피봇 취부구조
JP3982384B2 (ja) ボルト・ナットによる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CN214728825U (zh) 手制动装置及具有其的车辆
WO1998058157A1 (en) Mounting bolt for brake actuator
JPS6131549Y2 (ko)
HU220550B1 (hu) Szerelt légrugó és eljárás annak rögzítésére
JPH10329559A (ja) プロペラシャフトガード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RU23600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неповоротного башмака на триангеле тормозной передач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JPH05238666A (ja) エレベータードア
JP3219732B2 (ja) 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
KR970001255Y1 (ko) 자동차의 타이 다운 브래킷(tie down bracket)의 조립구조
US3447425A (en) Pneumatic railway vehicle brake cylinder assemblies
JPH0132596Y2 (ko)
JP2001278034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31291Y2 (ko)
JPS6236678Y2 (ko)
JPH0139649Y2 (ko)
JPH0442225B2 (ko)
KR19980049045U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우암 결합구조
KR970005612Y1 (ko) 도어 임팩트 빔 장착구
RU18687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