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287Y1 -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 Google Patents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287Y1
KR200182287Y1 KR2019990027364U KR19990027364U KR200182287Y1 KR 200182287 Y1 KR200182287 Y1 KR 200182287Y1 KR 2019990027364 U KR2019990027364 U KR 2019990027364U KR 19990027364 U KR19990027364 U KR 19990027364U KR 200182287 Y1 KR200182287 Y1 KR 200182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illboard
emitting diode
lea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설
Original Assignee
손재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설 filed Critical 손재설
Priority to KR2019990027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수막 또는 종이 광고판의 표면에 발광다이오드를 결합시켜 이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광고내용이 빛으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명광고가 가능하도록 하여 광고효과가 향상되도록한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물 또는 종이로 구성된 광고판의 광고면에 부착되도록 접착층을 갖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고, 광고판에는 발광다이오드의 리이드가 끼워지도록 리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접착층에 의해 광고판의 이면에 발광다이오드 홀더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Announcement plate have a luminescence part}
본 고안은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 또는 종이 광고판에 발광다이오드를 결합시켜 광고하고자 하는 내용이 빛으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광고내용을 식별할수 있도록하여 직물이나 종이로 구성된 광고판의 단점이 보완되도록한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가격이 저렴한 나염현수막, 점포용 폴대 현수막, 그리고 코팅처리가 되어있는 고급 원단을 사용한 현수막 등이 있다. 이들은 비나 직사광선에 강하고 찢어지는 일이 거의 없다.
이러한 현수막은 다양한 글씨체와 그림, 사진등이 모두 표현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수막은 직물의 표면에 그림이나 글씨를 인쇄하여 광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입체적이지 못하고 또한 자체 조명시설이 없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는 광고내용을 식별하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두꺼운 종이를 이용한 광고판의 경우도 그림이나 글씨를다양하게 표현할수 있으나 어두운 곳에서는 광고내용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수막 또는 종이 광고판의 표면에 발광다이오드를 결합시켜 표현하고자 하는 광고내용이 빛으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명광고가 가능하도록 하여 광고효과가 향상되도록한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발광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발광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발광부가 결합된 현수막 광고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발광부가 결합된 종이 광고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발광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광고판
11 : 리이드구멍
12 : 핀구멍
20 : 발광다이오드
21 : 리이드
22 : 접착층
30 : 커버
31 : 체결핀
32 : 접착층
40 : 홀더
41 : 리이드구멍
42 : 핀구멍
43 : 접착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물 또는 종이로 구성된 광고판의 광고면에 부착되도록 접착층을 갖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고, 광고판에는 발광다이오드의 리이드가 끼워지도록 리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접착층에 의해 광고판의 이면에 발광다이오드 홀더가 부착되고 이 홀더의 중앙에는 발광다이오드의 리이드가 끼워져 걸리는 리이드구멍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발광부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발광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직물 또는 종이로 구성된 광고판(10)의 광고면에 발광부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20)와, 이를 감싸는 커버(30), 그리고 발광다이오드와 커버를 잡아주는 홀더(40)로 구성된다.
다이오드는 LED 라고 칭하며 이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이다. 다이오드의 재료는 실리콘(규소)이 많지만, 그 외에 게르마늄, 셀렌 등이 있다. 다이오드의 용도는 전원장치에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꾸는 정류기로서의 용도, 라디오의 고주파에서 신호를 꺼내는 검파용,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칭 용도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용도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다. 주로 적색, 녹색이 많지만, 청색을 발광하는 LED도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단색을 발광하는 것이다.
발광다이오드(20)의 후방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리이드(21)가 구비되며 광고판(10)에는 리이드(21)가 관통되도록 리이드구멍(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20)의 후방에는 광고판(10)의 광고면에 접착되는 접착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30)는 발광다이오드(20)를 감싸주는 기능 이외에 발광다이오드가 여러 가지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반투명의 색상 필터 역할을 한다. 커버(30)에는 광고판(10)의 광고면에 형성된 핀구멍(12)으로 끼워지는 체결핀(31)이 형성되고 광고면에 접착되도록 접착층(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광고판(10)의 후방에는 커버(30)를 잡아주는 홀더(40)가 구비된다. 홀더(40)는 커버의 체결핀(31)이 억지 끼움되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다. 체결핀(31)은 끝부분이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화살촉 부분이 핀구멍(42)에 끼워져 걸리도록 홀더(40)가 구비된다. 그리고 홀더(40)에는 광고판(10)의 후방에 접착되도록 접착층(43)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발광다이오드(20)의 리이드(21)가 끼워지는 리이드구멍(41)이 각각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현수막 또는 종이 광고판의 광고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광고판(10)에 리이드구멍(11)과 핀구멍(12)을 형성시킨다. 이들 구멍(11)(12)의 형성위치는 광고내용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 광고내용이 글씨일 경우 글씨의 형태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도형이나 그림일 경우에는 이들 형태대로 구멍(11)(12)이 형성된다.
구멍(11)(12)이 형성되면 발광다이오드(20)의 리이드(21)를 해당 리이드구멍(11)에 끼워준다. 이때 발광다이오드(20)의 접착층(22)을 광고면에 부착시켜 발광다이오드(20)가 광고판(10)에 부착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커버(30)를 해당 발광다이오드(20)에 씌워준다. 커버(30)에는 체결핀(31)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들 체결핀(31)이 광고판(10)의 핀구멍(12)으로 끼워지도록 발광다이오드(20)에 씌워준다.
커버(30)가 발광다이오드(20)에 씌워지면 이의 접착층(32)이 광고면에 부착된 상태로 커버가 광고판(10)에 결합된다. 커버(30)와 발광다이오드(20)가 광고판(10)에 부착되면 이의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핀(31)을 홀더(40)로 고정시켜 준다. 홀더(40)에는 핀구멍(4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의 핀구멍(42)을 해당 체결핀(31)에 끼워주면 화살촉 모양을 한 체결핀(31)이 핀구멍(4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홀더(40)에 형성된 접착층(43)이 광고판(10)의 후방에 부착되면 이들 커버(30)와 홀더(40)가 광고판(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의 리이드(21)는 홀더(40)의 중앙에 형성된 리이드구멍(41)에 끼워진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고안은 직물로 구성된 현수막 또는 종이로 구성된 광고판의 광고면에 발광다이오드(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들의 광고내용에 따라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조화를 이루어 결합된다. 예컨데 광고하고자 하는 글씨, 도형, 그림 등의 윤곽을 따라 발광다이오드가 결합된다. 이처럼 발광다이오드가 광고내용의 형태를 따라 결합되면 광고하고자 하는 내용이 빛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광고내용을 식별할수 있음으로 표면광고의 단점을 보완해줄수 있다. 또한 단색의 발광다이오드는 다양한 색상의 반투명으로 제작되는 커버(30)에 의해 여러 가지 색상으로 발광된다.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커버(30)를 거치면서 커버(30)의 색상대로 발광됨으로 단색의 발광다이오드를 보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발광부를 나타낸 단면도 로서, 커버(30)를 사용하지 않고 발광다이오드(20)를 광고판(10)에 결합시킨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광고판(10)의 광고면에 발광다이오드(20)가 결합되고 광고판의 이면에는 발광다이이오드의 리이드(21)가 끼워지는 리이드구멍(41)을 갖는 홀더(40)가 구비된다.
홀더(40)에는 접착층(43)이 있어서 광고판의 이면에 부착 고정되며 발광다이오드의 리이드(21)는 홀더의 리이드구멍(41)에 끼워진 뒤 절곡되면 홀더(4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30)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발광다이오드가 단색임으로 단순히 발광을 목적으로 한 광고에 적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직물 형태의 현수막 또는 종이 광고판에 발광다이오드를 결합시켜 광고내용이 빛으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식별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는 가격이 저렴하고 낮은 전류로 동작됨으로 전기소모가 적으며 또한 조립하기 편리함으로 현수막 광고, 종이 광고의 광고효과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직물 또는 종이로 구성된 광고판(10)의 광고면에 부착되도록 접착층(22)을 갖는 발광다이오드(20)가 구비되고,
    광고판(10)에는 발광다이오드(20)의 리이드(21)가 끼워지도록 리이드구멍(11)이 형성되며,
    접착층(43)에 의해 광고판(10)의 이면에 발광다이오드 홀더(40)가 부착되고 이 홀더(40)의 중앙에는 발광다이오드(20)의 리이드(21)가 끼워져 걸리는 리이드구멍(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20)에 씌워지고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여러 가지 색상으로 표출되도록 다양한 색상을 갖는 반투명의 커버(30)가 구비되고,
    커버(30)에는 광고판(10)을 관통하는 체결핀(31)이 구비되며 홀더(40)에는 체결핀(31)이 끼워져 걸리는 핀구멍(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KR2019990027364U 1999-12-07 1999-12-07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KR200182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64U KR200182287Y1 (ko) 1999-12-07 1999-12-07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64U KR200182287Y1 (ko) 1999-12-07 1999-12-07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287Y1 true KR200182287Y1 (ko) 2000-05-15

Family

ID=196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64U KR200182287Y1 (ko) 1999-12-07 1999-12-07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2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92B1 (ko) * 2006-02-03 2006-08-01 김주현 문자발광 프래카드
KR101096648B1 (ko) * 2009-03-26 2011-12-21 광성기업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배너
KR20230024645A (ko) * 2021-08-12 2023-02-21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Led 텍스타일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92B1 (ko) * 2006-02-03 2006-08-01 김주현 문자발광 프래카드
WO2007089071A1 (en) * 2006-02-03 2007-08-09 Joo-Hyun Kim Character emitting placard
KR101096648B1 (ko) * 2009-03-26 2011-12-21 광성기업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배너
KR20230024645A (ko) * 2021-08-12 2023-02-21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Led 텍스타일과 그 제조방법
KR102600087B1 (ko) 2021-08-12 2023-11-07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Led 텍스타일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821B2 (en) Illuminated sign
KR200182287Y1 (ko) 발광부를 갖는 광고판
US20040136175A1 (en) Ultraviolet illuminated fluorescent badge
US20060007672A1 (en) User wearable LED display
US20110308120A1 (en) Led assembly having improved visibility, its attaching method and banner using it
KR20150139122A (ko) 광고내용의 탈부착이 가능한 간판
JPH1187055A (ja) シート状発光表示装置および発光表示装置
JP200503137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シート
KR20080024427A (ko) 채널캡에 설치된 엘이디 발광수단의 후광을 이용한채널간판
KR100814120B1 (ko) 측광 및 후광을 이용한 문자나 도형 광고용 간판
KR200243449Y1 (ko) 자외선을 가지는 led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보드
KR200160363Y1 (ko) 허리띠용 버클
KR200364225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443056Y1 (ko) 광고용 간판
KR20010016558A (ko) 차량등에 부착되는 회사마크장치
JPH0739079U (ja) Led付き広告布
KR100420107B1 (ko) 광고용 간판
KR100961101B1 (ko) 업소용 광고 표지판의 프레임 구조
KR200231117Y1 (ko) 발광(發光)기능을 가지는 메뉴판
JP2537731B2 (ja) 標識装置
KR200249987Y1 (ko) 야광달력
KR200312959Y1 (ko) 광투과부가 형성된 광확산필름과 이를 이용한 광고간판
KR200243785Y1 (ko) 발광(發光)기능을 가지는 거울
KR200390450Y1 (ko) 광고판의 인쇄구조
KR20020088244A (ko) 자외선을 가지는 led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