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317Y1 - 의료용 멸균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멸균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317Y1
KR0123317Y1 KR2019950004465U KR19950004465U KR0123317Y1 KR 0123317 Y1 KR0123317 Y1 KR 0123317Y1 KR 2019950004465 U KR2019950004465 U KR 2019950004465U KR 19950004465 U KR19950004465 U KR 19950004465U KR 0123317 Y1 KR0123317 Y1 KR 0123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hamber
sterilization
exhaust
storage tank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492U (ko
Inventor
서규영
Original Assignee
서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규영 filed Critical 서규영
Priority to KR2019950004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317Y1/ko
Publication of KR960030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과정, 멸균과정, 배기과정 및 건조과정을 일련의 과정으로 완전자동화한 의료용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멸균기에 있어서 건조과정은 배기과정이 완료된후 멸균실의 도어를 개방하여 멸균실 내부의 잔여습기 및 멸균대상물의 보유습기를 제거시키는 자연 건조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작업자의 화상에 대한 위험성, 멸균대상물의 재 오염, 장시간 동안의 건조과정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는 압축기를 사용하여 멸균실 내부로 압축공기를 송풍시키는 강제 배출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의 멸균기의 문제점들을 전부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멸균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멸균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제어판넬과 캐비넷을 제거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제어판넬과 캐비넷을 제거한 상태의 후방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2 : 제어판넬
3 : 도어 5 : 히터
11 : 송풍관 12 : 송풍구멍
22 : 압축기 24 : 저장탱크
26 : 송풍관 27 : 필터
30 : 멸균실 34 : 배기관
36 : 급수관 38 : 배기관
본 고안은 의료용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멸균실의 증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건조장치를 구성하여 건조과정을 자동화한 의료기용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멸균기는 병원 등에서 행해지는 수술이나 환자의 치료를 위한 도구, 즉 가위나 메스 등의 수술도구나 치료도구 등의 의료용 기기와, 수술복과 같은 의류제품 및 수술용 장갑 등과 같은 고무제품 등을 멸균, 소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이다.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수술 및 치료용 도구들은 일반 알코올로는 완전한 소독 및 멸균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 및 치료용 도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온, 고압으로 완전히 멸균하여야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멸균기는 고온, 고압하에서 의료용 도구나 수술복, 수술용 장갑 등이 멸균되는 멸균실과, 멸균실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멸균실로 공급할 물 및 멸균실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멸균이 완료된 후에 멸균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급수과정 내지 배기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료용 멸균기는 의료용 멸균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어판넬의 각종의 제어스위치를 멸균대상물에 따라 선택하여 멸균온도 및 압력과 멸균시간 등의 데이타를 입력함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멸균기의 작동은 통상적으로 급수과정, 가열과정, 멸균과정 및 배기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배가과정이 완료된 후에 있어서 멸균실 내부의 증기는 저장탱크로 배출되기는 하나, 멸균 대상물은 아직 습기를 간직한 채로 젖어 있는 상태이므로 멸균대상물의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건조과정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의료용 멸균기는 멸균대상물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건조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있다. 그에 따라 멸균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배기과정이 완료된 상태를 시간의 경과 또는 신호음 등에 의하여 감지하여 멸균기의 도어를 개방하여야 한다. 이후 멸균실 내부의 잔류증기 및 멸규대상물의 습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자연적인 건조과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멸균기의 도어를 개방하여 멸균대상물을 자연건조시키는 것은 작업자에게 상당한 주의력을 요구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되면 멸균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가 작업자의 안면에 미치게 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또한, 자연건조 방식에 의하면 완전건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이미 멸균된 대상물이 다시 대기에 노출되고, 또한 멸균과정이 완료된 멸균대상물의 건조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수시로 멸균 대상물과 접촉하여야 하므로 멸균대상물이 재오염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강제방식을 통한 건조과정을 추가하여 급수과정에서 건조과정까지의 전과정을 완전 자동화한 의료용 멸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용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의료용 멸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련의 작동으로 완전히 건조된 상태의 멸균된 물품을 얻을 수 있는 의료용 멸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는 멸균실, 저장탱크, 제어장치, 배기장치로 이루어진 의료용 멸균기에 있어서, 기판위에 고정되어 있는 압축기와, 소정의 위치에 필터를 개재하며 일단은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멸균실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송풍관과, 이 송풍관의 하류에 설치되고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건조장치가 더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멸균실 내부의 송풍관은 멸균실 내부의 히터와 평행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으며 히터와 인접하는 송풍관은 다수의 송풍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의료용 멸균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의료용 멸균기의 전면에는 도어핸들(4)이 부설된 도어(3)와 제어판넬(2)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은 캐비넷(1)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제어판넬(2)에는 의료용 멸균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멸균물 선택 스위치, 시동스위치, 사용자 설정스위치(온도 및 시간설정) 등의 각종 스위치와, 도어잠김상태, 급수상태, 가열상태, 멸균상태, 배기상태, 건조상태, 완료상태 등을 표시하는 각종의 램프와, 멸균온도, 멸균시간, 건조시간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가 배열되어 있다.
도어핸들(4)을 좌측으로 당겨 도어(3)를 열면, 멸균실(30)의 내부는 제 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멸균실(30)의 내측 하면에는 히터(5)가 부설되어 있고, 히터(5)의 상부에는 히터커버(6)가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덮여 있다. 멸균실(30)의 양측벽에는 멸균대상물이 적재되는 트레이(도시 안함)가 얹혀지는 트레이 랙(Tray Rack)(7)이 설치되어 있다. 히터(5)의 중앙 상부의 멸균실(30)의 내벽에는 저장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공(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급수공(8)의 상부에는 다수의 송풍구멍(12)이 천공되어 있는 하류송풍관(11)이 히터(5)와 평행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멸균실(30)의 내벽의 소정의 위치에는 멸균실(3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고로 하면, 저장탱크(24)는 기판(20)상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24a)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저장탱크(24)의 저면에는 연결구((36a)에 의하여 멸균실(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6)과 저장탱크(24)를 세척하거나 멸균기(10)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유 저장탱크(24) 내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배수콕(Drain Cock) (도시 안됨)이 연결되어 있다. 급수관(36)은 멸균실(30)로 연장되어 연결구(36a) 에 의하여 멸균실(30)과 연통하게 되며,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실(30)의 내부에는 급수공(8)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급수관(36)의 상류에는 저장탱크(24)로부터 멸균실(30)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9)가 정착되어 있다.
저장탱크(24)의 전방에는 제 1 배기관(34)이 연결되고, 저장탱크(24)의 후방에는 제 2 배기관(38)이 연결된다. 제 1 배기관(34)의 일단은 연결구(34a)에 의하여 멸균실(30)의 내부와 연통하고, 제 1 배기관(34)의 타단은 연결구(32b) 및 에어밴트(37)에 연결되어 배기구멍(33)이 형성됨으로써 저장탱크(24)와 연통한다. 제 2 배기관(38)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에는 솔레노이드 밸브(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결구(38a)에 의하여 급수관(36)과 연통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멸균실(30)의 상부에는 안전밸브(28)가 부착되어 있어, 멸균실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안전밸브(28)가 작동함으로써 멸균실(30)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에 있어서 핵심적인 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압축공기를 강제로 발생기키는 압축기(22)는 저장탱크(24)의 전방의 상류 송풍관(26)이 저장탱크(24)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이어서 멸균실(30)의 외벽에 연결구(26a)에 의하여 멸균실(30)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연결된다. 멸균실(30)의 내벽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송풍관(26)과 연통하는 하류송풍관(11)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송풍관(26)의 소정의 위치에는 압축기(2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화필터(27)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류송풍관(26)의 끝단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9)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멸균실(30)의 도어(3)를 열고 멸균대상물이 적재된 트레이 랙(7)에 안착시킨 후 도러(4)를 닫고 제어판넬(2)의 시작스위치를 누르면 급수과정이 시작된다. 급수과정은 솔레노이드 밸브(39)가 열림으로써 저장탱크(24)의 물이 급수관(36)을 따라 유동하여 멸균실(30) 내부의 급수공(8)을 통하여 멸균실(30)의 내부로 수위센서(9)에 물이 감지될 때까지 계속된다. 수위센서(9)의 감지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9)가 닫히게 됨으로써 급수가 중단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가열과정이 시작된다. 가열은 멸균실(30)의 바닥에 부설된 히터(5)에 의하여 수행되고, 멸균실(3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초기에는 멸균실(30)의 찬 공기와 히터(5)에 의하여 가열된 설정온도 이하의 일부 증기가 제1 배기관(34)을 통하여 열려진 에어벤트(37)를 거쳐 저장탱크(26)로 배출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또 다른 배출관인 제2 배기관(38)으로는 상기 찬 공기와 일부 증기는 배출되지 않는다. 히터(5)의 지속적인 가열에 의하여 멸균실(30)의 내부온도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하면 에어벤트(37)가 닫히게 되어, 멸균실(30)은 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며 소정의 시간동안 멸균과정이 진행된다.
멸균이 완료되면, 멸균실(30)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과정이 시작된다. 이 때에는 제1 배기관(34)에 설치된 에어벤트(37)와 제2 배기관(38)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0)가 모두 열리게 되어 멸균실(30)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는 두개의 배기관(34, 38)을 통하여 동시에 저장탱크(24)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종래의 멸균기에 비하여 신속히 배기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배기과정은 통상적으로 멸균실(30)의 내부 온도가 100도가 될 때까지 자연 배기된다.
배기과정이 완료되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에 적용된 전조장치에 의하여 멸균대상물의 건조과정이 수행된다. 건조과정은 멸균실(30)의 내부에는 아직 기화되지 않은 물과 배기과정에서 배출되지 않은 증기가 있고, 멸균대상물은 습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멸균실 내부의 습기와 멸균대상물의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건조과정에서는 히터(5)를 다시 가열하여 멸균실(30) 내부의 잔여 습기를 증발시키며, 또한 압축기(22)를 동작시켜 멸균실(3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시킨다. 압축기(22)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는 송풍관(26)에 개재되어 있는 정화필터(27)를 통과함으로써 압축공기에 내재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된다.
한편, 멸균실(30) 내부로 진입하는 압축공기는 멸균실(30)의 내벽에 부설되어 있는 하류 송풍관(11)의 다수의 송풍구멍(12)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빠른 속도로 멸균실(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멸균실(30)의 내부로 진입하자마자 히터(5)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가열된다. 이렇게 가열된 압축공기는 멸균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습기를 강제적으로 신속하게 증발시켜 멸균실의 외부로 배출된다.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상술한 배기과정과 마찬가지로 제1 배기관(34)과 제2 배기관(38)을 통하여 저장탱크(24)로 배출된다. 이러한 건조과정은 지정된 시간동안 멸균실(30)내의 멸균대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계속되고 건조과정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신호음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변형, 변경 및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는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주안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멸균기는 멸균실 내부의 잔여 증기 및 멸균대상물의 습기를 압축공기를 멸균실 내부로 송풍하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강제배출시킴으로써 멸균실의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종래의 멸균기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화상의 위험 또는 대기중의 세균에 의한 멸균대상물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연건조방식에 따른 건조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입력되고 제어됨으로써 멸균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건조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멸균기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완전건조된 상태의 소망하는 멸균대상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멸균시, 저장탱크, 제어장치, 배기장치 및 건조장치로 이루어진 의료용 멸균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기판(20)위에 고정되어 있는 압축기(22)와, 일단은 상기 압축기(20)에 연결되고 차단은 멸균실(30)의 내부로 연장되는 상류송풍관(26)과, 상기 상류송풍관(26)의 하류에 설치되고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9)와, 멸균실(30)의 내부에 멸균실(30)의 내벽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멸균실의 바닥면에 부설되어 있는 히터(5)와 평행하도록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히터(5)와 인접하는 부위는 다수의 통풍구멍(12)이 천공되어 있는 하류송풍관(11)으로 구성되고 ; 일단은 저장탱크(24)에 연결되어 급수관(36)의 소정의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저장탱크(24)의 상부에 연결되는 배기관(38)과, 이 배기관(38)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40)로 구성되는 보조배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멸균기.
KR2019950004465U 1995-03-15 1995-03-15 의료용 멸균기 KR0123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65U KR0123317Y1 (ko) 1995-03-15 1995-03-15 의료용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65U KR0123317Y1 (ko) 1995-03-15 1995-03-15 의료용 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492U KR960030492U (ko) 1996-10-22
KR0123317Y1 true KR0123317Y1 (ko) 1998-09-15

Family

ID=194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465U KR0123317Y1 (ko) 1995-03-15 1995-03-15 의료용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3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29B1 (ko) * 2006-02-15 2006-08-22 주식회사 제일기공 약액통 마개의 멸균 세척장치 및 그 세척 방법
KR100856057B1 (ko) * 2007-04-18 2008-09-02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소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29B1 (ko) * 2006-02-15 2006-08-22 주식회사 제일기공 약액통 마개의 멸균 세척장치 및 그 세척 방법
KR100856057B1 (ko) * 2007-04-18 2008-09-02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492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829B1 (ko) 살균고
KR101357336B1 (ko) 배양 장치
KR101317386B1 (ko) 의료용 증기멸균기
US5429800A (en) Micro-isolator steam sterilization cycle and apparatus
KR2009010508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95174B1 (ko) 향 공급유닛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0557821B1 (ko) 의료용 멸균장치
KR0123317Y1 (ko) 의료용 멸균기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JP3568389B2 (ja) 寝具類乾燥機
KR100755296B1 (ko)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JP2003056874A (ja) 加湿器
KR0177899B1 (ko) 의료용 소독기
JPH10137325A (ja) 蒸気滅菌装置の連続運転方法を持った滅菌装置。
JPH10272170A (ja) 高圧蒸気滅菌器
KR102575948B1 (ko) 세척 기능이 구비된 고압증기 멸균기
JP3416459B2 (ja) レトルト食品の加熱殺菌装置
JP2019092591A (ja) 洗浄装置
KR200351029Y1 (ko) 행주 건조 및 살균 장치
JP2004041222A (ja) 食品機械の運転方法
JPH09327503A (ja) 医療用滅菌装置
JP2005143998A (ja) 高圧蒸気滅菌器
CN111631523A (zh) 一种滑雪器材更衣柜
JPH01274764A (ja) 高圧蒸気滅菌装置
KR200188507Y1 (ko) 가스멸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