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143B1 -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 Google Patents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143B1
KR0121143B1 KR1019940033321A KR19940033321A KR0121143B1 KR 0121143 B1 KR0121143 B1 KR 0121143B1 KR 1019940033321 A KR1019940033321 A KR 1019940033321A KR 19940033321 A KR19940033321 A KR 19940033321A KR 0121143 B1 KR0121143 B1 KR 012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frequency
out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450A (ko
Inventor
황기성
박상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143B1/ko
Publication of KR95003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로는 대기상태에서도 전원 트랜스의 1차측은 전원공급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기설정된 높은 주파수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고, 제1정류부를 통한 전압을 평활하기 위해 매우 큰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압과 주파수가 일정한 경우 매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압 변동률 즉, 역률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기상태에서는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전원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원 트랜스를 구동시키므로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평활용 콘덴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역률개선용 필터를 삽입하여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를 창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제1도는 종래 전원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 다른 전원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전원장치의 절전회로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시정수 및 발진기의 출력파형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 정상구동상태시의 각부 출력파형도.
제7도는 제4도에 있어서, 대기전원상태시의 각부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원 스위치부 12 : 제1필터부
13 : 제1정류부 14 : 역률개선용 필터부
15 : 스타팅전원 공급부 16 : 전원공급 제어부
17 : 제2정류부 18 : 제2필터부
19 : 제3정류부 20 : 리모트 콘트롤신호 수신부
21 :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 22 : 플라이백 트랜스 전원스위칭부
23 : 보조 필터부 24 : 주파수 발생부
25 : 주파수 선택부 Q1 :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SMPS T1 : 전원 트랜스 SPL1,2 : 공급권선
PC1 : 포토 커플러 M1 : 모스 트랜지스터
Q2 : 트랜지스터 101 : 정전압부
102 : 발진부 103 : 스위칭 구동부
104 : 레벨 변환부 105 : 제1정류부
106 : 제2정류부 107 : 제3정류부
108 : 검출부 109 : 모드 절환부
110 : 모드 판별부 111 : 저주파 출력부
Q3 : 스위칭 트랜지스터 CP1,CP2 : 비교기
PC1 : 포토 커플러 MULT1 :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본 발명은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상태(스탠바이모드)에서는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전원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원 트랜스를 구동시키므로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역률개선용 필터를 사용하여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전원장치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 필터(L/F)와 콘덴서 (C1,C2)로 이루어져 전원스위치부(1)를 통한 입력전원(Vin)에서 스파이크성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1필터부(2)와, 상기 제1필터부(2)를 통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제1정류부(3)와, 상기 제1정류부(3)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평활하기 위한 평활용 콘덴서(C3)와, 저항(R1)과 콘덴서(C4)와 다이오드(D1,D2)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정류부(3) 또는 전원 트랜스(SMPS T1)의 공급권선(SPL1)에 유기된 전압을 스타팅 전압으로 공급하는 스타팅전원 공급부(4)와, 상기 스타팅전원 공급부(4)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5)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5)의 출력펄스에 따라 온/오프동작을 반복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1차측에 전류를 인가받아 2차측에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트랜스(SMPS T1)와, 상기 전원 트랜스 (SMPS T1)의 2차측에 발생한 유기전압을 정류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 : Flyack transformer) 전압(B+)과 대기전압 (ST B+)으로 공급하는 제2정류부(6)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에 따른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7)와, 트랜지스터(Q2)와 릴레이(RY1)로 이루어져 상기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7)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2정류부(6)에서 플라이백 트랜스(FBT)로 공급되는 전압을 공급/차단하는 플라이백 트랜스전원 제어부(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회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스위치부(1)가 온되면 교류전원(Vin)이 인가되는데, 그 인가된 교류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스파이크성 잡음성분은 라인필터 (L/F)와 콘덴서(C1,C2)에 의해 필터링된다.
상기 필터링된 교류전원은 제1정류부(3)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정류되어 출력되는데, 그 정류된 전압은 평활용 콘덴서(C3)에 의해 평활되어 전원 트랜스(SMPS T1)의 1차측에 인가됨에 아울러 저항(R1)과 다이오드(D1)를 통해 전원공급 제어부(5)의 스타트단자(ST)에 스타팅전원으로 인가된다.
이때, 평활용 콘덴서(C3)로는 대용량을 사용하며,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는 콘덴서(C4)를 통해 접지측과 연결되어 있다.
스타트 단자(ST)를 통해 전압을 인가받은 전원공급 제어부(5)는 출력단자(OUT)를 통해 스위칭 드라이브 펄스를 출력하는데, 그 스위칭 드라이브 펄스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1)를 온/오프 시킨다.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됨에 따라 그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트랜스(SMPS T1)의 1차측에 전류를 공급/차단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그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는 유기전압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공급권선(SPL1)에 발생한 유기전압은 다이오드(D2)를 통해 전원 공급 제어부(5)의 스타트단자(ST)에 인가되는데 이때, 다이오드(D2)의 전압을 다이오드(D1)보다 높게 설정해 놓으면 다이오드(D2)가 '온'될 경우 다이오드(D1)는 자동으로 오프되어 이후로는 다이오드(D2)에 의해 스타팅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3)와 콘덴서(C5,C6)에 의해 정류되어 릴레이 스위치(RY11)에 인가되고, 중간탭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C8)에 의해 정류되어 스탠바이 전원(ST B+)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릴레이 코일(L1)에 인가된다.
이때,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7)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조작에 따라 그에 따른 전원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데, 그 전원 온/오프 신호에 따라 이를 베이스에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2)을 통해 릴레이 코일(L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됨에 따라 릴레이 코일(L1)에 전류가 공급/차단된다. 이로 인해, 릴레이 스위치(RY11)가 단락/개방되어 상기 다이오드(D3)와 콘덴서 (C5,C6)를 통한 전압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공급 또는 차단된다.
즉, 사용자가 파워 온 조작을 하면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7)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2)는 온된다. 그 트랜지스터(Q2)가 온됨으로 인해 릴레이 스위치(RY11)가 온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전원이 공급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대기상태 조작을 하면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7)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된다. 그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됨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RY11)도 오프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전원장치의 회로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C4,C5), 저항(R11), 다이오드(D1,D2), 제너다이오드(ZD1),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져 입력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하여 출력하기 위한 정전압부(51)와, 발진기(OSC), 저항(R2,R3), 콘덴서(C1,C2)로 이루어져 상기 정전압부(51)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 구동상태 또는 대기상태에 따른 주파수를 출력하는 발진부(52)와, 인버터(NOT1), 트랜지스터(Q1,Q2), 저항(R4,R5), 콘덴서(C3)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부(52)의 출력주파수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부(53)와, 상기 스위칭 구동부(53)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1차측에 전원(Vin)을 공급/차단받아 2차측에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트랜스(SMPS T1)와, 다이오드(D3), 저항(R7,R8), 콘덴서(C10)로 이루어져 권선(d1)에 유기된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는 레벨변환부(54)와, 상기 레벨변환부(54)의 출력전압을 기준전압(VR1)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발진부(52)에 출력하는 비교기(CP1)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 권선(d3)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는 제1정류부(55)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 권선(d4)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는 제2정류부(56)와, 다이오드(D6)와, 콘덴서(C9)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 권선(d5)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대기전원으로 공급하는 제3정류부(57)와, 저항(R16-R18)과 제너다이오드(ZD3)와 트랜지스터(Q5)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정류부(55)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58)와, 저항(R13-R15), 다이오드(D7), 제너다이오드(ZD2), 트랜지스터(Q6-Q8), 이루어져 사용자의 모드절환신호에 따라 모드절환을 위한 모드절환부(59)와, 정상구동상태 또는 대기상태에 맞는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발진부(52)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포토 커플러(PC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른 전원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in)이 입력되면 그 전원(Vin)은 저항(R19)을 통해 콘덴서(C5)에 충전된다. 그 콘덴서(C5)의 충전전압이 소정전압 이상이 되면 그 전압은 내부 레귤레이터(도면 미표시)를 통해 발진기(OSC)에 입력되어 그 발진기(OSC)를 구동시킨다.
전원을 인가받은 발진기(OSC)는 저항(R2,R3)과 콘덴서(C1,C2)에 의한 시정수에 따른 주파수를 발생한다.
상기 발진기(OSC)의 출력주파수는 그 레벨이 '하이'주기일 때는 이를 입력받은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저항(R19)을 통한 입력전압이 트랜지스터(Q1)와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3)에 충전된다.
반대로, 상기 발진기(OSC)의 출력주파수가 '로우'주기일 때는 이를 인버터(NOT1)를 통해 입력받은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상기 콘덴서(C3)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은 저항(R5)과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접지측을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상기 콘덴서(C3)에 전압이 충전되면 온되고, 콘덴서(C3)의 전압이 방전되면 오프되는 온/오프 작용을 반복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입력전압(Vin)을 1차측에 공급/차단받은 전원 트랜스(SMPS T1)는 2차측에 유기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 발생한 유기전압중 권선(d3)에 발생한 전압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에 의해 정류되어 출력된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전원을 정상상태 모드로 하였다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는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그 트랜지스터(Q8)는 온상태가 된다.
그리고 권선(d4)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에 의해 정류되는데, 정상상태에서는 정류된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저항(R13)과 제너다이오드(ZD2)와 트랜지스터(Q8)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7)는 오프되고 또한 트랜지스터(Q6)도 오프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를 통해 정류된 전압은 저항(R16-R17)에 의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는데, 정상 상태에서는 분압전압이 높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5)는 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포토 다이오드(LED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5)를 통해 저항(R18)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출력전압 즉, 포토 트랜지스터(PTR1)의 턴온전압은 발진기(OSC)의 온타임 시정수를 변화시킨다.
한편, 권선(d2)에 발생한 전압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4)에 의해 정류된 후,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트랜지스터(Q4)는 온되고 이에 따라 정류된 전압은 콘덴서(C5)에 충전된다. 이후로는 이 과정에 의해 콘덴서(C5)를 충전시킨다.
그리고 권선(d1)에 발생한 유기전압은 다이오드(D3)를 통하고 저항(R7,R8)에 의해 분압된 후 콘덴서(C10)를 통해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CP1)는 비반전입력단자(+)의 기준전압(VR1)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발진기(OSC)에 입력한다.
정상구동상태에서는 비반전입력단자(-)의 입력이 크기 때문에, 비교기(CP1)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발진기(OSC)는 정상적으로 발진작용을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대기상태를 선택하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그 트랜지스터(Q8)는 오프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7)는 온되어 포토 다이오드(LED1)를 통한 전압은 트랜지스터(Q7)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되어 포토 다이오드(LED1)에는 다량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LED1)의 잔류량이 많아지므로 해서 포토 트랜지스터(PTR1)의 턴온량도 커져서 발진기(OSC)의 온타임 시정수를 변화시키는데, 이때는 온타임 시정수가 짧아진다.
이와 같이 대기상태가 되면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의 크기가 반전입력단자(-)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비교기(CP1)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발진기(OSC)는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에 의해 정상상태보다 낮은 주파수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회로는 대기상태에서도 전원 트랜지스터의 1차측은 전원공급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기설정된 높은 주파수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고, 제1정류부를 통한 전압을 평활하기 위해 매우 큰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압과 주파수가 일정한 경우 매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압 변동률 즉, 역률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전원회로는 일반적으로 평활용 콘덴서의 용량과 트랜스의 소형화를 위해 20KHZ이상을 최저 주파수로 설정하고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상태로 동작하더라도 동작 주파수가 수십KHZ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기상태에서는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원 트랜스를 구동시키므로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활용 콘덴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역률개선용 필터를 삽입하여 역률을 향상시키게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전원장치의 절전회로는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조작에 따라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상동작시에는 기설정된 높은 주파수를 선택하고 대기상태에서는 낮은 전원주파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선택부와, 상기 주파수 선택부의 출력주파수를 전달받아 이를 스위칭 주파수로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그에 비례하는 유기전압을 발생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전원 및 대기상태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트랜스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원장치의 절전회로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부의 전원주파수 입력은 1차로 필터링된 전원전압을 다시 필터링하는 보조필터부를 통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장치의 절전회로에 있어서,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신호는 포토 커플러를 통해 상기 주파수 선택부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전원장치의 역률개선회로는 인가된 전원전압을 정류하는 제1정류부의 출력전압을 높은 역률로 평활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필터부와, 상기 역률개선용 필터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그에 비례하는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트랜스와, 전원 트랜스의 유기전압을 정류하는 제2정류부의 출력전압에 남아있는 잔류 리플성분을 필터링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에 공급하기 위한 제2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전원장치의 역률개선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용 필터부는 높은 역률을 위해 사용한 저용량의 평활용 콘덴서(C3)와 그 평활용 콘덴서(C3)를 통해 평활된 전압을 다시 필터링하는 코일(L1) 및 콘덴서(C9)로 구성한다.
전원장치의 역률개선회로에 있어서,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의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필터부의 출력전압을 플라이백 트랜스에 공급/차단하는 플라이백 트랜스전원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전원장치의 절전회로는 입력전압 및 유기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구동하여 기설정된 높은 주파수 또는 제어신호에 따른 낮은 주파수를 출력하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의 출력주파수를 1차측에 입력받아 2차측에 유기전압을 발생하여 정상구동상태전원 및 대기상태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트랜스와,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모드상태를 판단하는 모드 판별부와, 상기 모드 판별부의 출력에 따라 구동하여 발진부가 낮은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저주파를 출력하는 저주파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필터(L/F)와 콘덴서(C1,C2)로 이루어져 전원스위치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서 스파이크성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1필터부(12)와, 상기 제1필터부(12)를 통한 교류전압을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제1정류부(13)와, 콘덴서(C3,C9)와 코일(L1)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정류부(13)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역률이 좋은 상태에서 평활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필터부(14)와, 저항(R1)과 콘덴서(C4)와 다이오드(D1,D2)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정류부(13) 또는 공급권선(SPL1)에 유기된 전압을 스타팅전압으로 공급하는 스타팅전원 공급부(15)와, 상기 스타팅전원공급부(15)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주파수 제어단자(FC)에 입력되는 주파수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16)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16)의 출력펄스에 따라 온/오프동작을 반복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1차측에 전류를 공급/차단받아 그에 따른 유기전압을 2차측에 발생하는 전원 트랜스(SMPS T1)와, 콘덴서(C5,C6)와 다이오드(D3)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 발생한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제2정류부(17)와, 저항(R6-R8)와 콘덴서(C12)로 이루어져 상기 제2정류부(17)의 출력전압을 필터링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공급하는 제2필터부(18)와, 콘덴서(C7,C8)와 다이오드(D4)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 중간탭에 발생한 전압을 정류하여 대기상태(ST B+)전압으로 공급하는 제3정류부(19)와, 상기 제3정류부(1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리모트 콘트롤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달하는 리모트 콘트롤신호 수신부(20)와, 상기 리모트 콘트롤신호 수신부(2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른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와, 트랜지스터(Q2)와, 모스트랜지스터(M1)로 이루어져 상기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2정류부(17)에서 플라이백 트랜스(FBT)로 공급되는 전압을 공급/차단하는 플라이백 트랜스전원 스위칭부(22)와, 상기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PC1)와, 저항(R3)과 코일(L2)과 콘덴서(C11)로 이루어져 상기 제1필터부(12)를 통해 필터링된 전원전압을 다시 필터링하는 보조 필터부(23)와, 저항(R4)과 콘덴서(C10)와 공급권선(SPL2)으로 이루어져 기설정된 공급주파수(40KHZ)를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부(24)와,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출력에 따라 기설정된 공급주파수 또는 상기 보조필터부(23)를 통한 낮은 전원주파수를 선택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16)에 전달하는 주파수 선택부(25)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스위치부(11)를 온시키면 교류전원(Vin)이 인가되는데 라인필터(L/F)와 콘덴서(C1,C2)는 그 인가된 교류전원(Vin)에 포함되어 있는 스파이크성 잡음성분을 필터링한다.
제1정류부(13)는 상기 필터링된 교류전원(Vin)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데 그 정류된 직류전압은 역률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된 저용량의 평활용 콘덴서(C3)에 의해 평활된다.
이때, 그 평활용 콘덴서(C3)의 용량이 작기 때문에 생기는 잔류 리플성분은 코일(L1)과 콘덴서(C9)를 통해 다시 제거되어 전원 트랜스(SMPS T1)의 1차측에 인가됨과 아울러 저항(R1), 다이오드(D1)를 통해 전원공급 제어부(16)의 스타트단자(ST)에 인가된다.
이로 인해, 전원공급 제어부(16)는 주파수 단자(FC)에 전달되는 주파수를 출력단자(OUT)를 통해 스위칭용 펄스로 출력하는데, 그 스위칭용 펄스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를 온/오프시킨다.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됨에 따라 그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트랜스(SMPS T1)의 1차측에 전류를 공급/차단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그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는 유기전압이 발생한다.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 코일중, 공급권선(SPL1)에 발생한 유기전압은 다이오드(D2)를 통해 전원공급 제어부(16)의 스타트단자(ST)에 인가되는데 이때, 다이오드(D2)의 전압을 다이오드(D1)보다 높게 설정해 놓으면 다이오드(D2)가 온될 경우 다이오드(D1)는 자동으로 오프되어 이후로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스타팅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3)와 콘덴서(C5,C6)에 의해 정류되는데, 상기 평활용 콘덴서(C3)의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전원 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에는 잔류 리플성분이 남아 있다. 그 남아있는 리플성분을 저항(R6-R8)과 콘덴서(C12)를 통해 다시 한번 제거하여 모스 트랜지스터(M1)를 통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공급한다.
또한, 2차측 중간탭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C8)에 의해 정류되어 대기상태전원(STB+)으로 리모트 콘트롤신호 수신부(20)와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에 공급된다.
이때,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조작에 따른 신호를 리모트콘트롤신호 수신부(20)를 통해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전원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출력신호에 따라 이를 저항(R2)을 통해 베이스에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단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됨에 따라 모스 트랜지스터(M1)가 온/오프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전압이 공급 또는 차단된다.
즉, 사용자가 대기상태 명령에 따른 조작을 하면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2)가 온되고 그 트랜지스터(Q2)가 온됨으로 인해 모스 트랜지스터(M1)가 오프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전원이 차단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파워 온 조작을 하면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된다. 그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됨에 따라 모스 트랜지스터(M1)는 온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출력신호에 따라 이를 저항(R5)을 통해 입력받은 포토 커플러(PC1)가 온/오프되는데, 그 포토 커플러(PC1)가 온/오프됨에 따른 신호는 주파수 선택부(25)의 제어단자(CTL)에 제어신호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파수 선택부(25)는 상기 제1필터부(12)를 통해 필터링된 전압을 저항(R3)과 코일(L2)과 콘덴서(C11)를 통해 다시 필터링하여 인가받은 전원주파수(50㎐/60㎐)를 선택하거나, 또는 공급권선(SPL2)과 저항(R4) 및 콘덴서(C10)를 통한 기설정된 공급주파수(40KHZ)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16)의 주파수 제어단자(FC)에 인가한다.
즉, 사용자가 파워'온' 조작을 하면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포토 커플러가 온되어 주파수 선택부(25)의 단자(CTL)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하이'신호를 인가받은 주파수 선택부(25)는 기설정된 공급주파수를 선택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16)의 주파수제어단자(FC)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 제어부(16)는 입력된 공급주파수(40KHZ)를 스위칭 주파수로 출력하여 전원 트랜스(SMPS T1)로 하여금 유기전압이 발생하게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대기상태 조작을 하면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21)는 '하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로 인해 포토 커플러(PC1)가 '오프'되어 주파수 선택부(25)의 단자(CTL)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로우'신호를 인가받은 주파수 선택부(25)는 단자(LF)에 인가된 낮은 전원주파수(50㎐/60㎐)를 선택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16)의 주파수 제어단자(FC)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 제어부(16)는 입력된 낮은 전원주파수(50㎐/60㎐)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여 전원 트랜스(SMPS T1)로 하여금 낮은 유기전압을 발생케 한다.
즉, 아래 식(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 Ip : 전원 트랜스 1차권선에 흐르는 전류
Vrd : 전파정류 전압
Lp : 전원 트랜스 1차측 코일갑)
Vrd와 Lp가 일정한 상태에서 주파수(fs)가 작아지면 전류(Ip)도 작아진다. 따라서, 대기상태에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이 실시예를 도시한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이 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C4, C5), 다이오드(D1), 저항(R11), 제너다이오드(ZD1),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져 입력된 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101)와, 발진기(OSC), 저항(R2, R3), 콘덴서(C1, C2)로 이루어져 상기 정전압부(101)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기설정된 주파수 또는 제어신호에 따른 매우 낮은 주파수를 출력하는 발진부(102)와, 인버터(NOT1), 트랜지스터(Q1, Q2), 저항(R4, R5), 콘덴서(C3)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부(102)의 출력주파수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부(103)와, 상기 스위칭 구동부(103)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작용을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입력전원(Vin)을 1차측에 입력/차단받아 2차측에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트랜스(SMPS T1)와, 다이오드(D3)와 저항(R7,R8)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권선(d1)에 발생한 유기전압을 반파정류한 후 그 레벨을 변화시키는 레벨 변환부(104)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권선(d3)에 발생한 유기전압을 정류하는 제1정류부(105)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권선(d4)에 발생한 유기전압을 정류하는 제2정류부(106)와, 다이오드(D6)와 콘덴서(C9)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권선(d5)에 발생한 유기전압을 정류하는 제3정류부(107)와, 저항(R16-18), 제너다이오드(ZD3) 및 트랜지스터(Q5)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정류부(105)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108)와, 저항(R12-15), 다이오드(D), 제너다이오드(ZD2), 트랜지스터(Q6-Q8)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모드절환 신호에 따라 정상구동상태 또는 대기상태로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부(109)와, 정상구동상태 또는 대기상태에 맞는 일정한 출력전압이 발생하도록 상기 발진부(102)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포토 커플러(PC1)와, 저항(R9,R10)과 비교기(CP2)로 이루어져 상기 정전압부(101)의 출력전압을 기준전압(VR2)과 비교하므로서 모드상태를 판별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110)와, 저항(R6), 콘덴서(C6), 모노멀티바이브레이트(MULT1), 다이오드(D8)로 이루어져 상기 모드 판별부(110)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소정주파수를 출력하여 상기 레벨 변환부(104)에 출력하는 저주파 출력부(111)와, 상기 레벨 변환부(104)의 출력을 기준전압(VR1)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상기 발진부(102)의 오프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CP1)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류부를 통해 정류된 전원(Vin)이 인가되면 그 입력전원(Vin)은 전원 트랜스(SMPS T1)의 1차측에 인가됨과 아울러 저항(R19)을 통해 콘덴서(C5)에 충전된다.
그 콘덴서(C5)의 충전전압이 소정전압 이상이 되면 내부 레귤레이터(Vreg)(도면 미표시)가 동작하여 발진기(OSC)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발진기(OSC)는 제5도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타임 시정수(R2,C1)와 오프타임 시정수(R3,C2)에 따른 발진 주파수를 출력한다.
상기 발진기(OSC)의 발진 주파수가 '하이'주기 일때는 이를 베이스에 직접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1)는 온되고, 인버터(NOT1)를 통해 '로우'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된다.
이로 인해 입력전원(Vin)이 저항(R19)과 트랜지스터(Q1)와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3)에 충전되었다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킨다.
반대로, 상기 발진기(OSC)의 발진 주파수가 '로우'주기일 때는 이를 베이스에 직접 인가받는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인버터(NOT1)를 통해 '하이'신호를 인가받는 트랜지스터(Q2)는 온된다.
이로 인해 상기 콘덴서(C3)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저항(R5)과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접지측으로 방전되어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랜지스터(Q3)가 온/오프되면 이에 따라 전원 트랜스(SMPS T1)의 1차측에 인가되어 있던 전압(Vin)이 공급/차단되어 2차측에 유기전압이 발생한다.
이때, 정상구동상태라고 가정하면,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 권선(d3)에 발생한 유기전압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7)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되어 정상전원(V01)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저항(R16,R17)에 의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는 정상구동상태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5)는 온된다.
또한, 전원 트랜스(SMPS T1)의 권선(d4)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다.
한편, 정상 구동상태에서는 전원 제어단자(POW)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Q8)가 온된다. 이때 정상 구동상태에서는 저항(R13)을 통한 상기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에 의해 정류된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제너다이오드(ZD2)는 온되고, 그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한 전압은 트랜지스터(Q8)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7)는 오프되고 이로 인해 상기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를 통한 정류전압의 일부는 저항(R12)과 포토 커플러(PC)의 포토 다이오드(LED1)를 통해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인가됨과 아울러 다이오드(D3)를 통해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7)가 오프됨으로 인해 트랜지스터(Q6)도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LED1)의 턴온량에 비례하여 포토 트랜지스터(PTR)의 턴온량도 달라지는데, 그 턴온량에 따라 입력전압(Vin)이 저항(R19,R1)을 통하여 포토 트랜지스터(PTR1)를 통해 발진기(1)의 저항(R2) 및 콘덴서(C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발진기(1)의 온타임 시정수가 달라진다.
즉,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발진기(OSC)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한편, 권선(d2)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4)에 의해 정류된 후,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고, 그 전압은 콘덴서(C5)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일단 전원 트랜스(SMPS T1)가 구동하고 나면 상기 다이오드(D1)와 콘덴서(C4)에 의해 정류된 전압으로 콘덴서(C5)를 충전시킨다.
상기 다이오드(D1)와 콘덴서(C4)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저항(R9,R10)에 의해 분압되어 비교기(CP2)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는데, 정상 구동상태일 때는 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이 기준전압(VR2)보다 크고, 대기상태일 때는 기준전압보다 작다.
따라서, 비교기(CP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를 입력받은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MULT1)는 리셋트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MULT1)의 출력은 제6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출력측과 접속된 다이오드(D8)는 오프된다.
한편, 권선(d1)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3)를 통해 제6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파정류된 후 저항(R7,R8)에 의해 분압되어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CP1)는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 전압파형을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 기준전압(VR1)과 비교하여 제6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의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는 상기 발진기(OSC)의 출력파형과 동기된 파형의 신호이다. 이 신호를 입력받은 발진기(OSC)는 그에 따라 시정수(R2,C1) 시정수(R3,C2)에 의한 주파수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상태가 되면, 전원제어단자(POW)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이를 베이스에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8)는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저항(R13)과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한 전압이 트랜지스터(Q7)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7)는 온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 전위가 낮아진 트랜지스터(Q6)도 온되어 상기 다이오드(D5)와 콘덴서(C8)를 통한 정류된 전압의 일부는 저항(R14)과 트랜지스터(Q6)를 통해 대기전원(V02)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LED1)를 통한 전압은 다이오드(D7)와 트랜지스터(Q7)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되어 그 턴온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포토 트랜지스터(PTR1)의 턴온량도 증가한다.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R)의 턴온량이 증가하면 저항(R1)을 통하고 포토 트랜지스터(PTR1)를 통해 발진기(OSC)의 저항(R2) 및 콘덴서(C1)에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이 커지게 되어 발진기(1)의 턴온/턴오프 시간은 제7도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렇게 발진기(OSC)의 턴온시간이 짧아지면 결국, 트랜지스터(Q3)의 턴온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 발생하는 유기전압이 낮아진다.
상기 전원 트랜스(SMPS T1)의 2차측에 발생하는 유기전압이 낮아지면 권선(d2)에 유기되고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콘덴서(C4)에 충전된 충전전압도 낮아지게 되는데, 이 충전전압이 기준전압(VR1)보다 낮아지면 비교기(CP2)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MULT1)가 상기 발진기(OSC)의 출력주파수에 동기되어 동작하는데, 시정수(R6,C6)에 따른 제7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진 주파수를 출력한다.
이때, 다이오드(D3)의 출력파형은 제7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고, 상기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MULT1)의 발진 주파수는 다이오드(D8)를 통하여 저항(R7,R8)에 의해 분압되어 레벨이 변환된 후, 비교기(CP2)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CP1)는 입력된 신호를 기준전압(VR1)과 비교하여 제7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을 발진기(OSC)에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발진기(OSC)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MULT1)의 발진 주파수(정상 구동상태의 발진 주파수보다 매우 낮은 주파수)에 따른 발진을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상태에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원 트랜스를 구동하므로서 전력소비가 적고, 역률개선용 필터를 삽입하므로서 역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용자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상동작시에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선택하고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낮은 주파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선택부와, 상기 주파수 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에 따른 주파수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의 출력주파수에 따라 그에 비례하는 유기전압을 발생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에 공급하는 전원트랜스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절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필터링한 낮은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선택부에 인가하는 보조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절전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주파수 선택부에 전달하는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절전회로.
  4. 전원전압 인가시 제1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높은 역률로 평활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필터부와, 상기 역률개선용 필터부의 출력에 의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의 출력주파수에 따라 그에 비례하는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트랜스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유기전압을 제2정류부를 통해 입력받아 잔류잡음 성분을 다시 필터링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에 출력하는 제2필터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역률개선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역률개선용 필터부는 높은 역률을 위해 사용한 저용량의 평활용 콘덴서(C3)와, 상기 평활용 콘덴서(C3)를 통한 전압을 2차로 필터링하는 코일(L1) 및 콘덴서(C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역률개선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튜닝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2필터부를 통한 전압을 플라이백 트랜스에 공급/차단하는 모스 트랜지스터(M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역률개선회로.
  7. 입력전압 및 유기전압을 일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구동하여 기설정된 높은 주파수 또는 제어신호에 따른 낮은 주파수를 출력하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의 출력 주파수를 1차측에 입력받아 2차측에 유기전압을 발생하여 정상구동상태전원 및 대기상태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트랜스와,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모드상태를 판단하는 모드 판별부와, 상기 모드 판별부의 출력에 따라 구동하여 발진부가 낮은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저주파를 출력하는 저주파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절전회로.
KR1019940033321A 1994-04-27 1994-12-08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KR012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321A KR0121143B1 (ko) 1994-04-27 1994-12-08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09002 1994-04-27
KR94-9002 1994-04-27
KR1019940033321A KR0121143B1 (ko) 1994-04-27 1994-12-08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50A KR950030450A (ko) 1995-11-24
KR0121143B1 true KR0121143B1 (ko) 1997-11-22

Family

ID=668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321A KR0121143B1 (ko) 1994-04-27 1994-12-08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1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527B1 (ko) * 2001-07-30 2004-06-23 (주)케이.에스.이 1,000 ~ 10,000 ㎚범위의 적외역 및 500㎚ ~ 600㎚범위가시역의 광필터와 에너지 평형에너지가 여기된 반도체의정보제어에 의한 절전기 그리고 그 절전기의 제조장치와제조방법
KR100554263B1 (ko) * 2002-12-12 2006-02-22 홍윤기 역률 개선형 전력절감 시스템
KR100877734B1 (ko) * 2000-12-06 2009-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원전압 변환회로 및 그 제어방법과 표시장치 및 휴대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604B1 (ko) * 1996-11-14 1999-11-15 윤종용 역률보정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전원 공급 장치
KR100344532B1 (ko) 2000-07-31 2002-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용 에이씨/디씨 어댑터의 절전회로
KR100903609B1 (ko) * 2002-09-23 2009-06-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링깅 초크 컨버터 방식의 전원 제어 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34B1 (ko) * 2000-12-06 2009-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원전압 변환회로 및 그 제어방법과 표시장치 및 휴대단말
KR100436527B1 (ko) * 2001-07-30 2004-06-23 (주)케이.에스.이 1,000 ~ 10,000 ㎚범위의 적외역 및 500㎚ ~ 600㎚범위가시역의 광필터와 에너지 평형에너지가 여기된 반도체의정보제어에 의한 절전기 그리고 그 절전기의 제조장치와제조방법
KR100554263B1 (ko) * 2002-12-12 2006-02-22 홍윤기 역률 개선형 전력절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50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920B1 (ko) 스위칭 전원 장치
JP393808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88382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46991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having series capacitance
JP349501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03385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US20110271927A1 (en) Automatic start/stop device for engine-driven power generator
KR20060052420A (ko) 스위칭 전원 제어용 반도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칭전원 장치
KR100822515B1 (ko) 전원 장치
US5081570A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 power supply
JPH07308065A (ja) 電源装置
JP2702048B2 (ja) 無停電性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0121143B1 (ko) 전원장치의 절전 및 역률개선회로
KR100532518B1 (ko)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스타팅 방법 및 스타팅 회로를구비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RU2000124166A (ru) Схема импульсного блока питания
JP200303301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087862A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tage of switching transistor by raising starting voltage
KR930011812B1 (ko) 인버터 전자레인지의 제어회로
JP6682930B2 (ja) 電源装置
JP2653712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H08266041A (ja) 直流電圧変換装置
JP3096211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1103762A (ja) 力率改善回路
JP338531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733701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