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64Y1 - 장식용 화환받침대 - Google Patents

장식용 화환받침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64Y1
KR0121764Y1 KR2019950007801U KR19950007801U KR0121764Y1 KR 0121764 Y1 KR0121764 Y1 KR 0121764Y1 KR 2019950007801 U KR2019950007801 U KR 2019950007801U KR 19950007801 U KR19950007801 U KR 19950007801U KR 0121764 Y1 KR0121764 Y1 KR 0121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corative
support rods
connector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164U (ko
Inventor
홍길선
Original Assignee
홍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선 filed Critical 홍길선
Priority to KR2019950007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64Y1/ko
Publication of KR960033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64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화환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에 연결구(40)를 연결 설치한 받침대를 화환용으로 사용한 후 꽃꽃이나 화분설치 등의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1회 사용후 폐기되는 화환받침대를 재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화환받침대
본 고안은 장식용 화환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봉과 다수개의 받침봉에 연결구로 연결 설치한 받침대를 화환으로 사용한 후 실내나 정원 등에서 꽃꽂이나 화분을 설치할 수 있는 장식용 받침대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장식용 화환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받침대는 경조사에 다량의 꽃을 모아 놓은 화환을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21에서와 같이 목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받침대(1)에 오아시스(2;물을 흡수하여 꽃을 꽂을 수 있도록 한 부재)가 수납된 오아시스용기(3)를 설치하고, 상기 오아시스(2)에 다수개의 꽃(F')을 꽃아 화환(F)을 이루도록 한 것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화환은 경조사의 기간이 끝난 후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것이 보통이며, 특히 받침대는 폐기되는 부피가 커서 쓰레기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처리비용을 별도로 부담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화환 제조단가의 상승과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조사를 목적으로 사용한 화환의 받침대를 실내나 정원 등에서 꽃꽂이나 화분 등을 설치하여 장식용 받침대로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화환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지지봉 상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아시스용기의 다른 설치예시도,
도6a는 본 고안에 따른 오아시스용기의 설치 일 예시도,
도6b는 도 6a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오아시스 용기에 캡을 형성한 설치예시도,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구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구를 리벳으로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도8 및 도9의 절첩 사용상태 평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봉에 캡을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요철형상의 연결구를 받침대에 설치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13은 도12의 설치상태 요부 단면도,
도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구의 양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도 14의 설치상태 요부 단면도,
도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봉 1개에 받침봉 2개를 구비한 예시도,
도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봉 1개에 받침봉 4개를 구비한 예시도,
도1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봉 2개에 받침봉 3개를 구비한 예시도,
도1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V형의 연결구를 이용한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0a,20b,20c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로서, 지지봉과 받침봉의 개수에 따른 절첩상태 평면예시도,
도21은 종래 화환의 측면부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1:지지봉 20a:통공
20b:절곡부 22:나사부
23,23a:삽입공 24:나사공
31,31,32,33:받침봉 30a,31a,32a,33a:통공
30b,31b,32b,33b:절곡부 30c,31c,32c:나사공
30d,31d,32d:삽입공 40,41,42:연결구
40a:나사부 43:삽입공
44:볼트 45:너트
47:연결편 48:체결구
50:패킹 60:오아시스
70:오아시스용기 71:캡
73:고정편 74:결속구
80:캡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환을 재치하도록 하는 받침부재 및 오아시스용기 등을 설치하여 다단으로 화환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내부에 통공(20a)이 구비되고 하측 소정부위에는 외측방으로 휘어진 절곡부(20b)가 형성되며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20);
상기 지지봉(20)보다 짧은 길이로써 내부에 각각 통공(30a)(31a)(32a)이 구비되고 하측 소정부위에 외측방으로 휘어진 절곡부(30b)(31b)(32b)가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봉(31)(32)(33);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와 상기 받침봉(31)(32)(33)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화환받침대는 오아시스용기 등을 설치하여 화환의 본래 목적대로 사용 후, 사용된 꽃을 제거하고 받침대만을 실내 조경 등 여러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예시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써 기준이 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하측에 연결구(40)로 연결된 다수개의 받침봉(31)(32)(33)으로 구성된다.
먼저 지지봉(20)은 내부에 통공(20a)이 구비된 것이며, 하측 소정부위에는 외측방으로 휘어진 절곡부(20b)가 형성되고 수직으로 설치된다.
받침봉(31)(32)(33)은 상기 지지봉(20)보다 짧은 길이로써 역시 내부에 각각 통공(30a)(31a)(32a)이 구비되고 하측 소정부위에는 상기 지지봉(20)과 같이 외측방으로 휘어진 절곡부(30b)(31b)(3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와 상기 받침봉(31)(32)(33)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40)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50은 패킹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받침대는 도2에 측부를 도시하여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 꽃(F')을 설치하여 화환(F)으로서 사용되는 바, 상기 받침봉(30)(31)(32)과 연결구(40)에 오아시스용기(70)를 안치하고, 상기 지지봉(20)의 상단에도 오아시스용기(70)를 설치한 후 오아시스(60)를 수납시켜 꽃을 꽂도록 하게된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화환을 경조사의 용도로 사용한 후 꽃(F')을 분리시키고 상기 오아시스용기(70)에 화환용 꽃이 아닌 조경을 목적으로 꽃을 꽂은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 지지봉(20)의 상단에 오아시스용기(70)를 설치하는 것은 종래에 있어서 삽설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루고자 나사부(22)(70a)를 형성하여 결합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아시스용기(70)의 다른 설치 예시도로서,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에 고정설치된 연결구(40)에 오아시스용기(70)가 설치되는 것인 바, 즉 지지봉(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는 결속구(74)가 일측에 구비된 오아시스용기(70)를 이용하여 고정설치가 용이하게 한다.
도6a,도 6b는 지지봉(20)의 절곡부(20b) 상부로 다수개의 삽입공(23)의 형성하여 이 삽입공(23)에 오아시스용기(70)를 설치하는 것을 단면과 정면으로 예시한 것인 바, 오아시스용기(70)의 일측부에 상기 삽입공(23)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요철형상의 고정편(73)을 형성하여 설치하게 한 것이다.
도7은 도5에서와 같이 일측부에 결속구(74)를 형성한 오아시스용기(70)의 외측부에 다수개의 캡(7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 상측 단부에 삽입 설치한 것으로 오아시스용기(70)를 가일층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받침대의 외형을 미려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40)에 있어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40)의 중앙에 삽입공(43)을 형성하여 볼트(44)와 너트(45), 도9에 도시된 리벳(46)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게 하면, 이는 도10에 평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과 받침봉(30)(31)(32)이 서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도11은 다수개의 받침봉(30)(31)(32) 상부 단측에 캡(80)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통공(30a)(31a)(32a)을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을 고려한 것이며 상기 통공(30a)(31a)(32a)으로 물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 상부 일측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 삽입공(23a)(30d)(31d)(32d)을 형성하여 양측 단부가 요철 형상으로 된 연결구(41)를 삽입한 것이다. 이를 도13에 지지봉(20)을 일부 체결하여 상세히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연결구(41)의 삽입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다른 방법으로서는 연결구(41)의 일단부를 지지봉(20)과 받침봉(30)(31)(32)에 용접처리 할 수도 있다.
도14에서와 같이 연결구(40)의 양측 단부에 나사부(40a)를 형성하고, 도15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 상부 일측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 나사공(24)(30c)(31c)(32c)를 형성하여 연결구(40)의 설치가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봉(20)에 연결되는 받침봉은 도1의 3개 외에 도16에서와 같이 2개, 도17에서와 같이 4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20)과 같은 형상의 지지봉(21)을 상기 지지봉(20)의 일측방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봉(20)(21)의 일측방으로 연결구(40)(41)(42)에 의해 연결 설치한 받침봉(30)(31)(32)은 소정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의 연출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지지봉(20)(21)은 연속된 S자 형으로 형성하는 등 자유롭게 변형시켜 심미감을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19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봉(20)(21)과 받침봉(30)(31)(32)(33)을 연결편(47)과 'V'형의 연결구(42)를 체결구(48)로 설치하여 도20a,도20b,도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20)(21)과 받침봉(30)(31)(32)(33)이 회전 절첩 가능토록 하여 화환받침대의 이동,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각종 경조사에서 화환으로 사용된 받침대를 재활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실내, 정원 등에서 꽃꽂이나 화분 받침대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1회 사용후 폐기되는 것을 재활용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단가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쓰레기양을 감소시키게 되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화환을 재치하도록 하는 받침부재 및 오아시스용기 등을 설치하여 다단으로 화환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내부에 통공(20a)이 구비되고 하측 소정부위에는 외측방으로 휘어진 절곡부(20b)가 형성되며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20); 상기 지지봉(20)보다 짧은 길이로써 내부에 각각 통공(30a)(31a)(32a)이 구비되고 하측 소정부위에 외측방으로 휘어진 절곡부(30b)(31b)(32b)가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봉(31)(32)(33);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가 상기 받침봉(31)(32)(33)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짖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상단부 통공(20a)과 이에 대응되는 오아시스용기(70)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각각 나사부(22)(7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 상측부로 다수개의 삽입공(23)을 형성하여 이 삽입공(23)의 일측부에 요철형상의 고정편(73)을 형성한 오아시스용기(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0) 상부에는 일측부에 결속구(74)를 구비항 오아시스용기(70)를 지지붕(20)에 결속시켜 안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부에 결속구(74)를 형성한 오아시스용기(70)의 외측부에 다수개의 캡(7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 상측 단부에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 상부 일측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 삽입공(23a)(30d)(31d)(32d)을 형성하여 양측 단부가 요철 형상의 연결구(41)를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과 받침봉(30)(31)(32)의 일측부에 연결구(40)의 일단부를 용접 처리하여 상기 연결구(40)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절곡부(20b) 상부 일측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의 절곡부(30b)(31b)(32b) 상부 일측에 나사공(24)(30c)(31c)(32c)를 형성하여 양측 단부에 나사부(40a)를 형성한 연결구(40)를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을 연결시키기 위해 설치한 연결구(40)의 중앙부에 삽입공(43)을 형성하여 볼트(40)와 너트(45), 리벳(46)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결구(40)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하여 상기 지지봉(20)과 다수개의 받침봉(30)(31)(32)이 서로 절첩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일측방으로 연결구(40)(41)(42)에 의해 연결 설치한 2개 이상의 받침봉(30)(3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과 같은 형상의 지지봉(21)을 상기 지지봉(20)(21)의 일측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12. 제1항 또는 제10,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21)과 받침봉(30)(31)(32)(33)을 연결편(47)과 'V'형의 연결구(42)를 체결구(48)로 설치하여 상기 지지봉(20)(21)과 받침봉(30)(31)(32)(33)이 회전 절첩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화환받침대.
KR2019950007801U 1995-04-17 1995-04-17 장식용 화환받침대 KR0121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801U KR0121764Y1 (ko) 1995-04-17 1995-04-17 장식용 화환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801U KR0121764Y1 (ko) 1995-04-17 1995-04-17 장식용 화환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64U KR960033164U (ko) 1996-11-19
KR0121764Y1 true KR0121764Y1 (ko) 1998-07-01

Family

ID=6086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801U KR0121764Y1 (ko) 1995-04-17 1995-04-17 장식용 화환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252B1 (ko) * 2019-12-31 2021-03-23 서우산업 주식회사 화분 화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64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96231A (ja)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KR0121764Y1 (ko) 장식용 화환받침대
US5524382A (en) Decorative ornament
JPH11285315A (ja) 鉢置きセット
KR102195624B1 (ko) 조립식 바구니 화환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CN214206498U (zh) 一种环境艺术设计用绿化装饰装置
KR20040045781A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JP2503223Y2 (ja) プランタ―載置部を有するフェンス
KR200271768Y1 (ko) 조경용 화분 걸이대
GB2386137A (en) Garden structure with trellis, such as a pergola
KR960006066Y1 (ko) 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화분 걸이대
WO2024089718A1 (en) Modular plant pot system
CN212213291U (zh) 具有拓展功能的盆栽托架
KR0119695Y1 (ko) 크리스마스 츄리장식구
CN211354827U (zh) 一种装饰花架
KR19990000718U (ko) 화분 받침대
KR950005161Y1 (ko) 화분 장식편
KR100488473B1 (ko) 조화 및/또는 생화 장식용 보드
KR200295049Y1 (ko) 조립식 화분받침대
KR830001230Y1 (ko) 다단식 화분
KR900004649Y1 (ko) 다단 조립식 화분
KR200227653Y1 (ko) 핀 삽입형 상,하단 연결 구조 화분
KR200234688Y1 (ko) 착탈식 입체화분
KR200178654Y1 (ko) 꽃꽂이용 수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