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863Y1 - 저가형 제전장치 - Google Patents

저가형 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863Y1
KR0122863Y1 KR2019920015531U KR920015531U KR0122863Y1 KR 0122863 Y1 KR0122863 Y1 KR 0122863Y1 KR 2019920015531 U KR2019920015531 U KR 2019920015531U KR 920015531 U KR920015531 U KR 920015531U KR 0122863 Y1 KR0122863 Y1 KR 0122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paper
brush
protective box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5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212U (ko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20015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863Y1/ko
Publication of KR940006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가형 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제전 코로나 방식을 탈피하여 제전브러쉬를 사용함으로써 전가인 제전장치를 실현하는 것으로 전사 코로나 와이어(103)에 의해 방전시 발생된 전하가 누설되어 종이(102)의 이면에 쌓여 있을때 상기 누설된 전하를 제거시켜줄 뿐만 아니라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켜 주는 제전브러쉬(106)와, 상기 제전브러쉬(106)를 종이(102)와 일정 간격 유지시켜 주는 가이드(10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형 제전 브러쉬 장치인 바, 제작비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오존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저가형 제전장치
제1도는 종래 전사 및 제전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전사 및 제전장치의 상세 기능도.
제3도는 본 고안 전사 및 제전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전사 및 제전장치의 상세 기능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드럼 102 : 종이
103 : 코로나 와이어 104 : 보호상자
105 : 토너 106 : 제전브러쉬
107 : 가이드
본 고안은 저가형 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사사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사부를 지난 종이를 제전시키는 방식이 제전브러쉬를 사용하므로서 저가인 제전장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제전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전사시키고자 하는 종이(2)를 이동시켜 주고 토너(정전기록현상)로서 상을 맺히게 하는 드럼(1)과, 상기 종이(2) 이면쪽에 대향하여 코로나 방전을 야기시키는 전사 코로나 와이어(3)와, 상기 전사 코로나 와이어(3)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상자(4)와, 상기 보호상자(4)에 역기 둘러싸여 있으며 종이(2) 표면으로 이동된 전하를 제전시켜 주는 제전코로나 와이어(5)로 구성되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드럼(1) 표면상에 맺혀있는 토너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제전장치의 동작과정을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드럼(1)상에 맺힌 토너(6)는 현상방식에 따라 양극 혹은 음극을 뛸수 있는데 본 도면에서는 음전하를 띄는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토너(6)가 맺혀져 있는 드럼(1)은 종이(2)의 진행속도와 같은 선속도로 회전을 하게 되고 종이(2)가 전사 코로나 영역에 이르면 전사 코로나 와이어(3)에서 보호상자(4)쪽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게 되는데 방전된 양전하는 접지되어 있는 보호상자(4)로 대부분 흘러 가지만 극히 일부는 트여져 있는 부분으로 누설되어 종이(2) 이면에 쌓이게 된다. 이로인해 종이(2)는 정전기력을 가지게 되며 이 정전기력으로 음극을 띄는 종이(2)표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사가 끝난 종이(2)는 정착을 위하여 정착기 쪽으로 계속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종이(2)에 쌓여있는 양전하들은 주위의 부품들과 방전을 일으켜 화상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종이(2)가 제전 코로나 와이어(5)에 의해 적당량이 제전되어 지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전장치를 구성하는데는 종이 이면에 쌓여있는 전하를 적당량 제전시키기 위해서는 비싼값의 제전 코로나 와이어와 그것을 둘러싸는 보호상자도 필요했다.
또한 방전에 의한 오존이 발생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성능좋은 필터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보호상자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전브러쉬와, 상기 제전브러쉬가 종이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종이에 쌓인 전하를 간단하게 제전시키면서 이로인한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 저가형 제전장치를 제3도 및 제4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전사시키고자 하는 종이(102)를 이동시켜 주고 토너(105)로서 상을 맺히게 하는 드럼(101)과, 상기 종이(102)의 이면쪽에 대향하여 코로나방전을 야기시키는 전사 코로나 와이어(103)와, 상기 전사 코로나 와이어(103)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상자(104)와, 상기 보호상자(104)의 일측에 부착되어서 전하의 제전기능을 하는 제전브러쉬(106)와, 상기 제전브러쉬(106)가 종이(102)와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가이드(107)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전장치의 작용효과를 알아보면 먼저 종이(102)가 드럼(101) 표면위로 진입하게 되면 드럼(101)은 종이(102)와 같은 선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드럼(101)표면에 있는 토너(105)를 덮은 상태로 전사 코로나 영역에 이르면 전사 코로나 와이어(103)에서 보호상자(104)쪽으로 방전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방전된 양전하는 접지되어 있는 보호상자(104)로 대부분 흘러 들어가지만 극히 일부는 트여진 부분으로 누설되어 종이(102) 이면에 쌓이게 된다. 이로인해 종이(102)는 정전기력을 가지게 되며 이 정전기력으로 음극을 띄는 토너(105)는 종이(102)표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종이(102)가 보호상자(104)의 일측에 부착된 제전브러쉬(106) 근처에 이르게 되면 가이드(107)에 의해 제전브러쉬(106)와 종이(102)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종이(102)에 쌓여 있던 전하는 제전브러쉬(106)에 의해서 적당량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제전브러쉬(106)를 통하여 빠져 나가는 전하의 적당량은 가이드(107)를 조절하여 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제전 코로나 와이어 대신에 제전브러쉬를 사용함으로써 제작비가 훨씬 저렴해질 뿐만 아니라 월등히 구조가 간단하며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전사시키고자 하는 종이를 이동시켜 주고 토너로서 상을 맺히게 하는 드럼과, 상기 종이 이면쪽에 대향하여 코로나방전을 야기시키는 전사 코로나 와이어와, 상기 전사 코로나 와이어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상자와, 상기 보호상자의 일측에 부착되어서 전하의 제전기능을 하는 제전브러쉬와, 상기 제전브러쉬가 종이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가이드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가형 제전장치.
KR2019920015531U 1992-08-18 1992-08-18 저가형 제전장치 KR0122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5531U KR0122863Y1 (ko) 1992-08-18 1992-08-18 저가형 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5531U KR0122863Y1 (ko) 1992-08-18 1992-08-18 저가형 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212U KR940006212U (ko) 1994-03-22
KR0122863Y1 true KR0122863Y1 (ko) 1998-12-01

Family

ID=1933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5531U KR0122863Y1 (ko) 1992-08-18 1992-08-18 저가형 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8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212U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6184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JPS6314176A (ja) 制御スクリ−ン付コロナ放電装置
US4050802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469949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22863Y1 (ko) 저가형 제전장치
US4400081A (en) Apparatus for cleaning photosensitive member of electrostatic copying machine
US5444523A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ransfer material carrier device with grounding member
US4762997A (en) Fluid jet assisted ion projection charging method
JPS6345800A (ja) 感光性物体用除電装置
US4851865A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S5762063A (en) Image recorder
JPH0675457A (ja) 帯電装置
US5250995A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 having image quality improving devices
JPS5917119Y2 (ja) 紙の静電気除去装置
JPS5532051A (en) Destaticizer of copying machine
JPH06295117A (ja) 画像形成装置
JPS5762066A (en) Image recorder
JPS6362078B2 (ko)
JPS58173774A (ja) フラツシユ定着装置
JPH07271149A (ja) コロナ帯電装置
JP2754908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装置
JPH0635251Y2 (ja) 電子式複写機等の転写装置
JPH0756451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前用紙ガイド装置
KR930020235A (ko) 복사기의 잠상 제전장치
JPS6180168A (ja) 除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