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194Y1 -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스테이플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94Y1
KR0120194Y1 KR2019940004122U KR19940004122U KR0120194Y1 KR 0120194 Y1 KR0120194 Y1 KR 0120194Y1 KR 2019940004122 U KR2019940004122 U KR 2019940004122U KR 19940004122 U KR19940004122 U KR 19940004122U KR 0120194 Y1 KR0120194 Y1 KR 0120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uide frame
stapler
ir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4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929U (ko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2019940004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94Y1/ko
Publication of KR950026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06Feeding means
    • B25C5/1617Feeding means employing a spring-loaded pus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96Staple support displaceable relative to the tool to allow re-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수납하면서 동시에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안내하는 철침 안내틀이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하여 스테이플러용 철침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철침배출공이 형성된 철침안내틀과, 철침안내틀에 수납되는 철침을 탄성수단에 의해 철침배출공쪽으로 밀어주는 탄성을 가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철침배출공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철침을 한 개씩 따내기 위한 따내기편이 설치된 누름덮개 및 상기 철침배출공의 직하방에 철침용형판이 설치되고 상기 철침안내틀과 누름덮개를 지지해주는 받침대로 구성된 통상의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침안내틀의 외측을 감싸면서 철침안내틀을 전방출입이 자유롭도록 미끄럼안내하는 외틀을 상기 받침대상에 핀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탄성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빠질 때 외틀의 선단으로부터 소정돌출거리(L)를 가지면서 빠지도록 돌출을 제한하는 걸림돌기 및 걸림턱을 이 슬라이더와 상기 외틀상에 각각 대응형성하는 한편, 상기 철침안내틀의 철침배출공이 상기 따내기편의 직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이 철침안내틀이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하는 푸쉬언록버튼을 가진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원터치 조작으로 철침안내틀을 빼내어 철침을 공급하고,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철침공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이플러
제 1도는 종래 스테이플러의 일예를 보이는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이플러의 누름덮개를 펼쳐서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결합상태 부분정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철침 35 : 록킹장치
36 : 푸쉬언록버튼 37 : 경사면
38,81 : 걸림턱 39 : 후크편
40 : 철침안내틀 41 : 철침배출공
42 : 걸림공 44 : 철침안내레일
50 : 슬라이더 51 : 걸림돌기
52 : 탄성수단 53 : 스프링안내로올러
54 : 인장스프링 55 : 로올러지지브라켓
60 : 누름덮개 62 : 따내기편
63 : 버튼통과공 70 : 받침대
72 : 철침용형판 80 : 외틀
82 : 관통공 90 : 스테이플러
L : 소정돌출거리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수납하면서 동시에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안내하는 철침 안내틀이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스테이플러용 철침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플러는 얇은 여러겹의 평판소재 특히, 종이류를 철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사무업무에서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테이플러는 첨부도면 제 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침안내틀(20)에 제한된 수의 철침(21)을 수납한 상태에서 누름덮개(22)를 덮고 수 차례 사용한 후 또 다시 철침(21)을 공급해 주어야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누름덮개(22)를 상부로 펼치고, 철침안내틀(20)내에서 수납된 철침(21)에 탄성을 가해주는 슬라이더(23)를 탄성을 이기면서 손으로 민 상태에서 소정량의 철침(21)을 첨침안내틀(20)에 수납한 후, 펼쳐진 누름덮개(22)를 덮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테이플러(24)에서는 철침(21) 수납시에 누름덮개(22)를 펼치고, 슬라이더(23)를 손으로 잡고 있어야 되는 여러번의 동작에 불편함이 발생되었으며, 누름덮개(22)를 펼치고 덮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철침안내틀(20)과의 마모로 인해 서로 위치가 어긋나거나하여 제품정밀도 유지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스테이플러의 제품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스테이플러의 철침공급을 수행하는 철침안내틀이 누름덮개를 펼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스테이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용 철침을 수납하면서 동시에 철침을 한 개씩 배출할 수 있는 철침배출공이 형성된 철침안내틀과, 철침안내틀에 수납되는 철침을 탄성수단에 의해 철침배출공쪽으로 밀어주는 탄성을 가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철침배출공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철침을 한 개씩 따내기 위한 따내기편이 설치된 누름덮개 및 상기 철침배출공의 직하방에 철침용형판이 설치되고 상기 철침안내틀과 누름덮개를 지지해주는 받침대로 구성된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침안내틀의 외측을 감싸면서 철침안내틀을 전방출입이 자유롭도록 미끄럼안내하는 외틀을 상기 받침대상에 핀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탄성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빠질 때 외틀의 선단으로부터 소정돌출거리를 가지면서 빠지도록 돌출을 제한하는 걸림돌기 및 걸림턱을 이 슬라이더와 상기 외틀상에 각각 대응형성하는 한편, 상기 철침안내틀의 철침배출공이 상기 따내기편의 직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이 철침안내틀이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하는 푸쉬언록버튼을 가진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에 다른 스테이플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 및 제 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용 철침(30)을 수납하면서 동시에 철침(30)을 한 개씩 배출할 수 있는 철침배출공(41)이 형성된 철침안내틀(40)과, 철침안내틀(40)에 수납되는 철침(30)을 탄성수단(52)에 의해 철침배출공(41)쪽으로 밀어주는 탄성을 가지는 슬라이더(50)와, 상기 철침배출공(41)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철침(30)을 한개씩 따내기 위한 따내기편(62)이 설치된 누름덮개(60) 및 상기 철침배출공(41)의 직하방에 철침용형판(72)이 설치되고 상기 철침안내틀(40)과 누름덮개(60)를 지지해주는 받침대(70)로 구성된 스테이플러(90)에 있어서, 상기 철침안내틀(40)의 외측을 감싸면서 철침안내틀(40)을 전방출입이 자유롭도록 미끄럼안내하는 외틀(80)을 상기 받침대(70)상에 핀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50)가 탄성수단(52)에 의해 전방으로 빠질 때 외틀(80)의 선단으로부터 소정돌출거리(L)를 가지면서 빠지도록 슬라이더(50)의 돌출을 제한하는 걸림돌기(51) 및 걸림턱(81)을 이 슬라이더(50)와 상기 외틀(80)상에 각각 대응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슬라이더(50)에 탄성을 가해주는 탄성수단(52)은 외틀(80)의 전방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안내로울러(53)에 U자 형태로 지지되어 탄성을 가진 상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더(50)와 외틀(80)의 후방에 결합되는 인장스프링(54)으로 구성하며, 압축스프링을 이용 슬라이더(50)와 외틀(8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틀의 전방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안내로울러(53)의 설치는 예컨데, 외틀(80)의 상부에서 두 개의 로울러지지브라켓(55)을 수직입설하고, 스프링안내로울러(53)를 둘 사이에 위치시켜 두 개의 로울러지지브라켓(55)과 스프링안내로울러(53)를 전부 관통하는 핀(56)을 끼워설치하거나, 스프링안내로울러(53)의 양단중앙에 지지축(57)을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두 개의 로울러지지브라켓(55)에는 상기 지지축(57)이 끼워져 안착되는 개구부(58)를 가진 장공(59)을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써 로울러지지브라켓(55)과 스프링안내로울러(53)를 결합하기위한 별도의 핀(56)을 배제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철침안내틀(40)의 철침배출공(41)이 상기 따내기편(62)의 직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이 철침안내틀(40)이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하는 푸쉬언록버튼(36)을 가진 록킹장치(35)를 설치하여 철침안내틀(40)이 록킹장치(35)에 걸려 있을 때는 탄성을 가진 상태로 철침(30)을 다낼 수 있도록 하고, 록킹장치(35)의 푸쉬언록버튼(36)을 누르게되면 외틀(80)의 선단부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35)는 상기 철침안내틀(40)의 후방 바닥면상에 걸림공(42)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상기 외틀(80)의 후방 바닥면상에 형성된 관통공(82)을 통해 돌출되는 경사면(37)과 걸림턱(38)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푸쉬언록버튼(36)이 설치되는L자형의 후크편(39)을 외틀(80)의 후방측에 상방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수직입설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누름덮개(60)에는 누름덮개(60)가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록킹장치(35)의 푸쉬언록버튼(36)을 누를 수 있도록 푸쉬언록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푸쉬언록버튼이 충분히 통과되는 버튼통과공(63)을 형성하고, 이 버튼통과공(63)을 통해 푸쉬언록버튼(36)을 상부와 약간 돌출시키므로써 철침안내틀(40)의 언록킹이 간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철침안내틀(40)의 바닥면성에는 철침(30)의 하부양측구석을 받치면서 동시에 철침(30)의 첨부(31)가 철침안내틀(40)을 바닥면에 직접 닿지 못하도록 하면서 철침안내틀(40)내에서 수평직선안내되도록하는 철침안내레일(44)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따내기편(62)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안내장공(64)이 천공된 사각평판형태이며, 상부의 좌.우 양측에 걸림턱(6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철침안내틀(40)의 철침배출공(41)과 다소 수직으로 대응하는 위치인 상기 누름덮개(60)의 저면에는 상기 따내기편(62)에 형성된 양측의 걸림턱(65)을 걸어주기위한 걸림편(66)을 형성하며, 상기 누름덮개(60)가 받침대(70)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73)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탄성을 받기 때문에 사용중인 누름덮개(60)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덮개(60)의 걸림편(66)을 걸고있는 따내기편(62)의 안내장공(64)이 외틀(80)의 상측에 걸리도록 상기 따내기편(62)과 수직하방에 대응하는 외틀(80)에 걸림고리(85)를 형성하여 따내기편(62)을 매개로 상기 누름덮개(60)가 걸려지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철침안내틀(40)이 록킹장치(35)에 의해 외틀(80)에 록킹되어 있고, 슬라이더(50)를 매개로 탄성수단(52)에 의해 탄성을 받고 있으며, 누름덮개(60)가 덮혀저 있는 상태라면, 이 상태에서 철침안내틀(40)에 철침(30)을 공급해주어야 할 경우 상기 록킹장치(35)의 푸쉬언록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게되면, 이제까지 철침안내틀(4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공(42)을 걸고있던 후크편(39)이 아랫쪽으로 내려가면서 후크편(39)의 걸림턱(38)이 철침안내틀(40)의 걸림공(42)과 완전히 어긋나게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철침안내틀(40)은 록킹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더(50)를 매개로 탄성수단(52)의 탄성을 받고있던 상태라서 누름덮개(6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침안내틀(40)이 받침대(70)에 지지되어 있는 외틀(80)의 안내를 받으면서 외틀(80)의 선단 전방으로 신속하게 튀어나오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54)에 의해 당겨지고 있던 슬라이더(50)가 철침안내틀(40)에 탄성력을 주면서 동시에 철침안내틀(40)과 같이 빠져 나오면서 소정돌출거리(L)에 이르렀을 때 걸림돌기(51) 및 걸림턱(81)에 의해 걸리면서 멈추게되고, 철침안내틀(40)은 관성에 의해 슬라이더(50)보다 좀더 앞으로 빠져나오게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돌출된 철침안내틀(40)을 조금더 잡아당겨 빼내게되면, 철침안내틀(40)은 아무런 저항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라서 쉽게 앞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다음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의 철침(30)을 철침안내틀(40)에 끼워넣고, 철침안내틀(40)을 밀어넣게되면, 공급된 철침(30)에 의해 맨 먼저 슬라이더(50)가 탄성수단(52)에 의해 탄성력을 받으면서 외틀(80)의 내부로 밀려서 들어가게되며, 계속해서 철침안내틀(40)을 밀게되면, 철침안내틀(40)의 후방단부가 상기 후크편(39)의 경사면(37)에 닿으면서 후크편(39)의 탄성을 이기고 이 후크편(39)을 하방으로 밀면서 철침안내틀(40)은 계속 후방으로 진입하게되다가 철침안내틀(40)의 후방바닥면상에 형성된 걸림공(42)이 상기 후크편(39)의 걸림턱(38)과 일치하게되면, 후크편(39)이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신속히 올라오면서 철침안내틀(40)의 걸림공(42)을 걸게되어 철침안내틀(40)의 록킹 완료되는 것이다.
이후에 또 다시 철침(30)을 공급해야 될 필요가 있을 때 상기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해서 반복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되면, 기존과 같이 누름덮개를 개방하고 슬라이더를 밀은 상태에서 철침을 공급하게 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원터치 조작으로 철침안내틀을 빼내어 철침을 공급하고,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철침공급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스테이플러 구성부품에 무리가 가지 않는 구조라서 제품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스테이플러용 철침(30)을 수납하면서 동시에 철침(30)을 한 개씩 배출할수 있는 철침배출공(41)이 형성된 철침안내틀(40)과, 그 철침안내틀(40)에 수납되는 철침(30)을 탄성수단(52)에 의해 철침배출공(41)쪽으로 밀어주는 탄성을 가지는 슬라이더(50)와, 상기 철침배출공(41)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철침(30)을 한개씩 따내기 위한 따내기편(62)이 설치된 누름덮개(60) 및 상기 철침배출공(41)의 직하방에 철침용형판(72)이 설치되고 상기 철침안내틀(40)과 누름덮개(60)를 지지해주는 받침대(70)로 구성된 스테이플러(90)에 있어서, 상기 철침안내틀(40)의 외측을 감싸면서 철침안내틀(40)을 전방출입이 자유롭도록 미끄럼안내하는 외틀(80)을 상기 받침대(70)상에 핀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50)가 탄성수단(52)에 의해 전방으로 빠질 때 외틀(80)의 선단으로부터 소정돌출거리(L)를 가지면서 빠지도록 돌출을 제한하는 걸림돌기(51) 및 걸림턱(81)을 이 슬라이더(50)와 상기 외틀(80)상에 각각 대응형성하는 한편, 상기 철침안내틀(40)의 철침배출공(41)이 상기 따내기편(62)의 직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이 철침안내틀(40)이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하는 푸쉬언록버튼을 가진 록킹장치(35)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이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50)에 탄성을 가해주는 탄성수단(52)은 외틀(80)의 전방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안내로울러(53)에 U자 형태로 지지되어 탄성을 가진 상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더(50)와 외틀(80)의 후방에 결합되는 인장스프링(54)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이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35)는 상기 철침안내틀(40)의 후방 바닥면상에 걸림공(42)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상기 외틀(80)의 후방 바닥면상에 형성된 관통공(82)을 통해 돌출되는 경사면(37)과 걸림턱(38)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푸쉬언록버튼(36)이 설치되는 L자형의 후크편(39)을 외틀(80)의 후방측에 상방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수직입설하며, 상기 누름덮개(60)상에 버튼통과공(63)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이플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침안내틀(40)의 바닥면상에 상기 철침(30)의 하부 양측구석을 받칠 수 있는 철침안내레일(44)을 부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이플러.
KR2019940004122U 1994-03-04 1994-03-04 스테이플러 KR0120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122U KR0120194Y1 (ko) 1994-03-04 1994-03-04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122U KR0120194Y1 (ko) 1994-03-04 1994-03-04 스테이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929U KR950026929U (ko) 1995-10-16
KR0120194Y1 true KR0120194Y1 (ko) 1998-07-15

Family

ID=1937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122U KR0120194Y1 (ko) 1994-03-04 1994-03-04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929U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772B1 (en) Structure of the stapler
US2251833A (en) Staple driving machine
US6561406B1 (en) Lock member attachment device and lock member used therefor
KR0120194Y1 (ko) 스테이플러
US2227826A (en) Stapling machine
JPS6031697B2 (ja) 係止片取付機
US6206236B1 (en) Clip fastener
JP4068878B2 (ja) 閉口ファスナーの上下止め発射成型機
JP6216556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およびミシン
KR101106486B1 (ko) 레버부재가 장착된 안전한 서랍용 레일
JPH02262972A (ja) ステープラーにおける紙綴り装置並びに該装置用フレームと針押具及び曲げ台
EP1757723A1 (en) Sewing machine
KR0119564B1 (ko) 차량의 애시트레이 착탈장치
US20010013521A1 (en) Clip fastener
US6332419B1 (en) Auxillary device of a sewing machine
JP2004308082A (ja) ミシンのコード案内装置
US20020011765A1 (en) Sewing accessories box
JPS6226472Y2 (ko)
US7055444B2 (en) Arrangement for changing the bobbin of a sewing or embroidery machine
KR200216936Y1 (ko) 스테플러
US2384554A (en) Cloth pinning device
US4327564A (en) Collapsible knitting machine
JPH0546147Y2 (ko)
JP4113444B2 (ja) 固定装置
KR900008689B1 (ko) 전기전자기기의 도어 고정용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