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018Y1 -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018Y1
KR0123018Y1 KR2019950029137U KR19950029137U KR0123018Y1 KR 0123018 Y1 KR0123018 Y1 KR 0123018Y1 KR 2019950029137 U KR2019950029137 U KR 2019950029137U KR 19950029137 U KR19950029137 U KR 19950029137U KR 0123018 Y1 KR0123018 Y1 KR 0123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headphone
audio signal
voltage
audi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237U (ko
Inventor
송권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9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018Y1/ko
Publication of KR970020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헤드폰을 이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시스템과 접속되어 오디오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오디오시스템의 전원부에서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좌,우측 채널라인의 한쪽에 믹스하여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출력하면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서는 오디오신호만을 오디오신호 필터부에서 통과시켜 신호처리하고 믹스된 DC전압은 DC전압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를 구동시키는 안정된 DC전압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는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AC 어댑터를 없애 비용절감과 아울러 보다 간편하게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헤드폰의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고안은 무선헤드폰을 이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악감상을 하고자 할때 헤드폰의 오디오코드가 오디오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 음악감상을 하면서 이동하거나 주부가 음악들으며 오디오시스템 근처에서 가벼운 집안 일을 하고자 할 때 불편함이 많았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오디오 시스템에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를 연결하고 오디오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서 주파수를 변조시켜 적외선신호로 헤드폰수신기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헤드폰에 장착된 적외선 수신에서는 적외선신호를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무선헤드폰에서 오디오가 출력된다.
여기서 오디오시스템이나 TV 등에서 연결된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는 110 또는 220 볼트의 AC전원을 무선헤드폰 발신장치가 구동하는 데 필요한 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무선헤드폰을 사용시는 부가적인 전원장치인 AC 어댑터가 필요하고 사용시 AC 어댑터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있어 그 만큼 배선연결 등의 복잡함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무선헤드폰의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디오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라인에 인가하여 별도의 AC 어댑터없이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과 접속되어 오디오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에서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를 구동시키는 DC 전압을 유입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역전류를 방지하여 출력시키는 전원필터부; 좌측과 우측의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상기 전원필터부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상기 오디오신호의 좌측 또는 우측의 채널 라인에 인가시켜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로 송신하는 믹스부;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하여 출력한 오디오 신호와 DC 전압에서 오디오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오디오신호 필터부; 및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하여 출력한 오디오 신호와 DC 전압 중에서 DC 전압만을 통과시켜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공급하는 DC 전압필터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디오 필터부는 DC 전압을 차단하고 오디오신호만 통과시키는 카플링캐패시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과 무선헤드폰 발신 장치의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오디오시스템과 접속된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를 도시한 불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AC 어댑터(100), 무선헤드폰 발신장치(110), 오디오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110)내의 주파수 변조부(112)는 오디오시스템(120)에서 출력되는 좌측(L)채널과 우측(R)채널의 오디오신호를 유입하여 주파수변조한 다음 L채널제어부(114)와 R채널제어부(116)에 출력한다.
L채널제어부(114)와 R채널제어부(116)는 LED(118)내의 해당 LED를 각각 제어하여 오디오신호를 적외선신호로 변환시킨다.
LED(118)에서 발광된 적외선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무선헤드폰에 오디오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무선헤드폰 발신장치(110)는 AC 어댑터(100)에서 출력되는 DC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2도의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는 오디오시스템(200)내에 있는 전원필터부(201), 믹스부(202), 오디오신호 출력부(203), 시스템전원부(203), 제1오디오짹(J1)과 무선헤드폰 발신장치(110)내에 있는 제2오디오짹(J2), DC 전압필터부(211), 주파수변조부(212), L채널제어부(214), R채널제어부(216), LED부(218), 오디오신호필터부(217)를 포함한다.
DC전압필터부(211)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필터코일(L2)와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필터부(201)는 DC전원의 노이즈와 역전압을 보호하는 제1필터코일(L1), 역전압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오디오신호 필터부(217)는 DC전압을 제외하고 오디오신호만 통과시키는 카플링 캐패시터(C2,C3)를 포함한다.
제2도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오디오시스템(200)내의 시스템전원부(204)에서 소정의 DC 전압을 출력하면 제1필터코일(L1)은 DC 전압의 노이즈제거를 제거한다. 또한, 다이오드(D1)는 역전압에 의한 오디오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어서, 다이오드(D1)을 통과한 DC전압을 믹스부(202)에서 오디오신호 출력부(203)로부터 출력된 L채널의 오디오신호에 합쳐지고 제1오디오짹(J1)을 통하여 무선헤드폰 발신장치(210)의 제2오디오짹(201)에 입력된다. 또한 R채널의 오디오신호는 같이 제1오디오짹(J1)을 통하여 무선헤드폰 발신장치(210)의 제2오디오짹(210)에 입력된다.
제2오디오짹에서 오디오의 R채널과 오디오의 L채널은 오디오신호 필터부(217)의 카플링 캐패시터(C2,C3)를 통하여 주파수변조부(212)에 출력된다.
이때, DC전압은 카플링 캐패시터(C2,C3)에 의해 차단되어 주파수변조부(212)에 인가되지 못한다.
주파수변조부(212)에서는 유입된 오디오신호를 주파수변조하여 L채널제어부(214)와 R채널제어부(216)로 출력한다.
L채널제어부(214)와 R채널제어부(216)는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유입하여 LED부(218)에 적외신이 음성신호에 따라 발광될 수 LED(218)를 제어한다.
한편, 제2오디오짹(J2)에서 오디오의 L채널과 믹스된 DC 전압은 DC전원필터부(211)의 제2필터코일(L2)와 접지와 연결된 필터캐패시터(C1)을 통과하면서 안정된 전원용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주파수변조부(212)와 LED부(218)에 인가된다.
상기의 무선헤드폰 전원장치는 오디오전용 시스템 뿐만 아니라 TV와 일반 오디오를 출력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는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AC 어댑터를 없애 비용절감과 아울러 보다 간편하게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Claims (4)

  1. 오디오시스템과 접속되어 오디오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에서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를 구동시키는 DC 전압을 유입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역전류를 방지하여 출력시키는 전원필터부; 좌측과 우측의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상기 전원필터부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상기 오디오신호의 좌측 또는 우측의 채널 라인에 인가시켜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로 송신하는 믹스부;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하여 출력한 오디오 신호와 DC 전압에서 오디오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상기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오디오신호 필터부; 및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하여 출력한 오디오 신호와 DC 전압 중에서 DC 전압만을 통과시켜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에 공급하는 DC 전압필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필터부는 필터코일과 다이오드가 직렬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필터부는 DC 전압을 차단하고 오디오신호만 통과시키는 캐플링캐패시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압부는 필터코일과 접지와 연결된 캐패시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KR2019950029137U 1995-10-17 1995-10-17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KR0123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137U KR0123018Y1 (ko) 1995-10-17 1995-10-17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137U KR0123018Y1 (ko) 1995-10-17 1995-10-17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37U KR970020237U (ko) 1997-05-26
KR0123018Y1 true KR0123018Y1 (ko) 1998-10-01

Family

ID=1942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137U KR0123018Y1 (ko) 1995-10-17 1995-10-17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0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37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179A (en)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volume and power on electronic equipment possessing an audio output
CA2301062A1 (en) A distributed stereo system
EP0471477B1 (en) Wireless receiver
JP2001521320A (ja) 赤外線通信方式
KR0123018Y1 (ko) 무선헤드폰 발신장치의 전원장치
ITAT20110001A1 (it) Dispositivo elettronico dab-fm per l'acquisizione di dati audio in radiodiffusione digitale (dab) e loro conversione in dati audio in radiodiffusione fm (frequency modulation) stereo, pilotabile attraverso comandi al volante
US6708093B2 (en) Vehicle audio interface adapter
KR200279583Y1 (ko) Ir 방식의 무선 오디오 송출장치를 내장한 스피커 시스템
JPH09509025A (ja) 放射線放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2005051461A (ja) 直流電流と低周波信号と高周波信号の重畳伝送方式
JPH0522995Y2 (ko)
EP1244226A3 (en) Transmitter for connection to an audio device
KR920002500Y1 (ko) 스테레오 tv신호에 의한 외부 오디오기기 제어회로
JPH10336082A (ja) パワーライン信号伝送システム
KR100238478B1 (ko) 무선헤드폰송신장치및수신장치
JPH0212679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879140A (ja) 2線式通信装置
KR200391084Y1 (ko) 스테레오 무선 헤드폰의 채널 세팅장치
KR100296520B1 (ko) 스테레오텔레비젼과상용전원선을이용한음성통신장치
JP2005151405A (ja) 光情報発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200266817Y1 (ko) 컴퓨터용 무선 스테레오 송수신시스템
KR200197349Y1 (ko) 카오디오 원격 제어 시스템
JPH0787583A (ja) 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システム
JPH0342755Y2 (ko)
KR20050122744A (ko)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장치와 이것을이용한 구내 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