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469Y1 - 절전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절전형 조명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469Y1
KR0120469Y1 KR2019940016621U KR19940016621U KR0120469Y1 KR 0120469 Y1 KR0120469 Y1 KR 0120469Y1 KR 2019940016621 U KR2019940016621 U KR 2019940016621U KR 19940016621 U KR19940016621 U KR 19940016621U KR 0120469 Y1 KR0120469 Y1 KR 0120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mparator
output
turned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667U (ko
Inventor
김사용
Original Assignee
김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용 filed Critical 김사용
Priority to KR2019940016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469Y1/ko
Publication of KR960006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469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절전형 조명장치는, 조도감지용 제1센서, 인체감지용 제2센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출력을 받아 각각 그의 기준 전위와 비교하는 제1 및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로 부터의 출력을 연산하기 위한 AND 게이트 수단, 상기 제1비교기 및 AND 게이트 수단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트라이악 수단을 통해 부하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거나 또는 1/2 내지 1/4 정도의 전력으로 점등시키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조명장치가 적어도 3단계 이상의 조명도로 동작한다.

Description

절전형 조명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전형 조명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도감지용 센서 2 : 인체감지용 센서
3,4 : 비교기 5 : AND 게이트
6 : 트라이악 7 : 부하
Q1,Q2,Q3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절전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등, 점등 및 미 등의 3단계 기능을 구비한 절전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전화박스에 있어서 야간 조명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구를 사용할 경우 전력 소비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야간에만 점등시키고 주간에는 아예 부하를 소등시키거나, 또는 평상시에는 소등 상태로 있다가 사람이 나타나면 이를 감지하여 점등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명장치는 부하의 점등 및 소등의 2가지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충분한 절전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감지장치는 예컨대 아파트 등에 있어서 일정한 조도 이하에서 오프 상태로 있다가 사람이 접근하면 인체의 열을 감지하여 온 상태로 되어 최대 출력을 내다가 사람이 사라지면 다시 오프되며, 또한 일정한 조도 이상에서는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오프되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이 경우에는 사람이 센서에 접근해야만 비로서 센서가 작동하여 불이 켜지기 때문에 장치에서 약간만 떨어져도 목적지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전화박스 등에 사용되는 조명장치의 경우에 낮에는 소등 상태로 있다가 밤이되면 완전히 켜지는 단순한 2단계 기능만을 채용하여 충분한 절전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에, 사람이 접근하지 않았을 때 부하를 1/2 내지 1/4 정도의 약한 전력으로 점등시키는 미등 기능을 부가하여 소등, 점등 및 미 등의 3단계 기능을 갖는 절전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전형 조명장치는, 조도감지용 제1센서, 인체감지용 제2센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출력을 받아 각각 그의 기준 전위와 비교하는 제1 및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로 부터의 출력을 연산하기 위한 AND 게이트 수단, 상기 제1비교기 및 AND 게이트 수단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트라이악 수단을 통해 부하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거나 또는 1/2 내지 1/4 정도의 전력으로 점등시키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CdS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센서는 PIR(Pyro Infra Red)센서로 형성되며, 상기 출력수단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센서는 조도 및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한 다른 센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1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절전형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부호 1은 조도감지용 CdS 센서, 2는 인체감지용 PIR 센서, 3,4는 상기 센서의 출력치를 기준전 위치와 비교하여 소정값을 출력하기 위한 비교기, 5는 상기 비교기들의 출력을 논리제어하기 위한 AND 게이트, Q1, Q2 및 Q3는 상기 비교기(3,4) 및 AND 게이트(5)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트라이악(6)을 개폐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들이며 7은 부하를 나타낸다. 또한 R1∼R6는 저항, VR은 조도조정용 가변저항을 각각 나타낸다.
우선, 일정한 조도 이상, 예컨대 100 1ux 이상으로 밝은 경우에는 조도감지용 센서인 CdS(1)의 저항값이 떨어져 거의 모든 전류가 상기 CdS(1)를 통해 흐르게 되어 제1비교기(3)의 기준전위(VREF)가 높게 되어 출력이 제로로 된다. 이에 따라 Q1, Q2, Q3는 모두 오프되고 트라이악(6)도 오프되어 부하(6)가 완전 소등상태로 된다(제1단계). 이때, 조도는 가변저항(VR)을 조정하여 임의의 밝기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 조도가 일정 룩스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PIR 센서(2)가 인체를 감지하지 않았을때는 비교기(3)의 출력은 1이 되고, 비교기(4)의 출력은 0이 되어, 상기 비교기(1)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 Q1이 도통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 Q3가 도통되어, 트라이악(6)이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라이악(6)은 트랜지스터 Q1만의 도통에 의해 트랜지스터 Q3를 통해 도통되기 때문에 이 경우 트라이악(6)은 최대로 출력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부하(7)가 미등 상태로 켜져 있게 된다(제2단계).
상기 미등 상태는 본 실시예의 경우 정격의 약 1/4 정도로 동작되도록 설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 조도가 일정 룩스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PIR 센서(2)가 인체를 감지하였을때는 비교기(3) 및 비교기(4)의 출력이 모두 1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 Q1이 도통됨과 동시에 비교기(4)로 부터의 출력에 의해 AND 게이트(5)의 출력도 1이 되어, 트랜지스터 Q2가 도통되게 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Q1 및 Q2가 모두 도통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 Q3를 통해 트라이악(6)이 최대 출력을 발생하여 부하(7)가 최대 정격으로 점등되게 된다(제3단계). 이때, 사람이 사라지면 상기 단계2와 같이 되어 1/4 정도로 희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에는 상시 희미하게 불이 켜져 있다가 사람이 접근하면 환하게 켜지고 사람이 사라지면 다시 희미한 상태로 되며, 날이 밝으면 완전히 꺼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절전효과가 탁월함은 물론, 야간에는 항시 희미한 상태로 켜져 있기 때문에 식별이 용이하여 매우 편리하다.

Claims (1)

  1.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1);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2); 상기 제1 및 제2센서(1,2)의 출력을 받아 각각 그의 기준 전위와 비교하기 위한 제1 및 제2비교기(3,4); 상기 제1비교기(3)와 제2비교기(4)로 부터의 출력을 연산하기 위한 게이트 수단(5); 상기 비교기(3,4) 및 게이트 수단(5)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출력수단(Q1,Q2,Q3); 및 상기 출력수단(Q1,Q2,Q3)의 온/오프에 따라 개폐되는 트라이악 수단(6)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부하(7)가 소등, 점등 또는 부하의 최대 정격 이하로 점등되는 적어도 3단계 이상의 조명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용 조명장치.
KR2019940016621U 1994-07-04 1994-07-04 절전형 조명장치 KR0120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621U KR0120469Y1 (ko) 1994-07-04 1994-07-04 절전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621U KR0120469Y1 (ko) 1994-07-04 1994-07-04 절전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667U KR960006667U (ko) 1996-02-17
KR0120469Y1 true KR0120469Y1 (ko) 1998-10-01

Family

ID=1938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621U KR0120469Y1 (ko) 1994-07-04 1994-07-04 절전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4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51B1 (ko) * 2021-09-10 2024-04-19 서정민 그린 라이 리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667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998B2 (en) Energy saving type of light emitting diode lamp
KR0120469Y1 (ko) 절전형 조명장치
JPS5894796A (ja) 照明灯の自動点灯装置
JPH0510426Y2 (ko)
JPS5848324A (ja) 自動点消灯スイツチ
KR950008428B1 (ko) 전등의 전원콘트롤회로
JPS5825593Y2 (ja) 照明装置
JPH11326043A (ja) 人工光検出装置
KR970016339A (ko) 렌지후드용 조명점등장치
JPH02213091A (ja) 照明器具の点灯制御装置
KR890007023Y1 (ko) 무접점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970004949Y1 (ko) 자동차 트렁크 조명램프의 제어장치
KR200445421Y1 (ko) 센서등 점등회로
JP2698710B2 (ja) 照明器具制御用熱線センサー
JP2763681B2 (ja) 照明器具制御用熱線センサー
JPH0398293A (ja) 照明灯の点灯制御装置
JPS6156902B2 (ko)
JPH065372A (ja) 住宅の自動照明制御装置
KR20140109051A (ko) 저전력 상시 방범조명이 가능한 엘이디 센서등
KR920004511Y1 (ko) 전원스위치
JP2698709B2 (ja) 照明器具制御用熱線センサー
JPH02236993A (ja) ドアライト
KR19990047064A (ko) 자동차 실내등 절전장치 및 방법
JPH0527999U (ja) 停電時照明装置
KR19990020203A (ko) 룸 램프 자동 오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