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602Y1 -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 Google Patents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602Y1
KR0120602Y1 KR2019950025746U KR19950025746U KR0120602Y1 KR 0120602 Y1 KR0120602 Y1 KR 0120602Y1 KR 2019950025746 U KR2019950025746 U KR 2019950025746U KR 19950025746 U KR19950025746 U KR 19950025746U KR 0120602 Y1 KR0120602 Y1 KR 0120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ed
light
read
d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431U (ko
Inventor
김재덕
Original Assignee
김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덕 filed Critical 김재덕
Priority to KR2019950025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602Y1/ko
Publication of KR970012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93Sheet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피인쇄물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한 인쇄피막층(2) 위에 휘도가 뛰어나고 발광시간이 긴 축광층(3)을 도포 형성하고 그 위에 반사층(4)을 형성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기판상에 인쇄된 도형이나 문자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로서 어두운 곳에서 광원에 불을 켜지 않고도 인쇄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 달력이나 리모콘 명판, 지도인쇄 등에 적용함으로서 어둠에서도 판독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제1도는 종전의 인쇄물 단면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단면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단면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단면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피인쇄물2:인쇄피막층
3:축광층4:반사층
본 고안은 피인쇄물 위에 인쇄한 도형이나 문자를 어두운 무광원 상태에서도 판독할 수 있는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피인쇄물 위에 인쇄층 피막을 단순히 도포하였으므로 무광원 상태에서는 피인쇄물 상에 인쇄된 도형이나 문자를 판독할 수 없으며, 빛이 있는 곳에서만 인쇄된 그림이나 문자를 판독할 수 있었다.
제1도는 종래의 인쇄물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상태도로서, 피인쇄물(1)상에 단순히 인쇄층 피막을 도포한 구조이며, 피인쇄물은 종이, 천, 필름 플라스틱 사출물 등을 사용하였었다.
따라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인쇄물을 볼려고 하면 부득이 광원에 불을 밝혀야 판독할 수 있고, 특히 달력이나 리모콘 명판, 지도등을 보고자할 경우 광원에 불을 밝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인쇄물 상부 또는 하부에 빛에너지를 축적시켜 두었다가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투명 또는 유색축광제 층을 도포형성하여 인쇄된 그림이나 문자가 어두운 곳에서도 빛에너지에 의해 볼 수 있도록 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의 구조에 특징을 둔 고안이다.
또한, 피인쇄물이 투명한 재료인 경우에는 피인쇄물의 하부에 축광제를 도포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인쇄된 도형이나 문자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 무광원 가시 피인쇄물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단면상태도로서, 피인쇄물(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휘도가 뛰어나고 발광시간이 긴 축광층(3)을 도포형성하고 그 위에 인쇄피막층(2)을 형성한 것으로 축광층(3)은 투명 또는 유색이며, 공정상 시트(sheet)로 제작하여 적용하기 편리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단면상태도로서, 피인쇄물(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쇄피막층(2)을 도포형성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축광층(3)을 그 위에 형성한 것으로 소량 다품종 생산에 적합한 구조인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단면상태도로서, 피인쇄물(1)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이고, 피인쇄물(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축광층(3)을 도포형성하고 그위에 인쇄피막층(2)을 형성한 구조로서 투명시트나 사출물 등에 적용되며, 잦은 마찰로 인쇄부분이 지워지기 쉬운 경우에 적용하면 유용하고 편리한 것이다.
특히, 축광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인쇄피막층(2)위에 반사층(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단면상태도로서, 피인쇄물(1)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우이고, 피인쇄물(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축광층(3)을 도포 형성하고 축광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축광층(3)위에 반사층(4)을 형성한 것으로 제4도와 제5도의 축광층(3)이 투명 또는 반투명일 경우 반사층(4) 대신에 바탕색을 도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2도의 제1실시예의 경우 유색축광층(3)을 바탕색으로 사용하거나 투명축광층(3)을 이용 피인쇄물(1)의 색을 이용하며 인쇄피막층(2)을 제외한 부분에서 축광층이 빛을 발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문자나 도형을 식별할 수 있다. 적용예로써 달력 지도등이 있다.
제3도의 제2실시예의 경우 투명축광층(3)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인쇄물위에 사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문자나 도형을 식별할 수 있다. 적용예로써 불화 성화등이 있다.
제4도의 제3실시예의 경우 피인쇄물(1)이 투명할 경우 적용예로써 전기 전자자동차등의 명판이나 리모콘의 명판에 적용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스위치나 노브의 위치를 확인하여 작동을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트상태로 구매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용한다.
제5도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제3실시예의 경우와 비슷하나 인쇄피막에 직접 손이 접촉하지 않으므로 인쇄피막의 손상을 주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피인쇄물(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한 인쇄피막층(2)에 있어서, 인쇄피막층(2)위에 휘도가 뛰어나고 발광시간이 긴 축광층(3)을 도포형성하고 그 저면에 반사층(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2. 제1항에 있어서, 축광층(3)은 투명 또는 유색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KR2019950025746U 1995-09-22 1995-09-22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KR0120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746U KR0120602Y1 (ko) 1995-09-22 1995-09-22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746U KR0120602Y1 (ko) 1995-09-22 1995-09-22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431U KR970012431U (ko) 1997-04-25
KR0120602Y1 true KR0120602Y1 (ko) 1998-07-15

Family

ID=1942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746U KR0120602Y1 (ko) 1995-09-22 1995-09-22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6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431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065A (en) Decorative part
KR0120602Y1 (ko) 축광을 이용한 무광원 가시 인쇄물
US20020142188A1 (en) Illuminated imageable vision control panel
EP14964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sheet
KR960042495A (ko) 조명효과를 갖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4189U (ja) 立体的な外観を呈する表示装置
KR101228185B1 (ko) 보색관계의 유색층들을 포함하는 간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03132B1 (ko) 조각 문자형 광고기구
JP3015949U (ja) 高輝度図柄発光表示シートおよび高輝度図柄発光表示体
KR200364225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182287Y1 (ko)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JP2537731B2 (ja) 標識装置
JP3015946U (ja) 高輝度図柄発光表示シートおよび高輝度図柄発光表示体
KR200236734Y1 (ko) 축광을 이용한 간판
CN101231802A (zh) Led柔光平板地铁闸门方向显示器
JPH04114083U (ja) 立体的な外観を呈する表示装置
JPH10247065A (ja) 標識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0123076Y1 (ko) 발광효과를 갖는 그림자 도형판
JP3015945U (ja) 高輝度図柄発光表示シートおよび高輝度図柄発光表示体
KR200363123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JPH04137395U (ja) 立体的な外観を呈する表示装置
JPH04137394U (ja) 立体的な外観を呈する表示装置
JPH04126285U (ja) 立体的な外観を呈する表示装置
KR200321031Y1 (ko) 광고간판
JPH09213476A (ja) 電界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302

Effective date: 2005122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