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951B1 -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 Google Patents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951B1
KR0121951B1 KR1019940012010A KR19940012010A KR0121951B1 KR 0121951 B1 KR0121951 B1 KR 0121951B1 KR 1019940012010 A KR1019940012010 A KR 1019940012010A KR 19940012010 A KR19940012010 A KR 19940012010A KR 0121951 B1 KR0121951 B1 KR 012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bimetal
tube
curren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526A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951B1/ko
Publication of KR95003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등에서 발생하는 잔광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등관에 관한 것으로서, 아르곤가스가 봉입된 원형의 점등관내에 고정전극과 바이메탈로 된 쌍금속사이에 전류통로로 작용하는 저항을 연결한다. 이 저항의 저항값은 형광등의 스위치가 온되어 초기 전원이 고정 전극과 쌍금속에 인가될 때에는 이들에 인가되는 전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으며, 형광등내에 존재하는 저항값보다는 충분히 작은 값을 갖도록 설정하므로써 형광등의 구동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램프회로가 설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잔광현상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제1도는 종래의 형광등 점등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형광등 점등회로에 사용되는 점등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등관 1a : 관
1b : 고정 전극 1c : 쌍금속
2 : 형광등 2a : 필라멘트
3 : 안정기 4 : 램프회로
본 발명은 형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등의 구동스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를 갖는 형광등에서 발생하는 잔광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은 통상적으로 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관 내부에는 형광물질이 얇게 발라져 있고, 관 양 끝에는 필라멘트와 보조 전극이 있다. 또한, 관 안에는 수 mg의 수은과 점등을 쉽게 하기 위한 수 mg의 아르곤이 봉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형광등은 필라멘트가 가열되면 그로부터 전자가 방출됨과 동시에 관 안의 수은은 증기로 되어 0.01mmHg 정도가 된다. 한편,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수은 증기와 충돌하여 그로부터 전자가 튀어 나오게 함과 동시에, 전자 궤도 변화가 일어나서 자외선을 방출하여 형광 물질을 여기한다. 자외선이 형광 물질에 입사하면 형광 물질로부터 자외선보다 파장이 긴 빛 즉, 가시 광선이 방출되므로 광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제1도에는 이러한 형광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종래의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회로에서 스위치(SW1)가 온상태로 되면 점등관(1)에는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때, 점등관(1)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관(1a)내에 고정 전극(1b)과 바이메탈로 된 쌍금속(1c)이 형성되고, 관(1a)내에는 아르곤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따라서, 점등관(1)은 전압이 인가되면 글로우방전을 개시하여 발열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발열이 원인이 되어 쌍금속(1c)은 늘어나기 때문에 고정 전극(1b)과 접촉한다. 쌍금속(1c)과 고정 전극(1b)의 접촉으로 형광등(2)의 필라멘트(2a)에 전류가 흘러 가열되기 시작하면 형광등(2)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수은 증기가 발생한다. 이때, 점등관(1)내는 글로우방전의 중단으로 내부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바이메탈(1c)이 원상태로 복귀하면 안정기(3)에 고전압이 유도되므로 형광등(2)의 필라멘트(2a)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형광등(2)은 방전을 개시한다. 형광등(2)내에 방전전류가 흐르면 안정기(3)에서 일어나는 전압 강하 때문에 두 필라멘트(2a)사이에는 고도한 전류가 형광등(2)내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 정상적인 방전이 계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형광등 구동회로에서 스위치(SW1)와 병렬로 연결된 램프회로(4)는 사용자로 하여금 형광등이 방전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발광 다이오드(D1)를 구동시켜 스위치(SW1)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위치(SW1)가 오프상태에서는 전류제한용 저항(R1)을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D1)에는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므로 발광을 개시하게 되어 사용자가 스위치(SW1)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램프회로(4)가 구성된 경우에는 스위치(SW1)가 오프상태에서도 발광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소정의 전류가 형광등(2)에 공급되므로 잔광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스위치(SW1)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에도 발광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소정의 전류가 형광등(2)에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형광등(2)은 약간의 방전을 소정시간 계속하게 되는 잔광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잔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점등관(1)과 병렬로 저항(R2)을 연결하여 형광등(2)에 인가되는 전류를 우회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점등관(1)과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2)을 상기 형광등(2)의 필라멘트(2a)간 즉, 형광등(2)내에 존재하는 저항값보다 작은 저항으로 구성하므로써, 스위치(SW1)가 온 상태일때에는 형광등(2)내에, 즉 필라멘트(2a) 상호간에 전류가 공급되나 스위치(SW1)가 오프시에 발광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저항(R2)을 통하여 흐르게 하고 형광등(2)내에는 흐르는 전류는 거의 없게 하므로써 잔광현상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저항(R2)이 구성되지 않은 형광등 구동 제어회로에 새로이 저항(R2)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안정기(3)등을 분해한 상태에서 저항(R2)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그 시공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관에 형광등의 잔광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를 우회시켜 통과시키는 전류통로를 형성하므로써, 잔광현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 전극과 쌍금속을 포함하는 형광등용 점등관에 있어서, 고정 전극과 쌍금속 사이에 전류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잠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의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하게 아르곤가스가 봉입된 원형의 관(1a)내에 고정 전극(1b)과 바이메탈로 된 쌍금속(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전극(1b)과 쌍금속(1c) 사이에는 저항(R3)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저항(R3)은 형광등(2)의 스위치(SW1)가 온되어 초기 전원이 고정 전극(1b)과 쌍금속(1c)에 인가될 때에는 이들에 인가되는 전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으며, 형광등(2)의 구동시에 형광등(2)내에 존재하는 저항값보다는 충분히 작은 값을 갖는 저항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저항(R3)이 상기 고정 전극(1b)과 쌍금속(1c) 사이에 연결되면 스위치(SW1)가 온되는 경우에도 고정 전극(1b)과 쌍금속(1c)은 점등관(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쌍금속(1c)이 늘어나 고정 전극(1b)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스위치(SW1)가 오프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저항(R3)값이 상기 형광등(2)내에 존재하는 저항값보다 작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D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대부분은 저항(R3)을 통하여 우회하게 되어 잔광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저항(R3)은 종래의 저항(R1)과 동일하게 발광 다이오드(D1)의 전류를 우회시키기 위한 전류통로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1)의 등가회로는 제1도와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D2)의 전류를 우회시키기 위한 전류통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등관은 통상의 형광등 점등회로에서는 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잔광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형성되지 않은 형광등 점등회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으로 교체하면 잔광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은 형광등의 구동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램프회로가 설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잔광현상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광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광등의 점등회로에서도 점등관의 교체로 잔광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정 전극과 쌍금속을 포함하는 형광등용 점등관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극과 쌍금속 사이에 전류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통로는 저항으로 형성한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통로는 캐패시터로 형성한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KR1019940012010A 1994-05-31 1994-05-31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KR012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010A KR0121951B1 (ko) 1994-05-31 1994-05-31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010A KR0121951B1 (ko) 1994-05-31 1994-05-31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526A KR950035526A (ko) 1995-12-30
KR0121951B1 true KR0121951B1 (ko) 1997-11-12

Family

ID=1938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010A KR0121951B1 (ko) 1994-05-31 1994-05-31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56A (ko) * 2002-10-09 2004-04-17 신식범 에이치아이디 램프용 전파형 안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526A (ko) 199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160A (en) Rare gas discharge lamp
US5309061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incandescent lamp starting aid
JP2007505464A (ja) ランプホルダアーク保護を有するバラスト
US4321506A (en) Discharge lamp and lighting equipment
JPS59180949A (ja) 金属蒸気放電灯
US2858478A (en) Apparatus for flashing fluorescent lamps
KR0121951B1 (ko) 잔광현상 방지용 점등관
JPH04308647A (ja) 白熱放射フィラメント装備のグロー放電ランプ
KR100943873B1 (ko) 열음극 형광 램프
JP3418716B2 (ja) 高圧蒸気放電灯
KR900006149B1 (ko) 저압 방전등
JP3702309B2 (ja) 高圧金属蒸気放電灯
KR0165218B1 (ko) 램프용 안정기 회로
JP3489414B2 (ja)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KR100228644B1 (ko) 형광등 및 그 점등회로
JP3588940B2 (ja) 高圧放電ランプ、高圧放電ランプ装置及び照明装置
JPS6358757A (ja) 金属蒸気放電灯
KR200374516Y1 (ko) 형광등 점등장치
JPS5818862A (ja) 高圧放電ランプ
JP3409373B2 (ja) ソレノイド磁界式放電灯
JPH06275239A (ja) 交互点灯形放電ランプ
JPH0415579B2 (ko)
JP2001126663A (ja) 高圧放電ランプ
JP2008532239A (ja) グロースイッチスタータ、スタータを備えた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並びに、スタータの使用方法
JPH0554864A (ja) 高圧金属蒸気放電灯および高圧金属蒸気放電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